KR200458161Y1 - 이동식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61Y1
KR200458161Y1 KR2020090011093U KR20090011093U KR200458161Y1 KR 200458161 Y1 KR200458161 Y1 KR 200458161Y1 KR 2020090011093 U KR2020090011093 U KR 2020090011093U KR 20090011093 U KR20090011093 U KR 20090011093U KR 200458161 Y1 KR200458161 Y1 KR 200458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water tank
washing
uni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115U (ko
Inventor
최응호
Original Assignee
최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응호 filed Critical 최응호
Priority to KR2020090011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6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자동차의 화물칸에 전체적인 세탁을 일회의 순환으로 완료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이동성과 접근성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식 세탁장치를 초등학교 교문 주변에 위치시켜 학생들이 운동화, 운동복, 실내화 등을 편리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하며,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가정에 방문하여 세탁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용수를 저장하는 냉수조; 상기 냉수조로부터 세탁용수를 공급받아 가열함으로써 세탁물을 불리는 온수조; 상기 냉수조로부터 세탁용수를 공급받음으로써 상기 온수조를 통해 불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를 통해 세탁된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를 통해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제1 건조부; 및 상기 온수조와 상기 세탁부와 상기 탈수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저장하는 폐수조가 화물자동차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세탁장치, 이동식, 온수조, 세탁부, 탈수부, 필터

Description

이동식 세탁장치{Movable washing device}
본 고안은 이동식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자동차의 화물칸에 전체적인 세탁을 일회의 순환으로 완료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이동성과 접근성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식 세탁장치를 초등학교 교문 주변에 위치시켜 학생들이 운동화, 운동복, 실내화 등을 편리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하며,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가정에 방문하여 세탁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은 가정에서 가정용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하거나 세탁업을 전문으로 하는 세탁점에 맡겨서 세탁한다.
세탁점에 맡겨서 세탁할 경우, 세탁점이 가정에서 먼 거리에 있게 되면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을 들고 먼 거리를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신체가 불편한 지체부자유인이나, 혼자서 사는 독거 노인, 소년 소녀가장 등의 경우에는 청결을 위한 목욕은 물론이고 이불, 의류 등 각종 세탁물을 세탁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힘든 일에 해당한다. 이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타인의 도 움없이는 도저히 세탁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많은 인원이 거주하고 있는 시설에서는 대부분 자원봉사자들은 세탁기가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불 및 의류 등을 수시로 세탁할 수 있으나, 혼자 사는 독거노인이나 중증의 장애인, 소년소녀가장 등의 경우에는 누군가가 그 가정을 방문하여 세탁을 해주지 않는 한 세탁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자원봉사자 등이 가정을 방문하여 세탁을 하더라도 세탁시설이나 세탁기 등 여러 가지 세탁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수작업에만 의존하여야 함으로써 그 효율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등학생들의 경우 체육시간, 방과후 운동 등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운동화와 실내화가 금방 더러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일일이 가정에서 세탁하거나 세탁물이 발생할 때마다 세탁점에 맡기는 것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세탁장치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초등학교 주변에 배치하여 학생들의 등하교 시에 세탁물을 맡아서 신속하게 세탁하고, 운동화 등이 필요한 시점에 언제든지 학생들이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세탁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전체적인 세탁을 일회의 순환으로 완료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성과 접근성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초등학교 교문 주변에 위치시켜 학생들이 운동화, 운동복, 실내화 등을 편리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하며,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가정에 방문하여 세탁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세탁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용수를 저장하는 냉수조; 상기 냉수조로부터 세탁용수를 공급받아 가열함으로써 세탁물을 불리는 온수조; 상기 냉수조로부터 세탁용수를 공급받음으로써 상기 온수조를 통해 불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를 통해 세탁된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를 통해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제1 건조부; 및 상기 온수조와 상기 세탁부와 상기 탈수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저장하는 폐수조가 화물자동차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 내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조와 상기 온수조 사이에는 상기 온수조 및 상기 세탁부에 세탁용수를 공급하는 제1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와 세탁부 및 탈수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폐수 회수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 회수통과 상기 폐수조 사이에는 상기 폐수 회수통에 집적된 폐수를 상기 폐수조로 공급하는 제2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건조부를 통해 건조된 세탁물을 고정시키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이동경로로써 폐곡선을 이루는 트랙부와, 상기 걸이부를 상기 트랙부 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제2 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부는 상기 화물자동차의 천정에 고정되거나,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통해 바닥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물자동차의 화물칸에 전체적인 세탁을 일회의 순환으로 완료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이동성과 접근성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이동식 세탁장치를 초등학교 교문 주변에 위치시켜 학생들이 운동화, 운동복, 실내화 등을 편리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가정에 방문하여 세탁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폐수 회수통을 구비하여 온수조, 세탁부, 탈수부로부터 배출된 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폐수조로 집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폐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폐수조의 상부에 필터를 구비하여 폐수배출에 장애가 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폐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자연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건조할 수 있는 제2 건조부를 구비하여, 착용감이 좋고 부드러운 상태로 세탁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세탁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흐름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세탁장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냉수조(10), 온수조(40), 세탁부(50), 탈수부(60), 폐수 회수통(70), 제1 건조부(80), 제2 건조부(90), 및 폐수조(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 동식 세탁장치는 제1 밸브(20), 제1 펌프(30), 제2 밸브(42), 제3 밸브(52), 제4 밸브(62), 제2 펌프(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화물자동차의 화물적재공간에 장착, 배치됨으로써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고, 필요시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세탁작업의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냉수조(10)는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용수를 저장한다. 냉수조(10)에는 충분한 양의 세탁용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운전석 후방의 넓은 공간에 최대한의 부피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수조(10)는 통상의 상온에 해당하는 수온을 갖는 세탁용수가 저장될 수 있으며, 계절별, 세탁물별로 보다 효율적인 세탁이 수행될 수 있도록 최적의 온도로 가열 또는 보온할 수 있는 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
제1 밸브(20)는 냉수조(10)와 온수조(40) 사이에 위치하여, 냉수조(10)로부터 온수조(40), 세탁부(50)로 공급되는 세탁용수의 유량을 제어한다.
제1 펌프(30)는 냉수조(10)와 온수조(40) 사이에 위치하여, 냉수조(10)에 저장되어 있는 세탁용수를 온수조(40)와 세탁부(50)에 공급한다. 제1 펌프(30)는 속도 가변이 가능한 모터를 장착함으로써 세탁의 진행에 따라 적절한 수압의 세탁용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펌프(30)를 통과한 공급 파이프는 온수조(40)와 세탁부(50) 각각으로 분기되어, 펌핑된 세탁용수가 각 부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온수조(40)는 냉수조(10)로부터 세탁용수를 공급받아 가열함으로써 세탁물을 불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어린이 운동화나 실내화의 경우 땀과 먼지에 의해 찌든때가 끼어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온수조(40)를 통해 적절한 온도에서 불림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온수조(40)에는 수온과 불림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조(40)의 하부에는 폐수 회수통(70)으로 연결되는 파이프가 구비되어, 탁도가 증가하여 불림 용수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하게 된 폐수를 집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온수조(40)의 하부와 폐수 회수통(70) 사이에는 폐수 회수통(70)으로의 연결을 제어(ON, OFF)하는 제2 밸브(42)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부(50)는 냉수조(10)로부터 세탁용수를 공급받음으로써 온수조(40)를 통해 불린 세탁물을 세탁한다. 세탁부(50)에는 세탁 시간, 세탁용수의 양, 세탁 강도, 헹굼 시간, 헹굼 횟수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부(50)에는 제1 펌프(30)를 통해 펌핑된 세탁 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펌프(30)로부터 세탁부(50)로 연결되는 파이프가 구비된다. 세탁부(50)의 하부에는 폐수 회수통(70)으로 연결되는 파이프가 구비되어, 세탁용수로서의 수명이 경과한 폐수를 집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세탁부(50)의 하부와 폐수 회수통(70) 사이에는 폐수 회수통(70)으로의 연결을 제어(ON, OFF)하는 제3 밸브(52)가 구비될 수 있다.
탈수부(60)는 세탁부(50)를 통해 세탁된 세탁물을 탈수한다. 탈수부(60)에는 탈수 시간, 탈수 횟수, 탈수 강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부(60)의 하부에는 폐수 회수통(70)으로 연결되는 파이프가 구비되 어, 탈수 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폐수를 집적할 수 있도록 한다. 탈수부(60)의 하부와 폐수 회수통(70) 사이에는 폐수 회수통(70)으로의 연결을 제어(ON, OFF)하는 제4 밸브(6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4 밸브(62)는 탈수 작업 중에는 OFF되고, 탈수 작업이 완료되면 ON으로 제어되어 탈수로 인해 발생한 폐수를 적절한 시기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폐수 회수통(70)은 온수조(40)와 세탁부(50) 및 탈수부(60)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일시적으로 집적하여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폐수 회수통(70)과 온수조(40), 세탁부(50), 탈수부(60) 사이에는 각각 제2 밸브(42), 제3 밸브(52), 제4 밸브(62)가 구비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폐수 회수통(70)에 회수된 폐수가 일정 수위 이상에 도달하면 제2 펌프(72)를 통하여 폐수 회수통(70) 내부의 폐수를 폐수조(100)로 이동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폐수 회수통(70)과 제2 펌프(72) 사이에는 별도의 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폐수 회수통(70)의 수위가 임계점을 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제1 건조부(80)는 탈수부(60)를 통해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부분이다. 일례로, 제1 건조부(80)는 일반적인 건조기와 같이 가열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건조부(80)에는 건조 시간, 건조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건조부(90)는 제1 건조부(80)를 통해 건조된 세탁물을 2차적으로 건조시킴으로써, 세탁물에 남아 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건조부(90)는 제1 건조부(80)와 달리, 별도의 인위적인 열을 제공하는 대신 자연 상태 에서 건조를 수행한다. 따라서, 건조가 완료된 세탁물을 착용할 때 부드러움과 보송보송함을 제공한다.
제2 건조부(90)는 제1 건조부(80)를 통해 건조된 세탁물을 고정시키는 걸이부(92)와, 걸이부(92)의 이동경로로써 폐곡선을 이루는 트랙부(94)와, 걸이부(92)를 트랙부(94) 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부(미도시), 및 바닥으로부터 트랙부(94)를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96)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건조부(80)를 거친 운동화를 걸이부(92)에 고정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면 동력부 내의 모터 등이 동작하여 걸이부(92)가 트랙부(94) 상으로 회전하면서 운동화를 자연 환경 상태에서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걸이부(92) 마다 모터를 장착하여 걸이부(92)가 회전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트랙부(94) 내에 로프, 체인, 컨베이어 밸트 등을 장착하고 이러한 로프, 체인, 컨베이어 밸트를 구동할 수 있는 전체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풀리 또는 기어를 전체 모터에 연결하여 로프 등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이부(92)는 로프, 체인, 컨베이어 밸트 등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트랙부(94)는 지지부(96) 대신 화물자동차의 천정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트랙부(94)는 천정의 각 모서리 주변으로 배치되어 트랙의 길이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수조(100)는 온수조(40)와 세탁부(50)와 탈수부(60)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폐수조(100)는 제2 펌프(72)에 의해 폐수 회수통(70)으 로부터 펌핑된 폐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폐수조(100)의 상부에는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 내는 필터(102)가 구비된다. 필터(102)는 간단하게는 메쉬 형상의 망으로 형성되어, 폐수의 원활한 배출에 장애가 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터는 화학섬유재질의 멤브레인(membrane) 구조로 형성하여, 콜로이드를 포함한 용액이 내부로 주입되면 멤브레인이 필터 역할을 수행하여 용질은 통과하지 못하고 용매만 통과시키도록 함으로써 폐수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물자동차에 장착한 이동식 세탁장치는 일례로 초등학교 교문 주변에 위치하여 등하교시 또는 체육시간 등을 앞두고 있는 쉬는 시간, 점심 시간 등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운동화, 운동복, 실내화 등을 편리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이동식 세탁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가정에 방문하여 세탁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세탁업과 세탁장비 제조업, 특히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한 세탁장치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세탁장치의 배치도,
도 2는 도 1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수조 20 - 제1 밸브
30 - 제1 펌프 40 - 온수조
50 - 세탁부 60 - 탈수부
70 - 폐수 회수통 80 - 제1 건조부
90 - 제2 건조부 100 - 폐수조

Claims (7)

  1. 운전석 후방에 위치하여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용수를 저장하는 냉수조;
    상기 냉수조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냉수조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세탁용수를 공급받아 가열함으로써 세탁물을 불리는 온수조;
    상기 온수조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냉수조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세탁용수를 공급받음으로써 상기 온수조를 통해 불린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부;
    상기 세탁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세탁부를 통해 세탁된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의 측방에 위치하며, 상기 탈수부를 통해 탈수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제1 건조부;
    상기 온수조와 세탁부 및 탈수부에 각각 파이프로 연결되어 상기 온수조와 세탁부 및 탈수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일시적으로 집적하는 폐수 회수통;
    상기 냉수조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폐수 회수통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상기 폐수 회수통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저장하는 폐수조;
    상기 제1 건조부를 통해 건조된 세탁물을 고정시키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이동경로로써 폐곡선을 이루는 트랙부와, 상기 걸이부를 상기 트랙부 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수조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건조부
    가 화물자동차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 내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와 상기 온수조 사이에는 상기 온수조 및 상기 세탁부에 세탁용수를 공급하는 제1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회수통과 상기 폐수조 사이에는 상기 폐수 회수통에 집적된 폐수를 상기 폐수조로 공급하는 제2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는 상기 화물자동차의 천정에 고정되거나,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대를 통해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탁장치.
KR2020090011093U 2009-08-25 2009-08-25 이동식 세탁장치 KR200458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93U KR200458161Y1 (ko) 2009-08-25 2009-08-25 이동식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93U KR200458161Y1 (ko) 2009-08-25 2009-08-25 이동식 세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15U KR20110002115U (ko) 2011-03-04
KR200458161Y1 true KR200458161Y1 (ko) 2012-01-20

Family

ID=4420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093U KR200458161Y1 (ko) 2009-08-25 2009-08-25 이동식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477B1 (ko) * 2017-01-04 2018-07-02 은희한 신발 세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8102B2 (ja) * 2018-02-22 2022-07-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220151506A (ko) 2021-05-06 2022-11-15 배기선 차량을 이용한 산소수 세탁 장치와 건조기를 갖춘 이동식 빨래터 제공 시스템
KR20230091671A (ko)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대진정공 초소형 이동식 세탁차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870A (ja) * 1992-01-10 1993-07-27 Minawa Soshoku:Kk ランドリー車
JPH092132A (ja) * 1995-06-16 1997-01-07 Minawa Soshoku:Kk ランドリー車
KR20040032396A (ko) * 2002-10-09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의 라인압 제어장치
KR20050004460A (ko) * 2003-07-02 2005-01-12 창림정공(주) 이동 세탁차량
KR200432396Y1 (ko) * 2006-08-31 2006-12-01 창림정공(주) 이동 세탁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870A (ja) * 1992-01-10 1993-07-27 Minawa Soshoku:Kk ランドリー車
JPH092132A (ja) * 1995-06-16 1997-01-07 Minawa Soshoku:Kk ランドリー車
KR20040032396A (ko) * 2002-10-09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의 라인압 제어장치
KR20050004460A (ko) * 2003-07-02 2005-01-12 창림정공(주) 이동 세탁차량
KR200432396Y1 (ko) * 2006-08-31 2006-12-01 창림정공(주) 이동 세탁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477B1 (ko) * 2017-01-04 2018-07-02 은희한 신발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15U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0122B (zh) 衣物处理设备
KR200458161Y1 (ko) 이동식 세탁장치
US20160258107A1 (en) Dryer with air flow management
TWI648450B (zh) 洗衣烘衣機
US9062403B2 (en) Machine for cleaning, washing, drying and ironing clothes and garments
KR2010011822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6259B1 (ko) 의류 세정관리 장치
CN104334789A (zh) 衣物处理机及其控制方法
CN103409960A (zh) 一种面料水洗烘干一体机
CN107475989B (zh) 一种智能洗衣干衣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101243B1 (ko) 의류 건조 및 의류처리 장치
KR20110130091A (ko) 세탁장치
US20080236206A1 (en) Independently operable washing and treating routine clothes washing machine
US9528211B2 (en) Cleaning apparatus
JP2003033597A (ja) 噴射式洗濯方法及び噴射式洗濯方法を使用した全自動洗濯システム
KR1014677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258500B1 (ko) 전해수스팀을 이용하는 세탁기
US20120192596A1 (en) Actuation Mechanism Configured to Exert Mechanical Forces on Laundry Items in a Wash Basin
JP2013094219A (ja) 洗濯乾燥機
JP2021016611A (ja) 衣類洗浄装置
WO2016075162A1 (en) Laundry washing-drying machine and washing-drying cycle
EP4282262A1 (en) System for treating and administering horses
JP2007082783A (ja) 洗濯乾燥機
JP2001314686A (ja) 洗濯機
KR100556808B1 (ko) 응축식 건조장치를 이용한 리프레시 세탁방법 및 리프레시세탁기능을 구비한 응축식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