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259B1 - 의류 세정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세정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259B1
KR102046259B1 KR1020180116125A KR20180116125A KR102046259B1 KR 102046259 B1 KR102046259 B1 KR 102046259B1 KR 1020180116125 A KR1020180116125 A KR 1020180116125A KR 20180116125 A KR20180116125 A KR 20180116125A KR 102046259 B1 KR102046259 B1 KR 102046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othes
steam
lower hous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열
Original Assignee
와이.엘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엘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엘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세정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관리 장치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에 스팀과 열풍건조 및 샤워 세정을 제공하여 의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건조, 살균, 구김방지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송풍 또는 열풍을 선택해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10)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20)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구비된 에어유입구(31)가 형성되고 열풍 및 스팀은 상면의 열풍토출구(32)와 스팀토출구(33)를 통해 배출하고 송풍에어는 일측의 연결토출구(34)로 배출하는 하부하우징(30)과;
상기 에어공급장치(10) 및 스팀공급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41)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포함되어 상기 조작부(41)의 전기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배기팬(42)이 구비된 에어배기구(43)가 형성된 상부하우징(40)과;
상기 상부하우징(40)의 저면에 장착되며, 복수의 옷걸이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의류걸이장치(45)와;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기둥프레임(51)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프레임(51)에 연결하여 내부에 의류수납공간(A)을 형성하며, 어느 일측에 개폐가능한 도어(미 도시)를 갖는 중앙케이스(50)와;
상기 중앙케이스(50)의 내부 양측에는 슬라이드기둥(61)이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지지되게 하고,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연결토출구(34)와 호스(H)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기둥(6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에어토출프레임(70)은, 상기 슬라이드기둥(61)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이송롤러(66)를 연결하는 이송벨트(67)에 연결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66)에 연결된 이송모터(68)의 작동으로 이송벨트(67)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에어토출프레임(70)이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서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는 에어샤워장치(60)를 포함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의류 세정관리 장치{Apparel clean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의류 세정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관리 장치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에 스팀과 열풍건조 및 샤워 세정을 제공하여 의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건조, 살균, 구김방지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세탁 후에는 건조대에 세탁물을 널어 자연 건조시키게 되는데, 상기 자연건조 방식은 대부분 실외의 아파트 베란다나 그늘진 곳에 건조대를 펼쳐 위치시킨 후 의복 등을 걸어 놓은 후 자연 건조시키는 것으로 상기 세탁물의 건조에 외부환경이 많은 영향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장마철의 비가 오는 경우 또는 동절기와 같이 햇빛의 조사량이 적은 경우에는 젖은 세탁물을 건조시키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건조가 된 이후에도 상기 세탁물에서 눅눅한 냄새가 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 건조된 세탁물 중에서 상의 및 하의와 같은 의복은 그 크기에 따른 제한이 있어 의복을 일일이 접어 서랍장 등의 수납공간에 보관하게 되는데, 상기 의복을 착용하기 위해 인출하게 되면 의복에 접혀진 구김이 형성되어 상기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 및 동작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열풍공급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강치가 특허문헌 1과 같이 개시된 바 있는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거나, 재생처리 등의 기능 수행을 위해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으로 열풍이 순환되게 덕트 등이 구비되고, 먼지 및 의류의 보푸라기 등을 제거하는 필터 등을 구비시켜 운전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열풍 또는 송풍이 후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일방향 이동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보관된 의복의 어느 일 면만 열풍 또는 송풍에 의복이 빠르게 건조되고, 다른 타 면은 열풍 또는 송풍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건조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의복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의복의 어느 일 면과 타 면에 대한 건조 및 청소시간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의복의 변형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고, 심한 경우에는 의복을 폐기하고 새로운 의복을 구입해야 하는 금전적 비용이 추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6718호. 의류처리장치 (등록일자 2013년 09월 04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의류 수납공간의 양 측면과 전면을 따라 에어토출프레임이 승,하강 이동하면서 수납된 의류를 에어 샤워시킴으로서 의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함과 아울러 변형을 방지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수납공간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열풍 및 스팀이 이동되게 구성하여 의류의 주름제거 및 탈취와 살균이 이루어져 의류를 관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공기의 유입 및 의류수납공간 내부의 공기배출 시에 이물질의 유입 및 미세먼지의 배출을 방지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여 의류 세정관리 장치의 실내 설치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 편의성향상과 함께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 또는 열풍을 선택해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10)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20)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구비된 에어유입구(31)가 형성되고 열풍 및 스팀은 상면의 열풍토출구(32)와 스팀토출구(33)를 통해 배출하고 송풍에어는 일측의 연결토출구(34)로 배출하는 하부하우징(30)과;
상기 에어공급장치(10) 및 스팀공급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41)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포함되어 상기 조작부(41)의 전기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배기팬(42)이 구비된 에어배기구(43)가 형성된 상부하우징(40)과;
상기 상부하우징(40)의 저면에 장착되며, 복수의 옷걸이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의류걸이장치(45)와;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기둥프레임(51)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프레임(51)에 연결하여 내부에 의류수납공간(A)을 형성하며, 어느 일측에 개폐가능한 도어(미 도시)를 갖는 중앙케이스(50)와;
상기 중앙케이스(50)의 내부 양측에는 슬라이드기둥(61)이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지지되게 하고,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연결토출구(34)와 호스(H)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기둥(6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에어토출프레임(70)은, 상기 슬라이드기둥(61)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이송롤러(66)를 연결하는 이송벨트(67)에 연결시켜, 상기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66)에 연결된 이송모터(68)의 작동으로 이송벨트(67)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에어토출프레임(70)이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서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는 에어샤워장치(60)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에어토출프레임(70)은 의류수납공간(A)의 후방 양측에서 입상 형태로 세워지는 슬라이드기둥(61)에 삽입되게 일단에 기둥삽입홀(7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스(H)와 연결된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통된 송풍이동구(73)를 갖는 한 쌍의 무빙바디(71)와,
의류수납공간(A)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중앙의 전면관(77a) 양측을 절곡시켜 측면관(77b)이 "ㄷ" 형상을 갖고 형성되면서 내측 중앙방향을 향해 에어토출홀(78)이 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되며, 상기 무빙바디(71)의 송풍이동구(73)에 양측 측면관(77b)이 각각 장착되는 송풍토출관(77)을 포함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기둥(61)은 "ㄷ" 형상의 갖는 이송보강판(65)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이송보강판(65)은 상부와 하부에 이송롤러(6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측벽면에 무빙바디(7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S)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재(S)의 전기신호에 따라 조작부(41)가 이송모터(68)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이송보강판(65)의 내측에서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는 무빙바디(71)는 일측에 이송보강판(65)의 내벽면과 접촉되어 승강 또는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날(74)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30)과 상부하우징(40) 및 중앙케이스(50)는 각각 분리가능하고, 상기 중앙케이스(50)는 방수가능한 직물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하부하우징(30)과 상부하우징(40)에 연결된 기둥프레임(51)의 외측 둘레를 감싸면서 어느 일면으로 벨크로파스너, 지퍼, 스냅단추로 구성된 잠금부재를 이용해 개폐 가능한 열림문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 세정관리 장치는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 및 중앙케이스로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의류수납공간에 보관된 의류를 3방향에서 토출되는 에어로 샤워 세정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의류에 묻은 이물질 등을 제거해 세정시킬 수 있다.
또, 의류수납공간의 수직방향으로 에어토출프레임이 승,하강 이동하면서 수납된 의류를 에어 샤워시킴으로서 의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함과 아울러 스팀 및 열풍 에어를 통해 의류의 주름제거와 탈취 및 살균이 이루어져 의류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의 제어에 따라 송풍, 열풍, 스팀 동작 및 시간을 각각 제어하고, 외부공기 및 내부공기의 환기에도 이물질의 유입 및 미세먼지의 배출을 방지하여 의류 세정관리 장치의 실내배치가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의류 세정관리 장치에서 에어샤워 구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인 에어샤워 구조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에어샤워 구조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에어샤워 구조의 요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구성인 송풍토출관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의류 세정관리 장치에서 스팀관리 구조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인 의류 세정관리 장치에서 열풍관리 구조의 개략도.
본 발명인 의류 세정관리 장치는 세정관리 장치 내부에 보관되는 의류에 스팀과 열풍건조 및 샤워 세정을 제공하여 의류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건조, 살균, 구김방지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세정관리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의류 세정관리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크게 송풍 또는 열풍을 선택해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10)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20)가 내장된 하부하우징(30)과, 상기 에어공급장치(10) 및 스팀공급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41)가 구비된 상부하우징(40) 및 복수개의 의류를 걸어 보관하는 중앙케이스(50)와, 보관된 의류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샤워장치(60)로 구분된다.
상기 하부하우징(30)은, 사각 함체 형상을 갖고 내부에 송풍 또는 열풍을 선택해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10)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20)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구비된 에어유입구(31)가 형성되고, 열풍 건조 및 스팀은 상면의 열풍토출구(32)와 스팀토출구(33)를 통해 배출하고 세정에어는 상면 일측의 연결토출구(34)로 배출하게 된다.
또, 상부하우징(40)은, 사각 함체 형상을 갖고 상기 에어공급장치(10) 및 스팀공급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41)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포함되어 상기 조작부(41)의 전기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배기팬(42)이 구비된 에어배기구(43)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하우징(40)의 저면에는 복수의 옷걸이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의류걸이장치(45)가 장착되는데, 상기 의류걸이장치(45)는 상부하우징(40)에 더 구비된 회전모터(미 도시)에 상부축이 연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 사이에는 각각의 모서리에 기둥프레임(51)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프레임(51)의 외면에 연결하여 내부에 의류수납공간(A)을 구비되도록 하는 중앙케이스(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중앙케이스(50)의 어느 일측에는 개폐가능한 도어(미 도시)를 갖도록 하여, 상기 도어를 열어 의류걸이장치(45)에 복수의 옷걸이를 걸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상기 하부하우징(30)과 상부하우징(40) 및 중앙케이스(50)는 각각 분리가능하고, 상기 중앙케이스(50)는 방수가능한 직물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하부하우징(30)과 상부하우징(40)에 연결된 기둥프레임(51)의 외측 둘레를 감싸면서, 어느 일면으로 벨크로파스너, 지퍼, 스냅단추로 구성된 잠금부재를 이용해 개폐 가능한 열림문(미 도시)이 구비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류 세정관리 장치(100)의 에어샤워 작동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에어공급장치(10)는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성으로, 상기 에어공급장치(10)를 이용해 의류 세정관리 장치(100)의 외부 및 중앙케이스(50) 내부에서 공기가 필터부재(F)를 통과하면서 덕트(D)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덕트(D) 내부에는 조작부(41)의 전기신호에 따라 에어샤워장치(60) 또는 열풍토출구(32)로 분기되는 에어의 이동로를 단속하는 밸브(미 도시)와 유입된 에어를 토출시키는 송풍팬(P)이 구비된다.
도 1은 상기 에어공급장치(10)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밸브의 단속에 따라 에어샤워장치(60)로 이동되어 에어토출프레임(70)을 통해 토출되면서 의류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시켜 세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케이스(50)의 도어를 열어 의류걸이장치(45)에 복수개의 의류를 걸어 보관시킨 다음에 조작부(41)의 에어샤워장치(60) 작동신호에 따라 외부공기와 의류수납공간(A)의 에어가 하부하우징(30)의 필터부재(F)가 포함된 에어유입구(31)를 통과하고, 상기 에어는 덕트(D)와 에어샤워용 송풍팬(P)을 통해 연결토출구(34)로 배기된다.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연결토출구(34)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플랙시블한 연질의 호스(H) 일단이 장착되며, 상기 호스(H)의 다른 일단은 중앙케이스(50)의 기둥프레임(51) 또는 일측에서 별도로 입상(立像)형태로 세워진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면서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샤워장치(60)의 에어토출프레임(70)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양측에 연결토출구(34)와 슬라이드기둥(61)이 각각 형성되어, 호스(H)를 통해 양방향에서 에어토출프레임(70)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에어샤워장치(60)는 상기 중앙케이스(50)의 내부 양측에는 슬라이드기둥(61)이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지지되게 하고,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연결토출구(34)와 호스(H)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기둥(6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에어토출프레임(70)은, 상기 슬라이드기둥(61)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이송롤러(66)를 연결하는 이송벨트(67)에 고정 연결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66)에 연결된 이송모터(68)의 작동으로 이송벨트(67)가 이동하게 되면 동시에 에어토출프레임(70)이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서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는 구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토출프레임(70)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크게 의류수납공간(A)의 후방 양측에서 입상 형태로 세워지는 슬라이드기둥(61)에 삽입되는 무빙바디(71)와, 상기 양측 무빙바디(71)에 양단부가 장착되는 송풍토출관(77)으로 구성된다.
상기 무빙바디(71)는 일단에 기둥삽입홀(7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스(H)와 연결된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통된 송풍이동구(7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일측면에 이송벨트(67)가 끼워지는 벨트고정홈(76a)이 형성되고 그 외측에 상기 이송벨트(67)를 고정하는 벨트고정커버(76)가 장착된다.
또, 무빙바디(71)의 기둥삽입홀(72)은 내경면은, 슬라이드기둥(61)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돌기형상을 갖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송풍토출관(77)은, 도 5a와 같이 중앙의 전면관(77a) 양측을 절곡시켜 측면관(77b)이 "ㄷ" 형상을 갖고 형성시켜, 상기 측면관(77b)을 무빙바디(71)의 송풍이동구(73)에 끼워 고정시켜 전체적으로 의류수납공간(A)의 테두리를 따라 송풍토출관(77)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전면관(77a)과 측면관(77b)의 내측 중앙방향 즉, 의류수납공간(A)을 향해 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된 에어토출홀(78)을 통해 에어를 토출하여 상기 의류수납공간(A)에 보관된 의류에 묻은 이물질 등을 세정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송풍토출관(77)은 도 5b와 같이 측면관(77b)이 하부하우징(30)의 양측에 구비된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서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승,하강 이동하는 독립적인 구성을 갖게 함으로서, 상기 양측의 측면관(77b)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수납공간(A)에 보관된 의류에 묻은 이물질 등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흔들어 세정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드기둥(61)은 "ㄷ" 형상의 갖는 이송보강판(65)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이송보강판(65)의 상부와 하부에 이송롤러(6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측벽면에 무빙바디(7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S)가 구비되어 하여, 상기 센서부재(S)의 전기신호에 따라 조작부(41)가 이송모터(68)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즉, 무빙바디(71)는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상기 무빙바디(71)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러(66)와 이송모터(68)는 상기 슬라이드기둥(61)을 외측에서 감싸는 "ㄷ" 형상의 갖는 이송보강판(65)에 장착되게 하고, 상기 이송보강판(65)의 내측면 상,하단에 무빙바디(71)의 이동을 제한하는 센서부재(S)를 장착함으로서, 조립편의성과 작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이송보강판(65)의 내측에서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는 무빙바디(71)의 타측에는 이송보강판(65)의 내벽면과 접촉되어 승강 또는 하강 이동시 무빙바디(7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날(74)이 더 형성되어, 상기 무빙바디(71)가 이송보강판(65)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승,하강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의류 세정관리 장치(100)의 스팀 작동에 대해 도 6을 참조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에어공급장치(10) 및 에어배기구(43)는 차폐장치로 폐쇄된 상태 즉, 의류수납공간(A)이 폐쇄된 상태에서, 스팀공급장치(20)를 구성하는 물탱크(21)의 물을 공급받은 스팀발생기(22)에서 고온의 스팀이 하부하우징(30)의 상면에 구비된 스팀노즐(23)을 통해 의류수납공간(A)으로 분사되게 하여 보관된 의류의 건조, 살균, 구김방지와 탈취 등의 작용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인 의류 세정관리 장치(100)의 열풍 또는 송풍 건조작동에 대해 도 7을 참조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에어공급장치(10) 및 에어배기구(43)는 차폐장치에 의해 개방되게 하여 의류수납공간(A)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여기에서 외부공기는 하부하우징(30)의 필터부재(F)가 포함된 에어유입구(31)를 통과하면서 덕트(D)로 유입되고, 상기 덕트(D) 내부에서 조작부(41)의 전기신호에 따라 건조용 송풍팬(P)을 작동시켜 열풍토출구(32) 방향으로 에어를 이동시키면서 일측에 구비된 히터부재(11)의 작동여부에 따라서 열풍 또는 송풍이 하부하우징(30)의 상면에 구비된 열풍토출구(32)를 통해 의류수납공간(A)으로 토출되어, 보관된 의류의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하부하우징(30)의 상면 일측에는 이온발생장치(15)를 더 구비시켜, 중앙케이스(50)의 도어가 닫혀져 의류수납공간(A)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열풍 또는 송풍 건조작동과 함께 작동되면서 의류수납공간(A)으로 이온을 조사하여 건조과정에서 살균 및 탈취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에어공급장치 11. 히터부재
20. 스팀공급장치 30. 하부하우징
31. 에어유입구 32. 열풍토출구
33. 스팀토출구 34. 연결토출구
40. 상부하우징 41. 조작부
42. 배기팬 43. 에어배기구
50. 중앙케이스 51. 기둥프레임
60. 에어샤워장치 61. 슬라이드기둥
65. 이송보강판 66. 이송롤러
67. 이송벨트 68. 이송모터
70. 에어토출프레임 71. 무빙바디
72. 기둥삽입홀 73. 송풍이동구
74. 가이드날 76. 벨트고정커버
77. 송풍토출관 77a. 전면관
77b. 측면관 78. 에어토출홀
100. 의류 세정관리 장치
A. 의류수납공간 F. 필터부재
D. 덕트 H. 호스
S. 센서부재 P. 송풍팬

Claims (7)

  1. 송풍 또는 열풍을 선택해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10)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20)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구비된 에어유입구(31)가 형성되고 열풍 및 스팀은 상면의 열풍토출구(32)와 스팀토출구(33)를 통해 배출하고 송풍에어는 일측의 연결토출구(34)로 배출하는 하부하우징(30)과;
    상기 에어공급장치(10) 및 스팀공급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41)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포함되어 상기 조작부(41)의 전기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배기팬(42)이 구비된 에어배기구(43)가 형성된 상부하우징(40)과;
    상기 상부하우징(40)의 저면에 장착되며, 복수의 옷걸이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의류걸이장치(45)와;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기둥프레임(51)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프레임(51)에 연결하여 내부에 의류수납공간(A)을 형성하며, 어느 일측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중앙케이스(50)와;
    상기 중앙케이스(50)의 내부 양측에는 슬라이드기둥(61)이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지지되게 하고,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연결토출구(34)와 호스(H)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기둥(6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에어토출프레임(70)은, 상기 슬라이드기둥(61)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이송롤러(66)를 연결하는 이송벨트(67)에 연결시켜, 상기 이송롤러(66)에 연결된 이송모터(68)의 작동으로 이송벨트(67)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에어토출프레임(70)이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서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는 에어샤워장치(60)를 포함해 구성되되;
    상기 에어토출프레임(70)은 의류수납공간(A)의 후방 양측에서 입상 형태로 세워지는 슬라이드기둥(61)에 삽입되게 일단에 기둥삽입홀(7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스(H)와 연결된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통된 송풍이동구(73)를 갖는 한 쌍의 무빙바디(71)와,
    의류수납공간(A)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중앙의 전면관(77a) 양측을 절곡시켜 측면관(77b)이 "ㄷ" 형상을 갖고 형성되면서 내측 중앙방향을 향해 에어토출홀(78)이 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되며, 상기 무빙바디(71)의 송풍이동구(73)에 양측 측면관(77b)이 각각 장착되는 송풍토출관(77)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세정관리 장치.
  2. 송풍 또는 열풍을 선택해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10)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20)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구비된 에어유입구(31)가 형성되고 열풍 및 스팀은 상면의 열풍토출구(32)와 스팀토출구(33)를 통해 배출하고 송풍에어는 일측의 연결토출구(34)로 배출하는 하부하우징(30)과;
    상기 에어공급장치(10) 및 스팀공급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41)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필터부재(F)가 포함되어 상기 조작부(41)의 전기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배기팬(42)이 구비된 에어배기구(43)가 형성된 상부하우징(40)과;
    상기 상부하우징(40)의 저면에 장착되며, 복수의 옷걸이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한 의류걸이장치(45)와;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기둥프레임(51)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프레임(51)에 연결하여 내부에 의류수납공간(A)을 형성하며, 어느 일측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중앙케이스(50)와;
    상기 중앙케이스(50)의 내부 양측에는 슬라이드기둥(61)이 하부하우징(30)의 상면과 상부하우징(40)의 하면에 지지되게 하고, 상기 하부하우징(30)의 연결토출구(34)와 호스(H)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기둥(6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에어토출프레임(70)은, 상기 슬라이드기둥(61)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이송롤러(66)를 연결하는 이송벨트(67)에 연결시켜, 상기 이송롤러(66)에 연결된 이송모터(68)의 작동으로 이송벨트(67)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에어토출프레임(70)이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서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는 에어샤워장치(60)를 포함해 구성되되;
    상기 에어토출프레임(70)은 의류수납공간(A)의 후방 양측에서 입상 형태로 세워지는 슬라이드기둥(61)에 삽입되게 일단에 기둥삽입홀(7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스(H)와 연결된 측면에서 전방으로 연통된 송풍이동구(73)를 갖는 한 쌍의 무빙바디(71)와,
    의류수납공간(A)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측면관(77b)이 돌출 구비되어,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서 측면관(77b)이 포함된 무빙바디(71)가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승,하강 이동하는 독립적인 구성을 갖고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세정관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슬라이드기둥(61)은 "ㄷ" 형상을 갖는 이송보강판(65)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이송보강판(65)은 상부와 하부에 이송롤러(6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측벽면에 무빙바디(7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S)가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재(S)의 전기신호에 따라 조작부(41)가 이송모터(68)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세정관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이송보강판(65)의 내측에서 슬라이드기둥(61)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 이동하는 무빙바디(71)는 일측에 이송보강판(65)의 내벽면과 접촉되어 승강 또는 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날(74)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세정관리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부하우징(30)과 상부하우징(40) 및 중앙케이스(50)는 각각 분리가능하고, 상기 중앙케이스(50)는 방수가능한 직물재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하부하우징(30)과 상부하우징(40)에 연결된 기둥프레임(51)의 외측 둘레를 감싸면서 어느 일면으로 벨크로파스너, 지퍼, 스냅단추로 구성된 잠금부재를 이용해 개폐 가능한 열림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세정관리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부하우징(30)의 상면에는 중앙케이스(50)의 도어가 닫혀져 의류수납공간(A)이 폐쇄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의류수납공간(A)으로 이온을 조사해 살균 및 탈취 작용하는 이온발생장치(1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세정관리 장치.





  7. 삭제
KR1020180116125A 2018-09-28 2018-09-28 의류 세정관리 장치 KR102046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25A KR102046259B1 (ko) 2018-09-28 2018-09-28 의류 세정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25A KR102046259B1 (ko) 2018-09-28 2018-09-28 의류 세정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259B1 true KR102046259B1 (ko) 2019-12-04

Family

ID=6900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25A KR102046259B1 (ko) 2018-09-28 2018-09-28 의류 세정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25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787A (ko) 2020-10-06 2020-11-25 주식회사 디알텍 의류 관리기의 송풍 유닛 검사 방법
KR102216055B1 (ko) * 2020-11-20 2021-02-15 윤상근 옷장용 의류 제균 관리기
WO2021035455A1 (zh) * 2019-08-26 2021-03-04 山东英才学院 一种用于儿童衣物的压力蒸汽灭菌器
WO2021152546A1 (en) * 2020-01-30 2021-08-05 Philip Morris Products S.A. Storage container with filtration system
KR20210153344A (ko) * 2020-06-10 2021-12-17 이문섭 가열 급배기 및 광 살균 방식을 이용한 에어샤워 시스템
CN114737379A (zh) * 2022-04-28 2022-07-12 丁悄杰 一种服装生产用服装吊挂清洁系统
EP4206391A1 (en) *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499A (ko) * 2007-05-31 2008-12-04 김학열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110099914A (ko) * 2010-03-03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8655B1 (ko) * 2011-03-24 2011-09-28 주식회사 토황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KR101306718B1 (ko) 2007-08-0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499A (ko) * 2007-05-31 2008-12-04 김학열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1306718B1 (ko) 2007-08-0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10099914A (ko) * 2010-03-03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8655B1 (ko) * 2011-03-24 2011-09-28 주식회사 토황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5455A1 (zh) * 2019-08-26 2021-03-04 山东英才学院 一种用于儿童衣物的压力蒸汽灭菌器
CN112888462A (zh) * 2019-08-26 2021-06-01 山东英才学院 一种用于儿童衣物的压力蒸汽灭菌器
WO2021152546A1 (en) * 2020-01-30 2021-08-05 Philip Morris Products S.A. Storage container with filtration system
KR20210153344A (ko) * 2020-06-10 2021-12-17 이문섭 가열 급배기 및 광 살균 방식을 이용한 에어샤워 시스템
KR102383613B1 (ko) * 2020-06-10 2022-04-06 이문섭 가열 급배기 및 광 살균 방식을 이용한 에어샤워 시스템
KR20200132787A (ko) 2020-10-06 2020-11-25 주식회사 디알텍 의류 관리기의 송풍 유닛 검사 방법
KR102216055B1 (ko) * 2020-11-20 2021-02-15 윤상근 옷장용 의류 제균 관리기
EP4206391A1 (en) * 2022-01-04 2023-07-05 LG Electronics, Inc. Hanger device
CN114737379A (zh) * 2022-04-28 2022-07-12 丁悄杰 一种服装生产用服装吊挂清洁系统
CN114737379B (zh) * 2022-04-28 2024-05-07 广州希利服饰有限公司 一种服装生产用服装吊挂清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259B1 (ko) 의류 세정관리 장치
KR101954032B1 (ko) 의류 세정관리 장치
KR101647614B1 (ko) 의복 및 외투들의 세척, 세탁, 건조 및 다림질을 위한 세탁기
US7497188B2 (en) Pet bathing apparatus
KR100873142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US1077446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eparate container
US6922913B2 (en) Volatilizable media holder for a laundry dryer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US887541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with planar window element and projection
KR2009010512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016093A (ko) 의류 처리 장치
ITBS20110038A1 (it) Sistema per il lavaggio di indumenti in installazioni idrauliche come docce, vasca-doccia combinate e simili
CN110325680A (zh) 干燥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KR102101243B1 (ko) 의류 건조 및 의류처리 장치
KR101708693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시스템
KR20070088012A (ko) 의류 청결 장치
KR20090105124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3619203B2 (ja) 乾燥装置
JP2000233099A (ja) 衣類等収納乾燥装置
KR101595511B1 (ko) 가변형 건조 살균기
KR101708694B1 (ko) 의류 처리 장치
JPH1130479A (ja) 乾燥機能付収納箱
KR20190035394A (ko) 복수의 외기 유입부를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259459B1 (ko) 먼지제거 옷장
KR100510639B1 (ko) 의류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