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820Y1 -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820Y1
KR200457820Y1 KR2020090016229U KR20090016229U KR200457820Y1 KR 200457820 Y1 KR200457820 Y1 KR 200457820Y1 KR 2020090016229 U KR2020090016229 U KR 2020090016229U KR 20090016229 U KR20090016229 U KR 20090016229U KR 200457820 Y1 KR200457820 Y1 KR 200457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alve
parking brake
truck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946U (ko
Inventor
변정부
Original Assignee
변정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정부 filed Critical 변정부
Priority to KR2020090016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82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8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4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mainly during accelerating 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0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fluid-controlled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20Switches, e.g. mercury or ball type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도 주차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비탈길등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전원으로 작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작동에 의해 주차시 에어탱크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배치된 방향전환밸브와;
상기 릴레이밸브 제 1포트에 배치되어 상기 방향전환밸브와 트럭의 주 브레이크 라인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방향전환밸브와 차량의 키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차 키에 의해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방향전환밸브의 에어를 배출시킨 뒤,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방향전환밸브에 전달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배치된 타이머로 이루어진 주차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도 주차브레이크를 구비함으로서, 비탈길등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 이점이 있다.
Figure R2020090016229
보조 서스펜션 장치, 주차브레이크

Description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THE PARKING BRAKE OF A TRUCK ASSISTANCE SUSPENSION EQUIPMENT}
본 고안은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시 트럭의 메인 주차브레이크를 사용함과 동시에 간단한 스위치 작동만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해 2009년 07월 21일자로 선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0009478호에 대한 우선권주장 출원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의 적재하중을 분배하도록 후륜과 나란히 배치되는 보조 서스펜션 장치(AW)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20-2005-0017281호로 출원되어 2006년 02월 24일자로 기술평가결정된 "트럭의 적재하중 분배용 보조 서스펜션 장치"가 그 대표적인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b과 도 1c를 참조하면, 종래 보조 서스펜션 장치(AW)는 릴레이밸 브(RV)(일명 "R12밸브")와 브레이크 챔버(BC)와 회동핸들(RH)과 브레이크 슈우(BS)와 브레이크 드럼(BD)과 캠(CM)이 마련된 차축(CS)을 포함한다.
릴레이밸브(RV)는 트럭(미도시)의 프레임 장착할 수 있도록 일측에 장착브래킷(BK)이 배치되고, 도시한 방향 상측으로 트럭의 브레이크 라인(BL)과 연결되는 제 1포트(PT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 1포트(PT1)의 일측에는 에어탱크(AT)와 연결되는 제 2포트(PT2)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한 제 2포트(PT2)의 직각방향으로 후술하는 브레이크 챔버(BC)와 연결되는 제 3포트(PT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3포트(PT2)(PT3)는 후술하는 릴레이밸브(RV)의 작용에 의해 유로(미도시)가 개방되기도 하고, 폐쇄되기도 한다.
한편, 이 릴레이밸브(RV)의 하측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4포트(PT4)가 마련되어, 브레이크 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챔버(BC)에 공급되었던 에어가 빠져 나가도록 하였다.
릴레이밸브(RV)의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이 주행중 정지할 경우,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미도시)를 밟게됨으로서, 브레이크 라인(BL)의 에어는 제 1포트(PT1)를 통해 릴레이밸브(RV)의 다이아프램(미도시)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제 2포트(PT2)와 제 3포트(PT3)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연결시킴으로서, 에어탱크(AT)의 에어가 제 2, 3포트(PT2)(PT3)를 통해 후술하는 브레이크 챔버(BC)를 작동시킨다.
그러다가, 운전자가 주행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에서 발을 떼면, 릴레이밸브(RV)의 다이아프램(미도시)은 상측으로 이동하며, 유로가 개방되었던, 제 2, 3포트(PT2)(PT3)는 유로가 폐쇄되고, 브레이크 챔버(BC)를 동작시켰던 에어는 제 4포트(PT4)를 통해 빠져 나가며 제동이 풀리는 것이다.
한편, 보조 서스펜션 장치(AW)에는 브레이크 챔버(BC)가 배치되어 있다.
도 1b와 도 1c를 참조하면, 브레이크 챔버(BC)는 외부로 돌출된 로드(RD)의 일단과 결합된 다이아프램(미도시)이 내부에 마련되고, 이 다이아프램(미도시)의 일측에 스프링(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한 제 3포트(PT3)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는 도시하지 않은 다이아프램을 일측으로 밀어서 로드(RD)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이 로드(RD)의 단부와 힌지결합된 회동핸들(RH)을 회동시킨다.
이 회동핸들(RH)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CM)과 축결합된 캠 샤프트(MS)와 축결합되어 연동한다.
캠(CM)은 브레이크 드럼(BD) 내부에 대칭형으로 배치된 브레이크 슈우(BS)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다.
이 브레이크 슈우(BS)는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한 캠(CM)과 구름접촉할 수 있도록 롤러(RR)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술한 브레이크 챔버(BC)의 작동에 의해 회동핸들(RH)이 회동하고, 이 회동핸들(RH)과 축결합된 캠 샤프트(MS)와 캠(CM)의 회동에 의해 브레이크 슈우(BS)가 벌어지면 상기한 브레이크 드럼(BD)의 내벽에 마찰을 일으켜 제동이 걸리 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AW)는 브레이크 챔버(BC)가 싱글챔버이기 때문에 주행중 브레이크를 잡을 수는 있지만, 주차시에는 전적으로 에어가 차단됨으로서 브레이크가 잡히는 더블챔버(미도시)가 마련된 후륜축(TW)에만 주차브레이크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화물의 중량에 따라 지면에 닿아 있는 보조 서스펜션 장치(AW)의 에어스프링(AS)이 팽창되어 타이어(TI)가 노면에 대한 지지력이 크게 작용하면, 오히려 주차 브레이크가 걸려 있는 후륜바퀴가 노면과 이격되며 들어 올려짐으로서, 트럭(TR)이 비탈길에서 굴러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럭의 주차중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도 제동이 걸려 있도록 하여 비탈길등에서 구르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릴레이밸브를 통한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브레이크 챔버와, 상기 브레이크 챔버의 전, 후진 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핸들과, 상기 회동핸들의 회동에 따라 브레이크 슈우가 브레이크 드럼과 면접하며 제동이 걸리도록 회동하는 캠으로 이루어진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조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전원으로 작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작동에 의해 주차시 에어탱크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배치된 방향전환밸브와;
상기 릴레이밸브의 제 1포트에 배치되어 상기 방향전환밸브와 트럭의 주 브레이크 라인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방향전환밸브와 차량의 키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차 키에 의해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방향전환밸브의 에어를 배출시킨 뒤, 소정 시간 경 과 후, 상기 방향전환밸브에 전달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배치된 타이머로 이루어진 주차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트럭의 주차중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도 제동이 걸려 있도록 하여 비탈길등에서 구르는 안전사고를 예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 서스펜션 장치의 주차브레이크는 소망하는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어의 소모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이점에 의해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를 얻은 효과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AW)는 스위치(100)와 방향전환밸브(200)와 체크밸브(300)와 타이머(400)로 이루어진 주차 브레이크(10)를 포함한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100)는 손가락으로 직선적인 상하동작 또는 좌우의 왕복 동작을 함으로써 ON, OFF 동작을 하는 레버를 가진 스위치로서, 스위치 레버에서 손을 떼면 레버가 튀어 되돌아오는 자동 복귀 스위치이되, 전기적인 명령은 시행되면서, 스위치의 레버는 자동복귀되는 토글스위치(Toggle Switch)이다.
이와 같은, 스위치(100)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에어탱크(AT)와 유로가 연결된 방향전환밸브(200)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한다.
방향전환밸브(200)는 전기자석밸브의 일종인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서, 그 작용을 살펴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코어로 구성된 솔레노이드 코일(밸브 상단의 전기 인가부분 뭉치)에 전기를 통전시키면 코일에 끼워져 있던 봉부분의 내부가 전자석으로 바뀌게 되고 이로 인해 밸브의 유로(AR)부분을 막고 있던 프론져(코일 중심봉안에 들어있는 쇠봉)가 자력으로 인해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막혀 있던 유로(AR)부분이 개방되며 후술하는 트럭의 주차 브레이크(10)를 작동시키는 에어가 에어탱크(AT)로 부터 공급된다.
이와 같이, 방향전환밸브(200)를 거친 에어는 체크밸브(300)를 통과한다.
체크밸브(300)는 밸브 특성상 한방향으로만, 에어가 통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정상적으로 운행할 때에는 전방측으로 도시한 일측은 기존의 브레이크 라인(BL)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전환밸브(200)의 유로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한 방향전환밸브(200)는 타이머(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타이머(400)는 상술한 방향전환밸브(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러단자중 한 라인은 트럭의 키 박스(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주차중 걸려있었던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결국, 타이머(400)는 상술한 주차 브레이크(10)의 제동과는 무관하고, 주행을 위해 상기한 주차 브레이크(10)의 제동을 해제할 때 사용하며, 소망하는 시간, 즉, 2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상기한 방향전환밸브(200)가 전기 과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주행중 브레이크를 거는 작용을 설명한다.
정상적으로 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주행중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을 밟았을 때, 브레이크 라인(BL)에서 전달되는 에어는 체크밸브(300)의 일측으로 통과하며, 릴레이밸브(RV)의 내부에 마련된 다이아프램(미도시)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다이아프램(미도시)의 이동에 의해 제 2, 3포트(PT2)(PT3)가 연결되며, 이 연결된 제 2, 3포트(PT2)(PT3)를 통해 에어 탱크(AT)의 에어가 보조 서스펜션(AW)의 브레이크 챔버(BC)를 작동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핸들(RH)과 연계된 구성들을 작동시켜,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한다.
반대로 주행을 위해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에서 발을 떼면, 하측으로 이동했던 릴레이밸브(RV)의 다이아프램(미도시)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제 4포트(PT4)를 개방하여 브레이크 챔버(BC)를 작동했던 에어를 배출한다.
다음으로, 주차시 주차브레이크가 걸리는 작용을 설명한다.(기존 트럭의 서스펜션 장치(미도시)에는 더블챔버가 배치되기 때문에 운전실에서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면, 제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기존 트럭의 서스펜션에 브레이크가 걸린 상태에서 시동을 끄고, 스위치(100)를 작동한다.
비록 시동을 끈 상태이지만, 스위치(100)는 배터리 전원(BT)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방향전환밸브(200)의 유로(YW)를 개방시켜서 체크밸브(300)의 타측으로 에어탱크(AT)의 에어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300)에 공급된 에어는 릴레이밸브(300) 내에 마련된 다 이아프램(미도시)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 2, 3포트(PT2)(PT3)를 일치시키면, 제 2포트(PT2)로 에어 탱크(AT)의 에어가 인입되며, 제 3포트(PT3)를 통해 브레이크 챔버(BC)의 로드(RD)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로드(RD)와 힌지결합된 회동장치(RH)의 회동에 의해 보조 서스펜션 장치(CS)에 브레이크가 걸리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 상황으로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100)를 작동하면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며, 이 브레이크를 풀기 위해서는 시동을 다시 걸어주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주행중 보조 서스펜션(AW)에 주차 브레이크(10)를 사용할 일은 거의 없으므로, 이와 같이, 주행중 주차 브레이크(10)를 사용할 경우는 그야 말로 비상시에만 사용하면 된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10)의 해제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 키를 돌려 시동을 건다.
이 시동 키 동작으로 발생한 전기가 타이머(400)를 통해 방향전환밸브(200)에 전달되면, 방향전환밸브(200)는 개방된 유로를 폐쇄하며, 에어 공급을 차단함과 동시에 방향전환밸브(200)의 타측포트(미도시)를 통해 체크밸브(300)를 통해 릴레이밸브(RV)의 다이아프렘(미도시)을 하측으로 이동시켰던 에어가 배출("P"표시부위)된다.
그리고, 릴레이밸브(RV)에서는 제 4포트(PT4)로 브레이크 챔버(BC)를 작동하 던 에어가 빠져 나감으로서, 보조 서스펜션 장치(AW)의 제동이 해제된다.
이 때, 키 박스 전원과 배터리전원과 연결된 타이머(400)는 설정된 시간(예:1~2초) 내에 상기한 방향전환밸브(200)에 전달되던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으로서, 상기한 방향전환밸브(200)의 전기적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럭 보조 서스펜션 장치(AW)의 주차 브레이크(10)에 의해 트럭의 주차중 보조 서스펜션 장치(AW)에도 제동이 걸려 있도록 하여 비탈길등에서 트럭이 구르면서 생기는 대형 안전사고를 예방하였다.
나아가, 상기한 타이머(400)에 의해 아주 짧은 시간내에 방향전환밸브(200)에 전달되는 전기를 차단함으로서, 방향전환밸브(200)의 전기적 과부하를 예방하여 수명을 연장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보조 서스펜션 장치가 설치된 트럭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b과 도 1c는 종래 보조 서스펜션 장치의 브레이크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브레이크가 배치된 보조 서스펜션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Claims (2)

  1. 릴레이밸브를 통한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브레이크 챔버와, 상기 브레이크 챔버의 전, 후진 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핸들과, 상기 회동핸들의 회동에 따라 브레이크 슈우가 브레이크 드럼과 면접하며 제동이 걸리도록 회동하는 캠으로 이루어진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전원으로 작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작동에 의해 주차시 에어탱크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배치된 방향전환밸브와;
    상기 릴레이밸브의 제 1포트에 배치되어 상기 방향전환밸브와 트럭의 주 브레이크 라인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치된 체크밸브와;
    상기 방향전환밸브와 차량의 키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차 키에 의해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방향전환밸브의 에어를 배출시킨 뒤,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방향전환밸브에 전달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배치된 타이머로 이루어진 주차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토글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KR2020090016229U 2009-07-21 2009-12-14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KR200457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229U KR200457820Y1 (ko) 2009-07-21 2009-12-14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487 2009-07-21
KR2020090016229U KR200457820Y1 (ko) 2009-07-21 2009-12-14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46U KR20110000946U (ko) 2011-01-27
KR200457820Y1 true KR200457820Y1 (ko) 2012-01-05

Family

ID=4420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229U KR200457820Y1 (ko) 2009-07-21 2009-12-14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8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235A (ko) 2019-01-02 2020-07-10 토신인터내쇼날 주식회사 트럭의 보조바퀴 승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271U (ko) * 1995-04-25 1996-11-19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9980047684A (ko) * 1996-12-16 1998-09-15 김영석 주행중 비상상황 발생시 제동력을 향상시킨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271U (ko) * 1995-04-25 1996-11-19 주차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9980047684A (ko) * 1996-12-16 1998-09-15 김영석 주행중 비상상황 발생시 제동력을 향상시킨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46U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03958A (ja) 車両用ブレーキ系
JP4784328B2 (ja) 自動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の制御装置
KR200457820Y1 (ko) 주차 브레이크를 갖춘 트럭의 보조 서스펜션 장치
EP3162645B1 (en) Brake system and brake control method
JP5101661B2 (ja) 保守用トロッコ
CN104859601A (zh) 辅助刹车装置
JP5377439B2 (ja) 保守用トロッコ
JPS63121556A (ja) 小形車両の駐車ブレ−キ装置
KR200450775Y1 (ko) 차량의 자동 브레이크 시스템
JP3826259B2 (ja) 産業車両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6897548B2 (ja) 車両の制動装置
JP3138131B2 (ja) スプリング・ブレーキ装置
JPS643059Y2 (ko)
US8226173B1 (en) Supplemental brake system
JP3019980B2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H0121097Y2 (ko)
JPH0315416Y2 (ko)
KR910004821Y1 (ko) 자동차 주차용 제동장치
JP3888610B2 (ja) リフトトラックの制動装置
JP3024271U (ja) 補助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502974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 겸용을 위한 주제동브레이크와주차브레이크의 겸용장치
KR200284895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JP2508650Y2 (ja) 産業車両の駐車ブレ―キ
KR0150580B1 (ko) 차량의 급브레이크 방지장치
RU2213672C2 (ru) Стояночная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