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993Y1 - 이동식 크레인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993Y1
KR200454993Y1 KR2020080012568U KR20080012568U KR200454993Y1 KR 200454993 Y1 KR200454993 Y1 KR 200454993Y1 KR 2020080012568 U KR2020080012568 U KR 2020080012568U KR 20080012568 U KR20080012568 U KR 20080012568U KR 200454993 Y1 KR200454993 Y1 KR 200454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ail
plate
fram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344U (ko
Inventor
유명철
Original Assignee
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철 filed Critical 유명철
Priority to KR2020080012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99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3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9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5Straddle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 이동식 크레인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휠을 장착할 수 있는 휠연결부를 갖춘 수직프레임과, 상기 휠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로 이루어진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휠은 중심부가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레일홈을 형성하여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레일용휠과, 림과 타이어로 이루어져 평지를 주행하도록 상기 레일용휠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타이어휠로 구성된 것이고, 평지와 레일에 적용되는 주행수단을 동시에 장착하여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레일에서는 레인용휠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이 형성되지 않은 노면에서는 타이어휠에 의해 구동되어 광범위한 지형조건에 주행 가능토록 하며, 휠을 크레인에 연결할 때,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을 형성하여 평지뿐 아니라 굴곡진 경사면에서도 휠이 경사면에 따라 경사지도록 하여 노면과 휠이 뜨지 않고 접하여 주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레일용휠, 타이어휠, 고정프레임, 회전프레임, 고정봉, 베어링하우징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movable crane}
본 고안은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지와 레일에 적용되는 주행수단을 동시에 장착하여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레일에서는 레인용휠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이 형성되지 않은 노면에서는 타이어휠에 의해 구동되어 광범위한 지형조건에 크레인의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휠을 크레인에 연결할 때,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을 형성하여 평지뿐 아니라 굴곡진 경사면에서도 휠이 경사면에 따라 경사지도록 하여 노면과 휠이 뜨지 않고 접하여 주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이동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하물을 들어올려서 상하·좌우·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기중기라고도 한다. 크레인은 기계장치 중에서도 가장 먼저 고안된 것으로, 약 5,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를 만들 당시에 중량물 운반용으로 사용되었다. 처음에는 인력 또는 축력이 사용되었으나 나중에는 수력이 사용되었고, 19세기 중엽부터는 증기기관의 발달과 더불어 증기동력이 사용되어 모빌 크레인도 나타났으며, 19세기 말경부터 전력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중량물 운반용 크레인이 급속히 발달하여 오늘날과 같은 여러 종류의 근대적인 크레인이 되었다.
특히, 버켓 크레인의 경우 지하철 공사 현장이나 건물 지하 건설을 위해 지하의 흙을 퍼 올리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지상에 고정되거나 이동되는 대형 크레인에 와이어가 권취된 와이어드럼을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버켓을 결속시킴으로서,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의해 버켓이 수직으로 승강 및 하강하면서 지하의 흙을 지상으로 퍼 올리고, 자재를 지하로 투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 구조는 작업 안정성을 위해 바닥면에 고정된 크레인이 주를 이루었지만, 종래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휠을 장착할 수 있는 휠연결부를 갖춘 수직프레임과, 상기 휠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로 이루어져, 크레인 자체가 휠에 의해 주행가능한 크레인이 제공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크레인을 주행시키기 위한 장치로는 크게 타이어를 이용한 방식과 레일을 이용한 방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주행수단에 있어 타이어휠을 이용한 방식은 통상 자동차와 같은 일반차량에 널리 이용되고 있어 포장된 도로, 노면에 주행하기 적합하고, 레일을 이용할 경우에는 레일용 휠이 크레인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용 휠이 주행할 수 있도록 바닥에 레일이 설치되어 있어 레일을 따라 크레인이 이동함으로써 구동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의 경우, 타이어휠을 장착하여 구동되는 크레인을 조작함에 있어, 포장된 도로나 평지에서는 주행의 안정성과 고속주행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는 정비상태가 양호한 일반 도로에 서나 발휘되는 기능일 뿐, 굴곡진 건설현장 및 험준한 경사면에서는 그 주행기능이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채, 주행성능이 떨어지고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일용 휠을 장착하여 구동되는 크레인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주행성능을 발휘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노면 상태에 상관없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지만, 레일용 휠이 주행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반드시 레일이 설치되어야만 주행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주행범위의 한계가 있어 원하는 위치에 크레인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레인을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설치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평지와 레일에 적용되는 주행수단을 동시에 장착하여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레일에서는 레인용휠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이 형성되지 않은 노면에서는 타이어휠에 의해 구동되어 광범위한 지형조건에 주행 가능토록 하며, 휠을 크레인에 연결할 때,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을 형성하여 평지뿐 아니라 굴곡진 경사면에서도 휠이 경사면에 따라 경사지도록 하여 노면과 휠이 뜨지 않고 접하여 주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휠을 장착할 수 있는 휠연결부를 갖춘 수직프레임과, 상기 휠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로 이루어진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휠은 중심부가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레일홈을 형성하여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레일용휠과, 림과 타이어로 이루어져 평지를 주행하도록 상기 레일용휠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타이어휠로 구성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휠연결부는 수직프레임 하단에 연결되는 상단플레이트와, 고정구가 천공되어 상기 상단플레이트의 양측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 전체적으로 'ㄷ'자 형을 갖고, 상기 고정구와 대응하는 연결구가 천공되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한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지지판 하단에 연결되는 조립판으로 구성되고, 고정구와 연결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판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고정구와 연결구에 끼워져 회전프레임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원주형상의 고정봉, 상기 회전프레임의 조립판에 연결되고, 베어링을 내장하여 상기 휠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하우징으로 구성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외측면에는 연결구와 대응하는 끼움공이 천공된 중간판이 부착되어 고정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이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구성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한다.
본 고안 이동식 크레인에 따르면, 평지와 레일에 적용되는 주행수단을 동시에 장착하여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레일에서는 레인용휠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이 형성되지 않은 노면에서는 타이어휠에 의해 구동되어 광범위한 지형조건에 주행 가능토록 하며, 휠을 크레인에 연결할 때,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을 형성하여 평지뿐 아니라 굴곡진 경사면에서도 휠이 경사면에 따라 경사지도록 하여 노면과 휠이 뜨지 않고 접하여 주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 이동식 크레인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이동식 크레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고정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회전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봉의 사시도이며, 도 7은 휠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a 내지 9b는 노면 경사에 따른 휠연결부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 이동식 크레인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 이동식 크레인(1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100)과, 상기 수평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에 하방으로 수직하여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휠(400)을 장착할 수 있는 휠연결부(300)를 갖춘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휠연결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400)로 이루어진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휠(400)은 중심부가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레일홈(411)을 형성하여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레일용휠(410)과, 림(421)과 타이어(422)로 이루어져 평지를 주행하도록 상기 레일용휠(410)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타이어휠(420)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휠(400)은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휠연결부(3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으로, 레일용휠(410)과 그 양측에 타이어휠(420)을 장착하여 크레인을 수동 및 구동하여 주행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레일용휠(410)은 중심부가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레일홈(411)을 형성하여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레일(rail)은 차량을 운전할 때 직접 차륜을 지지하여 차륜의 주행저항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긴 강재로 서, 단면의 모양·크기·재질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보통 레일은 I형 단면이며 차량을 일정한 장소로 안전하게 유도한다. 크레인이 상기 레일에 운행되기 위해서는 레일용휠(41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일용휠(410)은 레일에 따라 여러 형태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레일을 감싸 레일을 따라 안내되도록 중심부가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레일홈(411)을 형성하게 된다.
타이어휠(420)은 림(421)과 타이어(422)로 이루어져 도로와 같은 평지를 주행하도록 구성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용휠(410)의 양측에 고정되고, 이 경우 타이어휠(420)의 직경이 레일용휠(4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레일용휠(410)과 타이어휠(420)을 연결하였을 때, 타이어휠(420)이 레일용휠(410)보다 돌출되어 도로주행시 타이어휠(420)만 지면에 닿아 이동하고, 레일용휠(410)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 레일용휠(410)과 타이어휠(420)의 연결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레일용휠(410)과, 타이어휠(420)의 림(421) 양측에 각각 서로 대응하는 다수의 볼트구멍(H)을 형성하고, 이를 볼트(B)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레일용휠(410)의 양측면은 림(421)의 요입된 내경에 대응하는 돌출부(412)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412)에 볼트구멍(H)이 형성되고, 레일용휠(410)의 돌출부(412)가 림(421)의 내경에 안착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휠연결부(300)는 수직프레임(200) 하단에 연결되는 상단플레이트(311)와, 고정구(313)가 천공되어 상기 상단플레이트(311)의 양측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판(312)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310), 전체적으로 'ㄷ' 자 형을 갖고, 상기 고정구(313)와 대응하는 연결구(323)가 천공되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한쌍의 지지판(322)과, 상기 지지판(322)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판(321)과, 상기 지지판(322) 하단에 연결되는 조립판(324)으로 구성되고, 고정구(313)와 연결구(323)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판(312)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프레임(320), 상기 고정구(313)와 연결구(323)에 끼워져 회전프레임(320)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원주형상의 고정봉(330), 상기 회전프레임(320)의 조립판(324)에 연결되고, 베어링(341)을 내장하여 상기 휠(40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하우징(340)으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휠(400)을 수직프레임(200)에 장착하는 방법은 일체로 고정하는 방법과 탈착이 가능하게 볼트(B)로 조립하는 경우가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휠연결부(30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연결부(300)는 휠(400)이 수직프레임(20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고정프레임(310), 회전프레임(320), 고정봉(330), 베어링하우징(340)으로 이루어져,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을 형성하여 평지뿐 아니라 굴곡진 경사면에서도 휠(400)이 경사면에 따라 경사지도록 함에 따라 노면과 휠(400)이 뜨지 않고 접하여 주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고정프레임(310)은 상기 수직프레임(200) 하단에 연결되는 상단플레이트(311)와, 고정구(313)가 천공되어 상기 상단플레이트(311)의 양측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판(312)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단플레이트(311)는 다 수의 볼트구멍(H)의 천공하여 수직프레임(200)과 볼트(B)체결되고, 그 하단에는 양측에 한 쌍의 고정판(312)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고 수직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312)에는 소정의 크기로 원형의 고정구(313)가 천공된다. 상기 고정판(312)과 상단플레이트(311)는 구성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일개 이상의 보강판(315)을 고정판(312)과 상단플레이트(311)에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용접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회전프레임(32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을 갖고, 상기 고정구(313)와 대응하는 원형의 연결구(323)가 천공되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한쌍의 지지판(322)과, 상기 지지판(322)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판(321)과, 상기 지지판(322) 하단에 연결되는 조립판(324)으로 구성되고, 고정구(313)와 연결구(323)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판(312) 사이에 형성된다.
지지판(322)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을 갖으며,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322)에는 고정구(313)와 대응하는 연결구(323)를 천공하여 이루어지며,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각 상단이 연결판(321)에 의해 고정된다. 연결판(321)은 상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지판(322)의 양측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지지판(322) 사이 거리를 유지하면서 회전프레임(32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판(322)의 하단에는 베어링하우징(340)에 연결되는 조립판(324)이 장착되고, 상기 조립판(324)에는 다수의 볼트구멍(H)을 형성하여 베어링하우징(340)과 볼트(B)결합된다.
고정봉(330)은 원주형상으로 이는 회전프레임(32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고정구(313)와 연결구(323)에 끼워져 회전프레임(320)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수직프레임(200)의 하단에 고정프레임(310)이 고정되고, 고정프레임(310)의 고정판(312) 사이에 고정구(313)와 연결구(323)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프레임(320)을 끼우고, 고정구(313)와 연결구(323)에 상기 고정봉(330)을 끼워 회전프레임(320)이 좌우로 회전가능토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312)의 외측 하단에는 걸림판(314)을 고정하고, 상기 걸림판(314)에 대응하는 걸림홈(331)을 고정봉(330)에 요입형성하여 상기 걸림판(314) 걸림홈(331)에 끼워져 고정봉(330)이 고정프레임(310)과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이는 고정봉(330)을 끼우고, 걸림홈(331)에 대응하는 걸림판(314)의 고정판(312)의 외측에 부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하우징(340)은 상기 회전프레임(320)의 조립판(324)에 연결되고, 타이어휠(420)의 림(421)과 연결되는 베어링(341)을 내장하여 상기 휠(40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베어링(341)은 타이어휠(420)의 림(421)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휠(4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어링(341)이 내장된 베어링하우징(340)은 상기 회전프레임(320)의 하단에 구비된 조립판(324)에 볼트(B)로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프레임(320)이 고정봉(330)의 지지에 의해 좌우로 회전할 경우, 베어링하우징(340) 및 이에 연결된 휠(400)이 동시에 좌우로 회전하여 노면의 경사 및 굴곡에 따라 휠(400)의 경사가 조절되어 탄력적인 주행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은 도 8a 내지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면의 경사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질 경우 회전프레임(320) 역시 오른쪽으로 경사지어 휠(400)의 접촉면이 평지일 때와 같이 전면 접하게 되고, 경사가 왼쪽으로 기울어질 경우 회전프레임(320) 역시 왼쪽으로 경사지어 휠(400)의 접촉면이 평지일 때와 같이 전면 접하게 되며, 이는 양측 휠(400)이 각각 별도로 경사 지을 수 있어 울퉁불퉁하게 굴곡진 비포장 도로에서도 안전한 주행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322)의 외측면에는 연결구(323)와 대응하는 끼움공(326)이 천공된 중간판(325)이 부착되어 고정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이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봉(330)에 의해 회전프레임(320)이 회전할 경우 고정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의 마찰로 회전프레임(320) 및 고정프레임(310)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회전프레임(320)의 지지판(322)의 외측면이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판(322)의 외측면에 중간판(325)을 부착한다.
상기 중간판(325)가 연결구(323)의 위치에 부착될 경우, 연결구(323)와 대응하는 끼움공(326)을 천공하여 고정봉(330)이 회전하는데 간섭하지 않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고정봉(330)은 연결구(323), 고정구(313), 끼움공(326)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평지와 레일에 적용되는 주행수단을 동시에 장착하여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레일에서는 레일용휠(410)에 의해 구동되고, 레일이 형성되지 않은 노면에서는 타이어휠(420)에 의해 구동되어 광범위 한 지형조건에 크레인의 이동이 가능토록 하며, 휠(400)을 크레인에 연결할 때, 주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축을 형성하여 평지뿐 아니라 굴곡진 경사면에서도 휠(400)이 경사면에 따라 경사지도록 하여 노면과 휠(400)이 뜨지 않고 접하여 주행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이동식 크레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휠의 단면도,
도 4는 고정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회전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고정봉의 사시도,
도 7은 휠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a 내지 9b는 노면 경사에 따른 휠연결부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 이동식 크레인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식 크레인 100 : 수평프레임
200 : 수직프레임 300 : 휠연결부
310 : 고정프레임 311 : 상단플레이트
312 : 고정판 313 : 고정구
314 : 걸림판 315 : 보강판
320 : 회전프레임 321 : 연결판
322 : 지지판 323 : 연결구
324 : 조립판 325 : 중간판
326 : 끼움공 330 : 고정봉
331 : 걸림홈 340 : 베어링하우징
341 : 베어링 400 : 휠
410 : 레일용휠 411 : 레일홈
412 : 돌출부 420 : 타이어휠
421 : 림 422 : 타이어
H : 볼트구멍 B : 볼트

Claims (3)

  1.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휠을 장착할 수 있는 휠연결부를 갖춘 수직프레임과, 상기 휠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로 이루어진 크레인에
    상기 휠(400)은 중심부가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레일홈(411)을 형성하여 지면에 설치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레일용휠(410)과;
    림(421)과 타이어(422)로 이루어져 평지를 주행하도록 상기 레일용휠(410)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쌍의 타이어휠(420); 로 구성된 이동식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휠연결부(300)는 수직프레임(200) 하단에 연결되는 상단플레이트(311)와, 고정구(313)가 천공되어 상기 상단플레이트(311)의 양측 하단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판(312)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310);
    전체적으로 'ㄷ'자 형을 갖고, 상기 고정구(313)와 대응하는 연결구(323)가 천공되어 일정거리만큼 이격되는 한쌍의 지지판(322)과, 상기 지지판(322)의 각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판(321)과, 상기 지지판(322) 하단에 연결되는 조립판(324)으로 구성되고, 고정구(313)와 연결구(323)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판(312)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프레임(320);
    상기 고정구(313)와 연결구(323)에 끼워져 회전프레임(320)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원주형상의 고정봉(330);
    상기 회전프레임(320)의 조립판(324)에 연결되고, 베어링(341)을 내장하여 상기 휠(40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하우징(3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22)의 외측면에는 연결구(323)와 대응하는 끼움공(326)이 천공된 중간판(325)이 부착되어 고정프레임(310)과 회전프레임(320)이 직접 마찰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KR2020080012568U 2008-09-18 2008-09-18 이동식 크레인 KR200454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68U KR200454993Y1 (ko) 2008-09-18 2008-09-18 이동식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568U KR200454993Y1 (ko) 2008-09-18 2008-09-18 이동식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44U KR20100003344U (ko) 2010-03-26
KR200454993Y1 true KR200454993Y1 (ko) 2011-08-09

Family

ID=4419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568U KR200454993Y1 (ko) 2008-09-18 2008-09-18 이동식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9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709A (ko) 2020-09-29 2022-04-05 유진산업기계 (주) 이동가능한 호이스트크레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13A (ja) * 1993-06-30 1995-01-20 Central Japan Railway Co 転轍器交換作業システム
JP2001146109A (ja) 1999-09-28 2001-05-29 Atecs Mannesmann Ag 兼用型車両用の勾配補償装置を一体化したレール台車
JP2004175515A (ja) * 2002-11-27 2004-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レーン及びコンテナヤー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613A (ja) * 1993-06-30 1995-01-20 Central Japan Railway Co 転轍器交換作業システム
JP2001146109A (ja) 1999-09-28 2001-05-29 Atecs Mannesmann Ag 兼用型車両用の勾配補償装置を一体化したレール台車
JP2004175515A (ja) * 2002-11-27 2004-06-24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レーン及びコンテナヤー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709A (ko) 2020-09-29 2022-04-05 유진산업기계 (주) 이동가능한 호이스트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344U (ko)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88503Y (zh) 多功能钻机
EP2588362B1 (en) Track pad
CN113356208B (zh) 一种用于海上风电斜桩群沉桩的稳桩架及沉桩方法
KR200454993Y1 (ko) 이동식 크레인
CN204095941U (zh) 一种备胎升降器及具有其的车辆
JP4321871B2 (ja) マンホール内壁切断装置
CN107140024B (zh) 一种可调轮胎倾斜角度的行走装置
KR101583337B1 (ko) 도로 또는 맨홀 보수용 절단기
KR101113140B1 (ko) 볼라드
KR20220043709A (ko) 이동가능한 호이스트크레인
US2592542A (en) Endless track
CN202767024U (zh) 一种中置滚刷及扫雪车
KR20160019124A (ko) 이동식 호이스트크레인
CN212889722U (zh) 一种沙滩车轮胎
KR20170102116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도로용 가이드레일
KR101947964B1 (ko) 가드레일의 지주 보강구조
KR101816438B1 (ko) 트럭의 푸셔액슬 펜더 장치
CN205636844U (zh) 一种挖掘机料斗
CN220136669U (zh) 履带车辆底盘检测装置
CN220767797U (zh) 一种安全警示装置
CN201264484Y (zh) 工程机械轮胎胎面花纹
KR200305527Y1 (ko) 스프링 타이어
CN219137508U (zh) 防恐拦车器
CN217630105U (zh) 一种螺旋式安全井盖
CN213653569U (zh) 一种土木工程开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