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821Y1 -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21Y1
KR200454821Y1 KR2020080016674U KR20080016674U KR200454821Y1 KR 200454821 Y1 KR200454821 Y1 KR 200454821Y1 KR 2020080016674 U KR2020080016674 U KR 2020080016674U KR 20080016674 U KR20080016674 U KR 20080016674U KR 200454821 Y1 KR200454821 Y1 KR 200454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ver
protrusion
main guide
conne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424U (ko
Inventor
최규룡
최승필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82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 커버에 일정 경로를 갖는 메인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수커넥터에 메인 가이드부에 맞물리는 메인 가이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커버를 커넥터 본체에 회동 결합시키는 동작만을 통해 커넥터 본체가 수커넥터에 삽입 이동하며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삽입 체결되고, 이에 따라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구가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Figure R2020080016674
커넥터, 가이드, 커넥터 커버

Description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구 없이 커넥터 커버를 커넥터 본체에 회동 결합시키는 동작만을 통해 커넥터 본체가 수커넥터에 삽입 이동하며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삽입 체결되고, 이에 따라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한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하나의 회로와 다른 회로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접속부품으로서, 차량에서는 케이블이나 와이어를 연결하거나 접속하기 위해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에 장착되는 전장품의 개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요구되는 케이블이나 와이어의 개수 또한 증가하여 이들을 연결하거나 접속하기 위한 다양한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차량용 커넥터 조립 체의 결합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커넥터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암커넥터(100)와 수커넥터(200)로 구성되는데, 암커넥터(100)에는 다수개의 터미널(미도시)이 장착되고 수커넥터(200)에는 다수개의 터미널 핀(미도시)이 장착되며, 터미널 핀이 터미널에 삽입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암커넥터(100)와 수커넥터(2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체결된다.
수커넥터(200)에는 암커넥터(10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암커넥터(100)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암커넥터(100)는 커넥터 본체(110) 및 커넥터 커버(120)로 분리 형성되어 커넥터 본체(110)가 수커넥터(20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암커넥터(100)에는 암커넥터(100)와 수커넥터(200)의 체결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서로에 대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 레버(130)가 장착된다.
암커넥터(100)의 커넥터 본체(110)에는 와이어(미도시)에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터미널 삽입구(116)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와이어의 배선 방향을 유도하는 와이어 가이드부(11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커넥터 커버(12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112)가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부(111)의 끝단부에는 커넥터 커버(12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걸림돌기(113)가 형성된다.
커넥터 커버(120)는 커넥터 본체(110)에 삽입되는 터미널 및 와이어가 보호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110)의 일면을 감싸는 형태로 커넥터 본체(110) 에 결합되는데, 일측단부에는 걸림홀(121)이 형성되어 커넥터 본체(110)의 걸림돌기(113)와 맞물리며 결합 고정되고, 타측단부에는 삽입홀(122)이 형성되어 커넥터 본체(110)의 삽입돌기(112)와 삽입 결합된다. 또한, 커넥터 커버(120)의 상부면에는 커넥터 레버(130)가 걸리며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부(123)가 형성된다.
커넥터 레버(130)는 커넥터 본체(110)가 암커넥터(100)에 용이하게 삽입 체결되고 이탈 방지되도록 커넥터 본체(110)에 힌지 결합되는데, 커넥터 레버(130)의 중앙부에는 커넥터 본체(11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홀(13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커넥터 레버(130)의 회동 조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손잡이(132)가 형성된다. 이때, 커넥터 본체(110)의 양측면에는 커넥터 레버(130)의 힌지홀(131)에 삽입되며 상호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돌기(114)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 레버(130)에는 일정 경로를 갖는 오목홈 형태의 가이드부(133)가 형성되며, 수커넥터(200)에는 이러한 가이드부(133)에 맞물림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210)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133)의 경로는 가이드부(133)가 가이드 돌기(210)에 맞물림된 상태에서 커넥터 레버(130)가 회동함에 따라 커넥터 본체(110)가 수커넥터(200)에 삽입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종래 기술에 의한 암커넥터(100)는 커넥터 본체(110)의 터미널 삽입구(116)에 다수개의 터미널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110)와 커넥터 커버(120)가 결합되고 또한 커넥터 본체(110)에 커넥터 레버(130)가 힌지 결합된 상태로 수커넥터(200)에 삽입 체결된다.
암커넥터(100)가 수커넥터(200)에 삽입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10), 커넥터 커버(120) 및 커넥터 레버(130)가 조립된 암커넥터(100)를 수커넥터(200)에 일정 범위 가삽입하고, 이후 커넥터 레버(130)를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돌기(114)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커넥터 레버(130)의 가이드부(133)가 수커넥터(200)의 가이드 돌기(210)에 맞물림되며 회전하기 때문에, 가이드부(133)의 경로를 따라 암커넥터(100)가 수커넥터(200) 측으로 이동하며 수커넥터(200)에 삽입 체결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커넥터 조립체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미널 및 와이어의 고정 및 보호를 위해 커넥터 본체(110)에 결합되는 커넥터 커버(120)가 구비되고, 또한 커넥터 본체(110)가 수커넥터(2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넥터 레버(130)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요구되는 부품의 수가 많고 이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의 제조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공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체결하기 위해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커넥터 커버를 커넥터 본체에 회동 결합하는 동작을 통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삽입 체결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체결구가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고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구성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와이어에 연결된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터미널 삽입구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커넥터에는 메인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커버에는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와 맞물리며 상기 커넥터 커버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메인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커버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기 수커넥터에 삽입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보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커버에는 상기 보조 가이드 돌기와 맞물리며 상기 커넥터 커버의 회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가이드부 및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커버의 양측면에 일정 경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 가이드부 및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커버의 양측면에 일정 경로를 갖는 개방슬롯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일측단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커버의 일측단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며 맞물림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커버가 상기 삽입돌기 및 삽입홀을 통해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가이드 또는 보조 가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넥터 커버의 회동 완료 또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삽입 이동 완료에 대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조작 감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감지부는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 또는 보조 가이드 돌기가 압착되며 통과되도록 상기 메인 가이드부 또는 보조 가이드부의 경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함몰 구조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효 과가 있다.
첫째, 커넥터 커버에 일정 경로를 갖는 메인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수커넥터에 메인 가이드부에 맞물리는 메인 가이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커버가 커넥터 본체에 회동 결합하는 동작만을 통해 커넥터 본체가 수커넥터에 삽입 이동하며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삽입 체결되고, 이에 따라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체결구가 불필요하여 부품수가 감소하고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커넥터 커버에 일정 경로를 갖는 보조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커넥터 본체에 보조 가이드부에 맞물리는 보조 가이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커버에 대한 회동 경로가 더욱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커버의 회동시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더욱 원활하게 삽입 체결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 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체결될 수 있는 암커넥터(300)와 수커넥터(400)로 구성되는데, 암커넥터(300)에는 와이어(미도시)에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미도시)이 장착되고 수커넥터(400)에는 터미널과 삽입 결합되는 터미널 핀(미도시)이 장착되며, 암커넥터(30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이러한 터미널과 터미널 핀이 서로 결합되며 암커넥터(300)와 수커넥터(40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커넥터(400)에는 암커넥터(30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암커넥터(300)에 대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암커넥터(300)는 커넥터 본체(310) 및 커넥터 커버(320)로 분리 형성되어 커넥터 본체(31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암커넥터(300)의 커넥터 본체(310)에는 전술한 다수개의 터미널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터미널 삽입구(316)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와이어의 배선 방향을 유도하는 와이어 가이드부(311)가 형성되며 와이어 가이드부(311)의 끝단부에는 커넥터 커버(32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걸림돌기(313)가 형성된다.
커넥터 커버(320)는 커넥터 본체(310)에 삽입되는 터미널 및 와이어가 보호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커넥터 본체(310)의 일면을 감싸는 형태로 커넥터 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커넥터 커버(320)의 일측단부에는 커넥터 본체(310)의 걸림돌기(313)와 맞물리며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걸림홀(321)이 형성된 다.
이때, 커넥터 커버(320)는 커넥터 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10)의 일측단에는 삽입돌기(312)가 형성되고 커넥터 커버(320)의 일측단에는 이러한 삽입돌기(312)가 삽입되며 맞물림될 수 있는 삽입홀(3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 커버(320)는 이러한 삽입홀(323) 및 삽입돌기(312)를 통해 커넥터 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동 결합 상태가 커넥터 커버(320)의 회동 중에도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삽입돌기(312)의 형상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홀(32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커넥터 커버(320)는 커넥터 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커넥터 본체(310)에 분리 가능하게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커넥터 커버(320)와 커넥터 본체(310)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힌지 구조의 고정 결합방식과 같이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뿐 커넥터 본체(310)로부터 분리되지는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수커넥터(4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 돌기(410)가 형성되고, 암커넥터(300)의 커넥터 커버(320)에는 이러한 메인 가이드 돌기(410)와 맞물리며 커넥터 커버(3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일정 경로를 갖는 메인 가이드부(324)가 형성된다. 이때, 메인 가이드부(324)의 경로는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체결되는 방향 으로 회동함에 따라 암커넥터(30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커버(320)에는 일정 경로를 갖는 메인 가이드부(324)가 형성되고 수커넥터(400)에는 메인 가이드부(324)에 맞물림되는 메인 가이드 돌기(410)가 형성되므로, 커넥터 커버(320)가 삽입홀(323)을 힌지 중심으로 하여 커넥터 본체(3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커넥터 커버(320)는 메인 가이드부(324) 및 메인 가이드 돌기(410)에 의해 일정 경로를 따라 회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암커넥터(300)는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동시에 암커넥터(30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종래 기술과 달리 암커넥터를 수커넥터에 삽입하기 위한 커넥터 레버와 같은 별도의 구성요소가 불필요하고, 단순히 커넥터 커버(320)를 커넥터 본체(310)에 회동 결합함에 따라 동시에 암커넥터(300)와 수커넥터(400)가 체결되기 때문에 구성 부품수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한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커넥터 및 수커넥터는 상호 결합되는 2개의 커넥터에 대한 구분을 위해 편의상 암수 커넥터로 구분하여 명칭을 지정한 것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과 반대로 암수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이와 같은 구조의 커넥터에 대해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 다. 이에 더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메인 가이드부(324)와 메인 가이드 돌기(410) 또한 서로 맞물림되도록 대응되는 구성요소로서, 각각 커넥터 커버(320)와 수커넥터(40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범위에서 메인 가이드부(324)가 수커넥터(400)에 형성되고 메인 가이드 돌기(410)가 커넥터 커버(320)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편의상 구분한 암수 커넥터의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되더라도 서로 대응되는 한 암수 커넥터에 대해 이하의 설명과 서로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10)의 양측면에 보조 가이드 돌기(317)가 형성되고, 커넥터 커버(320)에는 이러한 보조 가이드 돌기(317)와 맞물리며 커넥터 커버(320)의 회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일정 경로를 갖는 보조 가이드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 돌기(317) 및 보조 가이드부(325)는 각각 커넥터 본체(310) 및 커넥터 커버(320)에 형성된 것으로, 커넥터 커버(320)가 삽입홀(323)을 힌지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경우 커넥터 커버(320)의 커넥터 본체(310)에 대한 상대 회동 경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커넥터 커버(320)와 커넥터 본체(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312) 및 삽입홀(32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구조의 특성상 삽입돌기(312)와 삽입홀(323)이 상호 위치 고정된 상태로 밀착 결합되지 않고 서로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커버(320)는 회동시 이러한 이격 상태에 의해 일정한 회동 경로를 유지하지 못하고 위치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변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리는 보조 가이드부(325) 및 보조 가이드 돌기(317)가 각각 커넥터 커버(320) 및 커넥터 본체(310)에 형성됨으로써, 커넥터 커버(320)의 회동 경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커넥터 커버(320)의 회동 경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능은 전술한 메인 가이드부(324) 및 메인 가이드 돌기(410)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는데, 메인 가이드부(324)의 경로는 커넥터 커버(3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암커넥터(30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되도록 가이드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고 원활하게 커넥터 커버(320)의 회동 경로가 가이드될 수 있도록 보조 가이드부(325) 및 보조 가이드 돌기(3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가이드부(325) 및 보조 가이드 돌기(317)는 커넥터 커버(320)의 커넥터 본체(310)에 대한 회동이 정확하고 일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메인 가이드부(324) 및 메인 가이드 돌기(410)는 이와 같이 일정한 회동 경로를 갖는 커넥터 커버(320)를 기준으로 암커넥터(30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2개 지점에 의한 가이드 기능이 수행되어 암커넥터(300)를 수커넥터(400)로 삽입하는 별도의 삽입력이 없이도 커넥터 커버(320)의 회전에 의해 암커넥터(300)가 수커넥터(400)에 더욱 정확하고 원활하게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메인 가이드부(324) 및 보조 가이드부(32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메인 가이드부(324)와 같이 커넥터 커버(320)의 양측면에 일정 경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324a)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보조 가이드부(325)와 같이 커넥터 커버(320)의 양측면에 일정 경로를 갖는 개방슬롯(325a)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이와 달리 커넥터 커버(320)의 양측면에 일정 경로를 갖는 오목홈(미도시)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메인 가이드 돌기(410) 또는 보조 가이드 돌기(317)가 맞물림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메인 가이드부(324) 및 보조 가이드부(325)의 경로에 메인 가이드 돌기(410) 및 보조 가이드 돌기(317)가 각각 구속되고 커넥터 커버(320)가 메인 가이드부(324) 및 보조 가이드부(325)의 경로를 따라 회전하게 되어, 암커넥터(30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동작 상태의 흐름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커넥터(300)와 수커넥터(400)의 체결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10)로부터 분리된 커넥터 커버(320)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커버(320)의 삽입홀(323)에 커넥터 본체(310)의 삽입돌기(312)가 삽입되도록 결합하여 이를 중심으로 커넥터 커버(3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10)가 수커넥터(400)에 일정 범위 가삽입된다. 이때, 가삽입되는 범위는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체결 완료되지 않고 일정 각도 개방된 상태에서 커넥터 커버(320)에 형성된 메인 가이드부(324)가 수커넥터(400)에 형성된 메인 가이드 돌기(410)에 맞물림 시작되는 정도의 범위까지 가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메인 가이드 돌기(410)가 메인 가이드부(324)에 맞물림되고, 계속해서 메인 가이드부(324)의 경로를 따라 커넥터 커버(320)가 회전하면 커넥터 본체(310)가 수커넥터(400) 측으로 삽입되도록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이 점차 진행되다가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체결 완료되도록 회동하게 되면, 암커넥터(300) 또한 수커넥터(400)에 완전히 삽입되며 체결 완료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보조 가이드 돌기(317) 및 보조 가이드부(325)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 돌기(410)와 메인 가이드부(324)가 서로 맞물리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으로부터 상호 맞물림되고, 마찬가지로 보조 가이드부(325)의 경로를 따라 맞물림 진행되다가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회동 체결 완료됨에 따라 경로 진행이 완료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커넥터 커버(320)가 커넥터 본체(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 가이드부(325) 및 보조 가이드 돌기(317)를 통해 일정 회동 경로를 따라 회전하게 되면, 메인 가이드부(324) 및 메인 가이드 돌기(410)가 서로 맞물림되며 메인 가이드부(324)의 경로에 따라 커넥터 본체(31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체결되도록 이동하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암커넥터(300)와 수커넥터(400)가 체결 된다.
이때, 암커넥터(300)가 수커넥터(400)에 삽입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에 대한 조작감이 발생될 수 있도록 메인 가이드부(32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감지부(324b)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마찬가지로 커넥터 커버(320)의 회동 완료 상태에 대한 조작감이 발생될 수 있도록 보조 가이드부(325)에도 조작 감지부(32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암커넥터(300)의 수커넥터(400)에 대한 삽입 완료 상태와 커넥터 커버(320)의 회동 완료 상태는 동일한 지점에서 발생되기 때문에, 조작 감지부(324b,325b)는 메인 가이드부(324) 또는 보조 가이드부(325)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둘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 감지부(325b)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가이드 돌기(410) 또는 보조 가이드 돌기(317)가 압착되며 통과되도록 메인 가이드부(324) 또는 보조 가이드부(325)에 경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함몰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작 감지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메인 가이드부(324)와 같이 돌출부의 형태로 가이드부의 경로가 형성된 경우 가이드 돌기와 접촉하는 커넥터 커버(320) 측면 상의 특정 지점에 단턱부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가이드부의 경로 상에 탄성부재를 장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동작 상태의 흐름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암커넥터 310: 커넥터 본체
320: 커넥터 커버 324: 메인 가이드부
325: 보조 가이드부 400: 수커넥터
410: 메인 가이드 돌기

Claims (7)

  1. 상호 체결될 수 있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구성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와이어에 연결된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터미널 삽입구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커넥터에는 메인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커버에는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와 맞물리며 상기 커넥터 커버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메인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가이드부에는 상기 커넥터 커버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기 수커넥터에 삽입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보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커버에는 상기 보조 가이드 돌기와 맞물리며 상기 커넥터 커버의 회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보 조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부 또는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커버의 양측면에 일정 경로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부 또는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커넥터 커버의 양측면에 일정 경로를 갖는 개방슬롯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의 일측단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커버의 일측단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며 맞물림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커버가 상기 삽입돌기 및 삽입홀을 통해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분리 및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부 또는 보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넥터 커버의 회동 완료 또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삽입 이동 완료에 대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조작 감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감지부는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 또는 보조 가이드 돌기가 압착되며 통과되도록 상기 메인 가이드부 또는 보조 가이드부의 경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함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20080016674U 2008-12-16 2008-12-16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0454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74U KR200454821Y1 (ko) 2008-12-16 2008-12-16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74U KR200454821Y1 (ko) 2008-12-16 2008-12-16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24U KR20100006424U (ko) 2010-06-24
KR200454821Y1 true KR200454821Y1 (ko) 2011-07-28

Family

ID=4445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674U KR200454821Y1 (ko) 2008-12-16 2008-12-16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8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3660B2 (ja) 2014-11-12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617A (ja) 1996-09-06 1998-03-31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0287335A (ja) * 1999-03-30 2000-10-13 Yazaki Corp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方法
KR100516513B1 (ko) * 2004-02-19 2005-09-2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617A (ja) 1996-09-06 1998-03-31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00287335A (ja) * 1999-03-30 2000-10-13 Yazaki Corp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方法
KR100516513B1 (ko) * 2004-02-19 2005-09-2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424U (ko)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66533B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装置
JP4834147B2 (ja) 施錠機構を備えた電子コネクタ
CN105324886B (zh) 电连接器
JP2008536289A (ja) ロック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4440122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US9112306B2 (en) Connector
US2011025674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ust-proof device with self-driven arrangement
JP4084079B2 (ja) コネクタ構造
US6428341B2 (en) Inspecting jig for wire harness
KR200454821Y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100701540B1 (ko) 활주 작동식 결합 수단을 가진 케이블 커넥터
JP2008166087A (ja) Fpc接続用コネクタ
KR101216024B1 (ko) 록킹 부재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0448813Y1 (ko) 레버형 커넥터
JP4599276B2 (ja) シャッター付き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3884721B2 (ja) 電気コネクタ
JP5431038B2 (ja) 端子及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KR100745824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285311B2 (ja) コネクタ
KR200471031Y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07533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2510419B (zh)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JP4228978B2 (ja) コネクタ
KR101512113B1 (ko) 록킹 부재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095505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