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868Y1 - 창틀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창틀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868Y1
KR200453868Y1 KR2020080013849U KR20080013849U KR200453868Y1 KR 200453868 Y1 KR200453868 Y1 KR 200453868Y1 KR 2020080013849 U KR2020080013849 U KR 2020080013849U KR 20080013849 U KR20080013849 U KR 20080013849U KR 200453868 Y1 KR200453868 Y1 KR 200453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ow frame
window
fixed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311U (ko
Inventor
안병욱
Original Assignee
안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욱 filed Critical 안병욱
Priority to KR2020080013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6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46Clamp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 to the wall opening; Fastening frames by tightening or drawing them against a surface parallel to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을 지지하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은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를 구비하여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제 1 플레이트(20)는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한 벽체(1)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플레이트(30)는 제 1 플레이트(20)와 수직되게 배치되고, 제 1 플레이트(20)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창틀(2)에 고정된다. 연결 플레이트(40)는 일단이 제 1 플레이트(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플레이트(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따르면, 종래 "ㄱ"자의 형태로 형성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과 달리 벽체(1)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20)와 확장창을 위한 창틀(2)에 고정되는 제 2 플레이트(30)가 분리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 상호간에 발생되는 탄성력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창문의 열림과 닫힘, 외풍 등에 의한 충격이 작용하여도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40)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보강재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게 되어 창틀 고정용 브라켓 자체의 강성이 높게 된다. 또한, 일체의 금속판체를 절곡하여 형성가능하므로, 재료의 소요량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브라켓을 겹쳐서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류를 편리하게 하고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의 각도 조절을 통해 길이 변화를 가지므로 호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수를 감소시키면서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창틀 고정용 브라켓{BRACKET FOR FIXING WINDOW FRAME}
본 고안은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창의 반복적인 열림과 닫힘에 의한 충격, 외풍에 의한 충격 등으로 인해 미세 진동되므로써 벽체와 창틀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 주거형 주택에서는 법규상 거실 외측으로 발코니(베란다)를 배치하고,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창(거실창)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발코니의 외측(새시창 외측)에는 난간대가 설치되어 사람이 아래로 추락하거나 또는 물품 등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거실을 보다 넓게 사용하고자 알루미늄 섀시와 유리창을 설치한 후, 거실창을 제거함으로서 거실을 확장하거나 방에 부속된 발코니를 개조하여 방의 공간 으로 사용하는 세대가 증가하고 있다. 즉, 발코니는 원래 물품 등을 적치하는 공간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나, 단순한 적치공간이 아닌 주거공간의 일부로 사용하는 세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코니를 주거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한 확장공사(방의 공간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이 방음, 방열 등과 관련되는 차단문제이다. 즉, 발코니를 확장하기 전의 구조에서는 발코니에 설치되는 섀시창에서 차단이 이루어지고, 발코니의 빈공간, 거실창 등에 의해 차단되지만, 발코니를 확장하는 경우 발코니의 빈공간, 거실창이 제거되어 이와 같은 차단 기능이 상실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발코니의 확장시에는 섀시창의 내측에 확장창을 설치하여 차단 기능을 어느 정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이와 같은 확장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존 섀시창의 내측에 별도의 창틀을 설치해야 한다.
이때, 확장창을 위한 창틀은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섀시창과 달리 섀시창 내측에서 벽체에 덧대어 부착되는 형태로 시공되게 되므로, 그 지지력의 확보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2307호 "건물 베란다용 창틀 고정 브래킷", 등록번호 제20-0428790호, 제20-0428777호, 제20-0424732호 및 20-0438474의 "발코니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30592호 "창틀 고정용 브라켓"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창틀 고정 용 브라켓은 확장착용 창틀의 바닥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창을 위한 창틀은 벽체에 덧대어 부착되는 형태로 시공되므로, 그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바닥 부분뿐만아니라 측벽 부분에 대한 지지도 필요하게 된다.
도 7은 종래 확장창을 위한 창틀의 측벽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종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확장창을 위한 창틀의 측벽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500; 시공현장에서는 '확장형 발코니 중창 측부고정 앙카'로 지칭된다)은 벽체(1)에 부착되는 제 1 플레이트(510)와, 확장창을 위한 창틀(2)에 부착되는 제 2 플레이트(521)가 절곡되어 전체 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창틀 고정용 브라켓(500)을 사용하는 경우 창문의 열림에 의한 충격, 외풍에 의한 충격 등으로 인해 벽체(1)와 창틀(2) 사이가 벌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4)을 열고 닫을 때 창틀(2)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창틀 고정용 브라켓(500)이 반복적으로 휘어지면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해 벽체의 벽지가 떨어지고, 결국 창틀(2) 마 감부분에서 틈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창의 반복적인 열림과 닫힘에 의한 충격, 외풍에 의한 충격 등으로 인해 미세 진동되므로써 벽체와 창틀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의 측벽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창의 반복적인 열림과 닫힘에 의한 충격, 외풍에 의한 충격 등으로 인해 미세 진동되는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가능한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제조비용과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작업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한 벽체(1)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수직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20) 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창틀(2)에 고정되는 제 2 플레이트(30) 및; 일단이 상기 제 1 플레이트(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연결 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는 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상면(42)과 하면(44)을 갖고,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40)는 상기 상면(42)과 하면(44)에 대해 수직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는 하나의 금속판이 절곡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 플레이트(2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의 상면(42)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의 하면 방향으로 절곡되므로써,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를 중간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는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의 상면(42)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서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와 수평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장공(22a, 32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종래 "ㄱ"자의 형태로 형성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과 달리 벽체(1)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20)와 확장창을 위한 창틀(2)에 고정되는 제 2 플레이트(30)가 분리되도록 구성되므로,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 상호간에 발생되는 탄성력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창문의 열림과 닫힘, 외풍 등에 의한 충격이 작용하여도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40)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보강재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게 되어 창틀 고정용 브라켓 자체의 강성이 높게 된다. 또한, 일체의 금속판체를 절곡하여 형성가능하므로, 재료의 소요량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브라켓을 겹쳐서 적재할 수 있으므로, 물류를 편리하게 하고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의 각도 조절을 통해 길이 변화를 가지므로 호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수를 감소시키면서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로 이루어져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제 1 플레이트(20)는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한 벽체(1)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플레이트(30)는 제 1 플레이트(20)와 수직되게 배치되고, 제 1 플레이트(20)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창틀(2)에 고정된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40)는 일단이 제 1 플레이트(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플레이트(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종래 "ㄱ"자의 형태로 형성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과 달리 벽체(1)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20)와 확장창을 위한 창틀(2)에 고정되는 제 2 플레이트(30)가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가 중간을 가로지는 보강대인 연결 플레이트(4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종래 "ㄱ"자의 형태로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가 서로 분리{즉, 도 2에서 2점 쇄선으로 표현된 부분이 제거}되도록 하고, 종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구조에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를 가로 질러 보강하는 기능을 하는 연결 플레이트(4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비해 창문의 열림과 닫힘, 외풍 등에 의한 충격이 작용하여도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고안자가 4개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에서 다이알 게이지를 창틀 외측에 위치시켜 창문을 닫을 때 창틀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종래기술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적용된 경우 +24.80m/m ∼ -23.18m/m 범위의 떨림이 발생한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적용된 경우 +3.25m/m ∼ -3.29m/m 범위의 떨림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40)가 수직되는 방향으로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보강재가 결합된 형태를 가지게 되어 창틀 고정용 브라켓 자체의 강성이 높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용접, 조립 방식{고정을 위해 용접, 리벳팅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등을 적용하여 생산할 수 있지만, 프 레스공법을 통해 단일의 금속판체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도록 연결 플레이트(40)가 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상면(42)과 하면(44)을 갖고,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40)가 상면(42)과 하면(44)에 대해 수직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그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품질의 안정성 및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일체의 금속판체를 절곡하여 형성가능하므로, 재료의 소요량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상하 열린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개를 적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물류를 편리하게 하고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40)의 각도(Θ) 조절을 통해 길이(L1, L2) 변화를 가지므로 호환성{예컨대, 각도(Θ)를 30도로 하여 길이(L1, L2)가 100mm(창틀로부터 벽체의 고정위치까지의 거리)×80mm(벽체로부터 창틀의 고정위치까지의 거리)로 설정하는 경우, 회전시켜 80mm×100mm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수를 감소시키면서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첨부된 도면 도 3a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프레스 또는 사출성형에 대한 기술과 관련된 내용, 나사, 볼트, 앵커 등을 사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벽체 또는 창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 및 방법, 발코니 확장창을 설치하는 기술 등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프레스공법의 피어싱, 절곡가공 등을 통해 단일의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기본적으로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로 이루어져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제 1 플레이트(20)는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한 벽체(1)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플레이트(30)는 제 1 플레이트(20)와 수직되게 배치되고, 제 1 플레이트(20)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창틀(2)에 고정된다. 그리고, 연결 플레이트(40)는 일단이 제 1 플레이트(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 2 플레이트(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금속 원판체로부터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를 펼친 상태와 동일한 형상의 판체로 형성{통상, 프레스 공법의 블래킹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하고, 볼트, 앙카, 나사 등을 결합시키기 위한 홀(22a, 22b, 22c, 32a, 32b, 32c)을 형성(통상, 프레스 공법의 피어싱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한 후,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를 절곡하여 완성된다.
이때,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의 절곡방향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40)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a의 경우는 제 1 플레이트(20)가 연결 플레이트(40)의 상면(42)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 2 플레이트(30)가 연결 플레이트(40)의 하면(44)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므로써,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가 연결 플레이트(40)를 중간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의 경우는 제 1 플레이 트(20)와 제 2 플레이트(30)가 연결 플레이트(40)의 상면(42)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절곡 방향의 차이를 두는 것은 생산 금형(프레스 금형)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고, 그 제품의 구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한편, 도 3a,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에는 볼트, 앙카(6), 나사(8) 등을 결합시키기 위한 홀(22a, 22b, 22c, 32a, 32b, 32c)을 형성하는데, 특히, 본 고안에서는 연결 플레이트(40)와 수평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장공(22a, 32a)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장공(22a, 32a)은 벽체(1, 도 4 참조) 및 창틀(2)에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을 임시로 고정한 후, 창틀(2)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는데 편리하게 한다. 또한,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에 형성되는 장공(22a, 32a)이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반대방향으로 돌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1)에 제 1 플레이트(20)를 위치시키고, 창틀(2)의 측벽에 제 2 플레이트(30)를 위치시켜, 앙카(6), 나사(8) 등으로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미설명 부호 3은 창틀(2)의 시공 후, 마감처리되는 보온재 및 마감재 부분을 지칭하고, 4는 창틀(2)에 결합되는 창문을 지칭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프레스 공법을 통해 그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프레스 공법에 의한 일체형 외에도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조립시키는 구성도 가능한 것이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10)은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를 별도로 구성하되,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에 홀을 형성하고, 연결 플레이트(40)에 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끼워 맞추어 용접 등의 통상적인 고정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사시도;
도 7은 종래 확장창을 위한 창틀의 측벽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종래 창틀 고정용 브라켓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벽체
2 : 창틀
10 : 창틀 고정용 브라켓
20 : 제 1 플레이트
22a, 32a : 장공
30 : 제 2 플레이트
40 : 연결 플레이트
42 : (연결 플레이트) 상면
44 : (연결 플레이트) 하면

Claims (5)

  1. 발코니의 확장시 설치되는 확장창을 위한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창틀(2)을 지지하기 위한 벽체(1)에 고정되는 제 1 플레이트(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수직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창틀(2)에 고정되는 제 2 플레이트(30) 및;
    일단이 상기 제 1 플레이트(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플레이트(30)에 고정되며, 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상면(42)과 하면(44)을 갖는 연결 플레이트(4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플레이트(20), 제 2 플레이트(30) 및 연결 플레이트(40)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써,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에 홀을 형성하고, 연결 플레이트(40)에 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끼워 맞추어 결합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와 수평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장공(22a, 3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2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의 상면(42)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의 하면 방향으로 결합되므로써,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를 중간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20)와 제 2 플레이트(30)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40)의 상면(42)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고정용 브라켓.
  5. 삭제
KR2020080013849U 2008-10-17 2008-10-17 창틀 고정용 브라켓 KR200453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849U KR200453868Y1 (ko) 2008-10-17 2008-10-17 창틀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849U KR200453868Y1 (ko) 2008-10-17 2008-10-17 창틀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11U KR20100004311U (ko) 2010-04-27
KR200453868Y1 true KR200453868Y1 (ko) 2011-06-01

Family

ID=4445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849U KR200453868Y1 (ko) 2008-10-17 2008-10-17 창틀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917A (zh) * 2021-08-11 2021-10-01 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模板连接件及模板系统
KR102593192B1 (ko) * 2023-04-17 2023-10-24 신환경복합창 주식회사 충격을 흡수하는 브라켓을 구비한 창호 및 커튼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632U (ko) 1975-04-14 1976-10-21
JPS5243338U (ko) 1975-09-23 1977-03-28
JPS56124175U (ko) 1980-02-25 1981-09-21
KR100874446B1 (ko) * 2007-11-14 2008-12-16 주식회사 함지 발코니 창틀 고정용 굴절 앵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0632U (ko) 1975-04-14 1976-10-21
JPS5243338U (ko) 1975-09-23 1977-03-28
JPS56124175U (ko) 1980-02-25 1981-09-21
KR100874446B1 (ko) * 2007-11-14 2008-12-16 주식회사 함지 발코니 창틀 고정용 굴절 앵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11U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779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KR200453868Y1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JP6389739B2 (ja) 手摺
CN104541006B (zh) 抗震加强施工方法
KR100959063B1 (ko)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의 프레임 보강용 장치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200419563Y1 (ko) 픽쳐레일 및 천장몰딩용 코너바
JP5103108B2 (ja) バルコニー構造及びバルコニーユニット
KR100978389B1 (ko)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JP5038867B2 (ja) 戸体
JP3216568U (ja) 耐震補強パネル及び耐震補強パネルを取り付けた構造壁体
KR200175294Y1 (ko) 옹벽 마감용 패널구조
JP7146427B2 (ja) ボード取付金物および建物の室内構造
JP2009068307A (ja) 基礎石に立設した柱の補強装置
KR20200142352A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JP3888796B2 (ja) 出隅部形成金具及び該金具を使用した出隅部構造
JP2539687Y2 (ja) ユニット式建物の軒先取付構造
JP4719025B2 (ja) 建築用組立パネルの連結構造
CN109183980B (zh) 快装式房屋
JP4864919B2 (ja) カーテンウオール
KR200163074Y1 (ko) 건식 벽체의 상부트랙 보강구조
JPS6210354A (ja) 木造建物
JP4974179B2 (ja) 建物用建具
KR200347889Y1 (ko) 조립식 울타리
KR200307737Y1 (ko) 방화문용 조립식 문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