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770Y1 -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비데 - Google Patents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770Y1
KR200453770Y1 KR2020080010095U KR20080010095U KR200453770Y1 KR 200453770 Y1 KR200453770 Y1 KR 200453770Y1 KR 2020080010095 U KR2020080010095 U KR 2020080010095U KR 20080010095 U KR20080010095 U KR 20080010095U KR 200453770 Y1 KR200453770 Y1 KR 200453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bidet
water
nozzle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340U (ko
Inventor
황성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비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비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비데
Priority to KR2020080010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77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7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 비데 본체(10)와, 상기 비데 본체(10)에 장착되며 전후진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비데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 작동되는 세정수 분사용 노즐(20)과, 일측부의 유입구가 외부의 물공급부에 연결되고 타측부의 배출구는 상기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에 연결관(6)을 매개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된 물탱크(30)와, 일단부는 외기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의 내부로 연통되어 상기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을 통해 세정수 분사시 에어를 공급하여 토출압을 유지하도록 된 에어펌프(40)와, 상기 물탱크(30)에 구비된 벤틸레이터(54)에 일단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는 상기 비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이 전후진함에 따라 상기 벤틸레이터(54)를 통해 상기 물탱크(30) 내부의 물(2)을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물탱크(30)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 사이의 폐회로상에 과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물탱크(30) 내부의 히터 가동을 지속시켜 세정수의 온도를 유지하는 드레인관(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탱크, 노즐, 이동, 과압, 과승, 방지, 안전 밸브, 온도 유지

Description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Bidet having safety valve function and washing water temperature maintaining function}
본 고안은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의 이동 순간에 폐회로상에서 물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하여 세정수의 온도 조절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고, 세정수의 과압이나 온도편차를 방지하여 불쾌감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한 구조의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의자에 앉는 방식으로 착좌하여 용변을 보도록 된 것으로, 일반 가정집이나 공공 건물 등에 많이 설치되고 있으며, 보다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좌변기에 비데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비데의 주요부를 이루는 세정수 분사용 노즐은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고 있는 동안에는 비데 본체의 안으로 들어가 있다가 용변 후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버튼을 누름에 따라 노즐이 전진하여 항문 부분으로 세정수를 분사하게 된다. 즉, 비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노즐이 안으로 들어가 있다가 비데 사용시에 노즐이 전진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노즐의 이동 순간(즉, 노즐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순간)에 폐회로상(즉, 물탱크와 노즐 사이)에서 물이 멈추게 되고, 이처럼 물이 배출되지 않고 순간적으로 멈추면 물탱크 내부에서 히터에 의한 가열시간이 길어져 온도가 순간적으로 과승되어 민감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히터의 잠열이 많이 발생되어 비데 사용자의 항문 부분으로 분사되는 세정수의 온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다.
한편, 외부에서 비데의 물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수압이 갑자기 높아지는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비데 내부의 폐회로상으로 갑자기 과압이 유입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처럼 과압이 유입되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토출압이 갑자게 세져서 비데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통증을 느끼는 것과 같은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므로, 과압을 배출하는 블로워를 구비한 제품도 있다.
그런데, 블로워를 구비한 제품의 경우에는 과압을 배출하는 안전밸브 기능만 하기 때문에, 비데 사용 중간에 유입되는 수압이 현격히 떨어졌을 경우 분사되는 세정수의 토출압이 갑자기 떨어져서 세정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나아가, 온도 편차로 인하여 세정수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되는 단점도 있다. 유량이 떨어졌다가 갑자기 다시 올라 갔을 때 온도 편차로 인해 느껴지는 세정수의 온도차가 심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수압이 갑자기 저하되어 급격한 수량 변화를 유발하고 세정수의 온도편차까지 유발하여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이 있으며, 비데 사용중에 세정수가 끊어지는 느낌이나 세정수 분사 멈춤 현상이 발생되어, 이러한 요인도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종래에는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는 비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거나 비데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즐의 이동 순간에 폐회로상에서 물이 멈추는 현상을 방지하여 물탱크 내부에서 온도가 순간적으로 과승되는 경우를 방지하면서도 세정수의 온도 조절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고, 세정수의 과압이나 온도편차로 인해 비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비데 본체와, 상기 비데 본체에 장착되며 전후진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비데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 작동되는 세정수 분사용 노즐과, 일측부의 유입구가 외부의 물공급부에 연결되고 타측부의 배출구는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관(6)을 매개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된 물탱크와, 일단부는 외기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의 내부로 연통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세정수 분사시 에어를 공급하여 토출압을 유지하도록 된 에어펌프와, 상기 물탱크에 구비된 벤틸레이터에 일단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는 상기 비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이 전후진 하는 동안 상기 벤틸레이터를 통해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물탱크와 노즐 사이의 폐회로상에 과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래에는 물탱크 내부에 과압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히터를 자동으로 정지시켰던 것에 비해 상기 물탱크 내부의 히터 가동을 지속시켜 세정수의 온도를 유지하는 드레인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노즐의 이동 순간(즉, 노즐이 나오거나 들어가는 순간)에 드레인관으로 물을 배수하여 물탱크와 노즐 사이의 폐회로상에서 물이 멈추지 않으므로, 물탱크 내부에서 온도가 순간적으로 과승되어 민감도가 떨어지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히터의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히터의 잠열이 발생되지 않아 비데 사용자의 항문 부분으로 분사되는 세정수의 온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므로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비데 사용 중간에 유입되는 수압이 현격히 떨어졌을 경우에도 분사되는 세정수의 토출압이 갑자기 떨어져서 세정감이 저하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온도 편차로 인하여 세정수의 온도가 갑자기 상승되는 경우도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유량이 떨어졌다가 갑자기 다시 올라갔을 때 온도 편차로 인해 느껴지는 세정수의 온도차가 심해지는 경우를 방지하여 비데 사용을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수압이 갑자기 저하되어 급격한 수량 변화를 유발하는 경우와 세정수의 온도편차를 유발하는 경우을 방지하여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를 근절하며, 비데 사용중에 세정수가 끊어지는 느낌이나 세정수 분사 멈춤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하는 경우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도 지장없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데 본체(10)의 내부에 세정수 분사용 노즐(20), 물탱크(30), 에어펌프(40) 및 드레인관(60)이 설치된 구조의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이다.
상기 비데 본체(10)의 내부 중앙에는 하향 경사진 노즐 지지부가 구비되어, 이러한 노즐 지지부에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이 경사지게 전후진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은 비데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공지의 전후진 작동수단인 구동모터와 타이밍 벨트 등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비데 본체(10)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전후진 작동된다.
상기 물탱크(30)는 비데 본체(10)의 바닥면에 고정된 것으로, 물탱크(30) 일측부의 유입구가 외부의 물공급부(4)에 연결되고 타측부의 배출구는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에 연결관(6)을 매개로 연결되어, 물탱크(30)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 사이가 폐회로를 이루게 된다. 바람직하게, 연결관(6)은 플렉시블한 고무호스로 구성된다. 또한, 물탱크(30)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가 내장되어, 물탱크(30)로 유입된 물(2)이 히터에 의해 데워진다.
상기 에어펌프(40)는 물탱크(30)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을 연결하는 연결관(6)에 커넥터(42)와 고무호스(44)를 통해 연결된다. 커넥터(42)는 세 개의 포트가 분기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두 개의 포트는 각각 물탱크(30)측에 연결된 연결관(6)과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측에 연결된 연결관(6)에 결합되고, 나머지 한 개의 포트는 에어펌프(40)측에 연결된 고무호스(44)에 결합되어, 에어펌프(40)를 통해 물탱크(30)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 사이의 연결관(6)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에어펌프(40)의 일단부에는 에어흡입구와 에어공급구가 구비되어, 에어흡입구는 외기와 연통되고, 에어공급구는 고무호스(44)를 통해 커넥터(42)의 한 개의 포트에 연결된다. 또한, 에어펌프(40)의 내부에는 에어흡입구와 에어공급구 사이에 위치되도록 체크밸브(미도시)가 내장되어, 에어펌프(40) 작동시 외부에서 에어가 물탱크(30)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 사이의 연결관(6) 내부로 유입되는 반면, 에어펌프(40)에 내장된 체크밸브로 인하여 에어와 물이 에어흡입구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에어펌프(40)로 유입된 에어와 연결관(6)으로 흐르는 물이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은 상기의 체크밸브 이외에 공지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드레인관(60)은 물탱크(30)에 구비된 벤틸레이터(54)에 일단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는 비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다. 벤틸레이터(54)는 저면의 유입포트는 물탱크(30)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물탱크(3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단부에는 배출포트(56)가 구비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유입포트 및 배출포 트(56) 사이에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며 유입포트와의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제1스풀과, 이 제1스풀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의 유입포트와 제1스풀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하우징의 배출포트(56)와 개폐되도록 작동하는 제2스풀과, 제1스풀과 제2스풀을 하우징의 유입포트측으로 탄지하는 코일스프링을 갖는 구조이다.
이러한 벤틸레이터(54)의 상단부에 구비된 배출포트(56)에 드레인관(60)의 일단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드레인관(60)은 고무호스로 구성되어,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 외주면에 밀착력을 가지고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드레인관(60)의 타단부는 비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는데, 바람직하게, 비데 본체(10)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된 단관 형상의 결합보스부(12a)에 드레인관(60)의 타단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좌변기에 앉은 사람이 용변 후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비데를 작동시키면, 비데에 구비된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이 전진하여 항문 아래쪽으로 위치된 다음, 에어펌프(40)에 의해 외부의 에어를 흡입하여 세정수를 적정 압력으로 비데 사용자의 항문 부분에 분사하여 세정하게 된다.
이때,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이 전진하는 순간 물탱크(30)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 사이의 폐회로상에 압력이 발생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이 전진하는 순간에 압력이 발생되더라도 물탱크(30)의 벤틸레이터(54)에 연결된 드레인관(60)으로 물(2)이 배수(도 2 참조)되면서 압력도 함께 배출하므로, 물탱크(30) 내부에서 압력이 과승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이 후진하는 순간에도 물탱크(30)에 연결된 드레인관(60)으로 물(2)이 배수(도 2 참조)되면서 압력도 함께 배출하므로, 세정수 분사용 노즐(20) 후진 순간에도 물탱크(30) 내부에서 압력이 과승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드레인관(60)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이 전후진함에 따라 벤틸레이터(54)를 통해 물탱크(30) 내부의 과압과 물(2)을 외부로 배출하여 물탱크(30)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 사이의 폐회로상에 과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래에는 물탱크(30) 내부에 과압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히터를 자동으로 정지시켰던 것에 비해 이러한 과압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물탱크(30) 내부의 히터 가동을 지속시켜 세정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의 이동 순간에 드레인관(60)으로 물(2)을 배수하여 폐회로상에서 물이 멈추지 않으므로, 물탱크(30) 내부에서 압력이 순간적으로 과승되어 민감도가 떨어지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세정수의 온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므로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에서 비데의 물탱크(30) 내부로 공급되는 수압이 갑자기 높아지는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비데 내부의 폐회로상으로 갑자기 과압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즉시 드레인관(60)을 통해 물탱크(30) 내부의 압력과 물(2)을 배출함으로써,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의 토출압이 갑자게 세져서 비데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통증을 느끼는 것과 같은 불쾌감을 유발하는 경우를 방지하며, 비데 사용 중간에 유입되는 수압이 현격히 떨어졌을 경우 분사되는 세정수의 토출압이 갑자기 떨어져서 세정감이 저하되는 단점도 해소한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유량이 떨어졌다가 갑자기 다시 올라갔을 때의 온도 편차로 인해 비데 사용자가 세정수의 온도차를 심하게 느끼는 단점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은 수압이 갑자기 저하되어 급격한 수량 변화를 유발하는 경우와 세정수의 온도편차를 유발하는 경우를 방지하여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를 근절하며, 비데 사용중에 세정수가 끊어지는 느낌이나 세정수 분사 멈춤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비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하는 경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펌프(40)에 의해 외부의 에어를 유입시켜 적정 압력으로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도 원활하게 사용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물탱크(30)에 구비된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에는 별도의 링거관(70)이 연결되고, 드레인관(60)은 그 내부로 링거관(70)이 삽입되도록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 둘레부에 결합된 구조를 이루어, 링거관(70)을 통해 물탱크(30) 내부의 물(2)이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드레인관(60)으로 물(2)이 배수되기 때문에, 배수중에 물(2)이 비데의 비데 본체(10) 내부로 누수되어 일으킬 수 있는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탱크(30)의 벤틸레이터(54)에 구비된 배출포트(56)의 외주면에는 돌부(58)가 더 형성되어,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 외주면과 드레인관(60)의 내주면 사이에 에어 유입구(64)를 형성한다. 즉, 돌부(58)에 의해 드레인관(60)의 일부가 배출포트(56)의 외주면에서 들떠 있는 상태가 되어, 돌부(58)의 좌우측에 한 쌍의 에어 유입구(64)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 유입구(64)를 통해 드레인관(60)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어 드레인관(60)의 내부에 물(2)이 뭉쳐서 잔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조립 작업중에 드레인관(60)에 잔류한 물(2)이 흘러나와 작업을 방해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유통중에 드레인관(60)에 잔류한 물(2)이 세어나와 포장박스가 젖어버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유통시 방해되는 경우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유통중에 포장박스가 젖어버림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비데 자체를 불량품으로 오인할 여지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드레인관(60)에 물(2)이 뭉쳐서 빠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드레인관(60)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면 되는데, 드레인관(6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드레인관(60)을 칼로 찢어내야 하지만, 이처럼 드레인관(60)을 칼로 찢어내는 방식은 불편을 야기할 수 있으며, 나아가, 드레인관(60)을 통해 물(2)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물(2)이 세서 비데 본체(10)의 내부로 침투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은 물탱크(30)의 벤틸레이터(54)에 구비된 배출포트(56)의 외주면에 돌부(58)가 더 형성되어, 이러한 돌부(58)에 의해 드레인관(60)의 내주면과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 외주면 사이에 미리 에어 유입구(64)를 확보한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돌부(58)에 의해 형성된 에어 유입구(64)를 통해 드레인관(6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물(2)이 뭉쳐서 빠지지 않는 현상을 차단하므로, 드레인관(60)을 일일이 칼로 찢어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한 효과가 있으며, 드레인관(60) 을 통해 물(2)을 배수하는 과정에서 물(2)이 세서 비데 본체(1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돌부(58)는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드레인관(60)은 탄성을 갖는 고무호스로 구성되어, 드레인관(60)을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 외주면에 보다 쉽게 끼울 수 있으며, 드레인관(60) 자체가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비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내부에 비데 본체(10)의 저면으로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결합보스부(12a)가 더 형성되어, 이 결합보스부(12a)에 드레인관(60)을 끼워주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보다 용이하고, 나아가, 드레인관(60)을 통해 배수할 때, 비데 본체(10)의 내부로 물(2)이 세는 현상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 부분의 단면도

Claims (4)

  1. 비데 본체(10)와, 상기 비데 본체(10)에 장착되며 전후진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비데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 작동되는 세정수 분사용 노즐(20)과, 일측부의 유입구가 외부의 물공급부에 연결되고 타측부의 배출구는 상기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에 연결관(6)을 매개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히터가 내장된 물탱크(30)와, 일단부는 외기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의 내부로 연통되어 상기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을 통해 세정수 분사시 에어를 공급하여 토출압을 유지하도록 된 에어펌프(40) 및 상기 물탱크(30)에 구비된 벤틸레이터(54)에 일단부가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부는 상기 비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세정수 분사용 노즐(20)이 전후진하는 동안 상기 벤틸레이터(54)를 통해 상기 물탱크(30) 내부의 물(2)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60)을 포함하되,
    상기 물탱크(30)에 구비된 상기 벤틸레이터(54)의 배출포트(56)에 별도의 링거관(70)이 연결되어, 상기 링거관(70)이 상기 드레인관(60)의 내부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틸레이터(54)의 상기 배출포트(56)에는 상기 드레인관(60)의 내주면과 상기 벤틸레이터(54)의 상기 배출포트(56) 외주면 사이에 에어 유입구(64)를 형성하는 돌부(58)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58)는 상기 벤틸레이터(54)의 상기 배출포트(5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관(60)은 탄성을 갖는 고무호스로 구성되어 상기 벤틸레이터(54)의 상기 배출포트(56) 외주면에 밀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 비데.
KR2020080010095U 2008-07-29 2008-07-29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비데 KR200453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095U KR200453770Y1 (ko) 2008-07-29 2008-07-29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095U KR200453770Y1 (ko) 2008-07-29 2008-07-29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비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40U KR20100001340U (ko) 2010-02-08
KR200453770Y1 true KR200453770Y1 (ko) 2011-05-27

Family

ID=4419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095U KR200453770Y1 (ko) 2008-07-29 2008-07-29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77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963A (ja) * 1999-07-14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洗浄装置の給水装置
JP2001323537A (ja) * 2000-05-15 2001-11-22 Inax Corp バキュームブレーカ
JP2002070117A (ja) * 2000-08-31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
KR100849141B1 (ko) * 2007-03-07 2008-07-31 (주) 아이젠 벤트 아웃렛 밸브를 구비한 비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963A (ja) * 1999-07-14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洗浄装置の給水装置
JP2001323537A (ja) * 2000-05-15 2001-11-22 Inax Corp バキュームブレーカ
JP2002070117A (ja) * 2000-08-31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人体洗浄装置
KR100849141B1 (ko) * 2007-03-07 2008-07-31 (주) 아이젠 벤트 아웃렛 밸브를 구비한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40U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1530B (zh) 衛生洗淨裝置
TWI712723B (zh) 衛生洗淨裝置
TWI707078B (zh) 衛生洗淨裝置
JP2006283400A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6230498A (ja) 食器洗い機
JP3821014B2 (ja) 浴槽洗浄装置
KR200453770Y1 (ko) 자동 안전밸브 기능과 세정수 온도 유지 기능을 겸비한비데
JP2008291491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6603869B2 (ja) 衛生洗浄装置
CN211228765U (zh) 一种智能马桶的清洗水路
KR101098291B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JP3709763B2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KR200489322Y1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200372487Y1 (ko) 비데 물탱크의 세정수 배출장치
JPH10110459A (ja) 温水洗浄装置の洗浄ノズル
KR200436828Y1 (ko) 비데용 세정수의 배압차단장치
JP2722790B2 (ja) 温水洗浄器
JP2019027014A (ja) 衛生洗浄装置
JP4626015B2 (ja) 人体洗浄装置
KR200349288Y1 (ko) 비데기에서의 물 역류 방지장치
JP7390221B2 (ja) 便器装置
JP2010189935A (ja) 衛生洗浄装置
JP4580477B2 (ja) 温水洗浄装置
JP7076847B2 (ja) 排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2202101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