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099Y1 - 조립식 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099Y1
KR200453099Y1 KR2020100011521U KR20100011521U KR200453099Y1 KR 200453099 Y1 KR200453099 Y1 KR 200453099Y1 KR 2020100011521 U KR2020100011521 U KR 2020100011521U KR 20100011521 U KR20100011521 U KR 20100011521U KR 200453099 Y1 KR200453099 Y1 KR 200453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block
bed
presen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2020100011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07Children's beds combined with other nursery furniture, e.g. chests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 A47D7/01Children's beds with adjustable parts, e.g. for adapting the length to the growth of the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5/00Drawing board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조립되는 여러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는 상호 조립되는 여러개의 블록(11,12,13)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블록(11,12,13)을 추가로 조립하여 침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내부의 공간부(14)와 외측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침대{assembly bed}
본 고안은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조립되는 여러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가 사용하는 어린이용 침대의 경우, 단순히 어른용 침대를 사이즈가 작게 줄여 제작한 것으로, 구조와 기능이 매우 단순하였다.
따라서, 아이들이 잠을 자지 않을 때는 단순히 공간만 차지하게 되므로, 이러한 어린이용 침대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어린이들의 경우 키가 빨리 자라게 되므로, 키에 맞는 침대를 구입할 경우 침대가 금방 좁게 느껴지게 되며, 큰 침대를 설치할 경우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침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조립식 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호 조립될 수 있는 여러개의 블록(11,12,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11,12,13)은 상면과 바닥면을 제외한 둘레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각 블록(11,12,13)을 조립하면 내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 블록(11,12,13)의 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결합홈(31)과 상기 결합홈(31)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상호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결합홈(31)과 결합돌기(32)를 상호 끼워 블록(11,12,13)을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11,12,13)의 각 면은 칠판 또는 화이트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11,12,13)의 상면과 공간부(14)의 내부 바닥면에는 매트리스(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11,12,13)의 내부에는 선반(6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록(11,12,13)의 전면에는 별도의 보조패널(7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는 상호 조립되는 여러개의 블록(11,12,13)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블록(11,12,13)을 추가로 조립하여 침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내부의 공간부(14)와 외측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블록(11,12,13)을 도시한 것으로, 상호 조립될 수 있는 여러개의 블록(11,12,13)으로 나뉘어져, 필요에 따라 블록(11,12,13)을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록(11,12,13)은 상면과 바닥면을 제외한 둘레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각 블록(11,12,13)을 조립하면 내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블록(11,12,13)은 목재패널을 사각박스 형태로 조립하여 제작된 것으로, 양측면이 모두 완전히 개방된 중간블록(11)과, 일측면만이 개방된 좌, 우측블록(12,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측블록(12)은 우측면이 완전히 개방되고, 상기 우측블록(13)은 좌측면이 완전히 개방된다. 따라서, 중간블록(11)의 양측에 좌, 우측블록(12,13)을 각각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된 사각 박스형태의 침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좌, 우측블록(12,13)의 사이에 끼워지는 중간블록(11)의 개수를 조절하여 침대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 블록(11,12,13)의 전면과 우측블록(13)의 우측면에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개구부(15)가 형성된다. 따라서, 개구부(15)를 통해 공간부(14)로 출입할 수 있으며, 공간부(14) 내부를 관찰하거나 공간부(14)의 내부에 놓여진 물건을 꺼낼 수 있다.
또한, 각 블록(11,12,13)의 상면과 내부 바닥면에는 각각 매트리스(2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블록(11,12,13)의 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결합홈(31)과 상기 결합홈(31)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상호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31)과 결합돌기(32)가 상호 맞물리도록 각 블록(11,12,13)을 전후방향으로 끼워 각 블록(11,12,13)이 상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11,12,13)의 전면과 측면, 또는 공간부(14)의 둘레면은 칠판 또는 화이트보드와 같이 도색이 되거나 필름이 피복되어 필기구를 이용하여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넣을 수도 있으며, 칠판 또는 화이트보드를 대신하여 캐릭터 등이 그려진 그림판이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6은 각 블록(11,12,13)의 하측에 구비된 캐스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스터는 각 블록(11,12,13)의 하측으로부터 자유롭게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조립식 침대는, 상호 조립되는 복수개의 블록(11,12,13)으로 구성되므로,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 우측블록(12,13)의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블록(11)의 개수를 달리하여, 어린이의 성장에 맞춰 침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블록(11,12,13)은 상면과 바닥면을 제외한 둘레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각 블록(11,12,13)을 조립하면 내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된다. 따라서, 개구부(15)를 통해 공간부(14)로 출입할 수 있어서, 어린이들에게 자신이 원하는 데로 꾸미고 활용할 수 있는 자신만의 공간을 제공하고, 어린이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블록(11,12,13)의 각 면은 칠판 또는 화이트보드로 구성되어, 어린이가 자유롭게 필기를 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어서, 어린이의 창의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블록(11,12,13)의 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결합홈(31)과 상기 결합홈(31)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상호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각 블록(11,12,13)을 상호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11,12,13)의 상면과 공간부(14)의 내부 바닥면에는 각각 매트리스(20)가 구비되어, 블록(11,12,13)을 상호 결합하면 매트리스(20)가 상호 연결되어 큰 사이즈의 매트리스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면의 매트리스(20)와 바닥면의 매트리스(20)를 이용하여 2층 침대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우측블록(13)의 우측면과 각 블록(11,12,13)의 전면에 개구부(15)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개구부(15)의 형상 또는 형성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좌측블록(12)의 좌측면에도 개구부(1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안블록(11)과 좌, 우측블록(12,13)의 위치를 바꾸어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11,12,13)의 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결합홈(31)과 상기 결합홈(31)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상호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각 블록(11,12,13)을 상호 전후방향을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블록(11,12,13)의 양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돌기(41)와 결합공(42)을 형성하여, 블록(11,12,13)을 측방향으로 상호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블록(11,12,13)의 내부에는 선반(6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11,12,13)의 내부 전후면에는 복수개의 결합공(61)과, 상기 결합공(61)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62)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61)에 고정핀(62)을 끼운 후 고정핀(62)에 선반(60)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공(61)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고정핀(62)의 결합위치 및 선반(6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록(11,12,13)의 전면에는 개구부(15)가 형성된 경우 상기 결합공(61)을 필요한 위치에 자유롭게 형성할 수 없게 되므로, 블록(11,12,13)의 전면 내측면에는 별도의 보조패널(63)을 설치하고, 이 보조패널(63)의 후측면과 블록(11,12,13)의 후면판 전면에 각각 결합공(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같이 블록(11,12,13)의 내부에 선반(60)을 설치하면, 공간부(14)를 책장 등으로 활용하고, 어린이가 공간부(14)를 책을 읽기 위한 독서공간 등과 같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서, 조립식 침대를 더욱 효과적이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블록(11,12,13)의 전면판(17)에 결합공(61)을 형성할 위치를 확보할 수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패널(63)을 설치하지 않고 블록(11,12,13)의 전면판(17)에 직접 결합공(6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블록(11,12,13)의 전면판(17)의 전면에 별도의 보조패널(70)을 추가적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면판(17)의 전면에는 보조패널(70)의 상한단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71)이 구비되어, 보조패널(70)을 측방향에서 상기 가이드레일(71)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색이나 재질 또는 디자인을 갖는 보조패널(70)을 전면판(17)에 결합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느낌을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블록(11,12,13)의 전면판(17)은 볼트 등을 이용하여 블록(11,12,13)의 상면판과 바닥판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블록(11,12,13)을 구성하면, 전면판(17)을 다른 형태의 개구부(15)가 형성된 것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블록(11,12,13)의 전면에 별도의 보조패널(70)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에 비해, 더욱 효과적으로 각 블록(11,12,13)과 침대 전체의 분위기 또는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12,13. 블록 14. 공간부
20. 매트리스 31. 결합홈
32. 결합돌기 60. 선반

Claims (7)

  1. 상호 조립될 수 있는 여러개의 블록(11,12,13)-여기서, 상기 블록(11,12,13)은 상면과 바닥면을 제외한 둘레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사각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각 블록(11,12,13)을 조립하면 내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됨-
    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록(11,12,13)의 상면과 공간부(14)의 내부 바닥면에는 매트리스(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각 블록(11,12,13)의 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결합홈(31)과 상기 결합홈(31)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상호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결합홈(31)과 결합돌기(32)를 상호 끼워 블록(11,12,13)을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1,12,13)의 각 면은 칠판 또는 화이트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1,12,13)의 내부에는 선반(6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1,12,13)의 전면에는 별도의 보조패널(7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KR2020100011521U 2010-11-09 2010-11-09 조립식 침대 KR200453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21U KR200453099Y1 (ko) 2010-11-09 2010-11-09 조립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21U KR200453099Y1 (ko) 2010-11-09 2010-11-09 조립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099Y1 true KR200453099Y1 (ko) 2011-04-05

Family

ID=4424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521U KR200453099Y1 (ko) 2010-11-09 2010-11-09 조립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0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091A (ko) 2017-07-05 2019-01-15 박찬민 규격화된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용 구조체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립식 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435A (en) * 1990-11-19 1993-01-05 Interchangeable Design Systems, Inc. Interchangeable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020044368A (ko) * 2000-12-05 2002-06-15 유동일 다기능 침대
US6785920B1 (en) 2003-05-19 2004-09-07 Cesar F. Amador, Jr. Bed frame system
KR20100000371U (ko) * 2008-07-03 2010-01-13 김영철 그리기 및 메모를 위한 보드를 갖는 어린이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6435A (en) * 1990-11-19 1993-01-05 Interchangeable Design Systems, Inc. Interchangeable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020044368A (ko) * 2000-12-05 2002-06-15 유동일 다기능 침대
US6785920B1 (en) 2003-05-19 2004-09-07 Cesar F. Amador, Jr. Bed frame system
KR20100000371U (ko) * 2008-07-03 2010-01-13 김영철 그리기 및 메모를 위한 보드를 갖는 어린이용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091A (ko) 2017-07-05 2019-01-15 박찬민 규격화된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용 구조체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조립식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099Y1 (ko) 조립식 침대
JP5419552B2 (ja) ユニット本棚
KR200427949Y1 (ko) 매트
KR20180093303A (ko) 학습기능을 갖는 조립식 책꽂이
KR20190001087U (ko) 캣 타워
JP4787193B2 (ja) 机および本棚を有するシステム家具、並びに机と自立型本棚との組合せ構造
KR20170050593A (ko) 다용도 침대 키트
KR200484543Y1 (ko) 헤드의 디자인 변경이 가능한 침대
JP2019170880A (ja) 前板カバー付き引き出しを備える机
JP2008229220A (ja) 机および本棚を有するシステム家具、並びに机と自立型本棚との組合せ構造
KR20190000704U (ko) 블록스크래쳐 및 그것을 이용한 캣타워
JP2006122397A (ja) 組替え式二段ベッド
JP4764122B2 (ja)
JP3179411U (ja) ヘッドボード
JP5840085B2 (ja) 引出し
WO2017199377A1 (ja) 組み立て式ベッド
JP2014004146A (ja) 棚付デスク
JP2009011459A (ja) デスクシステム
KR20130001235U (ko) 조립식 다용도 문구함
JP2019054960A (ja) 箱体および箱連結体
KR101410675B1 (ko) 분할형 조립식 완구 블럭 세트
USD545591S1 (en) Modular entertainment center
KR200205590Y1 (ko) 완구 블록
JP2013059393A (ja) 収納ラック用の板材、及びこれを使用した収納ラック
JP3119495U (ja) 排列方式多様化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