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21Y1 - 간편지갑 - Google Patents

간편지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21Y1
KR200452921Y1 KR2020080009563U KR20080009563U KR200452921Y1 KR 200452921 Y1 KR200452921 Y1 KR 200452921Y1 KR 2020080009563 U KR2020080009563 U KR 2020080009563U KR 20080009563 U KR20080009563 U KR 20080009563U KR 200452921 Y1 KR200452921 Y1 KR 200452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llet
folded
bill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902U (ko
Inventor
홍창현
김종길
김은정
Original Assignee
홍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현 filed Critical 홍창현
Priority to KR2020080009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2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A45C2001/065Wallets; Notecases combined with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간편지갑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간편지갑은 접어지도록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몸체의 내측으로 접어지고, 하측이 몸체의 하측과 결합되어 지폐의 일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1덮개와, 제1덮개와 분리되어 몸체의 내측 타측면에 형성되고, 몸체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제1덮개의 개방된 측과 마주보는 측이 개방되며 지폐의 타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2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콘팩트한 부피를 지닐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짐에 따라 소지가 용이한 지갑을 제공한다.
지갑, 덮개

Description

간편지갑{Simple wallet}
본 고안은 지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콘팩트한 부피를 지닐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짐에 따라 소지가 용이한 간편지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갑몸체(11)와, 지갑몸체(11)를 펼쳤을 때 몸체의 양측 내면에 카드를 수납할 수 있도록 여러 층으로 형성된 카드 수납부(12)(13)와, 카드수납부(12)의 일측에 형성된 투시창을 구비한 별도의 신분증 수납부(15)와, 몸체의 내부에 지갑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 칸의 지폐 수납부(17)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폐를 구별하여 수납하기 위해 지폐수납부(17) 내부에는 구획막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갑(10)에 각종 카드, 신분증 및 지폐를 넣어 사용하게 된다.
즉, 칸칸이 형성된 양측 카드 수납부(12)(13)에 현금카드, 신용카드, 또는 전화카드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카드를 끼워 넣게 되고, 투시창을 구비한 별도의 신분증 수납부(15)에는 주민등록증 또는 면허증 등을 넣고 투시창을 통해 보이도록 하여 소지하게 되며, 구획막에 의해 두칸 또는 세칸으로 형성된 지폐수납부(17)에 지폐를 넣고 다니게 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지갑에 따르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카드를 소지하도록 많은 수납포켓이 구비되어 지갑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폐수납부의 경우 구획막 뿐만 아니라 지폐의 전후면이 다 접하도록 수납부를 형성하여 여러 겹을 이루게 됨으로써, 지갑의 접이가 용이하지 않으며, 접은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펼쳐짐에 따라 지갑의 내부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지갑의 외피를 이루는 몸체의 내부 양측면에 지폐의 가장자리만을 수납하는 덮개를 형성하여 지폐를 수납하고, 지갑의 접어지는 부위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지갑의 부피를 줄이고, 접힌 상태에서 벌어짐을 방지하는 간편지갑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은 접어지도록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몸체의 내측으로 접어지고, 하측이 몸체의 하측과 결합되어 지폐의 일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1덮개와, 제1덮개와 분리되어 몸체의 내측 타측면에 형성되고, 몸체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제1덮개의 개방된 측과 마주보는 측이 개방되며 지폐의 타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2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다른 실시예로서 몸체의 내측 일면에 구비되고 몸체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지폐의 일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1덮개와, 제1덮개와 분리되어 몸체의 내측 타면에 구비되고, 몸체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제1덮개의 개방된 측과 마주보는 측이 개방되며 지폐의 타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2덮개를 포함한다.
제1덮개, 제2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면에는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수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덮개와 제2덮개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수납폭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막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확장막은 제1덮개와 제2덮개 중 어느 하나의 하단과 몸체에 박음질되어 연결되고, 중앙에 내측으로 접어지도록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의 내측면에는 몸체의 외피가 절개되어 수납포켓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갑은 종래 고안과 달리 몸체의 내측면 가장자리에 지폐의 양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1,2덮개를 형성하여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고, 몸체의 접어지는 부위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몸체의 접이가 용이하고 몸체가 접어진 상태에서 벌어지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지갑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제1,2덮개가 지폐의 가장자리 양측만을 수용하고 있으므로 지폐의 중앙부는 몸체를 펼쳤을 때,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지폐의 파지가 용이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제1덮개, 제2덮개 중 어느 하나에 확장막을 구비하여 보다 많은 지폐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내부에 외피를 절개하여 수납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를 늘어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 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접어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100)은 크게 몸체(110), 덮개(120,130)로 이루어진다.
몸체(110)는 내부에 보형물이 구비되어 보형물의 외피를 가죽 또는 천으로 감싸며 중앙이 접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는 몸체(110)의 내측 일측면에 형성되고, 지폐의 일측 가장자리 가 수납되는 제1덮개(120)와, 몸체(110)의 내측 타측면에 형성되고, 지폐의 타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2덮개(130)로 이루어진다.
제1덮개(120)와 제2덮개(130)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몸체(110)의 접어지는 부위의 두께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제1덮개(120)는 몸체(110)에 일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접어지며, 하측이 몸체(110)의 하측에 결합됨으로써 상측과 내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덮개(130)은 제1덮개(120)와 분리되어 몸체(110)의 내측 타측면에 형성되고, 몸체(110)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제1덮개(120)의 개방된 측과 마주보는 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즉, 제1덮개(120)와 제2덮개(130)의 상측과 마주하는 측을 제외하고 커버되어 지폐의 양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덮개(130)는 별도로 구비되어 박음질에 의해 형성되고, 제1덮개(120)는 몸체(110)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접어져 하측만 박음질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덮개(120)의 전면에는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수납부(125)가 형성된다.
또한, 제1덮개(120) 하면에는 수납폭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막(140)이 형성된다.
확장막(140)은 제1덮개(120)의 하측과 몸체(110)의 하측에 박음질되어 연결되고, 중앙에 내측으로 접어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따라서, 제1덮개(120)와 몸체(110) 사이에 많은 양의 지폐 또는 명함 등이 개재되면 중앙으로 절곡되어 있던 확장막(140)이 펴지면서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110)의 내측면에는 몸체(110)의 외피가 절개되어 수납포켓(112,1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어지도록 형성된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측 일면에 구비되고 몸체(110)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지폐의 일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1덮개(120')와, 제1덮개(120')와 분리되어 몸체(110)의 내측 타면에 구비되고, 몸체(110)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제1덮개(120')의 개방된 측과 마주보는 측이 개방되며 지폐의 타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2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제1덮개(120')가 몸체(110)에 일체로 연장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되어 외측과 하측이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편지갑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100)은 몸체(110) 그리고, 몸체(110) 내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제1덮개(120)와 제2덮개(130)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우선, 사용자가 지갑(100)에 지폐를 수용하고자 할 때에는 몸체(110)를 펼친 후에 제1덮개(120)측에 지폐의 일측 가장자리를 끼워 수용시키고, 제2덮개(130)측에 타측 가장자리를 끼워 수용시키면 된다.
그리고, 제1덮개(120)의 하면에는 확장막(140)이 형성되어 제1덮개(120)에 지폐 외에 다른 명함 등을 다수 수용시켜도 수용공간이 확장막(140)에 의해 확장됨으로 사용상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제1덮개(120)의 전면에 형성된 카드수납부(125)에 카드를 수용하고, 몸체(110)의 내측면에 외피가 절개되어 형성된 수납포켓(112,114)에는 신분증, 운전면허증 등 사용빈도가 낮은 카드를 수용시킨 후 몸체(110)를 접어 사용하면 된다.
이때, 몸체(110)가 접어짐에 있어서 몸체(110)의 접어지는 부위에는 오직 몸체(110) 한겹만이 존재하므로 지갑(100)의 접이동작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며, 접어지는 부위가 두꺼워져 전체적인 부피가 늘어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접어진 후에도 몸체(110)의 접어지는 부위의 두께가 얇아 펼쳐지려는 힘이 약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지갑(100)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상에 있어서, 몸체(100)를 펼치게 되면 지폐의 가장자리만이 제1,2덮개(120,130)에 의해 커버되어 있어, 지폐의 중앙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지폐의 파지가 용이함으로 지폐 인출이 용이하다.
이처럼 간단한 구조에 의해 꼭 필요한 카드만을 소지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니므로 콘팩트한 부피를 지닐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짐에 따라 소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지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지갑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접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간편지갑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간편지갑 110 : 몸체
112, 114 : 수납포켓 120, 120' : 제1덮개
130 : 제2덮개 135 : 카드수납부
140 : 확장막

Claims (6)

  1. 삭제
  2. 접어지도록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지폐의 일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1덮개;
    상기 제1덮개와 분리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 타면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외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덮개의 개방된 측과 마주보는 측이 개방되며 지폐의 타측 가장자리가 수납되는 제2덮개를 포함하는 간편지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 제2덮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면에는 카드가 수납되는 카드수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지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수납폭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막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지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막은 상기 제1덮개와 제2덮개 중 어느 하나의 하단과 상기 몸체에 박음질되어 연결되고, 중앙에 내측으로 접어지도록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지갑.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몸체의 외피가 절개되어 수납포켓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지갑.
KR2020080009563U 2008-07-18 2008-07-18 간편지갑 KR200452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563U KR200452921Y1 (ko) 2008-07-18 2008-07-18 간편지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563U KR200452921Y1 (ko) 2008-07-18 2008-07-18 간편지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02U KR20100000902U (ko) 2010-01-27
KR200452921Y1 true KR200452921Y1 (ko) 2011-03-28

Family

ID=4419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563U KR200452921Y1 (ko) 2008-07-18 2008-07-18 간편지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08U (ko) 2016-10-27 2018-05-08 석민호 카드 배출이 용이한 카드 포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6413U (ja) * 1982-04-15 1983-10-19 プリンス開発興業株式会社 札入れ
JPH09285326A (ja) * 1996-04-21 1997-11-04 Ikedaya Kabanten:Kk 札入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6413U (ja) * 1982-04-15 1983-10-19 プリンス開発興業株式会社 札入れ
JPH09285326A (ja) * 1996-04-21 1997-11-04 Ikedaya Kabanten:Kk 札入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02U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76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케이스
US20090288746A1 (en) Single-fold wallet
JP5453703B2 (ja) 薄さと使い易さの両立を追及した財布
US5799774A (en) Wallet key holder
US6668883B2 (en) Pouch-like container in particular billfold and the like
KR200452921Y1 (ko) 간편지갑
JP3135251U (ja) 財布
JP3060275B2 (ja) 収納ケース
KR200473243Y1 (ko) 카드 케이스
JP3075160U (ja) カード入れ付き財布
JP2010506761A (ja) 厚さを減らした書類ケース
JP5311332B2 (ja) カード入れ付き財布
JP3069959U (ja) 差し換え収納ポケット付き財布
KR102256120B1 (ko) 접이식 지갑
JP3108064U (ja) 硬貨入れが着脱可能な財布
JP3175901U (ja) 和装用の収納バッグ
KR200183414Y1 (ko) 다용도 봉제필통
KR200253107Y1 (ko) 지갑
JP3169000U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キー用財布
CN210158149U (zh) 一种钱包
JP2003164312A (ja) 近接型非接触式icカード対応財布
KR200208426Y1 (ko) 지갑
JP3201232U (ja) 長財布
JP3064082U (ja) 財 布
JP3022852B1 (ja) 財 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