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97Y1 -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797Y1
KR200450797Y1 KR2020080006320U KR20080006320U KR200450797Y1 KR 200450797 Y1 KR200450797 Y1 KR 200450797Y1 KR 2020080006320 U KR2020080006320 U KR 2020080006320U KR 20080006320 U KR20080006320 U KR 20080006320U KR 200450797 Y1 KR200450797 Y1 KR 200450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essure
worker
unit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742U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김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태 filed Critical 김기태
Priority to KR2020080006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9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7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7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수단에서 차량에 의한 가압이 감지됨에 따라 온(ON) 상태로 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가 온(ON)으로 됨에 따라 차량의 진입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을 사전에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작업자 스스로 돌진해 오는 차량을 피할 수 있는 시간을 주어 작업중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는 감지수단을 이루는 압력호스를 밟고 지나가는 순간 차량바퀴에서 전해져오는 진동을 느낄 수 있어 차선이탈을 감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에 몰두할 수 있어 차량 진입에 따른 위험에 대한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작업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고속도로, 작업, 차량, 진입, 압력, 경보, 싸이렌

Description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APPARATUS WARNING ENTRY OF A VEHICLE FOR PROTECTING A WORKER}
본 고안은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 상에서의 작업영역에 대한 차량의 무단진입시에 상기 작업영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차량의 진입을 알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하나 이상의 차선을 차단한 상태로 작업하는 경우나 갓길에 주정차후 갓길작업을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이때 많은 차량이 고속으로 통행하는 고속도로상에서 작업하기 위한 작업영역을 확보하고, 고속도로 상에서의 작업을 운전자에게 알려 상기 차선을 우회하거나 주의하여 통행할 수 있도록 작업영역의 주변으로는 경광등이나 차로 안내 표시등 또는 싸이렌이 구비된다.
그리고 자동차 유도콘이 작업지점으로부터 약 100m 전방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작업영역을 넓히면서 차량을 작업영역 외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에 작업중임을 알린다 하더라도 졸음 운전 등의 이유로 운전자가 작업신호를 미쳐 파악하지 못하여 작업영역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작업자는 작업에 열중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진입을 인식하지 못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하곤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중에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작업자는 안심하고 작업에 몰두할 수가 없었고, 작업중 계속적으로 차량의 진입을 체크해야 함에 따른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을 사전에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통보하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편한 설치, 회수 및 운반이 가능한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이한 구성으로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에 작업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대형 경광등, 차로 변경 안내등 및 싸이렌 등의 외부장치와 연동될 수 있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1고안은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수단에서 차량에 의한 가압이 감지됨에 따라 온(ON) 상태로 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가 온(ON)으로 됨에 따라 차량의 진입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으로는, 차량이 지나감에 따라 일방향으로 공기의 이동압력이 발생하는 압력호스, 차량이 지나감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하는 기전력선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는 상기 감지수단에 의한 감지신호에 의해 온(ON) 상태로 되는 것으로, 감지수단이 압력호스라면, 이동된 공기압에 의해 온(ON) 상태로 되고, 감지수단이 기전력선이라면, 발생된 기전력에 의해 온(ON)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제2고안은 제1고안에서, 상기 스위치부와 경보발생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의 온(ON)/오프(OFF) 상태에 따른 상기 경보발생부에서의 신호의 발생 및 발생될 신호의 종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마련된다.
제3고안은 제2고안에서, 상기 감지수단은 일단이 밀폐된 압력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압력호스의 타단에 장착되어 차량의 진입에 따른 압력이 상기 압력호스에 가해지면 상기 압력호스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고안은 제3고안에서, 운반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압력호스는 호스릴에 권취되고, 상기 경보발생부 및 제어부는 상기 호스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고안은 제3고안에서, 상기 압력호스에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고안은 제2고안에서, 상기 제어부에는 외부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단자에서는 평상시와 압력감지시에 상기 외부장치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장치와의 접점이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에 의하면, 작업영역에 진입하는 차량을 사전에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통보함으로써, 작업자 스스로 돌진해 오는 차량을 피할 수 있는 시간을 주어 작업중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에 몰두할 수 있어 차량 진입에 따른 위험에 대한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작업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지수단이 압력호스로 이루어지는 경우, 운전자는 압력호스를 밟고 지나가는 순간 차량바퀴에서 전해져오는 진동을 느낄 수 있어 차선이탈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진행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간편한 설치, 회수 및 운반이 가능하여, 본 차량 진입 경보장치의 설치, 회수 및 운반에 따른 시간 및 노동력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으로 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에 작업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대형 경광등, 차선 변경 안내등 및 싸이렌 등의 외부장치와 연동될 수 있어, 외부장치로 작업자와 운전자에게 경보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외부장치의 활용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는 크게 감지수단, 스위치부(20), 경보발생부(40) 및 제어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차량(90)의 진입을 확인하도록 지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은, 고속도로의 작업영역을 확보하고 그 작업영역에서 우회하여 진행해야 할 차량(90)이 상기 작업영역에 진입하는 경우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도로면에 길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지수단은 지면에 설치되어 그 위를 통과하는 차량의 진입을 감지할 수만 있으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감지수단에는, 차량의 통과에 의해 가압되면서 발생되는 기전력으로 차량의 통과를 감지하는 기전력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의 감지수단은, 일단이 밀폐된 압력호스(10)로 이루어져 상기 압력호스(10)를 차량(90)이 통과하면 상기 압력호스(10)에 차량(90)으로부터의 압력이 가해져 상기 차량(90)의 진입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호스(10)는 통상 100m 이상의 길이로 구비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도로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력호스(10)는 운반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호스릴(50)에 권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호스릴(50)에 권취된 상태의 압력호스(10)를 상기 호스릴(50)로부터 풀어 도로에 설치하여 작업영역을 형성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호스릴(50)에 다시 상기 압력호스(10)를 감아서 운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호스릴(50)에는 상기 압력호스(10)의 권취를 용이하게 하도록 권취봉(51)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손잡이(53)가 구비되고, 운반을 위한 운반손잡이(55)도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압력호스(10)에는 빛을 받아 형광색을 나타내거나 반사하여 운전 자에게 상기 압력호스(10)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형광물질 등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호스(10)의 타단에는 스위치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부(20)는 상기 압력호스(10)에 차량(90)이 지나감에 따라 상기 압력호스(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압력호스(10)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온(ON)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20)는, 감지수단이 기전력선인 경우에는, 차량이 지나감에 따라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 온(ON) 상태로 된다. 여기서 발생된 기전력을 증폭하여 스위칭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 예를 들면, 앰프(amp)와 같은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스위치부(20)에는 제어부(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31), 상기 스위치부 연결단자(32), 경보외부접점 출력단자(33), 신호음 출력단자(34), 기능선택 스위치(35), 상기 경보발생부(40)에서의 신호의 발생 및 종료를 제어하는 MPU(36) 및 신호음을 생성하는 AMP(3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에는, 전원이 온(ON)되었는지 여부 및 감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원LED(38)와 감지입력LED(39)가 구비된다.
상기 경보외부접점 출력단자(33)는 본 고안의 기능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출력단자(33)에는 외부 대형 경광등(71)이나 싸이렌 등의 외부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단자(33)는 3개의 단자로 구성되는데, 평상시에는 오프(OFF)로 되어 있다가 압력감지시에 온(ON)으로 되는 A접점과, 평상시에는 온(ON)으로 되어 있다가 압력감지시에 오프(OFF)로 되는 B접점과, 상기 A접점과 B접점의 공통단자인 COM접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출력단자(33)에 연결된 외부장치가 평상시와 압력감지시에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신호음 출력단자(34)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경보발생부(40)가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35)는 평상시에 상기 경보발생부(40)를 통하여 싸이렌음을 발생시킬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고속도로에서의 작업시행 여부를 통행하는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싸이렌음은 상당히 클 뿐만 아니라, 장시간 듣게 되면 작업자는 소음으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차량(90)이 작업영역으로 진입하는 비상 상황 이외에는 상기 싸이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능선택 스위치(35)는 싸이렌 온(ON)과 싸이렌 오프(OFF)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다.
한편, MPU(36)는 상기 경보발생부(40)에서의 신호의 발생 및 종료를 제어한다. 즉, 상기 MPU(36)는, 차량(90)의 진입에 따른 압력을 압력호스(10)에서 감지하여 스위치부(20)가 온(ON)으로 되면, 외부의 싸이렌이나 경보발생부(40)에서 생성되는 싸이렌음 대신에, 차량(90)의 진입을 알리는 비상 음성 안내와 경고음을 경보발생부(40)에서 교차출력되게 한다.
또한 경고외부접점 출력단자(33)에 외부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MPU(36)는 상기 출력단자(33)의 연결을 B접점에서 A접점으로 변환시켜 상기 외부장치에 대해서도 기능의 변환이 발생되게 한다. 즉, 상기 외부장치가 경광등(71)이라면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표시가 발생되게 할 수 있고, 싸이렌이라면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싸이렌음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90)이 압력호스(10)를 통과하여 작업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 기 압력호스(10)에 대한 압력은 제거되지만, 상기 MPU(36)에서는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비상 음성 안내와 경고음이 교대로 지속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차량(90)의 진입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MPU(36)는 압력호스(10)에 압력이 가해져 스위치부(20)가 온(ON) 상태로 되면 압력이 감지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하여 감지입력LED(39)를 발광시킨다.
한편, 상기 AMP(37)는 상기 MPU(36)에서의 비상 신호의 발생 정보에 따라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경보발생부(4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어부(30)는, 상기 압력호스(10)가 호스릴(50)에 권취되는 경우에, 운반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릴(50)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경보발생부(40)는 상기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20)가 온(ON)으로 됨에 따라 차량(90)의 진입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신호는 경고음과 음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보발생부(40)에서 발생되는 음성으로는, 예를 들면, "차량진입", "작업자 주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경보발생부(40)도, 상기 압력호스(10)가 호스릴(50)에 권취되는 경우에, 제어부(30)와 마찬가지로, 운반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호스릴(50)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를 고속도로에서 작업하는 작업자 주위에 설치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호스릴(50)을 작업자 주위에 위치시킨 후, 상기 호스릴(50)로부터 압력호스(10)를 푼다. 통상적으로 작업자 주위에는 작업을 위한 도구를 실은 작업차량(80)이나 순찰차가 정차되어 있으므로, 상기 작업차량(80)의 화물칸이나 순찰차의 트렁크에 상기 호스릴(50)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경보장치에서 필요한 전원을 상기 작업차량(80)이나 순찰차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에 상기 차량 진입 경보장치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작업중에 상기 차량 진입 경보장치가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호스릴(50)에서 풀려진 상기 압력호스(10)를 작업영역의 시작지점까지 도로면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압력호스(10)와 함께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작업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자동차 유도콘(70), 대형 경광등(71)이나 차로 변경 안내등(73)이 상기 작업영역의 시작지점을 포함한 작업영역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선(60) 이하의 2개의 차선중 2차선(63)에서 작업을 한다면, 작업영역의 시작지점으로부터 압력호스(10)를 설치함과 아울러 차량(90)을 1차선(61)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자동차 유도콘(70)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시작지점에 차로 변경 안내등(73)을 설치하며, 작업차량(80) 또는 신호유도차량에 대형 경광등(7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싸이렌을 작동시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싸이렌은 운전자에게 작업여부를 알리는데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작업자에게는 상당한 소음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외부에 설치되는 싸이렌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로 작업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경보발생부(40)에서의 싸이렌음은 제어부(30)에서 기능선택 스위치(35)를 통해서 그 발생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의 스위치부 연결단자(32)에는 스위치부(20)를 연결하고, 경보외부접점 출력단자(33)에는 대형 경광등(71)이나 차로 변경 안내등(73) 또는 싸이렌 등의 외부장치를 연결하며, 신호음 출력단자(34)에는 경보발생부(4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의 각 단자에는 미리 스위치부(20), 경보발생부(40) 및 외부장치의 각 단자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압력호스(10)와 호스릴(50)을 배치한 후, 제어부(30)의 전원스위치(31)를 통해 전원을 켠다. 상기 제어부(30)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차량(80)이나 순찰차로부터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전원스위치(31)를 켜면, 전원스위치(31) 상단의 전원LED(38)가 켜져서 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의 경보외부접점 출력단자(33)에 외부장치가 연결되어 있으면, A접점이 오프 상태로 있고, B접점이 온 상태로 있음에 따른 기능이 상기 외부장치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장치가 차로 변경 안내등(73)이라면, 상기 차로 변경 안내등(73)에는 작업영역 이외의 차선, 즉 1차선(61)으로 차량(90)이 향하도록 화살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장치가 싸이렌이라면, 상기 싸이렌에서는 작업중임을 알리는 싸이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작업영역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도중에,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90)이 자동차 유도콘(70), 대형 경광등(71)이나 차로 변경 안내등(73)과 같이, 도로에서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미쳐 인식하지 못하고 작업영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차량(90)은 압력호스(10)를 밟고 지나가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호스(10)에는 차량(90)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지고, 이 압력은 스위치부(20)로 전달되어 상기 스위치부(20)가 온(ON) 상태로 된다.
상기 스위치부(20)가 온(ON)으로 되면, 상기 스위치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30)에서는 비상 음성 안내와 경고음이 경보발생부(40)에서 발생하게 한다. 이때 상기 경보발생부(40)를 포함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경보장치는 작업자 주변에 배치되므로,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음성 안내와 경고음을 작업자는 즉각적으로 들을 수 있어 작업영역에 진입한 차량(90)에 대한 대비책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영역으로 진입하는 차량(90)을 미쳐 인식하지 못하여 당하게 되는 작업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력이 감지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부 연결단자(32)의 상단에 배치된 감지입력LED(39)는 발광된다.
아울러, 경보외부접점 출력단자(33)에서 A접점이 온(ON) 상태로 되고 B접점이 오프(OFF) 상태로 되면서, 상기 출력단자(33)에 연결된 외부장치의 기능이 변환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장치가 차로 변경 안내등(73)인 경우, 평상시에 화살표를 나타내고 있다가 압력감지를 하게 되면 X표를 나타내어 운전자에게 차량(90)의 진입을 정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장치가 싸이렌인 경우, 상기 싸이렌은 평상시에 작업중임을 알리는 싸이렌음을 발생하다가, 압력감지를 하게 되면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싸이렌음을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싸이렌은 평상시에 작동하지 않다가, 압력감지를 하게 되면 싸이렌음을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장치에서의 기능 변환은 작업자에게 경보발생부(40)와 더불어 비상 상황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도 작업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알려 운전자가 운전 차량(90)을 정지시키거나 작업영역 밖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진입 경보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입 경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부(20)가 압력호스(10)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호스(21) 및 연결커플링(23)에 의해 압력호스(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 내에 장착되어 연결호스(21)와 연결커플링(23)을 통해 상기 압력호스(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부(2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를 토대로 설명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제어부(30)를 생략한 상태에서 압력호스(10)에 압력이 감지되면 스위치부(20)가 온(ON) 상태로 되면서 경보발생부(40)에서 경고음과 비상 안내 음성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고속도로 등에서의 작업시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일반도로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갓길 구난차량이나 경찰차량의 정차시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구제역 지역에 통행하는 차량의 통제시에도 활용할 수 있고, 차량의 출입을 통제할 필요가 있는 곳에서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차량 진입 경보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압력호스 20 : 스위치부
30 : 제어부 31 : 전원스위치
32 : 스위치부 연결단자 33 : 경보외부접점 출력단자
34 : 신호음 출력단자 35 : 기능선택 스위치
36 : MPU 37 : AMP
38 : 전원LED 39 : 감지입력LED
40 : 경보발생부 50 : 호스릴
51 : 권취봉 53 : 회전손잡이
55 : 운반손잡이 60 : 중앙선
61 : 1차선 63 : 2차선
80 : 작업차량 90 : 차량

Claims (6)

  1.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수단에서 차량에 의한 가압이 감지됨에 따라 온(ON) 상태로 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가 온(ON)으로 됨에 따라 차량의 진입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경보발생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의 온(ON)/오프(OFF) 상태에 따른 상기 경보발생부에서의 신호의 발생 및 발생될 신호의 종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평상시와 압력감지시에 외부장치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장치와의 접점이 변환되는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출력단자는 평상시에는 오프(OFF)로 되어 있다가 압력감지시에 온(ON)으로 되는 A접점과, 평상시에는 온(ON)으로 되어 있다가 압력감지시에 오프(OFF)로 되는 B접점과, 상기 A접점과 B접점의 공통단자인 COM접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일단이 밀폐된 압력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압력호스의 타단에 장착되어 차량의 진입에 따른 압력이 상기 압력호스에 가해지면 상기 압력호스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운반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압력호스는 호스릴에 권취되고, 상기 경보발생부 및 제어부는 상기 호스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호스에는 차량의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6. 삭제
KR2020080006320U 2008-05-15 2008-05-15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KR200450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20U KR200450797Y1 (ko) 2008-05-15 2008-05-15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20U KR200450797Y1 (ko) 2008-05-15 2008-05-15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42U KR20090011742U (ko) 2009-11-19
KR200450797Y1 true KR200450797Y1 (ko) 2010-11-01

Family

ID=4447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320U KR200450797Y1 (ko) 2008-05-15 2008-05-15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009B1 (ko) * 2014-07-01 2016-04-29 한국도로공사 도로작업 안전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362A (ja) 1998-09-16 2000-03-31 Seikosha:Kk 車両進入警報システム
JP2004353223A (ja) 2003-05-28 2004-12-16 Furukawa Co Ltd 標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362A (ja) 1998-09-16 2000-03-31 Seikosha:Kk 車両進入警報システム
JP2004353223A (ja) 2003-05-28 2004-12-16 Furukawa Co Ltd 標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42U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US9262919B2 (en) Street lamp for providing safe driving inform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 driving information using street lamp
KR20070086432A (ko) 교통신호모니터 및 운전자경고장치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31947B1 (ko) 도로 공사현장에서의 사고 예방 경보장치
JPS62140198A (ja) 緊急車運行制御システム
JP4982138B2 (ja) 車両遮断装置
KR101405398B1 (ko) 보행자친화형 안전 알림장치 및 방법
KR20130112173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413236Y1 (ko) 교통정온화용 교통사고 방지 경고시스템
US20150329039A1 (en) Blinker-activated warning system for vehicles
KR200450797Y1 (ko) 작업자 보호를 위한 차량 진입 경보장치
KR101819420B1 (ko) 졸음쉼터 진출입 알림 시스템
KR101770986B1 (ko) 사고 발생 경고용 무선 전광시스템
JP2010065402A (ja) 道路用安全システム及び警報方法
JP2010065403A (ja) 道路用安全システム及び警報方法
JP2000090362A6 (ja) 車両進入警報システム
JP2011206115A (ja) トンネル火災告知設備
JP2000090362A (ja) 車両進入警報システム
KR200257747Y1 (ko) 터널 내부의 교통상황 경보장치
KR20020067246A (ko) 자동차용 사고처리시스템
KR101927031B1 (ko) 음주 운전 단속 및 교통 사고 처리시 관계자들의 2차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JP2007309078A (ja) 道路用警報装置及び警報方法
JP7066170B2 (ja) 安全歩行通路における注意喚起システムの利用方法
JP3019748U (ja) 特定区域警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