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180Y1 - 차량의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180Y1
KR200449180Y1 KR2020100002384U KR20100002384U KR200449180Y1 KR 200449180 Y1 KR200449180 Y1 KR 200449180Y1 KR 2020100002384 U KR2020100002384 U KR 2020100002384U KR 20100002384 U KR20100002384 U KR 20100002384U KR 200449180 Y1 KR200449180 Y1 KR 200449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height
screw
vehicle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to KR2020100002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1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1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견인물을 견인하는 차량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핀공이 마련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외주면을 감싼 채로 상기 고정바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제2핀공이 마련된 높낮이 조절구;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제2핀공으로부터 상기 제1핀공을 관통하여 끼워져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핀; 및 상기 높낮이 조절구에 결합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구와 함께 이동하며 피견인물을 연결하는 피견인물 결합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피견인물의 높낮이에 맞춰 차량의 견인 장치의 높낮이를 간단하게 조절함으로써 견인 장치 내지 피견인물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미연이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견인 장치 {Towing apparatus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피견인물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차량 등에는 트레일러 하우스나 보트 등을 안착시켜서 견인하기 위한 보트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 또는 각종 트레일러를 연결하기 위한 트레일러 견인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차량의 리어범퍼측 하단부의 차체 프레임에 U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방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측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횡간바가 용접과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각각의 측방프레임을 연결하는 횡간바가 상기 측방프레임 내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고정된 규격에만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단점은 제품 출고시부터 일체로 용접되고 출고되므로 소비자 또는 도소매업자로 유통시 포장되는 부피가 커서 물류비의 증가를 피할 수 없으므로 생산단가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경제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연결되는 트레일러는 그 크기와 중량이 모두 다르므로 차량에 연결될 때 높이가 낮거나 높아지는 지상고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트레일러의 높이 차이는 차량의 운행시 연결하는 견인 장치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레일러의 앞부분이 기울어져서 연결장치에 하중이 편중되고 연결장치의 파손을 불러오고 심지어는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끊어져서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차량의 운행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했고, 트레일러 견인 장치 자체의 수명이 짧고 제품을 통째로 전부 교환해야 하므로 교환설치에 따른 설비보수 및 교체비용이 과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견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피견인물을 견인하는 차량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핀공이 마련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외주면을 감싼 채로 상기 고정바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제2핀공이 마련된 높낮이 조절구;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제2핀공으로부터 상기 제1핀공을 관통하여 끼워져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핀; 및 상기 높낮이 조절구에 결합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구와 함께 이동하며 피견인물을 연결하는 피견인물 결합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견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력 제공부;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너트; 상기 높낮이 조절너트에 고정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너트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는 높낮이 조절구; 및 상기 높낮이 조절구에 결합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구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피견인물을 연결하는 피견인물 결합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견인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피견인물 결합구는 갈고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회전력 제공부는 수작업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또는 전기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상기 스크류의 상하 운동을 제한하는 스크류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스크류의 일단은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턱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레일러 등의 피견인물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견인 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인 장치 또는 피견인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견인 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 경제적이며 실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피견인물(트레일러)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간단히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는 고정바(100), 높낮이 조절구(200), 고정핀(300) 및 피견인물 결합구(400)를 포함한다.
고정바(100)는 피견인물을 견인하는 차량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바(100) 두께의 전체 또는 일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1핀공(10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1에는 그 내부가 비어있지 않은 직육면체의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형태도 가능하며, 그 단면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사각형 외에 원형, 타원형 및 다양한 다각형 형태가 가능함을 물론이다.
높낮이 조절구(200)는 그 내부가 텅빈 공중부를 가지며 상기 공중부에 고정바(100)가 삽입되게 된다.
즉, 높낮이 조절구(200)는 고정바(100)의 외주면을 감싼 채로 상기 고정바(10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2핀공(202)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핀(300)은 높낮이 조절구(200)의 제2핀공(202)으로부터 상기 제1핀공(102)을 관통하여 끼워져 높낮이 조절구(200)의 높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핀(3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높낮이 조절구(200)에 연결되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고 별도의 분리된 부품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고정핀(300)이 쇠사슬에 의해 높낮이 조절구(200)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의 견인 장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피견인물 결합구(400)는 높낮이 조절구(200)에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구(200)와 함께 이동하며 피견인물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갈고리 형태의 결합구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단순한 형태의 갈고리를 표시하였으나, 입구가 열렸다 닫혔다 할 수 있는 갈고리 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바(100), 높낮이 조절구(200), 고정핀(300) 및 피견인물 결합구(400)는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철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장착한 차량 및 피견인물(트레일러)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견인차량(20)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10)를 장착하고 트레일러, 보트, 자동차 등의 피견인물의 견인부(30)를 차량의 견인 장치(10)의 피견인물 결합구(400)에 연결하게 된다.
피견인물을 연결(결합)하기 전 또는 후에 높낮이 조절구(200)의 높이를 피견인물의 높낮이에 맞춰 조절하고 고정핀(300)을 제2핀공(202)으로부터 제1핀공(102)을 관통하도록 고정구(100)에 삽입한다.
이로써, 피견인물의 높낮이에 맞춰 안정적으로 견인함으로써 피견인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견인 장치는 스크류(500), 회전력 제공부(600), 높낮이 조절너트(700), 높낮이 조절구(800) 및 피견인물 결합구(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 제공부(600)는 스크류(500)에 회전운동을 부여하는 곳으로 수동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또는 전기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일 수 있다.
회전력 제공부(600)가 모터인 경우 모터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추가적으로 존재하며, 본 고안의 견인 장치가 설치되는 견인차량의 후면 등에 상승/하강 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상승/하강 스위치를 누르면 높낮이 조절너트(700), 높낮이 조절구(800) 및 이에 연결된 피견인물 결합구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회전력 제공부(600)의 일례로서 손잡이를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력 제공부(600)에서 얻은 동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500)는 회전운동을 하지만 그 하부에 마련된 스크류 고정부(550)에 의해 상하 운동에 제한되어 그 자체는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하지 않는다.
스크류(500)의 하부 끝단에는 스크류 고정부(550)와의 고정을 위한 걸림턱(502), 스크류 고정부(550)에는 상기 걸림턱(502)가 삽입되는 걸림턱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스크류(5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려 할 때 상기 스크류(5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도 5에는 스크류(5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억제하는 일례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기타 스크류(500)를 고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스크류(500)와 스크류 고정부(550)가 접촉하는 면에는 그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와셔 또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너트(700)는 스크류(500)에 나사결합되며 스크류(500)가 회전하기면서 그 자체는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으므로 높낮이 조절너트(700)가 대신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높낮이 조절구(800)는 높낮이 조절너트(700)에 고정되어 높낮이 조절너트(70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도 5에는 별도의 부품처럼 도시하였으나 높낮이 조절구(800)와 높낮이 조절너트(700)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높낮이 조절구(800)에 결합되며 높낮이 조절구(80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피견인물을 연결하는 피견인물 결합구(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한다.
상기 결합구의 예를 들면 갈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레일러 등의 피견인물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견인 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인 장치 또는 피견인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고정부 102 : 제1핀공
200 : 높낮이 조절구 202 : 제2핀공
300 : 고정핀 400 : 피견인물 결합구
500 : 스크류 502 : 걸림턱
550 : 스크류 고정부 600 : 회전력 제공부
700 : 높낮이 조절너트 800 : 높낮이 조절구

Claims (6)

  1. 피견인물을 견인하는 차량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제1핀공이 마련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외주면을 감싼 채로 상기 고정바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제2핀공이 마련된 높낮이 조절구;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제2핀공으로부터 상기 제1핀공을 관통하여 끼워져 상기 높낮이 조절구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핀; 및
    상기 높낮이 조절구에 결합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구와 함께 이동하며 피견인물을 연결하는 피견인물 결합구
    를 포함하는 차량의 견인 장치.
  2.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력 제공부;
    상기 스크류에 나사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너트;
    상기 높낮이 조절너트에 고정되어 상기 높낮이 조절너트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는 높낮이 조절구; 및
    상기 높낮이 조절구에 결합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구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운동하며 피견인물을 연결하는 피견인물 결합구
    를 포함하는 차량의 견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견인물 결합구는 갈고리인 차량의 견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제공부는 수작업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또는 전기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인 차량의 견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상기 스크류의 상하 운동을 제한하는 스크류 고정부가 마련된 차량의 견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일단은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스크류 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턱 삽입홈이 마련된 차량의 견인 장치.
KR2020100002384U 2010-03-09 2010-03-09 차량의 견인 장치 KR200449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84U KR200449180Y1 (ko) 2010-03-09 2010-03-09 차량의 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84U KR200449180Y1 (ko) 2010-03-09 2010-03-09 차량의 견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180Y1 true KR200449180Y1 (ko) 2010-06-22

Family

ID=4424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384U KR200449180Y1 (ko) 2010-03-09 2010-03-09 차량의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18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021B1 (ko) * 2016-11-14 2018-02-27 (주)하늘금빛특장 차량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CN108725110A (zh) * 2018-04-16 2018-11-02 荣成龙河车业有限公司 一种车尾牵引连接装置
KR101949638B1 (ko) * 2018-04-05 2019-02-18 염주안 트레일러 견인구용 연결장치
KR101976096B1 (ko) * 2018-01-31 2019-05-09 석주호 트레일러용 견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205A (ja) 1999-12-21 2001-07-03 Akutsu Yoshito 牽引車と作業機の連結ヒッチ取付け構造
JP2003226122A (ja) 2001-11-28 2003-08-12 Takao Chihara 車両牽引用の連結装置
JP2004034773A (ja) 2002-07-01 2004-02-05 Taku Fujishiro バイク牽引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8205A (ja) 1999-12-21 2001-07-03 Akutsu Yoshito 牽引車と作業機の連結ヒッチ取付け構造
JP2003226122A (ja) 2001-11-28 2003-08-12 Takao Chihara 車両牽引用の連結装置
JP2004034773A (ja) 2002-07-01 2004-02-05 Taku Fujishiro バイク牽引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021B1 (ko) * 2016-11-14 2018-02-27 (주)하늘금빛특장 차량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KR101976096B1 (ko) * 2018-01-31 2019-05-09 석주호 트레일러용 견인장치
KR101949638B1 (ko) * 2018-04-05 2019-02-18 염주안 트레일러 견인구용 연결장치
CN108725110A (zh) * 2018-04-16 2018-11-02 荣成龙河车业有限公司 一种车尾牵引连接装置
CN108725110B (zh) * 2018-04-16 2023-09-22 荣成龙河车业有限公司 一种车尾牵引连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180Y1 (ko) 차량의 견인 장치
US10336135B1 (en) Wheel adapter for a cargo container
US10538133B2 (en) Tow hook step combination
CA2621342A1 (en) Vehicle lifting and/or stabilising device, relative system and process
EP3115282A1 (en) Locking mechanism for a side skirt
KR200441719Y1 (ko) 트레일러 연결장치
CN202265312U (zh) 一种车轴吊挂装置
US20060027998A1 (en) Trailer hitch attachment
CN111963488B (zh) 一种工业吊扇的叶片辅助安装装置
CN204915878U (zh) 一种半挂车牵引座
CN210363616U (zh) 通用型自锁式车顶架
CN204310787U (zh) 电动叉车
CN219428126U (zh) 一种火车摘钩装置
CN203212161U (zh) 一种建筑升降机用连接件
CN211391063U (zh) 一种油缸装置
US20210188152A1 (en) Container binding device
CN220430400U (zh) 一种小轮平放料架牵引平板小车
CN203611966U (zh) 一种汽车驻车制动机构操纵机构
CN106428256A (zh) 汽车及汽车驾驶室紧固结构
KR200479418Y1 (ko)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CN218000307U (zh) 一种用于侧方位车位锁的链条张紧装置
CN113264292B (zh) 一种集装箱快速装卸机构
CN215847996U (zh) 一种组合式拉爆螺栓的安装装置
KR102609637B1 (ko)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EP2399790B1 (en) Nose wheel assembly and trailer provided with such a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