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418Y1 -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418Y1
KR200479418Y1 KR2020140006348U KR20140006348U KR200479418Y1 KR 200479418 Y1 KR200479418 Y1 KR 200479418Y1 KR 2020140006348 U KR2020140006348 U KR 2020140006348U KR 20140006348 U KR20140006348 U KR 20140006348U KR 200479418 Y1 KR200479418 Y1 KR 200479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vehicle
present
connecting devic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아영
Original Assignee
한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아영 filed Critical 한아영
Priority to KR2020140006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2Auxiliary devices involving supply lines, electric circ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2Auxiliary devices involving supply lines, electric circuits, or the like
    • B60D1/64Couplings or joi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레저용 보트를 싣는 트레일러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연결하고, 상기 트레일러와 차량간의 커넥터 등의 전장부품 및 전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배선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호환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상고의 높이가 다른 트레일러와 차폭 또는 지상고가 다른 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봉형상의 트레일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중앙 하부에 연장되어 니은자(ㄴ)자 형상으로 연결구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 몸체(12)의 일측 상부면에 니은자(ㄴ) 형상의 연결리브(2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에 중앙 보강판(28)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리브(24)의 상단부가 상기 중앙 보강판(28)에 연결 형성된 트레일러 연결구(102)와;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부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고정수단(110)에 의해 관통 고정되며, 차량과 연결 고정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와; 상기 몸체(10)의 좌측부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트레일러의 전장부품 및 케이블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배선 브라켓(1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는 트레일러 연결구 몸체의 상부 중앙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수직하중을 잡아주는 효과가 있고, 제작시 지그 용접이 아니 개별 용접이 가능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차량 연결부와 트레일러 연결구 몸체를 관통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이 손쉬우며, 수직하중을 줄여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트레일러와 연결시 다양한 전기장치를 손쉽게 설치하고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A TRAILER CONNECTOR HAVING A BRACKET}
본 고안은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레저용 보트를 싣는 트레일러와 다양한 종류의 차량을 연결하고, 상기 트레일러와 차량간의 커넥터 등의 전장부품 및 전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배선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호환성이 우수하게 개선된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차량에는 트레일러 하우스나 보트 등을 안착시켜서 견인하기 위한 보트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또는 각종 트레일러를 연결하기 위한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트레일러 연결장치는 차량의 리어범퍼측 하단부의 차체 프레임에 U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측방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측방 프레임을 연결하는 횡간바가 용접과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트레일러 연결장치는 각각의 측방프레임을 연결하는 횡간바가 상기 측방프레임 내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고정된 규격에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어 차폭이 큰 차량 또는 차폭이 작은 차량에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장착할 경우에는 그 차량에 적합한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주문생산에 의해 제작된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단점은 제품 출고시부터 일체로 용접되고 출고되므로 소비자 또는 도소매업자로 유통시 포장되는 부피가 커서 물류비의 증가를 피할 수 없으므로 생산단가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는 경제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연결되는 트레일러는 그 크기와 중량이 모두 다르므로 차량에 연결될 때 높이가 낮거나 높아지는 지상고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트레일러의 높이 차이는 차량의 운행시 연결하는 연결장치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레일러의 앞부분이 기울어져서 연결장치에 하중이 편중되고 연결장치의 파손을 불러오고 심지어는 트레일러 연결장치가 끊어져서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차량의 운행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했고, 트레일러 연결장치 자체의 수명이 짧고 제품을 통째로 전부 교환해야 하므로 교환설치에 따른 설비보수 및 교체비용이 과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트레일러와 차량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전원선 및 각종 케이블을 연결하여 차량의 점등을 제어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특히 유럽식, 미국식, 충전식등 다양한 종류의 전기 컨넥터에 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전기 커넥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목적 배선 브라켓을 개발하여 조립이 쉽고 견고하며 배선 및 전기 커넥터의 설치가 용이한 조립성이 우수한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7847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후부에 고정 설치되어 트레일러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연결할 수 있는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중앙에 보강판을 고정하여 차체를 연결시 보강할 수 있고, 전기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기장치의 배선시 각종 전기 케이블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미국식, 유럽식 보트 트레일러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충전식으로도 사용가능한 다목적 배선 브라켓을 구비한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봉형상의 트레일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중앙 하부에 연장되어 니은자(ㄴ)자 형상으로 연결구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 몸체(12)의 일측 상부면에 니은자(ㄴ) 형상의 리브(2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에 중앙 보강판(28)이 형성되되 상기 리브(22)의 상단부가 상기 중앙 보강판(28)에 연결 형성된 트레일러 연결구(102)와;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부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고정수단(110)에 의해 관통 고정되며, 차량과 연결 고정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와; 상기 몸체(10)의 좌측부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트레일러의 전장부품 및 케이블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배선 브라켓(112)으로 구성되어, 지상고의 높이가 다른 트레일러와 차폭 또는 지상고가 다른 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는 상기 몸체(10)의 끝단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사각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 외측부에 보강부(32)가 형성된 날개부 몸체(30)와;
상기 날개부 몸체(30)의 일측부에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장공이 형성된 받침몸체(34)와;
상기 날개부 몸체(30)와, 상기 받침몸체(34)의 중간부에 세로방향으로 세워져서 형성된 판형상의 수직몸체(38)로 이루어지되,
상기 날개부 몸체(30)와 수직몸체(38), 상기 받침몸체(34)와 수직몸체(38)와의 사이를 각각 보강하도록 고정 설치된 리브(40,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는 트레일러 연결구 몸체의 상부 중앙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수직하중을 잡아주는 효과가 있고, 제작시 지그 용접이 아니 개별 용접이 가능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차량 연결부와 트레일러 연결구 몸체를 관통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이 손쉬우며, 수직하중을 줄여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트레일러와 연결시 다양한 전기장치를 손쉽게 설치하고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전기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배선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도
본 발명은 지상고의 높이가 다른 트레일러와 차폭 또는 지상고가 다른 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봉형상의 트레일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중앙 하부에 연장되어 니은자(ㄴ)자 형상으로 연결구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 몸체(12)의 일측 상부면에 니은자(ㄴ) 형상의 연결리브(2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에 중앙 보강판(28)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리브(24)의 상단부가 상기 중앙 보강판(28)에 연결 형성된 트레일러 연결구(102)와;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부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고정수단(110)에 의해 관통 고정되며, 차량과 연결 고정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와; 상기 몸체(10)의 좌측부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트레일러의 전장부품 및 케이블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배선 브라켓(1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전기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배선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합도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100)는 먼저, 좌우로 길게 연장 돌출되고 단면이 사각 중공봉의 형상을 갖는 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에는 트레일러 연결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러 연결구(102)의 좌우측부에는 보강편(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편(104)은 트레일러와 차체의 연결시 트레일러 연결구를 견고하게 지지하고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 바람직하게는 트레일러 연결구(102)의 중앙을 따라 상방향으로 연장된 상부에는 중앙 보강판(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보강판(106)은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더욱 견고하게 보강하기 위해서 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부에는 차량과 연결하기 위한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은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110)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좌측부(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면에는 배선 브라켓(112)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선 브라켓(112)은 트레일러와 연결되는 각종 전기적인 케이블 및 전기 커넥터 등의 계전장치들을 연결하고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트레일러 연결장치(100)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몸체(10)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티(T)자 형상으로 형성된 트레일러 연결장치(100)의 중앙 전부에 트레일러 연결구(102)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트레일러 연결구(102)는 상기 몸체(10)의 중앙 전부에 설치되어 있는바, 단면이 사각인 사각 봉형상의 상기 연결구 몸체(12)가 중앙 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 몸체(12)의 전부 외측면에는 보강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14)에는 좌측부에 고정공(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 몸체(10)에 형성된 보강부(16)의 아래쪽에는 고정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 몸체(10)와 몸체(10)의 사이에는 보강편(104)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보강편(104)의 상부면과 상기 연결구 몸체(10)를 연결하고 보강하는 리브(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22)는 니은자(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22)의 양측면부에는 상기 보강편(104)과 고정되도록 덧살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22)의 전부에는 상기 연결구 몸체(12)와 고정되도록 연결리브(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22)의 후부에는 상기 중앙 보강판(106)과 연결 고정되도록 연결리브(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보강판(106)에는 고정장공(28)이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부에는 차량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가 결합 설치되는바, 상기 차량 연결 날개부(108)는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날개부 몸체(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 몸체(30)의 끝단부에는 외측면부에 보강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 몸체(30)에는 몸체(10)의 좌우측 끝단부가 각각 대응하여 끼워져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 몸체(30)의 우측부에는 평판형상의 받침몸체(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몸체(34)에는 복수 개의 고정장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 몸체(30)와 받침몸체(34)의 중간 부분에는 수직몸체(38)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몸체(38)의 우측부에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리브(40)가 고정되어 있고 일측 좌측면부는 상기 수직몸체(38)의 우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 하측면부는 상기 받침몸체(3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 몸체(30)의 상부면에는 리브(4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리브(42)의 우측부는 상기 수직몸체(38)의 좌측면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날개부 몸체(30)에는 상하로 관통하도록 고정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31)에는 고정수단(110)이 관통 결합되어 진다.
상기 고정수단(110)에 의해 날개부 몸체(30)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진다.
상기 연결구 몸체(12)의 상부면에는 좌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직사각형상의 고정편(44)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좌측 하부면에는 배선 브라켓(112)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배선 브라켓(112)은 각종 전기 장치를 손쉽게 설치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기역자(ㄱ) 또는 디귿자(ㄷ)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디귿자(ㄷ) 형상의 브라켓 몸체(46)로 이루어져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먼저, 일측부의 단면형상이 디귿자(ㄷ)로 몸체(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46)의 전부에는 전면판(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판(48)과 연결된 상부에는 상면판(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판(50)과 연결된 후부에는 후면판(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48)에는 각각의 복수 개의 통공(54,56,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54)는 미국식 전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또는 특장차용 전기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한다.
상기 통공(56)은 유럽식 전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한다.
상기 통공(58)은 국방부에 사용되는 전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또는 충전잭용 전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통공(54)의 우측부에는 보조편(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편(60)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편(60)에는 보조통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54)의 좌측부에는 보조통공(63)이 상기 보조통공(62)과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공(58)의 좌측부에는 보조편(6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편(64)에는 보조통공(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58)의 우측부에는 보조통공(65)이 상기 보조통공(66)과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공(56)의 좌우측부에는 보조통공(67,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58)의 상부에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관통형성된 사각공(6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통공(54,56,58)의 좌우측부에는 고정공(70,72) 및 고정공(80,8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공(84)은 상기 상면판(5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판(50)에는 상하로 관통되고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82)이 좌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판(50)의 상면 우측 후부에는 장공(8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판(52)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한 쌍의 장공(8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86)과 장공(88)은 각각 형성할 수 있고, 연결해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선 브라켓(112)은 당업계의 수요자가 요구하는 요청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통공이 설계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2 : 연결구 몸체
14 : 보강부 16,18 : 고정공
20 : 덧살부 22 : 리브
24,26 : 연결리브 28 : 고정장공
30 : 날개부 몸체 32 : 보강부
34 : 받침몸체 36 : 고정장공
38 : 수직몸체 40,42 : 리브
44 : 고정편 46 : 브라켓 몸체
48 : 전면판 50 : 상면판
52 : 후면판 54,56,58 : 전면통공
60,64 : 보조편 62,63,65,66 : 보조통공
67, 68 : 통공 69 : 사각공
70,72 : 고정공 80,84 : 고정공
82,86,88 : 장공
72 :

Claims (5)

  1. 삭제
  2.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봉형상의 트레일로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중앙 하부에 연장되어 니은자(ㄴ)자 형상으로 연결구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 몸체(12)의 일측 상부면에 니은자(ㄴ) 형상의 리브(2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에 중앙 보강판(28)이 형성되되 상기 리브(22)의 상단부가 상기 중앙 보강판(28)에 연결 형성된 트레일러 연결구(102)와; 상기 몸체(10)의 좌우측부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고정수단(110)에 의해 관통 고정되며, 차량과 연결 고정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와; 상기 몸체(10)의 좌측부 하면에 고정 설치되고 트레일러의 전장부품 및 케이블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배선 브라켓(112)으로 구성되어, 지상고의 높이가 다른 트레일러와 차폭 또는 지상고가 다른 차량을 서로 연결하는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결 날개부(107,108)는 상기 몸체(10)의 끝단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사각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 외측부에 보강부(32)가 형성된 날개부 몸체(30)와;
    상기 날개부 몸체(30)의 일측부에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장공이 형성된 받침몸체(34)와;
    상기 날개부 몸체(30)와, 상기 받침몸체(34)의 중간부에 세로방향으로 세워져서 형성된 판형상의 수직몸체(38)로 이루어지되,
    상기 날개부 몸체(30)와 수직몸체(38), 상기 받침몸체(34)와 수직몸체(38)와의 사이를 각각 보강하도록 고정 설치된 리브(40,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40006348U 2014-08-26 2014-08-26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KR200479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48U KR200479418Y1 (ko) 2014-08-26 2014-08-26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348U KR200479418Y1 (ko) 2014-08-26 2014-08-26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418Y1 true KR200479418Y1 (ko) 2016-01-27

Family

ID=5531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348U KR200479418Y1 (ko) 2014-08-26 2014-08-26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6547A1 (en) * 2017-08-17 2019-02-21 Rescue 42, Inc. SCISSOR LIFT TRUCK AND TRANSPARENT SYSTEM WITH VARIABLE PIT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477Y1 (ko) * 2002-03-19 2002-06-14 주식회사 드림보트 트레일러 연결장치
US20130049327A1 (en) * 2011-08-31 2013-02-28 Curt Manufacturing, Llc Electrical Mounting Bracket For H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477Y1 (ko) * 2002-03-19 2002-06-14 주식회사 드림보트 트레일러 연결장치
US20130049327A1 (en) * 2011-08-31 2013-02-28 Curt Manufacturing, Llc Electrical Mounting Bracket For H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6547A1 (en) * 2017-08-17 2019-02-21 Rescue 42, Inc. SCISSOR LIFT TRUCK AND TRANSPARENT SYSTEM WITH VARIABLE PITCH
US11639286B2 (en) 2017-08-17 2023-05-02 Rescue 42, Inc. Scissor lift cart and variable pitch carry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9585B2 (en) Underbed hitch mounting system
US20130181023A1 (en) Truck bed winch mount device
US10252756B2 (en) Integrally formed gooseneck hitch assembly
CN102616262A (zh) 新型超市购物车
KR200479418Y1 (ko) 배선 브라켓이 구비된 트레일러 연결장치
KR200441719Y1 (ko) 트레일러 연결장치
KR101642456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WO2015127906A1 (zh) 露营房车安全防护架
KR101278582B1 (ko) 자유로운 각도 형성을 가능케하는 브라켓어셈블리
CN204726302U (zh) 用于运输建筑预制件的半挂车
CN204871191U (zh) 一种越野车第一横梁及越野车
CN209442522U (zh) 汽车起重机及其走台板
US9592769B1 (en) Tow package cargo support
US11712935B2 (en) Frame and trim rings for underbed hitch mounting system
CN204675681U (zh) 一种悬臂吊起重机立柱加固装置
CN103000843A (zh) 摩托车电瓶盒组件
KR101592115B1 (ko) 자동차용 리어 임팩트 빔 결합구조
CN208453115U (zh) 半挂车及牵引装置
KR20110086970A (ko)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CN203739736U (zh) 露营房车安全防护架
RU2613655C1 (ru) Рамн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прицепа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KR200278477Y1 (ko) 트레일러 연결장치
CN210106932U (zh) 挑臂杆件
JP2018024372A (ja) 乗降用ステップ
CN210555122U (zh) 全地形车的拖挂装置以及全地形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