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970A -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970A
KR20110086970A KR1020100006387A KR20100006387A KR20110086970A KR 20110086970 A KR20110086970 A KR 20110086970A KR 1020100006387 A KR1020100006387 A KR 1020100006387A KR 20100006387 A KR20100006387 A KR 20100006387A KR 20110086970 A KR20110086970 A KR 20110086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ble tray
cable
bar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걸
Original Assignee
정희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걸 filed Critical 정희걸
Priority to KR102010000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6970A/ko
Publication of KR20110086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clamps, clips, wedges, sliding bol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43Channels formed by wire or analogous ne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종(縱)바 및 횡(橫)바로 이루어진 두 트레이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클립으로 구성되어 경량화가 가능하며, 두 트레이유닛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수의 종(縱)바 및 횡(橫)바로 이루어진 두 트레이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두 트레이유닛의 인접한 두 횡바에 각각 탄성 가압 고정되는 상부홀딩부; 상기 두 횡바 하부에 인접 배열된 두 횡바에 각각 탄성 가압 고정되는 하부홀딩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부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connecting clip for cable tray}
본 발명은 각종 제조설비 등을 갖춘 일반 공장이나 아파트형 공장(빌딩), 특히 경량성이 요구되는 선박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위한 트레이유닛에서, 다수의 종(縱)바 및 횡(橫)바로 이루어진 트레이유닛들을 견고하면서 신속하게 상호 연결시킬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종바 및 횡바로 이루어진 두 트레이유닛의 상호 연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86311호(2003.05.21.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한다.) 『케이블 트레이』가 제시되어 있는바,
해당 공보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이 배치되는 장소까지 케이블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케이블과 케이블이 서로 꼬여서 엉키지 않도록 하여 배치된 케이블을 관리하는데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므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처럼 하중이 과다하게 무거울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케이블 트레이는 하중이 많이 나가므로,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기 위한 측면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하역작업과 운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측면프레임과 연결프레임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제작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측면프레임의 상하단부가 절곡되어 각각 '['와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면프레임을 상하, 좌우로 굽히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케이블이 곡선형으로 굽어서 배치되는 곳이나 단차가 진 곳 또는 다른 쪽으로 갈라져 분기되도록 배치될 경우에 케이블 트레이를 휘고 굽혀서 제작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와 같이 기재되어 있고,
상기 선행기술은 상기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기술로서,
다량의 케이블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주변의 공간을 절약하고, 케이블 배치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인접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판과, 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연결판에 결합되어 인접되는 케이블트레이의 상단연결철심과 중단연결철심을 고정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선행기술은 두 케이블 트레이의 상호 연결 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고정판 설치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일렬의 연결 작업은 많은 시간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이때 사용되는 볼트 및 너트로 인해 자재비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해당 공보의 도면 5에서 알 수 있듯이, 상단연결철심과 중단연결첨심에 장착된 고정판이 볼트의 체결력에 의존하여 고정되어 있기에, 볼트의 헐거워짐이나 강한 물리력에 의해 고정판을 철심의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밀게 되는 경우 움직일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특히 선박 등에 설치될 경우, 외부요인(풍파(風波)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더욱더 볼트의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두 케이블 트레이의 상호 연결 고정력이 상실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은,
다수의 종(縱)바 및 횡(橫)바로 이루어진 두 트레이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두 트레이유닛의 인접한 두 횡바에 각각 탄성 가압 고정되는 상부홀딩부;
상기 두 횡바 하부에 인접 배열된 두 횡바에 각각 탄성 가압 고정되는 하부홀딩부;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부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홀딩부는 두 상부슬릿에 의한 세 상부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홀딩부의 세 분체 중 중앙 분체는 비(非)탄성형 행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홀딩부는 하나의 하부슬릿에 의한 두 하부분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슬릿에는 상기 두 트레이유닛의 인접한 두 종바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유동방지용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부는 각각 걸림 방향이 대향(對向)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홀딩부에는 탈거용 공구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계부에는 접지(接地)용 연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은,
하나의 클립으로 구성되어 제작비가 저렴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두 트레이유닛을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요인이 가해지더라도 그 연결 고정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유동방지용 돌기부가 구비되어 두 트레이유닛의 횡 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이하, '연결클립(C)'이라고 한다)은 다수의 종(縱)바(11) 및 횡(橫)바(12)로 이루어진 두 트레이유닛(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클립(C)은 취급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성을 갖도록 하나의 조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금속 판재를 절취 및 절곡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더욱 경량화를 위하여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의 구성은 크게 상부홀딩부(100), 하부홀딩부(200) 및 중계부(300)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상부홀딩부(100)는 상기 두 트레이유닛(10)의 인접한 두 횡바(12a)를 탄성 가압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상부홀딩부(100)는 갈고리 형태로 구부러져 상기 두 횡바(12a)를 감싸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홀딩부(100)는 두 상부슬릿(120)에 의해 세 상부분체(110)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 중앙에 형성된 상부분체(110b)는 그 구부러진 구간이 양측 상부분체(110a)에 비해 다소 짧게 형성되어 비(非)탄성형 행거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중앙 상부분체(110b)는 상기 횡바(12a)의 일측면 및 상면에 걸쳐지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두 상부슬릿(120)과 중앙 상부분체(110b)로 인하여 상기 상부홀딩부(100)를 상기 두 횡바(12a)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홀딩부(100)에는 탈거용 공구 삽입부(130)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양측 상부분체(110a)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횡바(12a)와의 사이에 틈(131)을 발생시켜 드라이버(D)와 같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상부홀딩부(100)를 용이하게 탈거(脫去)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홀딩부(200)는 상기 상부홀딩부(100)가 끼워진 두 횡바(12a)의 하부에 인접한 두 횡바(12b)를 각각 탄성 가압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하부홀딩부(200) 역시 갈고리 형태로 구부러져 상기 두 횡바(12b)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홀딩부(200)는 하나의 하부슬릿(220)에 의해 두 하부분체(210)로 나누어지는데, 이때 상기 하부슬릿(220)에는 상기 두 트레이유닛(10)의 인접한 두 종바(11a)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유동방지용 돌기부(2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홀딩부(100, 200)는 각각 걸림 방향이 대향(對向)되게 구성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각 홀딩부(100, 200)는 단면이 "S"형태를 갖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각 횡바(12a, 12b)에 고정된다.
또한, 이에 의해 상기 하부슬릿(220)에는 상기 두 하부분체(210)의 구부러진 구간과 상기 돌기부(221)의 사이에 두 홈이 형성되는데, 이 두 홈에 상기 두 종바(11a)가 걸리게 되어 두 트레이유닛(10)의 횡 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중계부(300)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부(100, 200)를 상호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의 중앙에는 접지(接地)용 연결부재(400)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용 연결부재(400)는 상기 두 종바(11a)를 상호 연결하여 두 트레이유닛(10)이 접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체결공(310)에 결합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중계부(300)는 보강을 위하여 소정 각도로 수차례 절곡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리브나 요철 등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연결클립(C)의 체결작업은, 인접한 두 횡바(12b)에 각각 하부분체(210)를 고정한 다음, 양측 상부분체(110a)를 가압하여 상기 두 횡바(12b) 상부에 인접 배열된 두 횡바(12a)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트레이유닛 11 ; 종바
12 ; 횡바 100 ; 상부홀딩부
110 ; 상부분체 120 ; 상부슬릿
130 ; 공구 삽입부 200 ; 하부홀딩부
210 ; 하부분체 220 ; 하부슬릿
221 ; 유동방지용 돌기부 300 ; 중계부
310 ; 체결공 400 ; 접지용 연결부재

Claims (7)

  1. 다수의 종(縱)바(11) 및 횡(橫)바(12)로 이루어진 두 트레이유닛(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두 트레이유닛(10)의 인접한 두 횡바(12a)에 각각 탄성 가압 고정되는 상부홀딩부(100);
    상기 두 횡바(12a) 하부에 인접 배열된 두 횡바(12b)에 각각 탄성 가압 고정되는 하부홀딩부(200);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부(100, 200)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딩부(100)는 두 상부슬릿(120)에 의한 세 상부분체(1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딩부(100)의 세 분체 중 중앙 분체(110b)는 비(非)탄성형 행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딩부(200)는 하나의 하부슬릿(220)에 의한 두 하부분체(21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슬릿(220)에는 상기 두 트레이유닛(10)의 인접한 두 종바(11a)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유동방지용 돌기부(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홀딩부(100, 200)는 각각 걸림 방향이 대향(對向)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홀딩부(100)에는 탈거용 공구 삽입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300)에는 접지(接地)용 연결부재(400)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KR1020100006387A 2010-01-25 2010-01-25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KR20110086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87A KR20110086970A (ko) 2010-01-25 2010-01-25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387A KR20110086970A (ko) 2010-01-25 2010-01-25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970A true KR20110086970A (ko) 2011-08-02

Family

ID=4492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387A KR20110086970A (ko) 2010-01-25 2010-01-25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69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32Y1 (ko) * 2014-03-19 2014-08-27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KR101850067B1 (ko) * 2016-01-20 2018-04-19 (주)현대멀티테크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WO2023169716A1 (en) * 2022-03-09 2023-09-1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plice plate for connecting cable tray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32Y1 (ko) * 2014-03-19 2014-08-27 다모아산업주식회사 메쉬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KR101850067B1 (ko) * 2016-01-20 2018-04-19 (주)현대멀티테크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WO2023169716A1 (en) * 2022-03-09 2023-09-1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plice plate for connecting cable tray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1917B (zh) 机架
AU2006325199B2 (en) Wire-type cable raceway, especially a cable raceway for home use
KR101075156B1 (ko) 케이블 트레이
WO2008038957A1 (en) Pole for mesh fence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KR20110086970A (ko)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KR101150844B1 (ko) 본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랙 행거
JP6263448B2 (ja) 配線ケーブルの整線具
KR101234673B1 (ko) 천정패널 클립바 및 그를 이용한 취부구조
KR20120095763A (ko) 천장틀의 설치구조
KR102058423B1 (ko) 투시형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10501U (ko) 케이블 트레이의 분전반 배선용 연결 트레이
KR101369209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JP5819082B2 (ja) 連結部材及びフェンス
KR200448522Y1 (ko) 방호선반 고정용 브라켓트
KR20110086972A (ko) 케이블 트레이용 행거클립
KR101767118B1 (ko) 케이블 트레이용 가로대
KR101413994B1 (ko) 부스바 조인트 커버
KR101407063B1 (ko) 휀스용 연결장치
KR101666992B1 (ko) 연결 조립형 케이블 트레이
JP5832053B1 (ja) 耐震壁構築用型枠構造
CN201115060Y (zh) 一种机架和机柜
JP4167971B2 (ja) 側溝の跳ね上がり防止構造
JP5405931B2 (ja) 形状保持部材付き天井野縁、天井野縁ユニット及び天井面の構造
WO2010064741A1 (en) Pole for mesh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