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209B1 -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209B1
KR101369209B1 KR1020120088219A KR20120088219A KR101369209B1 KR 101369209 B1 KR101369209 B1 KR 101369209B1 KR 1020120088219 A KR1020120088219 A KR 1020120088219A KR 20120088219 A KR20120088219 A KR 20120088219A KR 101369209 B1 KR101369209 B1 KR 101369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insertion hole
bracket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140A (ko
Inventor
황광현
Original Assignee
(주)리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월테크 filed Critical (주)리월테크
Priority to KR102012008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2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앵커 삽입공(112)이 중앙에 형성되고, 이 앵커 삽입공(112)의 좌우측에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이 삽입되는 보강재 삽입공(114)이 형성된 전면(110); 상기 전면(110)의 상,하부에서 직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면(110)의 보강재 삽입공(114)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이 걸리는 걸림핀 삽입공(122,132)이 각각 형성되는 상,하면(120,1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ㅂQ브라켓(100)은 간단한 프레스 성형공정에 의해 저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A Connecting bracket for anchor with reinforcing strip of slope wall}
본 발명은 절토부 옹벽의 시공시 앵커에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띠형 섬유보강재를 절토부에 박아놓은 앵커에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염가로 대량생산할 수 있으며, 앵커에의 설치 및 띠형 보강재의 후단부를 신속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 향상과 더불어 보강재와 앵커와의 결속력 향상으로 인해 견고한 절토부 옹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뒷채움흙 속에 장력이 크고 흙과의 마찰력이 큰 망형(일명, "지오그리드") 또는 띠형(일명, "폴드락")의 보강재를 수평으로 매립하여 수직에 가까운 전면벽을 구축하는 구조물을 의미하는데, 전형적인 보강토 옹벽은 옹벽의 전면벽을 세울 기초지점까지 자연사면의 터파기 선을 따라 터파기를 시행하고 저부에 기초부를 설치한 다음, 최하단층의 보강재가 설치될 높이까지 성토 및 다짐을 실시하고, 최하단층의 전면블록설치 및 보강재의 포설 작업을 실시한 후,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전면블록과 성토체를 일체화시킨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게 된다.
한편, 특허 제660356호에는 위에서 언급한 띠형 섬유보강재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다발이 내부에 배치되고 외부에 폴리에틸렌 수지가 피복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중간 부분에 접힘홈이 형성되어 보강재의 선단을 반 폭으로 접어 블록의 보강재 삽입홈에 걸어줄 수 있음은 물론 보강재의 후단을 반 폭으로 접어 수동 저항체에 핀으로 고정하거나 또는 실용신안등록 제42794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절토부에 박힌 앵커의 노출부에 형성된 고리에 걸어주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 외에도 절토부에 시공하는 보강토 옹벽은 그 뒷채움길이가 짧으므로 충분한 지지력의 확보를 위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띠형 섬유보강재를 절토부의 앵커에 연결하는 방법이 특허 제1072414호에 개시된 보강토 옹벽에도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제1091846호에는 지오그리드를 앵커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공개 제2012-77041호에도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 연결용 앵커 너트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 또는 앵커 너트는 주조방법에 의해 제작되므로 이의 성형 및 가공과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비싸고, 앵커(통상, 이형철근)에의 결속을 위하여 앵커의 말단에 수나사를 형성하여야 하거나 하는 등의 복잡한 시공과정이 수반되어야 했었으며, 그 중량 또한 무거워 물류비용의 증가는 물론 이의 운반과 설치에 작업인부가 쉽게 피로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보강재의 후단부를 연결할 때에도 개방된 고리 형태인 경우에는 시공도중 보강재가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여 작업이 까다로우며, 폐쇄형 고리 형태인 경우에는 보강재를 바늘귀에 실을 꿰듯이 끼워서 연결해주어야 했었으므로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한 구조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 섬유보강재를 절토부에 박힌 앵커에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을 염가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앵커에의 설치가 용이하며, 띠형 보강재의 후단부를 신속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보강재와 앵커와의 결속력 향상으로 인해 견고한 절토부 옹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앵커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삽입공의 좌우측에는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이 삽입되는 보강재 삽입공이 형성된 전면; 상기 전면의 상,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면의 보강재 삽입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이 걸리는 걸림핀이 끼워지는 걸림핀 삽입공이 각각 형성되는 상,하면; 으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상면의 중앙에는 브라켓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클립이 끼워지는 클립 끼움용 슬릿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하면 중의 어느 한쪽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배면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면에는 전면과 동일한 위치에 앵커 삽입공이 형성되어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클립은 앵커의 마디에 걸리는 탄성 걸림부와, 상기 탄성 걸림부의 일측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개방된 입구부와, 상기 탄성 걸림부의 타측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하면에 형성되는 걸림핀 삽입공은 일측에 2개 이상 형성되어 다수의 보강재를 하나의 앵커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 상기한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평판 상의 금속판에 앵커 삽입공과 보강재 삽입공 및 걸림핀 삽입공과 슬릿을 펀칭 프레스로 성형하는 공정; 앵커 삽입공과 보강재 삽입공이 형성된 부분을 전면으로 하고, 걸림핀 삽입공이 형성된 부분을 상,하면으로 구분하여 전면에 대하여 상,하면을 절곡 프레스로 직각으로 절곡하는 공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은 기존의 주물성형방식과는 달리 프레스 가공에 의해 생산이 가능하므로 제조원가의 절감 및 대량생산이 유리하고, 앵커에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띠형 보강재의 후단부를 신속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강재와 앵커와의 결속력도 향상되어 견고한 절토부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제조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절토부 옹벽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과 이의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브라켓(100)은 중앙에 앵커 삽입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삽입공(112)의 좌우측에는 보강토체에 매립되는 띠형 섬유보강재(200)의 후단이 삽입되는 보강재 삽입공(114)이 형성된 전면(110)과; 상기 전면(110)의 상,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면(110)의 보강재 삽입공(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띠형 섬유보강재(200)의 후단이 걸리는 걸림핀(170)이 끼워지는 걸림핀 삽입공(122,132)이 각각 형성되는 상,하면(120,130); 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 중 부호 300은 상기 앵커 삽입공(112)에 삽입되는 앵커로, 이 앵커(300)는 통상 이형철근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브라켓은 이형철근으로 이루어진 앵커 외에도 여타의 앵커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부호 400은 옹벽을 형성하는 전면 블록이고, 부호 500은 블록과 절토부 사이에 매립되고 타설되는 보강토체이며, 부호 600은 절토부이다.
또한, 부호 150은 상기 앵커(300)의 후단에 끼워지는 웨지 너트로, 이는 앵커(300)에 브라켓(100)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원추형의 몸통(152) 내부에 원호 형의 분할형 웨지(154)가 삽입되어 앵커(300)의 표면에 압박되면서 쐐기작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웨지 너트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면(120)의 중앙에는 앵커(300)에 연결된 브라켓(100)의 후퇴, 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클립(160)이 끼워지는 클립 끼움용 슬릿(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160)은 앵커(300)의 마디(310)에 걸리는 탄성 걸림부(162)와, 상기 탄성 걸림부(162)의 일측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개방된 입구부(164)와, 상기 탄성 걸림부(162)의 타측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166)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클립(160)은 탄성이 우수한 탄소강 철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성형함으로써 자체의 탄성에 의해 입구부(164)가 벌어지면서 앵커(300)에 끼워지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 걸림부(162)가 이형 철근으로 이루어진 앵커(300)를 감싸서 마디(310)에 걸리도록 오므라지게 됨으로써 보강재의 연결작업 도중 브라켓(100)이 절토부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걸림핀(17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육각 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도시 안 된 너트를 체결하여 줌으로써 작업도중 걸림핀이 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 걸림핀(170)도 부식방지를 위해 아연도금을 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앵커 삽입공(112)은 상하방향으로 긴 장공형태를 이루어 앵커(300)의 설치각도가 현장마다 다르더라도 앵커 삽입공(112)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 삽입공(114)의 상하 폭은 띠형 섬유보강재(200)의 후단부를 반 폭으로 접어서 끼우거나 아니면 원래의 폭으로 펼쳐서 끼우는 것이 가능하도록 사용되는 보강재의 폭 보다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재 삽입공(114)의 좌우 폭 또한 다양한 보강재의 포설 각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는 한 가능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하면(120,130)에 형성되는 걸림핀 삽입공(122,132)은 상기 전면(110)의 보강재 삽입공(114)의 대응되는 위치 즉, 보강재 삽입공(114)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선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걸림핀 삽입공(122,132)을 한 쪽에 2개 이상 형성하여 여러 개의 띠형 섬유보강재를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을 제조하는 공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소정 두께로 이루어진 평판 상의 금속판(100')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앵커 삽입공(112)과 보강재 삽입공(114) 및 걸림핀 삽입공(122,132) 그리고 슬릿(124)을 펀칭 프레스로 성형하는 공정(S1)을 거친다.
다음으로는, 앵커 삽입공(112)과 보강재 삽입공(114)이 형성된 부분을 전면(110)으로 하고, 걸림핀 삽입공(122,132)이 형성된 부분을 상,하면(120,130)으로 구분하여 상기 전면(110)에 대하여 상,하면(120,130)을 프레스로 직각으로 절곡하는 공정(S2)을 거치는 것에 의해 제작이 완료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브라켓이 하나만 성형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프레스 설비에서 코일 상태의 평판을 연속으로 공급하면서 블랭킹(펀칭) 및 프레싱(절곡)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고 최종적으로 낱개로 스트리핑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무인화 설비에 의해 자동으로 생산이 가능하므로 소요설비 및 생산인력이 그다지 많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주조식 커넥터의 제조방법과 대비할 때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은 토체 내부에 매립되므로 표면에 부식방지를 위한 도막층을 형성하거나 침탄 가공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소재 자체를 일반 철판 대신에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펀칭 금형과 벤딩금형만을 제작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프레스 설비에서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여기에 더불어 기존의 주조방법에서와 같이 용탕설비 등이 필요 없으므로 저가로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소재의 소모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제품의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브라켓은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 예의 브라켓과 동일하며, 다만, 브라켓의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면(120,130) 중의 어느 한쪽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배면(1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면(140)에는 전면(110)과 동일한 위치에 앵커 삽입공(142)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브라켓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면(120,130)에 형성되는 걸림핀 삽입공(122,132)이 상기 전면(110)의 보강재 삽입공(114)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한 쪽에 2개씩 형성함으로써 한쪽에 2개의 띠형 섬유보강재 즉, 하나의 브라켓에 4개의 띠형 섬유보강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점에 차이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절토부 옹벽의 단면도로, 본 발명은 절토부 사면에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에서 사면의 절토량을 최소화하거나 암반 등으로 인해 보강토체의 뒷채움길이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보강토체(400)에 매립되는 띠형 섬유보강재(20)의 마찰저항에 부가하여 앵커(300)의 수동저항이 옹벽 즉, 블록(400)을 지지해주게 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는 절토부의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며, 시공성 및 경제성에 있어서도 띠형 섬유보강재의 후단부를 앵커에 신속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연결 후에는 쉽게 풀리지 않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강재와 앵커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 또한 기존의 주물제품보다 훨씬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유리하므로 시공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100 : 브라켓 110 : 전면
112 : 앵커 삽입공 114 : 보강재 삽입공
120 : 상면 122 : 걸림핀 삽입공
124 : 클립 끼움용 슬릿 130 : 하면
132 : 걸림핀 삽입공 140 : 배면
150 : 웨지 너트 152 : 몸통
154 : 웨지 160 : 클립
162 : 탄성 걸림부 164 : 입구부
166 : 손잡이부 170 : 걸림핀
200 : 띠형 섬유보강재 300 : 앵커
400 : 블록 500 : 보강토체
600 : 절토부

Claims (7)

  1. 중앙에 앵커 삽입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 삽입공(112)의 좌우측에는 보강토체(500)에 매립되는 띠형 섬유보강재(200)의 후단이 삽입되는 보강재 삽입공(114)이 형성된 전면(110);
    상기 전면(110)의 상,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직각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전면(110)의 보강재 삽입공(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띠형 섬유보강재(200)의 후단이 걸리는 걸림핀(170)이 끼워지는 걸림핀 삽입공(122,132)이 각각 형성되는 상,하면(120,13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120)의 중앙에는 브라켓(100)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클립(160)이 끼워지는 클립 끼움용 슬릿(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하면(120,130) 중의 어느 한쪽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배면(1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배면(140)에는 전면(110)과 동일한 위치에 앵커 삽입공(1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립(160)은 앵커(300)의 마디에 걸리는 탄성 걸림부(162)와, 상기 탄성 걸림부(162)의 일측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개방된 입구부(164)와, 상기 탄성 걸림부(162)의 타측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16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 삽입공(112)은 상하방향으로 긴 장공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하면(120,130)에 형성되는 걸림핀 삽입공(122,132)은 일측에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7. 청구항 1 또는 2의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평판 상의 금속판에 앵커 삽입공(112)과 보강재 삽입공(114) 및 걸림핀 삽입공(122)과 슬릿(124)을 펀칭 프레스로 성형하는 공정(S1);
    앵커 삽입공(112)과 보강재 삽입공(114)이 형성된 부분을 전면(110)으로 하고, 걸림핀 삽입공(122,132)이 형성된 부분을 상,하면(120,130)으로 구분하여 전면(110)에 대하여 상,하면(120,130)을 절곡 프레스로 직각으로 절곡하는 공정(S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의 제조방법.
KR1020120088219A 2012-08-13 2012-08-13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9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219A KR101369209B1 (ko) 2012-08-13 2012-08-13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219A KR101369209B1 (ko) 2012-08-13 2012-08-13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140A KR20140022140A (ko) 2014-02-24
KR101369209B1 true KR101369209B1 (ko) 2014-03-04

Family

ID=50268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219A KR101369209B1 (ko) 2012-08-13 2012-08-13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2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3948A1 (en) * 2015-12-03 2017-06-08 Fraser Maurice Andrew Void former
KR20230121413A (ko) 2022-02-11 2023-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602B1 (ko) * 2014-11-07 2015-06-25 (주)신명건설기술공사 절토부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랩 보강재 연결장치
KR102638497B1 (ko) * 2023-05-09 2024-02-20 (주)디에스엘 볼트 고정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건설용 부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2380B2 (ja) * 1995-08-31 1997-10-08 黒沢建設株式会社 道 路
KR20060130338A (ko) * 2005-06-14 2006-12-19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사면보강용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구조물
KR100930829B1 (ko) 2009-05-04 2009-12-10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JP2011047242A (ja) 2009-08-28 2011-03-10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および盛土補強材の定着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2380B2 (ja) * 1995-08-31 1997-10-08 黒沢建設株式会社 道 路
KR20060130338A (ko) * 2005-06-14 2006-12-19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사면보강용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구조물
KR100930829B1 (ko) 2009-05-04 2009-12-10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JP2011047242A (ja) 2009-08-28 2011-03-10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および盛土補強材の定着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3948A1 (en) * 2015-12-03 2017-06-08 Fraser Maurice Andrew Void former
US10556366B2 (en) 2015-12-03 2020-02-11 Maurice Andrew FRASER Void former
KR20230121413A (ko) 2022-02-11 2023-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140A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6320C (en) Construction method for band type fiber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ed-soil retaining-wall
KR101369209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004470A (ja) 盛土補強構造
JPH08507339A (ja) 土木格子材と共に用いる保持用壁ブロック
BRPI0708683A2 (pt) estrutura de solo estabilizada e elementos de revestimento para sua construção
CA2902876C (en) Loop and saddl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stablized earth wall
KR101201610B1 (ko) ┳형 결착구에 의한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US20140314501A1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0328621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KR20080108863A (ko) 보강토 옹벽 지지를 위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형태유지구 및이를 이용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KR200453027Y1 (ko) 띠형 섬유 보강재의 연결이 용이한 옹벽 축조용 블록
US8443567B2 (en) Spacer for welded wire reinforcement in concrete structures
KR102065623B1 (ko) 개량형 멍에트러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거푸집 구조
KR101185940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립 보강재 및 이의 시공방법
WO2007012864A1 (en) Ground reinforcement
KR100349985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JP2854536B2 (ja) 盛土法面形成方法および盛土法面形成用ユニット
KR20110086970A (ko)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클립
CN205742643U (zh) 新型装配式建筑连接节点
KR0150296B1 (ko) 조립식 옹벽 지지구
KR101527703B1 (ko)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을 포함하는 옹벽블록조립체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586027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EP4026952A1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mse) retaining wall employing round rods with spaced pullout inhibiting structures
JPH06185043A (ja) ジオグリッド材の連結具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