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637B1 -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 Google Patents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9637B1 KR102609637B1 KR1020230112441A KR20230112441A KR102609637B1 KR 102609637 B1 KR102609637 B1 KR 102609637B1 KR 1020230112441 A KR1020230112441 A KR 1020230112441A KR 20230112441 A KR20230112441 A KR 20230112441A KR 102609637 B1 KR102609637 B1 KR 1026096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go
- loading box
- fixing bracket
- truck
- loa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60P7/04—Covering of load by tarpaulins or like flexibl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23—Straps; Tighte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트럭의 적재함 바닥에 설치되어 적재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트럭의 안전운행을 보장할 수 있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어 적재물에 따른 신속한 대응설치가 가능하며, 적재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와이어를 이용한 밴딩방식 또는 매쉬시트를 이용한 고정방식 등 적재물에 따른 다양한 적재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에 의하여 적재물을 적재함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재할 수 있어 적재물의 상차 및 하차시 지게차의 사용이 용이하여 신속한 적재물의 상하차를 보장할 수 있고 적재물을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 트럭의 적재함 바닥에 설치되어 적재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트럭의 안전운행을 보장할 수 있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어 적재물에 따른 신속한 대응설치가 가능하며, 적재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와이어를 이용한 밴딩방식 또는 매쉬시트를 이용한 고정방식 등 적재물에 따른 다양한 적재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에 의하여 적재물을 적재함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재할 수 있어 적재물의 상차 및 하차시 지게차의 사용이 용이하여 신속한 적재물의 상하차를 보장할 수 있고 적재물을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트럭에는 예컨대 데크(deck)라 칭하는 화물적재함이 제공된다. 이 같은 화물적재함을 일반적으로 장방형을 이루며 적재함바닥과, 양측에 2개의 측방도어 및 후방에 후방도어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적재함바닥은 대개 화물의 적절한 적재를 위해 평탄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적재함 바닥이 평탄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화물이 적재함을 완전히 채우지 못하는 경우, 즉, 소형화물이 적재함의 일부만을 점유하는 경우 자동차의 주행중 화물의 유동이 발생하며, 이 같은 유동으로 인해 화물의 내용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시켜왔으나, 이는 번거로울 뿐 아니라 또한 로프의 장력으로 인해 화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로프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경우 측방도어와 후방도어에 형성된 고리에 로프를 걸어 적재함에 형성된 화물을 고정시키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고정방식 또한 화물이 적재함에 만재(滿載)된 상태 하에서 만이 가능한 것으로, 부피가 매우 적고 중량이 과중한 화물은 고리를 이용한 로우프로의 고정이 불가능하여 적재함의 어느한쪽 모서리에 싫고 그대로 운행하기 때문에 화물이 적재함 바닥에서 유동되는 폐단이 있고 특히 충격에 약한 화물은 파손을 초래하여 왔다.
뿐만 아니라 충격에 강하고 파손의 우려가 없는 화물이라 하더라도 운행시 급커브 길에서는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면서 차가 전복되는 등의 위험성도 수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적재함의 바닥부분에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고리를 형성하여 화물을 고정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적재함 바닥부분에 고리를 형성하여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 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21-0034169호(공개일: 2021년 03월 30일) 냉동 컨테이너용 화물 고정기구는, 하부에는 냉동 컨테이너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되는 " ┏ ┓" 형상의 배수홈에 내입 결속될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걸림판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의 중심에는 상방으로 수직 돌출되는 결속볼트가 형성되는 걸림부재 및, 내부에는 상기 결속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결속볼트를 타고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암나사공이 형성되되, 상부에는 냉동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화물을 결속하는 로프와 연결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특허등록 제10-0411161호(등록일: 2003년 12월 02일)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화물 고정구조는, 플로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의 사이드 게이트가 마련되고, 플로어의 후방에는 리어 게이트가 마련되는 적재함이 캐빈의 후방에 장착되는 화물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플로어에 다수의 결합공이 격자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하부에는 웰드너트가 용착되며, 상기 웰드너트에는 상단부에 로프를 걸 수 있는 걸이부가 형성된 다수의 이동 로프후크가 결합공을 통해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화물트럭의 적재구조는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고정기구를 설치할 수 있어 적재물에 따른 신속한 대응설치가 가능한 구성적 특징은 있으나, 화물의 고정 형태가 로프를 후크에 연결하여 적재물을 고정하는 형태로 한정적사용되어 다양한 형태의 화물에 범용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한계에 의하여 대중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구는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는 하나의 특징만을 가지고 있어 활용성에 한계가 있으며, 화물의 무게에 따라서 지게차를 이용한 화물의 적재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차와 하차를 위한 받침목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높은 강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보관, 설치 및 분리와 같은 취급이 용이하고,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 형태에 따라 간단하게 적재함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설치하여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부에 형성된 고리를 이용하여 로프를 이용한 화물의 결속방식 또는 매쉬시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덮어 고정하는 결속방식 등 적재되는 화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결속방식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우수한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적재되는 화물에 밀착시키고 가압하여 1처적으로 브라켓을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하고 2차적으로 로프 또는 매쉬시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형태를 갖음으로써 화물의 적재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중 화물의 이동이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부분에 가압볼트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되며 저면에 적재함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부에 로프가 연결되는 고리부 및, 하부에 적재함의 바닥면에 설치된 바닥판재의 체결수단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재는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일면에 상기 구멍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암나사공과 관통공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수단이 용접되어 일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부에 끼움되며 일측에 매쉬시트 또는 보호커버의 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매쉬시트 또는 보호커버를 화물에 덮고 단부에 형성된 연결봉을 고리부에 끼움하여 화물을 덮어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높이는 지게차 포크의 원활한 유입을 위하여 100cm ~ 150cm 범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은,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브라켓의 설치위치를 신속하게 이동하여 적재함의 바닥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물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간단한 설치로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은 적재함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판재의 체결수단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바닥판재 역시 복수 개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적재함의 바닥면에 체결됨으로써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에 로프를 걸어 화물을 결속하는 형태로 고정하거나 또는 고리에 매쉬시트가 형성된 연결관을 끼움하여 화물을 매쉬시트가 덮어 고정하는 등 적재되는 화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고정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화물의 고정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에 형성된 가압볼트는 브라켓의 일측으로 위치되는 화물의 측면을 가압하여 화물의 적재상태를 1차적으로 고정하며 특히, 상기 가압볼트와 화물 사이에 각관을 위치시키고 가압볼트를 조임하여 각관을 이용하여 화물의 측면 전체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어 화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로프 또는 매쉬시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형태를 갖음으로서 화물의 요동으로 인한 내용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트럭의 급출발 시나 급제동시 발생되는 유동으로부터 화물을 안정되게 보호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안전운행에도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대략 높이가 100cm ~ 150cm 범위로 적재함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적재되는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적재된 상태에서 로프 또는 매쉬시트로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지게차의 포크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 화물의 상차 및 하차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설치를 위해 적재함 바닥에 조립되는 바닥판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중 바닥판재가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바닥판재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A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설치를 위해 적재함 바닥에 조립되는 바닥판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중 바닥판재가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바닥판재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A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사용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의 설치를 위해 적재함 바닥에 조립되는 바닥판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중 바닥판재가 적재함 바닥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바닥판재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A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상태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 화물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화물 트럭의 적재함 바닥에 설치되어 적재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어 트럭의 안전운행을 보장할 수 있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브라켓을 설치할 수 있어 적재물에 따른 신속한 대응설치가 가능하며, 적재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와이어를 이용한 밴딩방식 또는 매쉬시트를 이용한 고정방식 등 적재물에 따른 다양한 적재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에 의하여 적재물을 적재함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재할 수 있어 적재물의 상차 및 하차시 지게차의 사용이 용이하여 신속한 적재물의 상하차를 보장할 수 있고 적재물을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이하, '고정 브라켓'이라 한다)(100)은 중앙부분에 가압볼트(40)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공(11)이 형성된 밀착부(10)와 상부에 로프(60)가 연결되는 고리부(20)와 하부에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구멍(2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221)이 형성된 부분의 일면에 체결수단(2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바닥판재(220)에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리부(20)와 밀착부(10)는 대략 " +" 형태로 형성되어 밀착부(10)가 적재함(200)의 바닥판재(220)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리부(20)가 화물과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리부(20)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밀착부(10)의 구성에 의하여 고정 브라켓(100)이 적재함(200)의 바닥판재(2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무리한 장력이 발생되더라도 회전하거나 휘어짐과 같은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현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부(30)는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형성된 바닥판재(220)의 구멍(221)을 관통하여 체결수단(23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 브라켓(100)을 적재함(200) 바닥판재(220)에 조립하는 구성으로써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구멍(221)을 관통하여 체결수단(230)에 나사체결된다.
또한, 상기 나사부(30)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홈(31)을 형성하여 차 후 채결수단(230)에 결합되는 볼트(300)의 머리부분이 수용되도록하여 나사부(30)가 걸림없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재(220)는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구멍(221)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판재(222)와, 상기 판재(222)의 구멍(221)과 동일선상에 부착되며 중앙부분에 암나사공(231)과 관통공(232)이 연통되게 형성되는 체결수단(2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2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222)의 구멍(221)이 형성된 부분에 용접되어 판재(222)와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구성된 적재함(200) 바닥면(210)의 골 부분에 끼움되어 판재(222)가 바닥면(210)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며 가장자리 부분이 용접이나 볼팅과 같은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적재함(200) 바닥면(2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는 상기 체결수단(230)이 위치되는 부분에 나사공(211)을 형성하여 차 후 바닥판재(220)가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고정되는 형태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300)가 체결수단(230)의 관통공(232)을 관통하여 나사공(211)에 나사체결되어 보조적으로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바닥판재(220)를 고정함과 동시에 고정브라켓(100)의 설치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 바닥판재(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벳(400)을 체결수단(230)의 관통공(232)과 적재함(200)의 나사공(211)을 관통시켜 체결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바닥판재(220)를 적재함(200) 바닥면(2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닥판재(220)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체결수단(230)의 관통공(232)을 이용하여 적재함(200) 바닥면(210)과 볼트(300) 또는 리벳(400)으로 연결함으로써 바닥판재(220)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100)은 적재함(200)에 설치된 바닥판재(220)에 화물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화물의 전방과 후방 또는 좌측과 우측으로 노출된 바닥판재(220)의 구멍(221)에 고정 브라켓(100)의 나사부(30)를 관통시켜 나사부(30)가 체결수단(230)의 암나사공(231)에 나사체결하여 고리부(20)의 개방된 부분이 적재된 화물의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고리부(20)에 로프(60)를 걸고 당김하여 장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적재된 화물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밀착부(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암나사공(11)에는 가압볼트(40)가 나사체결되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볼트(40)의 단부가 적재된 화물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각관(50)을 화물과 가압볼트(40) 사이에 설치하여 대략 화물의 일측면에 복수 개의 고정 브라켓(100)이 설치되는 경우 복수 개의 가압볼트(40)가 각관(50)에 의하여 화물의 측면을 전체적으로 밀착 가압하는 형태를 갖음으로써 균일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어 안정적인 화물의 적재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100)의 높이는 대략 100cm ~ 150cm 범위로 형성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되는 화물이 판상으로 이루어진 화물인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상면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양측에 이격 설치된 고정 브라켓(100)에 로프(60)를 이용하여 화물을 결속함으로써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고정브라켓(100)의 높이에 의하여 형성된 장비유입공간(S)으로 지게차의 포크가 쉽게 유입될 수 있어 화물의 승하 및 하차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100)을 이용한 다른 형태의 화물 결속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형태가 복잡하거나 또는 경량으로 바람에 쉽게 날리거나 또는 우천시 화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매쉬시트 또는 보호커버를 이용하여 화물에 덮어 고정하는 형태로 화물을 보호하는데, 이때, 고리부(20)에 연결봉(70)을 끼움하고 상기 연결봉(70)에 매쉬시트 또는 보호커버(80)의 단부를 고정하는 형태로 화물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트의 고정방식은 종래 화물을 덮개로 덮어 보호한 상태에서 적재함에 형성된 고리에 로프를 걸어 화물을 보호하는 적재 방식과 대비하여 높은 작업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 및 작업피로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은,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브라켓의 설치위치를 신속하게 이동하여 적재함의 바닥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화물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현장 적용성이 우수하고 간단한 설치로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에 로프를 걸어 화물을 결속하는 형태로 고정하거나 또는 고리부에 매쉬시트가 형성된 연결관을 끼움하여 화물을 매쉬시트가 덮어 고정하는 등 적재되는 화물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고정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다양한 화물의 고정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또한, 브라켓에 형성된 가압볼트는 브라켓의 일측으로 위치되는 화물의 측면을 가압하여 화물의 적재상태를 1차적으로 고정하며 특히, 상기 가압볼트와 화물 사이에 각관을 위치시키고 가압볼트를 조임하여 각관을 이용하여 화물의 측면 전체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어 화물을 고정한 상태에서 2차적으로 로프 또는 매쉬시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고정하는 형태를 갖음으로서 화물의 요동으로 인한 내용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트럭의 급출발 시나 급제동시 발생되는 유동으로부터 화물을 안정되게 보호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안전운행에도 도움을 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대략 높이가 100cm ~ 150cm 범위로 적재함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적재되는 화물이 적재함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적재된 상태에서 로프 또는 매쉬시트로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지게차의 포크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 화물의 상차 및 하차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고정 브라켓
10 : 밀착부 11 : 암나사공
20 : 고리부 30 : 나사부
40 : 가압볼트 50 : 각관
60 : 로프 70 : 연결봉
80: 매쉬시트
200 : 적재함
210 : 바닥면 220 : 바닥판재
221 : 구멍 230 : 체결수단
231 : 암나사공 232 : 관통공
300 : 볼트 400 : 리벳
10 : 밀착부 11 : 암나사공
20 : 고리부 30 : 나사부
40 : 가압볼트 50 : 각관
60 : 로프 70 : 연결봉
80: 매쉬시트
200 : 적재함
210 : 바닥면 220 : 바닥판재
221 : 구멍 230 : 체결수단
231 : 암나사공 232 : 관통공
300 : 볼트 400 : 리벳
Claims (4)
- 화물 트럭의 적재함(200) 바닥면(210)에 설치되어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100)은, 중앙부분에 가압볼트(40)가 나사체결되는 암나사공(11)이 형성되며 저면에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밀착되는 밀착부(10)와, 상부에 로프(60)가 연결되는 고리부(20)와, 하부에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설치된 바닥판재(220)의 체결수단(230)에 나사체결되며 단부에 내측으로 함몰된 홈(31)이 형성된 나사부(30) 및, 상기 가압볼트(40)와 화물의 사이에 위치되어 화물의 측면을 균일한 밀착력으로 전체적으로 가압하는 각관(50)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재(220)는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구멍(221)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판재(222)와, 상기 구멍(221)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암나사공(231)과 관통공(232)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체결수단(230)이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20)와 밀착부(10)는 " +" 형태로 형성되어 밀착부(10)가 적재함(200)의 바닥판재(220)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리부(20)가 화물과 수평으로 위치되며,
여기서, 상기 바닥판재(220)의 체결수단(230)은 복수 개의 산과 골이 연속적으로 구성된 적재함(200) 바닥면(210)의 골 부분에 끼움되어 판재(222)가 바닥면(210)에 전체적으로 밀착되며 볼트 또는 리벳이 관통공(232)과 바닥면(210)에 형성된 나사공(211)을 관통하여 적재함(200)의 바닥면(21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20)에 끼움되며 일측에 매쉬시트 또는 보호커버(80)의 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봉(70)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매쉬시트 또는 보호커버(80)를 화물에 덮고 단부에 형성된 연결봉(70)을 고리부(20)에 끼움하여 화물을 덮어 고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100)의 높이는 지게차 포크의 원활한 유입을 위하여 100cm ~ 150cm 범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12441A KR102609637B1 (ko) | 2023-08-27 | 2023-08-27 |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12441A KR102609637B1 (ko) | 2023-08-27 | 2023-08-27 |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9637B1 true KR102609637B1 (ko) | 2023-12-01 |
Family
ID=8912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12441A KR102609637B1 (ko) | 2023-08-27 | 2023-08-27 |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9637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8089A (ja) * | 1998-07-23 | 2000-02-08 | Fuji Heavy Ind Ltd | トノカバー装置 |
KR200273283Y1 (ko) * | 2001-11-22 | 2002-04-25 | 체센 류 | 운송수단의 탑재함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로프를 죄기위해 변형된 고정장치 |
KR20020080719A (ko) * | 2001-04-17 | 2002-10-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화물 고정구조 |
JP2011025789A (ja) * | 2009-07-23 | 2011-02-10 | Nippon Fruehauf Co Ltd | 運搬車両の荷台におけるパレットの固定構造 |
KR20210034169A (ko) | 2019-09-20 | 2021-03-30 | 양우석 | 냉동 컨테이너용 화물 고정기구 |
-
2023
- 2023-08-27 KR KR1020230112441A patent/KR1026096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8089A (ja) * | 1998-07-23 | 2000-02-08 | Fuji Heavy Ind Ltd | トノカバー装置 |
KR20020080719A (ko) * | 2001-04-17 | 2002-10-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화물 고정구조 |
KR100411161B1 (ko) | 2001-04-17 | 2003-12-1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화물 고정구조 |
KR200273283Y1 (ko) * | 2001-11-22 | 2002-04-25 | 체센 류 | 운송수단의 탑재함에서 화물을 고정하는 로프를 죄기위해 변형된 고정장치 |
JP2011025789A (ja) * | 2009-07-23 | 2011-02-10 | Nippon Fruehauf Co Ltd | 運搬車両の荷台におけるパレットの固定構造 |
KR20210034169A (ko) | 2019-09-20 | 2021-03-30 | 양우석 | 냉동 컨테이너용 화물 고정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X2013002940A (es) | Larguero de un remolque de plataforma para su uso con dispositivos de restriccion de cargamento. | |
US20110049207A1 (en) | Hitch mounted cargo carrier | |
KR102481226B1 (ko) | 픽업차량의 화물 적재함 및 적재함의 데크탑 설치구조 | |
US20080014041A1 (en) | Side mounted truck tie-down rail | |
US4316688A (en) | Reinforcing removable post pocket tie-down | |
US20170028810A1 (en) | Outer guard for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s | |
US9017002B1 (en) | Rear mounted hauler apparatus for a vehicle | |
KR102609637B1 (ko) | 화물트럭 적재함용 화물 고정 브라켓 | |
KR100902984B1 (ko) | 트럭장착용 충격흡수시설 | |
EP2109555B1 (en) | Side curtain for truck and trailer bodies | |
US20170120960A1 (en) | Removable Pickup Truck Tie Down Bar | |
US8595935B2 (en) | Method of lifting a cab onto a chassis | |
KR101512128B1 (ko) | 관절식 유압크레인 전술 트럭 | |
JP6926356B2 (ja) | アオリ固定式積荷枠。 | |
EP2915771A1 (en) | Forklift head-guard structure | |
KR100831165B1 (ko) | 화물 차량 | |
US6824190B1 (en) | Truck vault | |
KR200365312Y1 (ko) | 차량 적재함 커버 | |
JP4787770B2 (ja) | ウイングロック構造 | |
KR200330672Y1 (ko) |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장치 | |
CN211196362U (zh) | 一种全挂车运载货台 | |
JP7138268B2 (ja) | アオリ固定ゲート式積荷枠。 | |
US11161447B2 (en) | Cargo/payload securement system for trucks/trailers | |
AU2017200233B2 (en) | Freight restraint | |
KR102611948B1 (ko) | 픽업 차량용 롤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