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161Y1 -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 Google Patents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161Y1
KR200447161Y1 KR20070019891U KR20070019891U KR200447161Y1 KR 200447161 Y1 KR200447161 Y1 KR 200447161Y1 KR 20070019891 U KR20070019891 U KR 20070019891U KR 20070019891 U KR20070019891 U KR 20070019891U KR 200447161 Y1 KR200447161 Y1 KR 200447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door lock
cover
lock
electronic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9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870U (ko
Inventor
유대웅
Original Assignee
한양특허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특허법인 filed Critical 한양특허법인
Priority to KR20070019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16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3Preventing opening by insertion of a tool, e.g. flexible, between door and jamb to withdraw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는, 내부몸체(20)의 하우징(22) 일측에 설치되어 원터치에 의해 도어락을 시해정시키는 열림/잠금버튼(24)이 구비된 전자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열림/잠금버튼(24)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몸체(20)의 하우징(22)에 고정되는 링형상의 커버받침대(50)와, 상기 커버받침대(50)의 전면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50a)에 일정깊이로 삽입 고정되는 링형상의 금속부재(52)와, 상기 금속부재(52)에 탈부착되면서 커버받침대(5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50b)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안쪽면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의 자석부재(54)가 고정된 캡형상의 보호커버(56)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침입자가 실외측에서 도어(42)에 구멍을 뚫고 철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열림/잠금버튼(24)까지 위치시키더라도 열림/잠금버튼(24)을 강제적으로 터치할 수 없기 때문에 도어(42)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방범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전자도어락,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 커버받침대, 자석

Description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A Protecting Cover Open and Close Button of Electronic door lock}
본 고안은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침입자가 도어락 내부몸체의 열림/잠금버튼을 터치하여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한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종래의 전자도어락에 있어서 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몸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22)이 직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그 하우징(22)의 전면 소정부에는 원터치로 도어락을 시해정시키기 위한 열림/잠금버튼(24)이 구성되는 바, 사용자가 실내측에서 신속하게 그 열림/잠금버튼(24)을 조작하여 도어락을 시해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열림/잠금버튼(24)의 하단에는 열림/잠금버튼(24)과 연동되어 래치볼트(30)를 이동시킴으로써 도어락을 시해정시키기 위한 회전레버(26)가 구성되는 바, 이 회전레버(26)는 기계적 시해정을 실행하여 도어락의 배터리 완전 소모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레버(26)의 하단에는 이중잠금버튼(28)이 구비되는 바, 이 이중잠금버튼(28)은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그 하우징(22)의 측면에 형성된 데드볼트(32)를 이동시켜 도어락을 시해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내부몸체(20)의 열림/잠금버튼(24)은 원터치시 도어락을 시해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침입자가 실외측에서 도어(미도시)에 구멍을 뚫고 예를 들어 철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열림/잠금버튼(24)을 터치할 경우 도어가 쉽게 열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침입자가 실외측에서 도어에 구멍을 뚫고 철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열림/잠금버튼까지 위치시키더라도 열림/잠금버튼을 강제적으로 터치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방범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는, 내부몸체의 하우징 일측에 설치되어 원터치에 의해 도어락을 시해정시키는 열림/잠금버튼이 구비된 전자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열림/잠금버튼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몸체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링형상의 커버받침대와, 상기 커버받침대의 전면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에 일정깊이로 삽입 고정되는 링형상의 금속부재와, 상기 금속부재에 탈부착되면서 커버받침대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 도록 안쪽면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의 자석부재가 고정된 캡형상의 보호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커버받침대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하우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보호커버는 안쪽면 가장자리 둘레측 플랜지 두께에 다수의 자석부재가 4방향으로 분산되어 함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플랜지의 두께는 상기 커버받침대의 삽입홈 폭 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금속부재와 자석부재가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플랜지의 끝단은 상기 삽입홈 내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금속부재와 자석부재가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는, 열림/잠금버튼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커버받침대의 개구부를 향해 보호커버가 자력(磁力)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침입자가 실외측에서 도어에 구멍을 뚫고 철사 등의 도구를 열림/잠금버튼까지 위치시키더라도 열림/잠금버튼을 강제적으로 터치할 수 없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방범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설명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림/잠금버튼(24)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몸체(20)의 하우징(22)에 접착부재(40)를 매개로 고정되는 링형상의 커버받침대(50)와, 상기 커버받침대(50)의 전면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50a)에 일정깊이로 삽입 고정되는 링형상의 금속부재(52)와, 상기 삽입홈(50a)을 통해 금속부재(52)에 탈부착되면서 커버받침대(5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50b)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안쪽면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의 자석부재(54)가 고정된 캡형상의 보호커버(5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접착부재(40)는 접착력이 높은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받침대(50)는 배면에 상기 접착부재(40)의 접착면적을 증대시키도록 민자로 형성되고, 정면 가장자리 둘레에 상기 금속부재(52)가 억지끼움이나 접착제에 의해 일정깊이내에서 삽입 고정되도록 삽입홈(50a)이 형성되며, 정면 중앙에 상기 열림/잠금버튼(24)이 여유있게 정면으로 노출되도록 개구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부재(52)는 상기 자석부재(54)가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링형상의 금속판이나 금속와이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부재(54)는 상기 보호커버(56)의 안쪽면에 분산 고정되어 상기 열림/잠금버튼(24)의 보호시 보호커버(56)가 커버받침대(50)의 금속부재(52)에 결합되는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보호커버(56)가 도어(42)에 부착되어 보관되는 기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커버(56)는 캡형상의 투명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쪽면 가장자리 둘레측 플랜지(56a) 두께에는 예를 들어 다수의 자석부재(54)가 4방향으로 분산되어 접착제나 억지 끼움에 의해 함몰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랜지(56a)의 두께는 상기 커버받침대(50)의 삽입홈(50a) 폭 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금속부재(52)와 자석부재(54)가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플랜지(56a)의 끝단은 상기 삽입홈(50a) 내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금속부재(52)와 자석부재(54)가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받침대(50), 금속부재(52), 보호커버(56)는 상기 하우징(22)에 설치된 열림/잠금버튼(24)의 외곽 형상에 따라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캐릭터 등으로 형상과 모양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되게 된다.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 도 5a와 같이 하우징(22)에 고정된 커버받침대(50)에 보호커버(56)를 결합함으로써 열림/잠금버튼(2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 다. 즉, 보호커버(56)를 도 4와 같이 커버받침대(50)의 삽입홈(50a)에 대응되게 일치시킨 후 삽입시키면 보호커버(56)의 플랜지(56a)에 고정된 다수의 자석부재(54)가 삽입홈(50a) 속에 고정된 금속부재(52)에 부착되는 자력에 의해 서로 당겨지면서 강력하게 결합됨으로써 보호커버(56)는 커버받침대(50)의 개구부(50b)를 폐쇄함과 동시에 개구부(50b) 내에 위치한 열림/잠금버튼(2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이때, 보호커버(56)의 플랜지(56a) 끝단은 커버받침대(50)의 삽입홈(50a) 속으로 일정깊이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측방향으로 밀더라도 보호커버(56)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침입자가 실외측에서 도어(42)에 구멍을 뚫은 후 철사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보호커버(56)를 측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없기 때문에 보호커버(56)에 의해 보호된 열림/잠금버튼(24)을 강제적으로 터치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도어(42)의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방범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외출을 하지 않고 열림/잠금버튼(24)을 수시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도 5b와 같이 커버받침대(50)로부터 보호커버(56)를 분리한 후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도어(42)의 일측에 부착하여 보관한다.
즉, 보호커버(56)는 그 플랜지(56a)가 커버받침대(50)의 삽입홈(50a) 속으로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자석부재(54)와 금속부재(52)의 상호 부착력(자력)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보호커버(56)를 사용자가 일정한 힘으로 잡아 당기면 커버받침 대(50)로부터 보호커버(56)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또한, 보호커버(56)는 그 플랜지(56a)에 다수의 자석부재(54)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42)나 도어프레임(미도시)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피물체에는 어느 장소든지 용이하게 부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호커버(56)가 비사용시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전자도어락의 내부몸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호커버의 안쪽면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보호커버의 사용전과 사용후를 각각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내부몸체 22 : 하우징
24 : 열림/잠금버튼 30 : 래치볼트
40 : 접착제 42 : 도어
50 : 커버받침대 50a : 삽입홈
50b : 개구부 52 : 금속부재
54 : 자석부재 56 : 보호커버
56a : 플랜지부

Claims (5)

  1. 내부몸체(20)의 하우징(22) 일측에 설치되어 원터치에 의해 도어락을 시해정시키는 열림/잠금버튼(24)이 구비된 전자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열림/잠금버튼(24)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몸체(20)의 하우징(22)에 고정되는 링형상의 커버받침대(50)와, 상기 커버받침대(50)의 전면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50a)에 일정깊이로 삽입 고정되는 링형상의 금속부재(52)와, 상기 금속부재(52)에 탈부착되면서 커버받침대(5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50b)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안쪽면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의 자석부재(54)가 고정된 캡형상의 보호커버(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받침대(50)는 접착부재(40)를 매개로 하우징(2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56)는 안쪽면 가장자리 둘레측 플랜지(56a) 두께에 다수의 자석부재(54)가 4방향으로 분산되어 함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56a)의 두께는 상기 커버받침대(50)의 삽입홈(50a) 폭 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금속부재(52)와 자석부재(54)가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56a)의 끝단은 상기 삽입홈(50a) 내에 일정깊이로 삽입되어 금속부재(52)와 자석부재(54)가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KR20070019891U 2007-12-11 2007-12-11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KR200447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891U KR200447161Y1 (ko) 2007-12-11 2007-12-11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9891U KR200447161Y1 (ko) 2007-12-11 2007-12-11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70U KR20090005870U (ko) 2009-06-16
KR200447161Y1 true KR200447161Y1 (ko) 2009-12-29

Family

ID=4129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9891U KR200447161Y1 (ko) 2007-12-11 2007-12-11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16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293A (ko) * 1998-01-30 2001-04-25 사토 게니치로 서멀 프린트 헤드 및 이에 사용되는 보호커버체
KR200409210Y1 (ko) * 2005-12-01 2006-02-22 형성산업(주) 자석을 이용한 도어락 슬라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293A (ko) * 1998-01-30 2001-04-25 사토 게니치로 서멀 프린트 헤드 및 이에 사용되는 보호커버체
KR200409210Y1 (ko) * 2005-12-01 2006-02-22 형성산업(주) 자석을 이용한 도어락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70U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5662S1 (en) Door lock with security key code
US4226104A (en) Removable protector for locks
KR200447161Y1 (ko) 전자도어락의 열림/잠금버튼 보호커버체
US6539754B1 (en) Force-resistant lock
JP2010121664A (ja) 吸着装置
USD674266S1 (en) Cable shackle padlock having a sidewall aperture for a status indicator
USD485959S1 (en) Door for security safes, gun cabinets
USD507472S1 (en) Magnetic door lock
JP3215161U (ja) スーツケース
JP3165854U (ja) 機密書類ストッカー用錠前
JP2006037698A (ja) サムターン不正解錠防止部材
JP3197691U (ja) 解錠ボタンを有する錠前装置
KR101366652B1 (ko) 번호 노출 방지용 가림판을 갖는 이너 락
JP4445211B2 (ja) サムターン
JP3915034B2 (ja) 不正サムターン回しの防止具
KR200495089Y1 (ko) 도어 잠금 장치
CN210976882U (zh) 一种室内门锁
CN211851294U (zh) 隐藏式辅助锁结构
JP4258715B2 (ja) サムターン回転防止カバー
JP3210946U (ja) 収納体の施錠構造及び収納体
JP3195347U (ja) 施錠具
JP3152877U (ja) 防犯用簡易錠カバー
CN204877195U (zh) 一种自动化电子防护门
JP3085201U (ja) 錠と鍵の構造
JP2019034077A (ja) 収納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