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089Y1 -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089Y1
KR200495089Y1 KR2020190005124U KR20190005124U KR200495089Y1 KR 200495089 Y1 KR200495089 Y1 KR 200495089Y1 KR 2020190005124 U KR2020190005124 U KR 2020190005124U KR 20190005124 U KR20190005124 U KR 20190005124U KR 200495089 Y1 KR200495089 Y1 KR 200495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trusion
present
flange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438U (ko
Inventor
최종력
차승만
Original Assignee
최종력
차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력, 차승만 filed Critical 최종력
Priority to KR2020190005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8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결합되며,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차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를 자력을 이용하여 개폐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 { Door locking device }
본 고안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자력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라 하면 건물과 그 내부의 방 또는 금고, 사물함 등 사람이나 물건의 출입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곳에 설치되며 주로 힌지에 의해 결합된 도어가 힌지에 수직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되는 여닫이식 도어와 도어 틀을 따라 평행이동으로 개폐되는 미닫이식 도어가 있다.
상기 여닫이식 도어의 경우 도어의 일측을 힌지와 결합하며, 타측에 손잡이와 잠금 장치를 부착하여 개폐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도어와 도어틀 간의 밀폐력이 약하여 외풍 등 자연적인 외력에 의해 도어가 흔들리며 그로 인한 소음이 발생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여닫이문 개폐장치는 여닫이문의 측면에 구비되는 걸림쇠와, 문틀에 구비되며 걸림쇠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걸림쇠는 여닫이문 내부에서 탄성체에 탄지되어 평상시에는 돌출되어 있으며, 여닫이문의 손잡이를 돌리면 돌출된 외측부가 여닫이문 내부로 인입된다.
이러한 도어 잠금 장치는 걸림쇠를 여닫이문 내부로 완전히 인입시키지 않으면 걸림 플레이트에 걸려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며, 개폐장치에도 충격이 가해서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걸림쇠가 완전히 인입될 때까지 손잡이를 잡고 돌리는 행위는 기계적인 동작을 하기 어려운 소아나 노인등의 노약자에게는 불편하고 손에 물건을 많이 들고 있을 때에 도어를 개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배전함이나 소화전의 경우에는 버튼식 손잡이와 열쇠를 사용하는 잠금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대다수의 도어가 철제로 되어 있으며 버튼을 누르면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의 잠금 장치를 구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도어 잠금 장치는 오랜 사용으로 인해 스프링의 탄성이 약해지고 녹이 슬어 버튼을 눌러도 작동이 잘 되지 않으며, 겉으로 보아서는 도어가 잠겨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모르고 도어에 힘을 주게 되면 도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물함이나 사무용 가구 및 주방가구에 있는 도어에 설치되어지고 얇고 평평하며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철판부와 본체에 설치되며 철판부와 접촉하는 자성편과 자성편 사이에 위치해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과 상기 자성편과 자석을 도어에 접하지 않는 방향으로 감싸고 있으며 나사를 이용해 본체에 고정할 수 있는 나사홈을 형성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일명 빠찌링이라고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도어 캐치가 있다.
자성편은 자석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도어를 닫을 때 자석이 직접적으로 철판부와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개폐장치는 도어를 닫을 때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자성편과 자석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파손이 쉬우며 금속간의 부딪히며 소음이 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나사를 이용하여 도어와 개폐장치를 고정시키는데 이는 도어에 변형을 주며 고장난 개폐장치를 교체시 또 다른 구멍을 뚫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허등록 제 10-1958944호와 포기특허 공개번호 제 10-2015-0081770호는 자력을 이용하여 도어 잠금장치를 구성한 것이나 조작을 통해 자력을 조절함으로서 도어를 개폐하며 이들은 모두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허등록 제 10-1514298호는 자력을 이용하여 도어 잠금 장치를 구성하고 다른 조작없이 도어를 개폐하며 구조가 간단하나 도어 잠금 장치가 외부에 나와 있으며 도어에 홀을 뚫어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이 용이하며 자력을 이용하여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 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결합되며,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차폐하는 커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몸체부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플랜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함께 상기 도어에 걸어지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도어의 두께만큼 상기 플랜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ㄷ'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에는 경사지게 챔퍼부가 형성되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성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걸림턱에 걸어지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보다 그 횡단면이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걸림턱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몸체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과 기설정된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걸어지는 삽입-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에는 살빼기를 위한 홈부가 요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는 외면에 돌출되게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몸체부에 압입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자력을 이용하여 도어와 도어틀간의 밀폐력을 증가시켜 외풍 등 자연적인 힘에 의해 도어가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간편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잠금 장치를 교체시 장비를 필요치 않으며 도어의 변형없이 새 제품만 교체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평면도(a), 배면도(b), 정면도(c), 측면도(d,e)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성하는 돌기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한 자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한 커버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 대한 커버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돌기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도어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입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의 확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200), 몸체부(200) 내부에 결합되며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부(300) 및 몸체부(2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몸체부(200)를 차폐하는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00)는 내부에 상기 자성부(300)가 위치할 수 있는 빈공간을 가진 관형상이며, 도어(10)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200)는,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도어(10)에 걸어지는 플랜지(201)와 상기 몸체부(200) 외주면에 상기 플랜지(20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도어(10)에 걸어지는 돌기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돌기부(202)는 상기 플랜지(201)와 같이 상기 도어(10)에 상기 몸체부(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탄성변형부(204)와 걸림돌기(2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기부(202)는 'ㄷ'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상기 몸체부(200) 내부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변형부(204)와 상기 탄성변형부(204)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걸어지는 부분인 걸림돌기(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변형부(204)가 상기 플랜지(201)를 향하는 부분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절결되었는데 반대로 도 3(e)에서 보듯이 상기 플랜지(201)로부터 멀어지는 부분이 절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돌기부(202)는 상기 플랜지(201)가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200) 내부를 향해 경사진 챔퍼부(205)가 형성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200)는 외면에 돌출되어 상기 도어에 걸어지는 상기 플랜지(201)와 달리 내면에 돌출되어 상기 자성부(300)가 걸어지는 내측걸림턱(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00)는 상기 커버부(400)와 결합되는 내주면에 돌기형상의 내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와 결합을 증가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상기 커버부의 상단돌기(403)가 상기 내면돌기(207)를 타고 넘어가서 걸어지게 되어 상기 커버부가 상기 몸체부에 더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성부(300)는 상기 몸체부(200)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측걸림턱(206)에 걸어지는 제 1몸체(301)와 상기 제 1몸체(301)보다 횡단면이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걸림턱(206) 사이에 위치하는 제 2몸체(3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몸체는 상기 돌기부(202)가 상기 몸체부 내부로 탄성변형하기 용이하게 상기 몸체부(200)의 내면과 일정거리(L)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내측걸림턱(206)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자성부(30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제 2몸체(302)의 일단이 도어 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돌출부(401)와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00)에 걸어지는 삽입걸림턱(4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400)에는 외면에 돌출되게 상단 돌기(403)와 하단 돌기(404)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400)와 상기 몸체부(200)가 압입고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상단돌기(403)가 상기 내면돌기(207)를 타고 넘어가서 걸어지게 되며 상기 내면돌기(207)는 상기 상단돌기(403)와 상기 하단돌기(40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부(400)를 더 견고하게 고정 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400)는 살빼기를 위한 홈부(405)가 요입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빼기를 위한 상기 홈부(405)가 상기 몸체부(200) 내부방향으로 요입형성되었는데 반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0) 내부에서 바깥방향으로 요입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으로 뚫려있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의 결합과 설치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 순서도이다. 또한, 도 10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이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11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돌기의 동작상태도이다.
작업자는 상기 몸체부(200)의 내부에 상기 자성부(300)를 넣는다. 이때 상기 제 2몸체(302)가 상기 내측걸림턱(206) 사이에 위치하도록 맞추어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몸체(301)가 상기 내측걸림턱(206)에 걸리면서 상기 자성부(300)가 상기 몸체부(200) 내부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커버부(400)를 상기 몸체부(200)에 결합시켜 상기 자성부(300)를 차폐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400)의 상단 돌기(403)가 상기 몸체부(200)의 내면돌기(207)를 타고 넘어가 걸어지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결합이 완료되면 도 2와 같은 모습이 된다.
이후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도어(10)에 형성된 홀에 도어 잠금 장치(10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400)가 먼저 상기 홀에 들어갈 수 있게 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도어 홀(12)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400)의 상기 삽입걸기턱(402)은 상기 도어 홀(12)의 횡단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플랜지(201) 부위를 잡고 도어 홀(12)에 밀어 넣는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어 넣는 도중 상기 돌기부(202)가 상기 도어 홀(12) 주변에 접하게 되어 상기 탄성변형부(204)에 힘이 가해져 상기 돌기부(202)가 상기 몸체부(200) 내부로 탄성변형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201)가 형성된 반대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200) 내부로 향해 경사진 상기 챔퍼부(205)에 의해 상기 돌기부(202)가 상기 도어 홀(12)에 걸어지지 않고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편리하게 도어 잠금 장치(100)를 결합 할 수 있다.
이후 도어 잠금 장치(10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 장치(100)가 도어(10)의 내부에 전부 삽입되게 되면 상기 탄성변형부(204)가 힘을 받기 전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0)의 두께만큼 상기 플랜지(201)와 상기 걸림돌기(203)가 이격되어 이격된 공간에 상기 도어(10)가 밀착결합하여 도어 잠금 장치(100)를 고정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00)는 도어틀(11)과 마주하는 도어(10)의 일단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가 설치되어 있는 모서리를 제외한 다른 모서리에 각각 3~4개의 도어 잠금 장치(100)가 결합되어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0)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도어 잠금 장치(100)의 개수와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좀 더 상세하게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00)가 설치되는 구성을 살펴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100)는 도어(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플랜지(201)는 상기 도어(10)와 도어 틀(1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10)를 닫을 때 상기 도어(10)와 상기 도어 틀(11)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못하게 완충 역할을 하여 상기 자성부(300)의 파손을 방지하며 닫을 때 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부(300)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닫혀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외풍이나 자연적인 힘에 의해 상기 도어(10)가 흔들리거나 열리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자력보다 더 큰 힘으로 도어(10)의 일단이나 손잡이를 밀고 당기면 도어(10)가 개방된다.
상기 플랜지(201)는 도어(10)를 닫을 때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도록 연질이면서 질긴 성길의 합성수지이거나, 다소간 경질의 합성수지일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부(300)의 상기 제 1몸체(301)와 상기 몸체부(200) 내주면과 일정거리(L) 만큼 이격되어 도어 잠금 장치(100)가 상기 도어(10)에 삽입될 때 탄성변형 되는 상기 돌기부(202)가 상기 제 1몸체(301)와 상기 몸체부(200) 사이 이격된 공간에 위치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몸체(301)와 상기 내측걸림턱(206)이 일정거리(d)만큼 이격되어 도어 잠금 장치(100)가 상기 도어(10)에 삽입될 때 탄성변형 되는 상기 돌기부(202)가 상기 제 1몸체(301)와 상기 내측걸림턱(206) 사이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여 도어 잠금 장치(100)를 상기 도어 홀(12)에 삽입하기 편리해 진다.
이상의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도어 11 : 도어 틀
12: 도어 홀 100 : 도어 잠금 장치
200 : 몸체부 201 : 플랜지
202 : 돌기부 203 : 걸림돌기
204 : 탄성변형부 205 : 챔퍼부
206 : 내측걸림턱 207 : 내면돌기
300 : 자성부 301 : 제 1몸체
302 : 제 2몸체 400 : 커버부
401 : 돌출부 402 : 삽입걸림턱
403 : 상단 돌기 404 : 하단 돌기
405 : 홈부

Claims (10)

  1.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결합되며, 자력을 제공하는 자성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를 차폐하는 커버부; 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에 걸어지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함께 상기 도어에 걸어지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성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내측-걸림턱에 걸어지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보다 그 횡단면이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걸림턱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과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에 걸어지는 삽입-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에는 살빼기를 위한 홈부가 요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도어의 두께만큼 상기 플랜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ㄷ'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
    상기 탄성변형부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경사지게 챔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외면에 돌출되게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몸체부에 압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2020190005124U 2019-12-18 2019-12-18 도어 잠금 장치 KR200495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124U KR200495089Y1 (ko) 2019-12-18 2019-12-18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5124U KR200495089Y1 (ko) 2019-12-18 2019-12-18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38U KR20210001438U (ko) 2021-06-28
KR200495089Y1 true KR200495089Y1 (ko) 2022-03-04

Family

ID=7660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124U KR200495089Y1 (ko) 2019-12-18 2019-12-18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8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227A (ja) * 2000-02-17 2001-08-24 Shimonishi Seisakusho:Kk マグネットキャ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689U (ko) * 1998-12-07 2000-07-05 구자홍 자력 전달구조
KR102442295B1 (ko) * 2017-10-26 2022-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하우징을 위한 커버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7227A (ja) * 2000-02-17 2001-08-24 Shimonishi Seisakusho:Kk マグネットキャ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38U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9968B2 (ja) 自己ラッチ装置
US5485733A (en) Concealed magnetic lock for cabinet closure
KR101764871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록
US9103144B2 (en) Door travel limiting device
JP2015517615A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865185B1 (ko) 도어록장치
KR200495089Y1 (ko) 도어 잠금 장치
KR100550454B1 (ko) 자동 잠금기능을 갖는 시공 건축물의 미닫이창문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178257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206056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인바디
KR101476333B1 (ko) 잠금장치
KR200479092Y1 (ko) 도어록용 고정수단
KR200453991Y1 (ko)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KR100716026B1 (ko) 푸쉬버튼식 창문용 잠금장치
KR102211878B1 (ko) 누름타입의 방충망용 이중 잠금장치
KR100977008B1 (ko) 옷장 및 사물함용 손잡이
KR100986322B1 (ko) 완충기능을 갖는 도어로크 걸림편
KR102286550B1 (ko) 안전용 출입문장치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JP7343165B2 (ja) 補助錠
KR200452611Y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JP6616861B2 (ja) 補助錠用金具及び補助錠装置
KR102076160B1 (ko) 잠금과 풀림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