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90Y1 -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 Google Patents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90Y1
KR200447090Y1 KR20090007693U KR20090007693U KR200447090Y1 KR 200447090 Y1 KR200447090 Y1 KR 200447090Y1 KR 20090007693 U KR20090007693 U KR 20090007693U KR 20090007693 U KR20090007693 U KR 20090007693U KR 200447090 Y1 KR200447090 Y1 KR 200447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older
ear canal
space
pl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7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수
Original Assignee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Priority to KR20090007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음이 발생되고, 외이도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스피커 장치, 상기 스피커 장치의 상기 외이도에 삽입되는 바깥 면을 감싸고 있으며,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피커 장치가 수납되는 피스 공간을 가지는 피스 몸체, 상기 피스 몸체에서 상기 외이도를 향하는 방향인 일측에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에 관통된 음 전달공간을 가지는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의 바깥 둘레에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몸체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된 안쪽에 주름 공간을 가지는 피스 주름, 상기 피스 주름의 안쪽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 공간의 간격이 축소되면서 상기 피스 주름이 고정되도록 삽입 부착되어 있는 연결 리브, 그리고 상기 연결 몸체의 일측 끝에서 타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떨어져 바깥 면을 감싸고 있는 피스 커버를 포함한다.
인체 공학, 이어폰, 이어 피스, 피스 주름, 연결 리브

Description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Earphone with Ergonomic Ear Piece}
본 고안은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earphone)은 귀에 장착(裝着)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이다. 이어폰은 각종 음향 기기나 통신 기기 등에는 전기적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시킨 진동음을 개인이 각자의 귀를 통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어폰은 직접 귓구멍에 꽂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머리에 걸치는 헤드폰과 구별된다.
사용자가 소리를 듣기 위해서 이어폰이 장착되는 귀는 외이, 중이, 내이 3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중이에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고막이 위치하고 있어 외이를 통해서 전달되는 소리가 고막을 통해서 들을 수 있다. 외이는 귀이개(耳介:귓바퀴)와 외이도(外耳道)로 구성된다. 귀이개는 귀의 바깥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통상의 이어폰은 귀이개 부분에 걸림 설치된다. 귀이개에 설치된 통상의 이어폰에서 연결된 음향 기기 또는 통신 기기에서 발생된 음을 전달시키면 외이도를 통해서 음을 들을 수 있도록 전달된다.
그러나, 통상의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이개 부분에 걸림 설치되어 있어 보행 에 따른 진동 및 부딪힘에 의한 외부 충격의 발생에 따라 외부로 이탈되어 파손 및 분실이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통상의 이어폰은 귀이개 부분에 걸림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이어폰에서 발생된 음은 청음이 되는 기관이 설치된 중이에 이르기 까지 외이도를 거치면서 음의 명료도가 떨어지고, 소음이 혼입됨으로써, 음의 도달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음의 명료도와 설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귀의 외이도 부분에 삽입되는 외이도 삽입되는 종래의 이어폰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이어폰은 외이도의 삽입될 수 있도록 음이 발생되는 장치를 소형화시키고, 소형화된 음이 발생되는 장치의 바깥 둘레에 외이도와 접촉되는 이어 피스가 설치되어 음이 발생되는 장치와 외이도의 직접 접촉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종래의 이어폰에 바깥 면에 설치되는 이어 피스는 통로 형태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외이도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즉, 종래의이어폰은 통로 형태의 외이도 안쪽 면에 이어 피스가 접촉되어 음이 발생되는 장치에서 전달되는 음이 고막으로 전달되도록 외이도에 설치된다. 여기서, 종래의 이어 피스의 형상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중앙에서 대칭되는 형상이 된다.
상술된 외이도는 짧은 내부의 골부(骨部)와 긴 외부의 연골부로 되어 있고, 전체로서 수평위(水平位) 및 전두위(前頭位)를 취하는데 2종의 만곡(彎曲)을 보인다. 즉, 수평위 만곡의 안쪽 불룩한 쪽은 뒤를 보고 있고, 전두위 만곡의 안쪽 불 룩한 쪽은 위를 보고 있다. 골부(骨部)는 피하조직이 거의 없고, 골벽(骨壁)이 바로 피하에 와 있기 때문에 귀후비개 등이 닿으면 아픔을 느끼게 된다. 즉, 외이도는 외이도는 2종의 만곡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입구에서 고막 방향을 향해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통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런, 종래의 이어폰은 경사진 통로 형태의 외이도에 중심에서 대칭이 되는 원통 형상의 이어 피스가 삽입되면 외이도의 경사도에 따라 이어 피스의 전체 면이 접촉되지 않아 이어 피스와 외이도 사이에 틈이 발생된다. 즉, 경사진 외이도에 원통 형태의 에어 피스를 구비한 종래의 이어폰이 삽입되면 일부 면은 접촉되고, 나머지 면은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접촉되지 않은 면에서 간극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이어폰과 외이도 사이의 간극이 존재하면 보행 시에 발생되는 진동과 외부 충격에 의해 이어폰에 유동이 발생되고, 유동에 의해 이어폰이 외이도와 충돌되면서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어폰의 바깥 면에 배치된 이어 피스가 외이도에 삽입 시에 외이도의 경사도와 직선 형태의 이어 피스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고 있음에 따라 각도 차로 인해서 이어폰에서 발생된 음이 외이도에 간섭되면서 고막에 전달됨에 따라 음의 명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어 피스는 외이도와 상이한 경사도를 가지고 있어 외이도에 이어폰이 접촉되는 면적이 축소됨에 따라 진동이나 작은 충격에도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외이도의 골곡에 맞도록 비대칭 형상을 가지면서 유동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고, 외이도의 굴곡에 따라 음이 전달되어 음의 명료도가 향상되며,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되어 유동이 방지되면서 삽입 고정력이 향상되는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를 구비한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은 전달된 신호에 따라 음이 발생되고, 외이도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스피커 장치, 상기 스피커 장치의 상기 외이도에 삽입되는 바깥 면을 감싸고 있으며,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피커 장치가 수납되는 피스 공간을 가지는 피스 몸체, 상기 피스 몸체에서 상기 외이도를 향하는 방향인 일측에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에 관통된 음 전달공간을 가지는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의 바깥 둘레에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몸체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된 안쪽에 주름 공간을 가지는 피스 주름, 상기 피스 주름의 안쪽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 공간의 간격이 축소되면서 상기 피스 주름이 고정되도록 삽입 부착되어 있는 연결 리브, 그리고 상기 연결 몸체의 일측 끝에서 타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떨어져 바깥 면을 감싸고 있는 피스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리브는 상기 피스 주름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몸체가 경사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몸체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피스 커버가 경사진 상태로 상기 외이도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 장치의 일측에는 안쪽으로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피스 몸체의 타측 끝에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피스 공간의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몸체의 일측에 떨어져 위치하고 있으며, 중앙에 관통된 홀더 공간을 가지는 홀더 몸체, 상기 연결 몸체와 상기 홀더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몸체에 상기 홀더 몸체를 연결시키는 홀더 연결체, 상기 홀더 연결체의 바깥 둘레에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 연결체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된 안쪽에 홀더 주름 공간을 가지는 홀더 주름, 그리고 상기 홀더 몸체의 일측 끝에서 타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떨어져 바깥 면을 감싸고 있는 홀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몸체는 중앙에 상기 연결 몸체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음 전달 공간과 연통되는 홀더 공간을 가지고 있어 상기 홀더 몸체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귀의 외이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 스피커 장치의 바깥 면에 외이도의 굴곡된 형상에 따른 경사도를 가지는 이어 피스가 설치되어 있어 이어 피스가 외이도의 접촉되는 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고정력이 향상되어 보행 시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어 피스가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경사도를 가지면서 경사진 외측 부분이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외이도의 형상에 따라 인체 공학적인 이어 피스가 제공되어 외이도가 공극 없이 접촉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외부에 충격에 의해 이어폰과 외이도의 충돌에 의한 통증이 방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어 피스에는 외이도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하고 절달되는 스피커 음의 잡음이 혼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스피커 장치가 보호되면서 음의 전달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의 주요 구성인 이어 피스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100)은 이어 피스부(110) 및 스피커 장치(120)를 포함한다. 이어 피스부(110)는 외이도(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피스 몸체(111), 결합 돌기(113), 연결 몸체(114), 피스 주름(116), 연결 리브(117), 그리고 피스 커버(118)를 포함한다.
피스 몸체(111)는 외이도(1)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관통된 피스 공간(112)을 가진다. 피스 공간(112)에는 스피커 장치(12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외이도(1) 방향으로 관통된 일측에 스피커 장치(120)에서 발생된 음이 전달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3)는 피스 몸체(111)의 타측 끝에 피스 공간(112)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피스 공간(112)에 삽입된 스피커 장치(120)와 접촉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 몸체(114)는 피스 몸체(111)의 외이도(1) 방향인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관통된 음 전달 공간(115)을 가진다. 음 전달 공간(115)은 피스 공간(112)과 연통되어 있으며, 피스 공간(112)에 삽입된 스피커 장치(120)에서 발생된 음이 전달된다.
피스 주름(116)은 연결 몸체(114)의 바깥 둘레에는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연결 몸체(114)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된 안쪽에 주름 공간(116a)을 가진다. 연결 몸체(114)의 바깥 둘레에는 피스 주름(116)이 형성되어 있어 외이도(1)의 형상에 따라 피스 공간(112)이 축소 및 확대되면서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피스 주름(116)은 안쪽 방향으로 하나의 돌출형 주름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피스 주름(116)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신축되는 통상의 모든 주름이 포함되어 있다. 즉, 피스 주름(116)은 파도 형태, 삼각 형태, 나선 형태 등의 신축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주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리브(117)는 피스 주름(116)의 안쪽 둘레 일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주름 공간(116a)에 삽입 부착되어 있다. 연결 리브(117)는 주름 공간(116a)의 일부분에 삽입되어 주름 공간(116a)이 간격이 축소된다. 연결 리브(117)는 피스 주름(116)의 안쪽 둘레 일부에 삽입되어 있어 연결 리브(117)가 설치되지 않은 피스 주름(116)과 주름 공간(116a)의 크기가 달라져 연결 몸체(114)가 경사지게 된다. 즉, 연결 리브(117)가 설치된 일부에서 주름 공간(116a)이 축소되어 경사를 이루고 있다.
상술된 연결 리브(117)는 연결 몸체(114)가 경사지도록 주름 공간(116a)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일부는 외이도(1)가 형상에 따른 경사를 가질 수 있는 범위가 설정된다. 즉, 연결 몸체(114)의 경사도는 연결 리브(117)가 주름 공간(116a)에 설치되는 범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연결 리브(117)가 주름 공간(116a)에 설치되는 범위가 좁으면 경사도가 작고, 연결 리브(117)가 주름 공간(116a)에 설치되는 범위가 넓으면 경사도가 크다.
피스 커버(118)는 연결 몸체(114)의 일측 끝에서 타측 방향으로 피스 몸체(11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으며, 피스 몸체(111)의바깥 면에 떨어진 커버 공 간(119)을 가진다. 커버 공간(119)을 가지는 피스 커버(118)는 피스 몸체(111)의 바깥 면에 위치하여 외이도(1)와 접촉된다. 피스 커버(118)는 연결 몸체(114)의 일측 끝에 배치되어 연결 몸체(114)와 같은 경사도를 가지고 있으며, 타측으로 연장되어 피스 몸체(11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다. 피스 커버(118)는 연결 몸체(114)의 경사도에 따른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외이도(1)의 안쪽 면에 접촉되어 피스 몸체(111)가 지지된다.
즉, 외이도(1)의 경사 각도에 따라 경사진 피스 커버(118)는 이어폰(100)의 삽입 시에 외이도(1)의 굴곡된 위치에 정확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외이도(1) 위치에서 피스 커버(118)의 바깥 면이 접촉되어 이어폰(100)이 고정된다. 이때, 경사진 피스 커버(118)는 전체 면이 외이도(1)에 접촉될 수 있어 착용감이 향상되고, 고정력이 증대되어 진동 및 충격에도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이어 피스부(110)는 외이도(1)에 접촉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의 이어 피스 재질인 연질의 고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무독성으로 피부의 접촉되어도 손상이 최소화되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 장치(120)는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음이 발생되는 장치다. 스피커 장치(120)의 일측은 외이도(1)가 삽입되는 피스 공간(112)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은 귀이개(2)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스피커 장치(120)에서 발생된 음은 음 전달 공간(115)을 통해서 외이도(1)로 전달되고, 외이도(1)에 전달된 음은 고막을 통해서 사용자가 청음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120)의 피스 몸체(111)에 삽입된 타측 끝 방향에는 결합 돌기(113)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 몸체(111)는 스피커 장치(120)에 장착되어 결합 돌기(113)가 결합홈(121)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피스 몸체(111)의 고정력이 향상된다.
여기서, 스피커 장치(120)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음이 발생되면서 외이도(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에 통상의 모든 장치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 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이 사용자의 외이도에 설치되는 상태는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도 1의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을 사용자의 외이도에 설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귀의 외이도(1)에 삽입되는 크기로 신호에 따라 음이 발생되는 스피커 장치(120)를 구비한다. 스피커 장치(120)에는 외이도(1)가 삽입되는 측에 바깥 면으로 피스 공간(112)을 가지는 피스 몸체(111)가 설치된다. 피스 몸체(111)의 외이도(1) 삽입 측에는 플랙시블하게 유동되도록 바깥 둘레의 안쪽으로 주름 공간(116a)을 가지도록 돌출된 피스 주름(116)을 가지는 연결 몸체(114)가 형성되고, 피스 주름(116)의 안쪽 둘레 일부에는 피스 주름(116)의 간격이 축소되어 경사지도록 연결 리브(117)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 리브(117)는 외이도(1)의 굴곡된 형상에 따라 연결 몸체(114)가 경사지도록 피스 주름(116)에 설치된다.
연결 리브(117)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피스 몸체(111)의 바깥 면에 떨어진 커버 공간(119)을 가지고, 피스 몸체(11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는 피스 커버(118)는 연결 몸체(114)의 경사도에 따른 각도로 경사져 있다. 피스 커버(118)의 경사 각도는 외이도(1)의 경사 각도에따라 설정된 연결 몸체(114)에 의해 결정된다. 즉, 외이도(1)의 경사에 따라 경사진 연결 몸체(114)의 일측 끝에 피스 커버(118)가 배치되어 있어, 외이도(1)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진 피스 커버(1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된 이어폰(100)을 외이도(1) 방향으로 삽입하면 경사진 피스 커버(118)가 외이도(1)에 안쪽 면에 접촉되면서 삽입된다. 이때, 피스 커버(118)는 외이도(1)의 굴곡된 형태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있어 삽입의 용이성이 향상되고, 삽입 후에도 피스 커버(118)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피스 커버(118)는 피스 몸체(111) 사이에 커버 공간(119)이 형성되어 있어 외이도(1)와 접촉되는 피스 커버(118)가 유동되는 커버 공간(119)이 확보되어 착용감이 증대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피스 몸체(111)가 삽입되면 스피커 장치(120)는 귀이개 부분에 걸쳐서 이어폰(100)이 귀에 장착되고, 신호 전달에 따라 스피커 장치(120)에서 음이 발생되면 피스 몸체(111)에 관통된 피스 공간(112)의 외이도(1) 방향으로 음이 전달되고, 전달된 음은 연결 몸체(114)에 관통된 음 전달 공간(115)을 통해서 외이도(1)를 거쳐 고막 부분을 전달되어 들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은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 비된 이어폰의 주요 부분인 이어 피스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100)은 이어 피스부(110), 스피커 장치(120), 그리고 홀더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어 피스부(110)와 스피커 장치(120)의 구성 요소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홀더부(130)는 연결 몸체(114)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는 홀더 몸체(131), 홀더 연결체(133), 홀더 주름(134), 그리고 홀더 커버(135)를 포함한다. 홀더 몸체(131)는 연결 몸체(114)의 외이도(1) 삽입 측인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앙에 관통된 홀더 공간(132)을가진다. 홀더 공간(132)은 음 전달 공간(115)에 연통되어 있으며, 스피커 장치(120)에서 발생된 음이 홀더 공간(132)을 통해서 외이도(1)로 전달될 수 있다.
홀더 연결체(133)는 연결 몸체(114)와 홀더 몸체(13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 몸체(114)에 홀더 몸체(131)를 연결시킨다. 홀더 몸체(131)는 홀더 연결체(133)로 연결 몸체(114)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음에 명료도가 향상되고, 외이도(1) 내부에 귀이지와 같은 이물질이 음 전달 공간(115)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홀더 주름(134)은 홀더 연결체(133)의 바깥 둘레에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홀더 연결체(133)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된 안쪽에 홀더 주름 공간(134a)을 가진다. 홀더 주름(134)은 홀더 주름 공간(134a)이 형성되어 홀더 연결체(133)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다. 홀더 연결체(133)가 움직이면 연결된 홀더 몸체(131)가 함께 움직임으로써, 홀더 몸체(131)가 설치된 외이도(1) 내부에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홀더 커버(135)는 홀더 몸체(131)의 외이도(1)가 삽입되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홀더 몸체(13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다. 홀더 커버(135)는 홀더 몸체(131)의 바깥 면을 감싸고 있으며, 외이도(1)의 안쪽 면에 접촉되어 홀더 몸체(131)가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 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이 사용자의 외이도에 설치되는 상태는 도 8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도 5의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을 사용자의 외이도에 설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8를 참고하면, 외이도(1)의 경사도에 따라 경사진 연결 몸체(114)의 외이도(1)가 삽입되는 일측에 홀더 몸체(131)가 홀더 연결체(133)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홀더 몸체(131)의 바깥 면에는 외이도(1)의 안쪽 면으로접촉되는 홀더 커버(135)가 형성된다. 이어폰(100)이 사용자의 외이도(1)에 삽입되면 외이도(1) 측으로 돌출된 홀더 커버(135)와 외이도(1)의 굴곡에 따라 경사진 피스 커버(118)가 외이도(1)의 안쪽 면에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이어폰(100)을 설치한 후에 신호가 전달되어 음이 발생되면 음 전달 공간(115)과 홀더 공간(132)을 통하여 외이도(1) 측으로 음이 전달되고, 외이도(1)에 전달된 음은 고막을 통해서 들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의 주요 구성인 이어 피스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을 사용자의 외이도에 설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의 주요 부분인 이어 피스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을 사용자의 외이도에 설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어폰 110 : 이어 피스부
111 : 피스 몸체 112 : 피스 공간
113 : 결합 돌기 114 : 연결 몸체
115 : 음 전달 공간 116 : 피스 주름
116a : 주름 공간 117 : 연결 리브
118 : 피스 커버 119 : 커버 공간
120 : 스피커 장치 121 : 결합홈
130 : 홀더부 131 : 홀더 몸체
132 : 홀더 공간 133 : 홀더 연결체
134 : 홀더 주름 134a : 홀더 주름 공간
135 : 홀더 커버

Claims (3)

  1. 전달된 신호에 따라 음이 발생되고, 외이도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스피커 장치,
    상기 스피커 장치의 상기 외이도에 삽입되는 바깥 면을 감싸고 있으며, 중앙에 관통되어 상기 스피커 장치가 수납되는 피스 공간을 가지는 피스 몸체,
    상기 피스 몸체에서 상기 외이도를 향하는 방향인 일측에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에 관통된 음 전달공간을 가지는 연결 몸체,
    상기 연결 몸체의 바깥 둘레에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몸체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된 안쪽에 주름 공간을 가지는 피스 주름,
    상기 피스 주름의 안쪽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 공간의 간격이 축소되면서 상기 피스 주름이 고정되도록 삽입 부착되어 있는 연결 리브, 그리고
    상기 연결 몸체의 일측 끝에서 타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떨어져 바깥 면을 감싸고 있는 피스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리브는 상기 피스 주름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몸체가 경사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몸체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피스 커버가 경사진 상태로 상기 외이도에 접촉될 수 있는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의 일측에는 안쪽으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 몸체의 타측 끝에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피스 공간의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몸체의 일측에 떨어져 위치하고 있으며, 중앙에 관통된 홀더 공간을 가지는 홀더 몸체,
    상기 연결 몸체와 상기 홀더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몸체에 상기 홀더 몸체를 연결시키는 홀더 연결체,
    상기 홀더 연결체의 바깥 둘레에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 연결체가 플랙시블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돌출된 안쪽에 홀더 주름 공간을 가지는 홀더 주름, 그리고
    상기 홀더 몸체의 일측 끝에서 타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떨어져 바깥 면을 감싸고 있는 홀더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 몸체는 중앙에 상기 연결 몸체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음 전달 공간과 연통되는 홀더 공간을 가지고 있어 상기 홀더 몸체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KR20090007693U 2009-06-15 2009-06-15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KR200447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7693U KR200447090Y1 (ko) 2009-06-15 2009-06-15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7693U KR200447090Y1 (ko) 2009-06-15 2009-06-15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090Y1 true KR200447090Y1 (ko) 2009-12-23

Family

ID=4612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7693U KR200447090Y1 (ko) 2009-06-15 2009-06-15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0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30192A1 (it) * 2013-02-11 2014-08-12 Euro Sonit S R L Auricolare per la protezione attiva contro il rumore
KR102260760B1 (ko) * 2020-05-15 2021-06-07 부전전자 주식회사 유동성 탄성 구조를 구비한 이어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050B1 (ko) 2004-10-18 2006-10-11 (주)비씨에스테크널리지 이어폰
KR100673621B1 (ko) 2005-10-19 2007-01-24 허명선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JP2008277909A (ja) 2007-04-25 2008-11-13 Audio Technica Corp 挿入型イヤホン
JP2009055249A (ja) 2007-08-24 2009-03-12 Sony Corp イヤピースおよび電気音響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050B1 (ko) 2004-10-18 2006-10-11 (주)비씨에스테크널리지 이어폰
KR100673621B1 (ko) 2005-10-19 2007-01-24 허명선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JP2008277909A (ja) 2007-04-25 2008-11-13 Audio Technica Corp 挿入型イヤホン
JP2009055249A (ja) 2007-08-24 2009-03-12 Sony Corp イヤピースおよび電気音響変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30192A1 (it) * 2013-02-11 2014-08-12 Euro Sonit S R L Auricolare per la protezione attiva contro il rumore
KR102260760B1 (ko) * 2020-05-15 2021-06-07 부전전자 주식회사 유동성 탄성 구조를 구비한 이어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5119B (zh) 外耳配合式电子听力保护装置
KR100661592B1 (ko) 마이크로폰
EP2690883B1 (en) Sub tragus ear unit
JP4839016B2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US11146880B2 (en) Skirt attachment
KR100757462B1 (ko) 이어폰
KR101762142B1 (ko) 이어윙
EP3082347A1 (en)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KR20110051237A (ko) 외이 수신기용 탄력성 쉘
JP7404735B2 (ja) 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のサポータ
KR20170080575A (ko) 음향 출력 장치 및 음도 장치
CN110679160B (zh) 一种耳承以及应用该耳承的耳塞和助听器
EP1971181A2 (en) Headphone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EP3425922B1 (en) Sound output device
CN212231703U (zh) 耳状结构
EP3731536B1 (en) Auricular structure using skirt attachment
KR20200111194A (ko) 청음 장치
KR20000058143A (ko) 입체 음향 이어폰 장치, 이어폰 및 이어폰 삽입 방법
KR101031187B1 (ko)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KR200447090Y1 (ko)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KR101723761B1 (ko) 귀 뒤쪽 착용형 보청기
KR101477285B1 (ko) 이어폰
CN209845238U (zh) 新型骨传导耳机
JP7166682B2 (ja) フルカバー式イヤピ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イヤ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