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285B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285B1
KR101477285B1 KR20130090184A KR20130090184A KR101477285B1 KR 101477285 B1 KR101477285 B1 KR 101477285B1 KR 20130090184 A KR20130090184 A KR 20130090184A KR 20130090184 A KR20130090184 A KR 20130090184A KR 101477285 B1 KR101477285 B1 KR 10147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xtension
unit
extend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혁
유형민
신승헌
류미루
나은정
김다훈
전수민
Original Assignee
한동혁
유형민
신승헌
류미루
나은정
김다훈
전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혁, 유형민, 신승헌, 류미루, 나은정, 김다훈, 전수민 filed Critical 한동혁
Priority to KR2013009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스피커가 내장된 이어폰 본체와; 상기 이어폰 본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소리전달통로가 마련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와 멀어지도록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이어폰 본체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과구멍들이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이어폰 본체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와 이격되게 형성되며 착용자의 외이도 내주면에 접촉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캡;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에 의하면 귀에 삽입 및 이탈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 시에도 통증이 발생하지 않으며, 귀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구조에 의해 착용자가 음악 또는 라디오를 청취함과 동시에 외부의 소리 또한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감소하며,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어폰{The earphones}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음악이나 라디오를 듣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어폰에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음악이나 라디오, 영어회화 등을 듣기 위해 현대인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용품이다. 또한, 종래에는 스마트 폰, MP3를 비롯한 많은 기기들에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을 가진 이어폰들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어폰은 귀에 장착되어 이어폰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지탱할 수 있어야 하며, 소리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2169호에는 "밀착형 이어폰"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밀착형 이어폰"은 외이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밀착형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에 의하여 밀폐되는 외이도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통기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로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삽입부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외이도의 내측의 압축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이완되어 상기 통기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삽입부가 외이도에 삽입된 채 움직이지 않고 있는 동안과 상기 외이도로부터 이탈되는 동안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어 상기 통기로를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밀착형 이어폰"은 고무캡이 귀 내부의 형상을 따라서 밀착되고 삽입 후 쉽게 빠지지 않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 시 두통을 동반한 어지러움증을 유발하여 보행중이거나 자전거를 타고 이동할 때에는 외부의 소리를 인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 발생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0711호에는 "통증방지용 이어폰"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통증방지용 이어폰"은 스피커 설치편과 커버 설치부가 형성된 이어폰 본체와 이어폰 본체의 스피커 설치편에 설치되는 스피커 와이어폰 본체의 커버 설치부에 스피커를 감싸도록 설치된 커버로 구성된 이어폰에 있어서, 커버 설치부에 실리콘 수지의 재질로 중공의 에어실이 형성된 에어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통증방지용 이어폰"은 삽입 및 이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장시간 착용 시에도 귀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스피커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작은 충격이 가해질 때, 고장의 우려가 있으며,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시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귀에 삽입 및 이탈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 시에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귀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킴으로써 음악 또는 라디오를 청취함과 동시에 착용자로 하여금 외부의 소리도 감지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줄이며, 간단한 구성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스피커가 내장된 이어폰 본체와; 상기 이어폰 본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소리전달통로가 마련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와 멀어지도록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이어폰 본체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과구멍들이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이어폰 본체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와 이격되게 형성되며 착용자의 외이도 내주면에 접촉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와 상기 확장부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상기 확장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확장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지지리브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에 의하면 귀에 삽입 및 이탈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 시에도 통증이 발생하지 않으며, 귀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는 구조에 의해 착용자가 음악 또는 라디오를 청취함과 동시에 외부의 소리 또한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감소하며,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어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캡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어폰(1)은 이어폰 본체(10); 삽입부(20); 캡(30)을 구비한다.
이어폰 본체(10)에는 스피커(11)가 내장되어 있으며, 일 측에 스피커(11)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12)이 결합되어 있다.
삽입부(20)는 이어폰 본체(1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는 스피커(11)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소리전달통로(21)가 마련되어 있으며, 삽입부(20)의 끝 부분에는 후술하는 캡(30)과의 결합을 위해 삽입부(20)보다 반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결합턱(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1)은 이어폰 본체(10)에 스피커(11)를 내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삽입부(20)의 단부 측 내부 즉, 소리전달통로(21)의 끝 부분에 스피커(11)를 설치할 수도 있다.
캡(30)은 결합부(31), 연장부(33), 절곡부(35), 확장부(37)를 포함한다.
결합부(31)는 삽입부(20) 단부에 마련된 결합턱(22)을 감싸도록 링 구조로 형성되며, 결합턱(22)에 간섭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간섭턱(32)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31)는 삽입부(20)를 끼워넣을 때 내경이 확장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연장부(33)는 결합부(31)로부터 삽입부(20)의 단부와 멀어지도록 삽입부(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삽입부(20)로부터 전달되는 소리를 착용자의 외이도(5)로 전달할 수 있도록 소리전달통로(21)와 연통되는 중공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35)는 연장부(33)의 단부로부터 이어폰 본체(10)를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과구멍(36)들이 형성되어 있다.
확장부(37)는 이어폰(1)을 착용자의 외이도(5)에 삽입할 때 착용자의 외이도(5) 내주면에 접촉 및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절곡부(35)로부터 이어폰 본체(10)를 향하여 연장되되 이어폰 본체(10)와 닿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어 있다.
확장부(37)는 연장부(33)와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이격공간(39)이 형성되도록 연장부(33)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확장부(37)의 단부(37a)와 이어폰 본체(10) 사이에는 간극(38)이 형성되게 서로 떨어져 있고, 확장부(37)와 연장부(33) 사이에는 이격공간(39)이 형성되어 있어서, 확장부(37)와 연장부(33) 사이로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확장부(37)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0)을 외이도(5)에 삽입하면 확장부(37)의 외주면이 착용자의 외이도(5)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밀착되지만, 외이도(5)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는 절곡부(35)에 통과구멍(3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이도(5)와 외부공간이 서로 연통된다.
즉, 확장부(37)의 단부(37a)와 이어폰 본체(10) 사이의 간극(38)을 통해 확장부(37)와 연장부(33) 사이의 이격공간(39)으로 드나드는 공기가 외이도(5) 측으로도 드나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이도(5)와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도록 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은 착용자로 하여금 스피커(11)에서 발생하는 소리 이외에도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1)은 통과구멍(36)에 의해 착용자의 외이도(5)와 외부공간과의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캡(30)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압력차에 의한 귀 내부 기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2)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2)은 연장부(33)에 대하여 절곡부(35)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리브(40)를 더 구비한다.
지지리브(40)는 연장부(33)와 확장부(37) 사이에 연장부(33)와 확장부(37)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연장부(33)의 외주면으로부터 확장부(37)의 내주면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연장부(33)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지지리브(4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리브(40)의 양측 끝 부분을 연장부(33)와 확장부(37)에 각각 연결시킨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지지리브(40)의 양측 단부 중 어느 일 측을 연장부(33) 또는 확장부(37)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분리시킨 구조 또한 적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리브(40)는 캡(30)을 외이도(5)에 삽입함에 따라 확장부(37)의 부피가 축소되면서 탄성 변형되는데 이때, 확장부(37)가 외이도(5)의 내주면에 지속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확장부(37)를 연장부(33)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이어폰(2)이 외이도(5)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사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이어폰
5 : 외이도(귓구멍)
10 : 이어폰 본체
11 : 스피커
20 : 삽입부
21 : 소리전달통로
22 : 결합턱
30 : 캡
31 : 결합부
32 : 간섭턱
33 : 연장부
34 : 중공부
35 : 절곡부
36 : 통과구멍
37 : 확장부
38 : 간극
39 : 이격공간

Claims (2)

  1. 스피커가 내장된 이어폰 본체와;
    상기 이어폰 본체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소리전달통로가 마련되고 끝 부분에는 반경이 확장된 결합턱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단부를 감싸도록 링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결합턱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턱에 간섭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간섭턱이 마련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단부와 멀어지도록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내측에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전달되는 소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소리전달통로와 연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이어폰 본체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과구멍들이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기 이어폰 본체를 향하여 연장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주면에 접촉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캡;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부의 단부와 상기 이어폰 본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확장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로 공기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확장부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상기 확장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확장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되게 형성된 지지리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리브는 양측 단부 중 어느 일 측이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확장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삭제
KR20130090184A 2013-07-30 2013-07-30 이어폰 KR10147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184A KR101477285B1 (ko) 2013-07-30 2013-07-30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0184A KR101477285B1 (ko) 2013-07-30 2013-07-30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285B1 true KR101477285B1 (ko) 2015-01-02

Family

ID=5258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0184A KR101477285B1 (ko) 2013-07-30 2013-07-30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1389A1 (ko) * 2015-01-07 2016-07-14 이세복 이어폰용 귀 덮개
WO2021246766A1 (en) * 2020-06-05 2021-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device for obtaining biometric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645970B1 (ko) * 2022-12-06 2024-03-11 이준현 이어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813U (ko) * 2008-09-01 2010-03-10 김종균 이어폰용 소프트 캡
KR100962169B1 (ko) 2008-09-01 2010-06-10 필스전자 주식회사 밀착형 이어폰
JP4894849B2 (ja) * 2008-11-28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ピース及びイヤホン
JP2012244350A (ja) 2011-05-18 2012-12-10 Yamaha Corp カナル型イヤホ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813U (ko) * 2008-09-01 2010-03-10 김종균 이어폰용 소프트 캡
KR100962169B1 (ko) 2008-09-01 2010-06-10 필스전자 주식회사 밀착형 이어폰
JP4894849B2 (ja) * 2008-11-28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ピース及びイヤホン
JP2012244350A (ja) 2011-05-18 2012-12-10 Yamaha Corp カナル型イヤホ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1389A1 (ko) * 2015-01-07 2016-07-14 이세복 이어폰용 귀 덮개
WO2021246766A1 (en) * 2020-06-05 2021-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device for obtaining biometric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689840B2 (en) 2020-06-05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output device for obtaining biometric data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645970B1 (ko) * 2022-12-06 2024-03-11 이준현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94686B (zh) 具有通风孔的耳机
EP3148211B1 (en) Ear unit
KR101762142B1 (ko) 이어윙
US9743168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CN107950034B (zh) 入耳式耳机的降噪
EP3429223B1 (e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KR101423881B1 (ko) 이어폰용 스피커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어폰
US20170339481A1 (en) Earpiece system
US9338539B2 (en) In-ear-canal headset assembly
US8532324B2 (en) Headphone
WO2018058879A1 (zh) 一种耳机
JP7404735B2 (ja) 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のサポータ
US20140307911A1 (en) Ear pad and earphone device
KR101477285B1 (ko) 이어폰
KR101535916B1 (ko) 음향필터가 설치된 이어피스 및 이어폰
KR200457132Y1 (ko) 이어폰 플럭의 홀더링
CN105592380A (zh) 降噪耳机
KR100850988B1 (ko)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KR100962169B1 (ko) 밀착형 이어폰
CN115190391A (zh) 一种耳帽及耳机
KR100625184B1 (ko) 이어 패드
CN209845238U (zh) 新型骨传导耳机
KR20190142029A (ko) 이어팁
KR200447090Y1 (ko)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KR101282166B1 (ko) 압력방지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