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621B1 -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621B1
KR100673621B1 KR1020050098383A KR20050098383A KR100673621B1 KR 100673621 B1 KR100673621 B1 KR 100673621B1 KR 1020050098383 A KR1020050098383 A KR 1020050098383A KR 20050098383 A KR20050098383 A KR 20050098383A KR 100673621 B1 KR100673621 B1 KR 10067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body portion
bite
speaker
w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명선
Original Assignee
허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명선 filed Critical 허명선
Priority to KR102005009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2Sanitary or hygienic devices for mouthpieces or earpieces, e.g. for protecting against inf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어폰 보조기구는, 이어폰의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음향이 증폭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음향증폭공간을 갖는 광폭몸체부; 광폭몸체부에 연결되며, 광폭몸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음향증폭공간부에서 증폭된 음향의 진행을 위한 내부 중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소폭몸체부; 및 소폭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귓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귓구멍의 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장시간 착용시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통증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이어폰, 보조기구, 주름, 음향 증폭, 실리콘

Description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Subsidiary structure for earphone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보조기구와 이어폰 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에 따른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보조기구와 이어폰 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에 따른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어폰 11 : 이어폰본체
12 : 스피커 20 : 이어폰 보조기구
21 : 광폭몸체부 21a : 음향증폭공간
22 : 소폭몸체부 22a : 내부 중공
23 : 주름부 30 : 물림결합부
30a : 요홈부 30b : 요철부
본 발명은,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귓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귓구멍의 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장시간 착용시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통증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earphone)이란 이어폰 리시버(earphone receiver)의 약칭으로 크리스털 리시버와 마그네틱 리시버로 나뉜다. 크리스털 리시버는 크리스털 소자의 압전효과를 이용해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이고, 마그네틱 리시버는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이어폰에는 직접 귓구멍에 꼽아 사용하는 형태 외에도 머리에 걸치는 형태가 존재하는데, 후자의 것은 헤드폰(headphone)이라 하여 별도로 구별하기도 한다. 헤드폰은 이어폰에 비해 음량이 크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전철이나 버스 등을 통해 이동하는 사람, 거리를 활보하는 사람,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의 경우, 직접 귓구멍에 꼽아 사용하는 이어폰을 주로 사용한다. 특히, 근자에 들어 휴대폰이나 핸즈프리,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형 음향기기 가 널리 보급되면서 이어폰의 사용이 보편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어폰은 헤드폰과는 달리 부피가 작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다. 하지만, 이어폰은 귓구멍에 직접적으로 끼워져 착용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귓구멍의 내벽과의 밀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원치 않는 외부 소음이 유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어폰의 테두리 부분이 귓구멍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어폰을 장시간 착용할 경우, 귀에 통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의 이어폰 중에는 테두리 부분에 완충링을 마련한 것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구조로는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없을 뿐더러 완충효과 역시 미비하다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대안으로,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 제289548호에는 연질의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조기구를 이어폰에 결합하여 보조기구가 직접적으로 귓구멍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귀에 가해지는 통증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의 경우, 귓구멍의 내벽과 음향전달관 사이에 유격이 과도하게 형성되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의 차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깨끗한 음질의 청취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특히, 보조기구 몸체의 표면을 따라 귓구멍 속으로 진행하는 외부 소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등록출원 2004-0022263호를 통해 이어폰 보조기구를 출원한 바 있으며, 추후 심사를 통해 실용신안등록 제0365499호로서 등록받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기술로 인해 이어폰의 착용시, 외부 소음이 귓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 니라 귓구멍의 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장시간 이어폰의 착용시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통증 발생을 저지할 수 있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어폰은 헤드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스피커의 크기가 작을 뿐만 아니라 음향을 증폭할 수 있는 음향증폭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출력 음향이 작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해서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고비용이 소요되는 이어폰 보조기구를 제조하기에는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귓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귓구멍의 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장시간 착용시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통증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귓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귓구멍의 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장시간 착용시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통증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어폰의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음향이 증폭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음향증폭공간을 갖는 광폭몸체부; 상기 광폭몸체 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폭몸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음향증폭공간부에서 증폭된 음향의 진행을 위한 내부 중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소폭몸체부; 및 상기 소폭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폭몸체부의 폭은 상기 소폭몸체부의 폭에 비해 1.5 내지 3배의 크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이어폰과 상기 광폭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광폭몸체부를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 영역에 물림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광폭몸체부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와 이어폰본체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물림결합되는 요철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어폰에 상기 스피커를 지지하는 스피커하우징이 더 마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물림홈부와, 상기 광폭몸체부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홈부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부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비주름구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주름구간의 양측 영역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부는 상기 소폭몸체부의 노출단으로부터 상기 광폭몸체부측으로 갈수록 주름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폭몸체부, 상기 소폭몸체부, 상기 주름부 및 상기 물림결합부는 소정 의 연질재료를 통해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연질재료는 실리콘, 고무, 젤 중 선택된 어느 한 재료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어폰본체; 상기 이어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이어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음향이 증폭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음향증폭공간을 갖는 광폭몸체부와, 상기 광폭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폭몸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음향증폭공간부에서 증폭된 음향의 진행을 위한 내부 중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소폭몸체부와, 상기 소폭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갖는 이어폰 보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폭몸체부의 폭은 상기 소폭몸체부의 폭에 비해 1.5 내지 3배의 크기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이어폰본체와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를 상기 이어폰본체에 물림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이어폰본체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광폭몸체부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에 물림결합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어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를 지지하는 스피커하우징을 더 포함할 경우,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하우징과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를 상기 스피커하우징에 물림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물림홈부와, 상기 광폭몸체부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홈부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보조기구와 이어폰 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에 따른 요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보조기구(20)는 이어폰(1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10)은 크게 이어폰본체(11)와, 이어폰본체(11)의 전면에 마련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12)를 갖는다. 스피커(12)는 크리스털 소자의 압전효과를 이용해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이거나 마그네틱 리시버와 같이 코일에 음성전류를 흘려서 진동판을 작동시키는 구조 등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제1실시예의 경우, 스피커(12)는 이어폰본체(11)의 전면에 그대로 노출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스피커(12)의 고정을 위해 스피커(12)의 요부와 이어폰본체(11) 사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일부 사용된다. 스피커(12)가 이어폰본체(11)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인해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본체(11)와 스피커(12) 사이에는 요홈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어폰(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어폰 보조기구(20)는, 크게 광폭몸체부(21), 소폭몸체부(22) 및 주름부(23)를 갖는다.
광폭몸체부(21)는 이어폰(10)의 스피커(12)로부터 발생한 음향이 증폭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몸체부(21)의 내부에는 음향증폭공간(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폭몸체부(21)의 폭은 소폭몸체부(22)의 폭에 비해 1.5 내지 3배의 크기를 갖는다.
광폭몸체부(21)에 형성된 음향증폭공간(21a)으로 인해 스피커(12)에서 출력된 음향은 음향증폭공간(21a) 내에서 진동 및 확산됨으로써 음향이 증폭될 수 있다. 실제로, 모형 제품을 설계하여 실험을 한 결과, 대략 30% 이상의 음향 증폭 결과를 얻었다. 음향증폭공간(21a)은 음향을 증폭시키는 역할 외에도 중저음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저음 재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광폭몸체부(21)가 거의 원통 형상을 갖는다. 만일, 도시된 것과는 달리 광폭몸체부(21)를 항아리 형상이나 구 형상, 원뿔 형상, 원추 형상 등으로 변경하여 제조하면 음향증폭공간(21a) 역시 광폭몸체부(21)의 형상에 따라 그 공간이 결정된다. 다만, 광폭몸체부(21)가 어떠한 모양과 형상을 갖더라도 그 내부에 음향증폭공간(21a)이 형성되어 있다면 음향의 증폭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광폭몸체부(21)의 형상에 대해서는 굳이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소폭몸체부(22)는 귓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광폭몸체부(21)의 일측에 연 결되어 있다. 실제로 소폭몸체부(22)는 광폭몸체부(21)와 일체로 형성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폭몸체부(22)를 광폭몸체부(21)와 구별하고 있는 것이다. 소폭몸체부(22)는 음향증폭공간(21a)을 형성하기 위해 광폭으로 형성된 광폭몸체부(21)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그 폭이 좁게 형성된다. 즉, 소폭몸체부(22)는 거의 관 형상을 갖는데, 그 내부에는 스피커(12)에서 출력되어 음향증폭공간(21a)부에서 증폭된 음향의 진행을 위한 내부 중공(2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내부 중공(22a)은 증폭된 음향의 진행 통로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소폭몸체부(22)에 대한 완충작용도 겸한다. 즉, 소폭몸체부(22)가 귓구멍으로 삽입될 경우, 내부 중공(22a)으로 이해 소폭몸체부(22)가 탄성적으로 수축될 수 있기 때문에 통증 없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주름부(23)는 소폭몸체부(22)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23)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비주름구간(A)을 사이에 두고 비주름구간(A)의 양측 영역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름부(23)는 이어폰 보조기구(20)의 외면과 귓구멍 사이의 공간으로 원치 않는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폐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23)는 소폭몸체부(22)의 외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벽의 기능을 한다. 물론, 주름부(23)는 소정의 완충도를 갖기 때문에 이어폰 보조기구(20)의 착용시, 귀에 통증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도 겸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소폭몸체부(22)의 노출단 측에 2개의 주름부(23)가 형성되어 있고, 비주름구간(A)을 건너 뛰어 3개의 주름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주름부(23)의 개수는 주름부(23)의 두께와 크기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주름부(23)들 사이에 형성된 비주름구간(A, 도 3 참조)은 외부 소음이 소폭몸체부(22)를 따라 귓속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분으로 진행파의 전달도를 급격히 저감시킴으로써 소음을 차단하고, 나아가서는 귓구멍의 내벽과 주름부(23) 간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름부(23)는 소폭몸체부(22)의 노출단으로부터 광폭몸체부(21)측으로 갈수록 주름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이어폰 보조기구(20)가 귓구멍 측으로의 착용은 원활하고 쉽게 이루어지는 반면, 그 반대방향으로의 이탈은 저지된다. 따라서 이어폰 보조기구(20)에 대한 견고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주름부(23)들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후술할 물림결합부(30)를 포함하여 광폭몸체부(21), 소폭몸체부(22), 주름부(23)는 귀의 내벽과 접촉시 통증 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연질재료를 통해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사용될 수 있는 연질재료에는 실리콘, 고무, 젤 등이 존재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인체에 무해하고 이물감이 없는 실리콘을 적용하고 있다.
이처럼 이어폰 보조기구(20)를 연질재료로 형성할 경우, 자체 탄성력에 의해 이어폰 보조기구(20)는 이어폰본체(11)에 쉽게 착탈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좀 더 강한 결합력을 부여하여 이어폰(10)에 대해 이어폰 보조기구(2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물림결합부(30)를 더 형성하고 있다.
물림결합부(30)는 이어폰 보조기구(20)의 어느 영역에 형성하더라도 무방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12)의 후방에 요홈부(30a)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광폭몸체부(21)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요홈부(30a)에 물림결합되는 요철부(30b)로 대체하고 있다. 따라서 광폭몸체부(21)의 노출단을 약간 벌린 다음, 요철부(30b)가 이어폰본체(11)의 요홈부(30a)에 물림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이어폰 보조기구(20)를 이어폰본체(11)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어폰 보조기구(20)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이어폰(10)을 준비하고, 이어폰 보조기구(20)의 광폭몸체부(21)의 노출단을 약간 벌려 광폭몸체부(21) 내의 음향증폭공간(21a) 내로 스피커(12)가 수용되도록 하면서 이어폰 보조기구(20)의 요철부(30b)를 이어폰본체(11)의 요홈부(30a)에 물림결합시킨다.
이어폰 보조기구(20)가 이어폰(10)에 결합되면, 이어폰 보조기구(20)의 주름부(23) 측을 귓구멍으로 삽입하여 착용한다. 그러면, 주름부(23)가 귓구멍의 내벽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통증의 유발없이 귓구멍의 내벽에 밀착되기 때문에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어폰(10)의 단자를 휴대폰이나 핸즈프리, MP3 플레이어 등의 음향기기에 꼽는다. 음향기기가 동작하여 스피커(12)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면, 출력된 음향은 음향증폭공간(21a) 내에서 진동하여 증폭된 후, 내부 중공(22a)을 따라 전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향이 증폭된 상태에서 음악 등을 즐길 수 있 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보조기구와 이어폰 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에 따른 요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이어폰(110)의 스피커(112) 영역에는 스피커(112)를 보호하는 스피커하우징(113)이 더 마련되어 있다. 스피커하우징(113)은 제2실시예처럼 상대적으로 스피커(112)의 크기가 큰 이어폰(110)에 주로 채용된다.
이러한 경우, 이어폰본체(111)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제1실시예의 이어폰 보조기구(20, 도 1 내지 도 3 참조)를 그대로 사용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에,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물림결합부(130)로, 스피커하우징(113)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물림홈부(130a)와, 광폭몸체부(121)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물림홈부(130a)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부(130b)로 구성하고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에서도 귓구멍에 끼워지는 소폭몸체부(122)의 주름부(123) 영역의 구조는 변경되지 않으면서도 광폭몸체부(121)의 내부에 형성된 음향증폭공간(121a)으로 인해 보다 증폭된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 광폭몸체부(121)가 항아리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이 역시 적절한 다른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에서의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는 대신 참조부호만 구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 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귓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귓구멍의 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장시간 착용시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통증 발생을 저지할 수 있으며,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외부 소음이나 이물질이 귓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귓구멍의 내벽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장시간 착용시 귀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통증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이어폰의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음향이 증폭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음향증폭공간을 갖는 광폭몸체부;
    상기 광폭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폭몸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음향증폭공간부에서 증폭된 음향의 진행을 위한 내부 중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소폭몸체부; 및
    상기 소폭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몸체부의 폭은 상기 소폭몸체부의 폭에 비해 1.5 내지 3배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과 상기 광폭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광폭몸체부를 상기 이어폰의 스피커 영역에 물림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광폭몸체부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와 이어폰본체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에 물림결합되는 요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에 상기 스피커를 지지하는 스피커하우징이 더 마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물림홈부와, 상기 광폭몸체부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홈부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은 비주름구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비주름구간의 양측 영역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소폭몸체부의 노출단으로부터 상기 광폭몸체부측으로 갈수록 주름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몸체부, 상기 소폭몸체부, 상기 주름부 및 상기 물림결합부는 연질재료를 통해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재료는 실리콘, 고무, 젤 중 선택된 어느 한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보조기구.
  10. 이어폰본체;
    상기 이어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이어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음향이 증폭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음향증폭공간을 갖는 광폭몸체부와, 상기 광폭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광폭몸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고 상기 음향증폭공간부에서 증폭된 음향의 진행을 위한 내부 중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소폭몸체부와, 상기 소폭몸체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주름부를 갖는 이어폰 보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폭몸체부의 폭은 상기 소폭몸체부의 폭에 비해 1.5 내지 3배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본체와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를 상기 이어폰본체에 물림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이어폰본체와 상기 스피커 사이에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광폭몸체부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에 물림결합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어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피커를 지지하는 스피커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하우징과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 보조기구를 상기 스피커하우징에 물림결합시키는 물림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림결합부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의 단부 외면에 형성된 물림홈부와, 상기 광폭몸체부의 노출단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물림홈부에 물림결합되는 물림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050098383A 2005-10-19 2005-10-19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KR10067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383A KR100673621B1 (ko) 2005-10-19 2005-10-19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383A KR100673621B1 (ko) 2005-10-19 2005-10-19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621B1 true KR100673621B1 (ko) 2007-01-24

Family

ID=3801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383A KR100673621B1 (ko) 2005-10-19 2005-10-19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90Y1 (ko) 2009-06-15 2009-12-23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KR101598413B1 (ko) * 2016-01-04 2016-03-14 주식회사 다이나믹모션 세라믹 압전소자가 편심 배치된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한 다이나믹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90Y1 (ko) 2009-06-15 2009-12-23 아이폰 일렉트로닉스 엘티디 인체공학적 이어 피스가 구비된 이어폰
KR101598413B1 (ko) * 2016-01-04 2016-03-14 주식회사 다이나믹모션 세라믹 압전소자가 편심 배치된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한 다이나믹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1111B2 (ja) 骨伝導スピーカの使用方法及び骨伝導受話装置の使用方法
JP4401396B2 (ja) 音出力装置
US5142587A (en) Intra-concha type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use with audio devices etc.
JP5531605B2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CN106465009B (zh) 耳插入设备
JP2003348208A (ja) 骨伝導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電話機
WO2004077924A3 (en) Communications headset with isolating in-ear driver
CN107005759A (zh) 骨传导耳机
JP2009260883A (ja) 難聴者用イヤホン
JP2007189673A (ja) 着用式導音装置
JP2008011488A (ja) スピーカーとハウジングとの間に前室の調節可能な容積を有するインイヤ型イヤホンおよびイヤプラグ型イヤホン
US8391526B2 (en) Ear device for improved fit and sound
JP2017125937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JP6513839B2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JP5894322B1 (ja) 簡易型補聴器具
KR100673621B1 (ko) 이어폰 보조기구 및 그를 구비한 이어폰
JP6421360B2 (ja) インナーイヤホン
KR101461188B1 (ko) 공기 흐름 구조를 갖는 커널형 이어폰
JP2008048303A (ja) 電気音響変換装置及びそのアタッチメント
KR200426390Y1 (ko)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JP2504932Y2 (ja) 補聴器
KR100231219B1 (ko) 이어폰 장치
KR101756648B1 (ko) 착용감이 부드러우며, 운동시에 이탈이 되지 않는 이어폰 및 보청기
KR20060013340A (ko) 소음 및 이물질 차폐를 위한 이어폰 보조기구
JP6931753B1 (ja) 電気音響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