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187B1 -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 Google Patents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187B1
KR101031187B1 KR1020090019810A KR20090019810A KR101031187B1 KR 101031187 B1 KR101031187 B1 KR 101031187B1 KR 1020090019810 A KR1020090019810 A KR 1020090019810A KR 20090019810 A KR20090019810 A KR 20090019810A KR 101031187 B1 KR101031187 B1 KR 10103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ear
earphone
hous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358A (ko
Inventor
한성문
황형용
Original Assignee
아이필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필유(주) filed Critical 아이필유(주)
Priority to KR102009001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1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골전도 진동자를 구비하여 골전도 기능을 제공하되 외음의 유입과 하울링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골전도, 이어폰,

Description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In-ear type vibration earphone}
본 발명은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골전도 진동자를 구비하여 골전도 기능을 제공하되 외음의 유입과 하울링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향 이어폰은 이어폰에서 방출된 음향이 공기의 파동에 의해 외이도 -> 중이 -> 내이를 통해 청각 신경에 전달됨으로써 음향을 전달하는 장치인데, 고막을 집중적으로 자극하기 때문에 귀의 피로가 발생하고 난청이 유발되기 쉬우며 음향 재생부의 규모 한계로 인하여 음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이도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도 1과 같이 음향 전달용 홀(1)이 반드시 필요한바, 그 관통홀을 통해 이어폰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외부의 습기 등에 취약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수명이 단축된다.
최근에는 음향신호에 따른 진동파를 외이나 중이를 통하지 않고 뼈를 통해 바로 내이로 전달되어 음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이어폰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골전도 이어폰은 귀의 고막이 아닌 뼈(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목 위 귀 주변에 접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 다.
그러나 골전도 이어폰의 경우는 귓속 삽입형인 종래의 이어폰과는 달리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음향 이어폰과는 사용방법이 확연히 다른바, 고막이 손상된 경우와 같이 한정적인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종래 귓속 삽입형 이어폰에 익숙한 소비자들이 외면함으로써 시장을 형성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아무리 골전도 이어폰이라고 하여도 외이도가 열려 있는 한 외부의 잡음이 유입되는 것은 막을 수 없어 음향 청취에 방해가 되므로, 골전도 기능의 장점이 퇴색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골전도 기능과 일반 음향청취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양방향 이어폰도 제안되고 있는바, 이 경우는 일반 이어폰과 같이 귓속에 착용하는 구조이고 체감진동의 부가기능을 장점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골전도 만으로도 충분한 음향 및 체감진동의 전달이 가능함에도 양방향으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하고, 음향 이어폰의 기능 및 하울링의 문제로 인해 관통공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의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등의 문제점은 잔존하는 것이어서 이 또한 시장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종래 이어폰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골전도 기능만을 제공하는 이어폰을 종래의 삽입형 이어폰과 동일한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상 친숙함을 주고 외음의 유입을 차단하되, 하울링을 방지하고 하우징을 음향전달용 관통홀이 없는 밀폐구조로 하여 반영구적 사용을 가능케 한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골전도 진동자를 구비하여, 입력된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내이로 전달하여 음향신호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골전도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삽입방향의 전면부에 음향전달용 관통홀을 포함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소음 및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구조로서, 진동자가 착설되는 본체부 및, 귓속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는 외주면에 상기 삽입부를 탄성력으로 감싸며 밀착 결합하는 고무로 이루어진 탄성재질의 이어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어팁은 관통공을 포함하여 하울링 및 공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는 본체부로부터 수직, 경사 또는 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삽입형 이어폰과 유사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친숙함을 주면서도, 종래의 삽입형 이어폰과는 달리 골전도 진동자의 사용으로 하우징을 완전 밀폐구조로 제공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정성을 극대화하고, 외음 유입과 하울링이 차단구조를 통해 음향 품질을 제고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골전도 이어폰의 시장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의 실시예로서, 골전도 진동자(미도시)를 내부에 장착한 하우징(10)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골전도 진동자는 마그네트 주변에 장착된 진동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트와 진동코일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진동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진동체로서, 이는 종래 기술 중에서 선택하여 장착하면 되는 것인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골전도 진동자만을 구비하여 음향 및 체감진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전도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골전도 이어폰의 하우징 구조를 개선하여 골전도 이어폰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알루미늄과 같이 가벼운 금속재질과 같이 진동 전달에 유리한 소재가 바람직하며, 골전도 진동자가 내부에 장착되는 공간인 본체부(11)와 이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외이도에 삽입되는 부분인 삽입부(12)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는 골전도 진동자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삽입부(12)는 대체로 상기 본체부(1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이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11)는 삽입부(12)의 형태에 따라 귀에서의 부착위치가 달라지는데, 본체부는 반드시 귀와 가까울 필요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삽입부의 길이가 짧으면 귓바퀴에 바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부의 길이가 증가하면 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곳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10)은 음향전달용 관통홀을 구비하는 종래의 삽입형 이어폰과 달리, 적어도 삽입부 상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밀폐구조로서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삽입부(12)에는 단턱(13)이 구비되어 도 2에 도시된 이어팁(20)이 장착될 때 이에 걸려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이 없는 밀폐구조인 하우징(10)은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방수기능 및 골전도 진동자의 안정적인 성능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밀폐구조 하우징은 이어팁을 장착하는 경우, 이어팁과 하우징 간의 하울링에 취약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관통공이 형성된 이어팁을 삽입부 상에 제공함으로써 장착시 외이도와 이어폰 간의 간격을 유지하며, 그 간격을 통해 상기 관통공으로 진동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울링 문제를 해결한 다.
즉, 이어팁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하우징 어디에도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고 하울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밀폐구조의 이어폰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어팁은 상기 삽입부(12)의 외주면에 탄성결합하여 장착되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서, 삽입부와 외이도 사이의 간격을 막아 외음의 유입을 방지하고, 외이도와 삽입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이어폰 착용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팁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착용시 상기 관통공이 막히지 않도록 그 형성위치를 조절하여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외이도 삽입 방향으로 다수 개의 관통공(21)을 형성함으로써, 관통공(21)이 외이도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팁(20)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착탈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부 단턱(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단부를 구성하여 상기 삽입부에 탄성결합한다.
상기 이어팁은 중공을 가진 단일 원통형 구조일 수도 있으나, 도 3 및 4와 같이 삽입부 상에 밀착 결합한 내벽(22)과 자유단부(14)측에 이르면 직경이 증가하여 본체부(11) 방향으로 내벽(22)과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접혀 형성되는 외벽(23)을 구비함으로써 내ㆍ외벽 2중 구조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공(21)은 접힌 부분(A)에 형성되어 착용시 원활한 공기 흐름이 유도되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이어팁(20)이 하우징(1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상기 삽입부의 형태를 변형한 다른 실시예로서, 외이도 삽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삽입부의 결합각도를 경사지게 변형한 것이다.
즉, 이어폰 착용면 대비 외이도가 형성하는 경사에 대응되도록 삽입부(12a)를 본체부(11a)로부터 비스듬히 결합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도 7과 같이 상기 이어팁(20)은 그대로 장착되어 착용감, 외음 유입 차단 및 하울링 방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삽입부는 이와 같이 본체부 대비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다양한 굴곡을 포함하는 등 외이도 삽입시 착용감 향상을 위한 것이라면 그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부분으로서, 도 8과 같이 곡선형으로 길게 형성하여, 삽입부만 귓속에 위치하고 본체부는 귓바퀴를 벗어나서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상기 도 8의 이어폰 단부에 이어팁을 장착한 모습이며, 도 10은 도 9의 이어폰을 착용한 예시도로서, 본체부의 위치와 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삽입형 이어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의 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에 장착될 이어팁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팁이 장착된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도 6의 이어폰에 이어팁이 장착된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이도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도 8의 이어폰에 이어팁이 장착된 실시예.
도 10은 도 9의 이어폰을 착용한 예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 : 하우징 11, 11a : 본체부
12,12a : 삽입부 13 : 단턱
20 : 이어팁 21 : 관통공
22 : 내벽 23 : 외벽

Claims (3)

  1. 하우징 내부에 골전도 진동자를 구비하여, 입력된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내이로 전달하여 음향신호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골전도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삽입방향의 전면부에 음향전달용 관통홀을 포함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소음 및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구조로서, 진동자가 착설되는 본체부 및, 귓속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외주면에 상기 삽입부를 탄성력으로 감싸며 밀착 결합하는 고무로 이루어진 탄성재질의 이어팁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이어팁은 관통공을 포함하여 하울링 및 공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본체부로부터 수직, 경사 또는 곡선을 형성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KR1020090019810A 2009-03-09 2009-03-09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KR101031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10A KR101031187B1 (ko) 2009-03-09 2009-03-09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810A KR101031187B1 (ko) 2009-03-09 2009-03-09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358A KR20100101358A (ko) 2010-09-17
KR101031187B1 true KR101031187B1 (ko) 2011-04-26

Family

ID=4300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810A KR101031187B1 (ko) 2009-03-09 2009-03-09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126B1 (ko) 2010-10-25 2012-03-16 주식회사 에코쉘 커널형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822A (ko) 2015-05-08 2016-11-16 주식회사 예일전자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1872689B1 (ko) 2016-02-18 2018-06-29 주식회사 예일전자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진동 출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1855335B1 (ko) 2016-07-01 2018-05-08 주식회사 예일전자 차체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
KR20170039116A (ko) 2017-03-31 2017-04-10 주식회사 예일전자 진동 출력 장치 및 진동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 기기
CN107172520A (zh) * 2017-06-06 2017-09-15 北京金锐德路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麦克风及其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475A (ja) * 1999-03-04 2000-09-14 Nippon Steel Corp 耳栓機能を有するイヤーマイクロフォン
JP2005244645A (ja) * 2004-02-26 2005-09-08 Sony Corp マイクロホン装置
KR200432381Y1 (ko) * 2006-08-29 2006-12-05 태성정밀부품(주) 이어폰 리시버 케이스
KR20080073155A (ko) * 2007-02-05 2008-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어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475A (ja) * 1999-03-04 2000-09-14 Nippon Steel Corp 耳栓機能を有するイヤーマイクロフォン
JP2005244645A (ja) * 2004-02-26 2005-09-08 Sony Corp マイクロホン装置
KR200432381Y1 (ko) * 2006-08-29 2006-12-05 태성정밀부품(주) 이어폰 리시버 케이스
KR20080073155A (ko) * 2007-02-05 2008-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126B1 (ko) 2010-10-25 2012-03-16 주식회사 에코쉘 커널형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358A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187B1 (ko) 삽입형 골전도 이어폰
US9277336B2 (en) Vented dome
KR100757462B1 (ko) 이어폰
CN107172512B (zh) 耳机耳翼
WO2013118539A1 (ja) 骨伝導イヤホン
US20110188690A1 (en) Receiver in concha
JP4772930B1 (ja) 骨伝導イヤホン
KR100922337B1 (ko) 고무 귓 청을 구비한 이어폰
RU2611215C1 (ru) Внутриушной наушник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х ношения
KR20110065518A (ko) 보청기의 이어폰을 위한 유지 모듈
EP2750413B1 (en) Hearing aid device
JP2005323363A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JP2009518942A (ja) 補聴器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JP2011009909A (ja) イヤホン
JP2010088070A (ja) 耳かけ型補聴器
US9025807B2 (en) Couplable hearing apparatus for a hearing device, coupling element and hearing device
JP5288556B2 (ja) イヤホン装置
JP2004166174A (ja) 外耳道内挿入型骨伝導受話器、並びに外耳道内挿入型骨伝導補聴器
TW201129108A (en) Ear pad and earphone having the same
KR101039107B1 (ko) 골전도 이어폰
KR20140068629A (ko) 무통증 이어폰
KR20010034308A (ko) 전도성 난청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성 소음이 없는 이어폰
KR101155114B1 (ko) 골 전도 스피커
JP2009027675A (ja) イヤホン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