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1194A - 청음 장치 - Google Patents

청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1194A
KR20200111194A KR1020207022398A KR20207022398A KR20200111194A KR 20200111194 A KR20200111194 A KR 20200111194A KR 1020207022398 A KR1020207022398 A KR 1020207022398A KR 20207022398 A KR20207022398 A KR 20207022398A KR 20200111194 A KR20200111194 A KR 2020011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housing
bone conduction
output structure
vibr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897B1 (ko
Inventor
하타아키 샤
Original Assignee
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7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ear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과제] 장착 시에 장착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확실하게 청음할 수 있도록 장착 가능한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청음 장치는,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뼈 전도 드라이브와, 뼈 전도 드라이브를 격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마련되고,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에서 변환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 구조체와, 하우징에 마련된 귀 걸이 부재를 구비하며, 형상이 다른 복수의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 중 하나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음 장치
본 발명은 뼈에 진동을 줌으로써 소리를 인식시키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장착 시에 장착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확실하게 청음할 수 있도록 장착 가능한 청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음악이나 라디오, 텔레비전 등의 소리를 듣는 수단으로서, 혹은 휴대전화나 무선으로의 회화 수단으로서, 헤드폰이나 이어폰과 같은 귀에 장착하여, 소리나 음악을 듣기 위한 장치(이하, 청음 장치라고 함.)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청음 장치에서 일반적인 헤드폰에는 귓구멍에 장착되는 것이나, 귀 전체를 덮는 것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전기신호로서 입력된 음원을 공기 진동으로 변환하여 고막에게 전달하여 진동시키고, 상기 고막의 진동이 귀의 안쪽 중이를 통해서, 뇌에 소리 정보가 전달되어 인식되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공기 진동에 의해 고막을 진동시키는 구조가 아니라, 두개골에 소리의 진동을 주어서 뼈의 진동에 의해 소리를 인식시키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는 헤드폰이나 이어폰과 같이, 귓구멍에 삽입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귀에는 주위의 소리가 차폐되지 않고 들어오기 때문에, 장착하고 있어도 안전하고, 또한, 고막의 진동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난청인 사람이라도 소리를 인식할 수 있으며, 보청기 등에의 이용도 진행되고 있다.
이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는 전기신호로서 입력된 음향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여, 그 진동을 적절한 위치로부터 뼈에게 주어서 뼈에 진동을 전하고, 그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뼈 전도음으로 소리를 인식시키는 것이다.
상기 적절한 위치로서는, 관자놀이 주변이나 유양 돌기라 부르는 측두골의 후하방에 있는 커다란 돌기 주변을 들 수 있다.
관자놀이 주변은 즉, 두개골 그 자체이며, 관자놀이 주변에 제대로 진동부를 당접하면 정확하게 뼈에 소리의 진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뼈 전도를 이용하는 청음 장치, 특히, 헤드폰 타입에서는, 이 관자놀이에 당접하는 것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그리고, 이 타입의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서는, 진동부가 정확하게 관자놀이 주변에 당접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귀의 상부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암(arm)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관자놀이 주변이 아니라, 유양 돌기에 진동을 주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뼈 전도형 음성 청취 장치 및 방법」으로서 개시되어 있는, 거의 영문자 C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 내에 청취자의 유양 돌기를 거의 덮도록 뼈 전도 수단의 스피커가 배치되는 구조인 것이 있다(도 11 참조).
상기와 같은 관자놀이 주변에 진동을 주는 구조인 것도, 유양 돌기에 진동을 주는 구조인 것도, 모두 귀를 막지 않고 장착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귀에는 주위의 소리가 차단되지 않고 들어오기 때문에, 장착하고 있어도 안전하고, 또한, 난청자라도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2-62199호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부를 적절한 위치에 당접시킴으로써 청음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적절한 위치에 당접시킨 진동부로부터 뼈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당접 압력을 가해야만 하며, 그 때문에 조임이 필요해진다. 조임이 약해서 단지 접촉하고 있는 정도로는, 제대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아 소리를 인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상술한 관자놀이 주변에 진동부를 당접시키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 있어서는, 구조적으로 관자놀이 주변에 핀 포인트에서, 진동부가 제대로 압력을 가해서 당접하도록 설계되고, 장착 시에는, 상기 진동부가 관자놀이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불안정한 장착에 의해 진동부가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버린 경우에는, 다시 적절한 위치에 진동부가 접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한편, 도 11은 종래 기술의 설명용 도면으로서, 특허문헌 1의 유양 돌기를 덮도록 진동부가 배치되는 구조의 장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거의 영문자 C의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a) 내에 배설된 뼈 전도 스피커(b)가 유양 돌기 주변에 제대로 압력을 가해서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시에는 상기 스피커(b)가 유양 돌기 주변의 적절한 위치에 핀 포인트에 배치되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양 돌기의 위치는 획일적이지 않기 때문에, 진동부가 배치되어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장착자의 신체적 특징에 맞추어, 여러가지 크기가 다른 많은 종류의 장치를 제조하여 준비해 두어야만 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주문으로 만들어야만 한다는 문제도 있어서, 뼈 전도를 이용한 소리 인식 장치의 보급을 방해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는 난청자, 특히, 고막에 문제가 있어, 전기신호로서 입력된 음원을 공기 진동으로 변환하여 고막에게 전달하여 진동시키는 것이 어려운 사람이 난청을 보충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여겨졌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는 귓구멍을 막지 않기 때문에, 주위로부터의 소리를 차단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주목을 받게 되어, 휴대전화에 편입되거나 하여, 청각이 건강한 사람의 이용이 증대되어 왔다.
그러나, 청각이 건강한 사람의 경우, 뼈 전도로부터의 음이 전달될 때, 동시에 귓구멍으로부터 들어오는 소리가 고막에게 전달되어버리기 때문에, 주위에 잡음이 있으면, 귓구멍으로부터 들어오는 잡음과 뼈 전도로부터의 소리가 혼재되어버려, 뼈 전도에 의한 소리가 마스킹되어, 오히려 듣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귀마개를 하거나 손가락으로 귓구멍을 막거나 해야만 해서, 뼈 전도를 이용하는 의의를 상실시켜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난청자는 물론, 청각이 건강한 사람도 용이하고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뼈 전도에 의한 소리를 충분히 알아들을 수 있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는 열심히 연구한 결과, 이하와 같은 장치를 발명하였다.
(1)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뼈 전도 드라이브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에서 변환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 구조체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를 격납하는 하우징의 상방에 배설되고,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를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도록 귓바퀴의 상방에 걸어두는 귀 걸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가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귓바퀴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에 당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2)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뼈 전도 드라이브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를 격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에서 변환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 구조체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귀 걸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이나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본 발명의 청음 장치에 의하면,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뼈 전도 드라이브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에서 변환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 구조체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를 격납하는 하우징의 상방에 배설되고,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를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도록 귓바퀴의 상방에 걸어두는 귀 걸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가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귓바퀴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에 당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청각이 건강한 사람, 난청인 사람을 불문하고, 누구나 장착 시에 장착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간편하게 장착 가능하여 확실하게 청음할 수 있다.
또한, 청음 장치를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하는 것 만으로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조임에 따른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고, 다소의 움직임으로도 어긋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소형, 경량이고, 디자인성이 우수하며, 나아가서는, 용이하게 장착이나 떼어낼 수 있어, 장착 시에 우수한 쾌적성을 갖는다.
또한, 진동 출력 구조체로부터의 진동이 측두부로부터는 두개골에게 전달되고, 귓바퀴의 후부로부터는 귓바퀴 전체에게 전달되어 귓구멍의 주변 공기를 진동시키기 때문에, 뼈 전도에 의한 뼈로부터의 소리와 귓구멍으로부터의 공기 진동에 의한 소리를 동시에 청음할 수 있으며, 명료하게 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다.
그리고,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이기 때문에, 귓구멍을 봉쇄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으며, 헤드폰 마이크나 보청기 등, 소음이 심한 현장에서의 회화를 가능하게 하는 헬멧 등, 각종 분야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의 청음 장치에 의하면,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뼈 전도 드라이브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를 격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에서 변환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 구조체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귀 걸이 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장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청각이 건강한 사람, 난청인 사람을 불문하고, 누구나 장착 시에 장착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간편하게 장착 가능하여 확실하게 청음할 수 있다. 특히, 연령, 성별, 머리의 형태, 귀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진동 출력 구조체를 선택하여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외관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일부 단면 설명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장착 상태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장착 상태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장착 위치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장착예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진동 출력 구조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하우징의 진동을 억제하는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하우징의 진동을 억제하는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하우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 설명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구조의 실시예의 외관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의 일부 단면 설명도이다. 도면 중, 1은 청음 장치, 2는 뼈 전도 드라이브, 3은 진동 출력 구조체, 4는 귀 걸이 부재, 20은 하우징이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음 장치(1)는 뼈 전도 드라이브(2)와, 진동 출력 구조체(3) 및 귀 걸이 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2)는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고, 진동 출력 구조체(3)는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2)에서 변환되어 전달된 진동을 출력한다.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한다는 것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향 전기신호를 기계 진동으로 변환하는 것이며, 뼈 전도 드라이브(2)는 음향 전기신호에 의해 다이어프램 등을 진동시켜, 상기 음향 전기신호를 뼈에게 전달하는 기계 진동으로 변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2)의 진동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음향 전기신호를 기계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으면 되며, 압전식, 전자식, 초자왜 등,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2)는 하우징(20)에 격납되며, 상기 하우징(20)의 상방에 귀 걸이 부재(4)가 배설된다.
상기 하우징(20)에는 뼈 전도 드라이브(2)가 격납·고정되어,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2)에 외부로부터 음성 전기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20) 내에 격납·고정된 뼈 전도 드라이브(2)에서 변환된 진동이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2)에 접속된 진동 출력 구조체(3) 전체를 진동시켜서 장착자에게 전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3)는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며, 상기 귓바퀴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에 당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하기 이유에 의해, 청음 장치(1)로부터 명료하게 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이 된다고 생각된다.
즉,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3)는 뼈 전도 드라이브(2)로부터의 진동을 귓바퀴 후부로부터 귓바퀴 전체에게, 측두부로부터는 두개골에게 전달한다. 이로써, 장착자는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두개골로부터의 두 측면에서 광범위하게 진동을 받아서 청음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두부로부터의 진동은 두개골에 소리의 진동을 주고, 뼈의 진동에 의해 소리를 전달하는 한편, 귓바퀴 후부로부터의 진동은 귓바퀴 전체에게 전달되어 그 진동의 일부가 귓구멍의 피부 조직을 진동시키고, 상기 귓구멍 주변의 공기에 그 진동이 전달되며, 상기 공기에게 전달한 진동이 고막에 도달해서 소리를 전달한다.
그 때문에, 청음 시에, 뼈 전도로부터의 소리와, 귓구멍으로부터 공기 진동으로 고막에게 전달되는 소리가 동시에 청음 가능하기 때문에, 귓구멍으로부터 들어오는 잡음과 뼈 전도로부터의 소리가 혼재하지 않아, 뼈 전도에 의한 소리가 귓구멍으로부터 들어오는 잡음에 마스킹되지 않고, 명료하게 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이 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진동 출력 구조체(3)는 장착자의 피부에 직접 당접하기 때문에, 장착 시에 통증이나 불쾌감을 주지 않는 소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합성 수지나 합성 고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귓바퀴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에 당접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요성이나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귀 걸이 부재(4)는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3)를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도록 귓바퀴의 상방에 걸어두도록 형성된다. 귀 걸이 부재(4)는 청음 장치(1)의 장착 시에, 진동 출력 구조체(3)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특히, 그 형상이나 소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에서는, 특히, 유양 돌기 주변이나 관자놀이 주변이라는 특정 개소에 진동을 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적절한 위치란, 귓바퀴의 뒤와 측두부의 사이이며, 상기 위치에 청음 장치(1)를 배치할 수 있으면, 도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귓바퀴의 상방에 걸어두는 갈고리형 형상의 귀 걸이 부재(4)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면은 생략하지만, 일반적인 헤드폰에 사용되고 있는 넥 밴드나 헤드 밴드의 양 단부에 상기 하우징(20)을 배설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귀 걸이 부재(4)를 하우징(20)과 부착 가능하게 형성하고, 귀의 형상에 맞추어 최적 크기의 귀 걸이 부재(4)로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는 한쪽 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양쪽 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에 마이크를 달아서, 마이크로폰으로 하거나, 집음기를 설치하여 보청기로 하거나 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뼈 전도를 이용하는 각종 장치나 기기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의 장착, 특히, 진동 출력 구조체(3)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장착 상태의 상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장착 위치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장착예의 설명도이다.
도 3a는 장착자의 두부의 배면도로서, 양쪽 귀에 본 발명의 청음 장치(1)를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음 장치(1)는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고, 진동 출력 구조체(3)는 귓바퀴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화살표)에 걸쳐서,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귓바퀴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는 엄밀한 것이 아니라, 진동 출력 구조체(3)는 귓바퀴의 후부가 측두부와 이어지는 부분의 범위에서 넓게 당접 가능한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진동 출력 구조체(3)의 폭은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하였을 때에, 압박감을 주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또한,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에 진동을 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된다.
도 3b는 장착자의 두부의 평면도로서, 진동 출력 구조체(3)를 구비한 청음 장치(1)가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3)는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두개골)에 당접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는, 진동 출력 구조체(3)가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고, 귓바퀴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에 당접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로써, 진동 출력 구조체(3)는 귓바퀴의 후부로부터 귓바퀴 전체에, 측두부로부터 두개골에 대하여, 귓바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는 청음 장치(1)의 장착 시에 진동 출력 구조체(3)를 배설하는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서, 귓바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가 진동 출력 구조체(3)를 배치하는 위치(α)이다. 상기 위치(α)에 진동 출력 구조체(3)를 배치함으로써, 진동 출력 구조체(3)의 측면이 스스로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에 당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상기 위치(α)에 진동 출력 구조체(3)가 배치된 상태의 장착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청음 장치(1)는 귓바퀴의 후부에 장착되고, 상기 청음 장치(1)의 진동 출력 구조체(3)가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에 당접하도록 장착된다. 이 때, 진동 출력 구조체(3)가 광범위하게 당접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귓바퀴의 후부나 측두부 중 어디라는 특정 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장착자는 특별한 주위를 기울이지 않고, 귓바퀴에 귀 걸이 부재(4)를 걸어서, 하우징(20)을 귓바퀴의 후부에 배치하는 것 만으로 청음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진동 출력 구조체(3)는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서, 귓바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에 당접하도록 배치 가능한 형상이면 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의 진동 출력 구조체(3a)에 한정하지 않으며,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꼭 맞기 쉽도록 하기 위해, 단면을 대략 삼각형으로 한 진동 출력 구조체(3b), 일부에 볼록부(32)를 마련한 진동 출력 구조체(3c) 등, 임의의 형상의 진동 출력 구조체(3)를 하우징(2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진동 출력 구조체(3a, 3b, 3c)에는 각각 동일 형상의 볼록부(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볼록부(31)를 하우징(20)의 오목부(21)에 삽입함으로써, 각 진동 출력 구조체(3a, 3b, 3c)를 하우징(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연령, 성별, 머리의 형태, 귀의 형태 등에 따라서 최적 형상의 진동 출력 구조체(3)를 선택하여 하우징(3)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는 귓바퀴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에서, 진동 출력 구조체(3)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 출력 구조체(3)는 뼈 전도 드라이브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그 전체가 진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뼈 전도 드라이브(2)는 진동 출력 구조체(3) 전체를 진동 가능한 만큼의 출력을 구비한 것이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에 있어서, 진동하는 것은 진동 출력 구조체(3)이며, 뼈 전도 드라이브(2)를 격납·고정시킨 하우징(20)은 진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을 진동시키지 않도록 진동 출력 구조체(3)의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40)를 배치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의 위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출력 구조체(3)의 볼록부(31a)를 하우징(21)의 오목부(21)(삽입구)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도 8의 아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동 출력 구조체(31)를 하우징(3)에 설치하였을 때, 진동 출력 구조체(3)와 하우징(21)의 양 측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도 1과 같이, 진동 출력 구조체(3)와 하우징(21)이 전체 측면에서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진동 출력 구조체(3)로부터 하우징(21)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억제되어, 하우징(21) 자체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 실시예의 하우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에 대해서는, 뼈 전도 드라이브(2)를 격납·고정시킬 수 있고, 진동 출력 구조체(3)를 지지하여 진동을 안정되고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으면 되며, 전체 디자인을 고려하여, 진동 출력 구조체(3)와 같은 정도의 크기로 해도, 도 9에 나타내는 소형 형상의 하우징(20a)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는 도 10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 설명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청음 장치(1)에 귓불 등에 대한 계지(係止)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청음 장치(1)에 계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청음 장치(1)를 제대로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3)의 확실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계지 수단은 자석 타입이지만, 클립 타입 등, 장착자가 간단하게 설치 가능한 것이면 되며, 계지 위치는 귓불 뿐만 아니라, 귓바퀴의 상단부나 가로 측 단부, 귓구멍 단부 등 임의의 위치일 수 있으며, 계지 수단은 계지 위치에 맞추어,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뼈 전도를 이용하는 청음 장치와 관련되며, 뼈 전도 헤드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청기, 마이크로폰,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의 회화용 등, 다양한 뼈 전도를 이용하는 장치나 기기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청음 장치
2 뼈 전도 드라이브
3, 3a, 3b, 3c 진동 출력 구조체
4 귀 걸이 부재
5 계지 부재
20, 20a 하우징
21 진동자

Claims (8)

  1.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뼈 전도 드라이브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에서 변환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 구조체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를 격납하는 하우징의 상방에 배설되고,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를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도록 귓바퀴의 상방에 걸어두는 귀 걸이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가, 귓바퀴의 후부와 측두부의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귓바퀴 후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이르는 범위에 당접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2. 음향 전기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뼈 전도 드라이브와,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를 격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뼈 전도 드라이브에서 변환된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출력 구조체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귀 걸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형상이 다른 복수의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 중 하나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의 확실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귓불에 대한 계지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 걸이 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귀 걸이 부재 대신, 넥 밴드나 헤드 밴드의 양 단부에 상기 하우징이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진동하지 않으며,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가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출력 구조체와 전기 하우징의 사이에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음 장치.
KR1020207022398A 2018-01-24 2018-06-01 청음 장치 KR102482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9561 2018-01-24
JP2018009561A JP6513839B2 (ja) 2018-01-24 2018-01-24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PCT/JP2018/021175 WO2019146138A1 (ja) 2018-01-24 2018-06-01 聴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194A true KR20200111194A (ko) 2020-09-28
KR102482897B1 KR102482897B1 (ko) 2022-12-28

Family

ID=62566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398A KR102482897B1 (ko) 2018-01-24 2018-06-01 청음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12610B2 (ko)
JP (1) JP6513839B2 (ko)
KR (1) KR102482897B1 (ko)
CN (1) CN111670581B (ko)
WO (1) WO2019146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8825A1 (zh) * 2020-04-30 2021-11-04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及其制造方法
CN111654775A (zh) * 2020-06-13 2020-09-11 深圳市博音科技有限公司 接收和传导一体式骨传导耳机
CN113365179B (zh) * 2021-05-20 2023-05-05 雷铭科技有限公司 发声棒组件
JP2023072616A (ja) * 2021-11-12 2023-05-24 友見子 北郷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2199A (ja) 1988-08-02 1990-03-02 B Shriver Simeon 骨伝導型音声聴取装置および方法
WO2008004273A1 (fr) * 2006-07-03 2008-01-10 Frey Co., Ltd.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vibrations,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la voix, et pastille à vibrations
JP2013115800A (ja) * 2011-12-01 2013-06-10 Goldendance Co Ltd 耳掛け型補聴器
WO2015020753A2 (en) * 2013-08-09 2015-02-12 Otorix Usa Inc. Bone conduction hearing ai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4279D0 (en) 2000-10-04 2000-11-15 New Transducers Ltd Audio apparatus
JP3532535B2 (ja) 2001-05-31 2004-05-31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送受話装置
JP3985094B2 (ja) * 2002-07-30 2007-10-03 透 加藤 骨導スピー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GB0321617D0 (en) * 2003-09-10 2003-10-15 New Transducers Ltd Audio apparatus
JP2005328118A (ja) 2004-05-12 2005-11-24 Hosiden Corp 耳掛け式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
JP2005328125A (ja) * 2004-05-12 2005-11-24 Nec Tokin Corp イヤフォン
JPWO2006080517A1 (ja) 2005-01-31 2008-06-19 株式会社アキタ電子システムズ 骨導スピーカセット、電子機器、電子翻訳システム、聴覚支援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携帯電話機
JP4072864B2 (ja) * 2005-09-05 2008-04-09 アイテック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用モダン
GB0710378D0 (en) * 2007-05-31 2007-07-11 New Transducers Ltd Audio apparatus
JP2009094986A (ja) * 2007-10-12 2009-04-30 Nec Tokin Corp 受話装置
JP3144392U (ja) * 2008-06-16 2008-08-28 真幸電機株式会社 ヘッドホーンに取り付ける骨伝導デバイス
CN101753221A (zh) * 2008-11-28 2010-06-23 新兴盛科技股份有限公司 蝶颞骨传导通讯与/或助听装置
JP2012105118A (ja) 2010-11-11 2012-05-31 Nikon Corp ヘッドホーン及び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JP5966333B2 (ja) * 2011-12-01 2016-08-10 ゴールデンダン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補聴器
JP5973218B2 (ja) 2012-04-26 2016-08-2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554223B2 (en) * 2013-08-28 2017-01-24 Cochlear Limited Devices for enhancing transmissions of stimuli in auditory prosthe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2199A (ja) 1988-08-02 1990-03-02 B Shriver Simeon 骨伝導型音声聴取装置および方法
WO2008004273A1 (fr) * 2006-07-03 2008-01-10 Frey Co., Ltd.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vibrations,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la voix, et pastille à vibrations
JP2013115800A (ja) * 2011-12-01 2013-06-10 Goldendance Co Ltd 耳掛け型補聴器
WO2015020753A2 (en) * 2013-08-09 2015-02-12 Otorix Usa Inc. Bone conduction hearing ai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6138A1 (ja) 2019-08-01
CN111670581A (zh) 2020-09-15
KR102482897B1 (ko) 2022-12-28
JP6513839B2 (ja) 2019-05-15
CN111670581B (zh) 2022-08-30
JP2018093516A (ja) 2018-06-14
US20210099789A1 (en) 2021-04-01
US11212610B2 (en)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8211B1 (en) Ear unit
JP4401396B2 (ja) 音出力装置
EP3166336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 and bone conduction earphones having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s
KR102482897B1 (ko) 청음 장치
KR100937159B1 (ko) 골전도 헤드폰
EP2061273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RU2611215C1 (ru) Внутриушной наушник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х ношения
JP6301433B1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CN111630869B (zh) 听音装置
CN112911439A (zh) 同时刺激乳突及耳廓的耳鸣治疗专用骨传导头戴式耳机
CN110100456B (zh) 声音收集装置
JP6263791B1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構造及びその構造を備えた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JP2000166959A (ja) 骨導スピ−カ
JP2023096092A (ja) 音響出力装置
KR20200123103A (ko)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KR102345210B1 (ko) 음향 출력 장치
CN108496373B (zh) 声音输出装置
WO2024090030A1 (ja) 骨伝導スピーカユニット
CN212752573U (zh) 耳机、耳机密封套
CN210042127U (zh) 一种骨传导耳机
WO2020116253A1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音響機器
TW202418820A (zh) 骨傳導揚聲器單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