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613A - 골전도 스피커 세트, 전자 기기, 전자 번역 시스템, 청각지원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치 및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골전도 스피커 세트, 전자 기기, 전자 번역 시스템, 청각지원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치 및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613A
KR20070119613A KR1020077017642A KR20077017642A KR20070119613A KR 20070119613 A KR20070119613 A KR 20070119613A KR 1020077017642 A KR1020077017642 A KR 1020077017642A KR 20077017642 A KR20077017642 A KR 20077017642A KR 20070119613 A KR20070119613 A KR 2007011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conduction speaker
speaker
microphon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가토
마사카즈 마사키
다카시 도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타덴시시스테무즈
마사카즈 마사키
도루 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타덴시시스테무즈, 마사카즈 마사키, 도루 가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키타덴시시스테무즈
Publication of KR2007011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6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신체 장신구의 형태와 유사한 골전도 스피커 세트 및 그에 적절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2개의 골전도(骨傳導) 스피커 장치; 및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좌우의 스테레오 스피커로 사용하는 모드와, 한쪽을 스피커로 다른 쪽을 마이크로 사용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골전도 스피커 세트이다.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상호 간격이 소정 간격 이내인 것을 검출하는 상호 간격 검출 수단; 및 상기 상호 간격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난 신호를 발하는 조난 신호 발신 수단을 갖는다.
골전도 스피커, 스피커·마이크 전환, 전자 번역 시스템, 내비게이션

Description

골전도 스피커 세트, 전자 기기, 전자 번역 시스템, 청각 지원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치 및 휴대 전화기{BONE-CONDUCTION SPEAKER SET,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TRANSLATION SYSTEM, AUDITORY SENSATION SYSTEM, NAVIGATION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본 발명은 음신호를 두개골로 전달하여 청각 신경에 전달시키는 골전도(骨傳導) 스피커 세트,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전자 번역 시스템, 청각 지원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치 및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신체 장신구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골전도 스피커 장치 및 그에 적절한 통신 시스템을 제안하였다(특허문헌 1). 그것은 장착자의 귓불에 부착하는 귓불 부착부, 상기 귓불 부착부에서 구부러져 연장되는 압착 스프링부 및 상기 압착 스프링부를 따라 대략 역삼각형 형태로 펼쳐지는 진동부를 갖고, 인체 장착시에는 상기 귓불 부착부에 의해 장착자의 귓불에 부착되고, 진동부가 장착자의 유양 돌기부(乳樣突起部)에 압착되어 음신호 전달을 위한 진동을 유양 돌기부에 전달한다. 귓불 부착부에는 보석 등의 장식품을 부착하기 위한 장식품 부착 구 조를 갖는다. 압착 스프링부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형성된다. 귓불 부착부는 장착자의 귓불에 앞뒤로부터 끼워넣는 클립 구조를 갖는다.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휴대 전화의 이어폰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2004년 일본 기계 학회에서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골전도 스피커가 제안되었다(비특허문헌 1). 해당 논문에 따르면,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골전도 스피커를 인체에 붙이는 장소로서 귓바퀴 연골이 적절하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공보 제2004-64457호
(비특허문헌 1): 일본 기계 학회 No. 04-5 Dynamics and Design Conference 2004 CD-ROM 논문집 2004. 9. 27∼30, 도쿄 307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골전도 스피커의 개발’
본 발명은 전술한 특허공개공보 제2004-64457호에서 제시된 과제를 더욱 발전시켜 난청자든 정상인이든 일상 생활에서 신체 장신구(이어링 및 피어스 등)로서도 장착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오디오 시스템이나 번역 시스템 등 청각 지원 시스템으로서 폭넓게 활용 가능하게 한, 더욱 개량된 골전도 스피커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피커 세트는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및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좌우의 스테레오 스피커로 사용하는 모드와, 한쪽을 스피커로 다른 쪽을 마이크로 사용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골전도(骨傳導) 스피커 세트이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전자 기기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하여 음악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감상 모드시에는 그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전자 번역 시스템으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전자 번역 시스템을 통하여 음성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재생 모드시에는 그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조작자의 음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전자 번역 시스템이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청각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청각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음악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감상 모드시에는 그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조작자의 음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청각 지원 시스템이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내비게이션 장치로서,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상호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스피커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스피커 위치 검출 수단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지도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지도 회전 수단을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무선으로 접속된 휴대 전화기로서,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상호 간격이 소정 간격 이내인 것을 검출하는 상호 간격 검출 수단; 및 상기 상호 간격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난 신호를 발하는 조난 신호 발신 수단을 갖는 휴대 전화기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신체 장신구에 가까운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휴대 전화 장치의 이어폰 및 마이크로서 핸즈프리를 가능하게 하는 툴을 제공할 수 있다. 골전도 스피커이기 때문에 기도를 막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음악 등을 감상할 때에는 2개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듣고, 사용자가 내는 음성을 이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2개의 스피커 중 한쪽을 마이크로 전용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귀에 장착하는 스피커와의 통신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이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를 식별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2개의 스피커가 일정한 거리내에 있어서 통신하는 것이 정상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서로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떨어졌을 때에 조난 신호를 발할 수도 있다.
도 1은 좌우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마이크 장치와 어댑터의 통신 시스템과 휴대 전화 장치를 조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마이크 장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휴대 전화 장치, 어댑터, 마이크 장치,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좌우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후두부의 연결구로 연결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후두부의 연결구로 연결한 좌우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장착했을 때의 개념도이다.
도 7은 어댑터와 골전도 스피커 장치, 어댑터와 마이크 장치의 통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인체에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그 장착자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진동부(33)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휴대 전화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에 접속하는 어댑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클립 타입의 귀걸이를 겸용하는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피에조형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의 개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클립 타입의 귀걸이를 겸용하는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클립 타입의 귀걸이를 겸용하는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로서, 장식부를 매단 예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피어스 타입의 귀걸이로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구성한 예로서, 전지와 기판과 스피커 본체를 귓바퀴의 뒤쪽에 설치한 예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피어스 타입의 귀걸이로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구성한 예로서, 전지를 앞쪽에 설치하고, 기판과 스피커 본체를 귓바퀴의 뒤쪽에 설치한 예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피어스 타입의 귀걸이로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구성한 예로서, 전지를 매달고, 기판과 스피커 본체를 귓바퀴의 뒤쪽에 설치한 예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은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의 모드 전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구성하는 제어 회로(1008)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21 귓바퀴
22 귓불
23 유양 돌기부
31 귓불 부착부
32 압착 스프링부
33 진동부
34 장식품 부착 구조
42 CD 플레이어
50, 150, 250, 350, 450 장식부
51, 151, 251, 351, 451 메인 기판
52, 152, 252, 352, 452 귓불 장착부
53, 153, 253, 353, 453 피에조형 골전도 스피커 본체
200, 300, 400 귓불 또는 귓바퀴 연골부
501 안테나
502 표시부
503 다이얼 버튼
560 매닮 부재(체인, 끈 등)
570 골전도 스피커 장치(오른쪽)
580 골전도 스피커 장치(왼쪽)
590 부착부
644 휴대 전화기
645 RF 회로
646, 657, 662, 666, 1006 수신 회로
647 변조 회로
648 베이스밴드부
649, 658, 663, 667, 1007 송신 회로
650 복조 회로
651, 659, 664, 668 통신 제어 회로
652 표시 제어부
653 메모리
654 LCD
655 입출력 단자
656 어댑터
660 데이터베이스
661 마이크 장치
665, 675 골전도 스피커 장치
700 연결구
702 후크
801, 841 Idle 상태
802, 842 Ready 상태
810, 830 접속 요구 송신
811, 831 접속 확인 신호 수신
812 트레이닝 데이터 송신 요구 수신
813, 833 트레이닝 데이터 송신
814, 832 트레이닝 데이터 수신
850 음성·데이터 통신
900 진동판
910 전도볼
1008 제어 회로
1009 전용 스피커
1010 스피커 겸 마이크
1020 모드 전환
1021 수신 상태
1022 송신 상태
1023 스피커 동작
1024 마이크 동작
1030 동작 개시
1031 초기 설정(제어: H 스피커 동작)
1033 송신 상태인가?
1035 송신 설정(제어: L 마이크 동작)
1037 수신 설정(제어: H 스피커 동작)
1039 동작 종료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인체에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그 장착자의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귓바퀴(21), 귓불(22), 유양 돌기부(乳樣突起部)(23)는 이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장착하는 사람의 인체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이다. 귓바퀴(21)는 이른바 외이의 일부로 머리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기관이다. 귓불(22)은 귓바퀴의 가장 아래 부분으로 연골이 없는 부드러운 부분이다. 이어링이나 피어스를 하는 것이 이 귓불이다. 유양 돌기부(23)는 귓바퀴 뒤쪽의 딱딱하고 약간 돌출된 부분이다.
진동부(33)의 형상에 대해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진동부(33)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진동부(33)는 진동판(900)을 탄성이 있는 연실리콘으로 둘러싼 것이며, 완만하게 구부러진 저변을 위로 하는 역삼각형을 이룬다. 앞은 귓바퀴 부착부에서 외이도(外耳道) 방향으로 앞으로 휘어져 있고, 유양 돌기부(23)의 형상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해져 머리카락이 난 언저리에 이른다. 피부에 닿는 부분의 재질은 연실리콘으로 하고, 다소 어긋날지라도 상당 면적이 유양 돌기부(23)에 압착되는 것으로 한다. 진동부(33)의 내부는 도 9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진동판(900)과 유양 돌기부(23) 사이에 볼 형태의 진동 매개물(경금속)인 전도볼(910)을 개재시켜, 어긋나서 뜨는 부분이 있어도 일부라도 접해 있는 한 유효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착 스프링부(32)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압착 스프링부(32)는 진동부(33)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된 부재이다. 진동부(33)는 이 압착 스프링부(32)에 의해 유양 돌기부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압착된다. 압착 스프링부(32)의 위쪽의 대부분은 평판으로 하여 진동부(33)와의 접착 면적을 확보한다. 아래쪽에 가까운 측은 압착 스프링부(32)를 관 형태로 하여 내공 부분(內空 部分)에 전기 회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압착 스프링부(32)의 재질은 예를 들면, 형상 기억 합금 또는 특수 수지로 하여 귓바퀴(21)의 뒤쪽 주변의 체온으로 압착 효과가 나타나도록 조정된다.
압착 스프링부(32)의 아래쪽은 귓불 방향으로 30도 정도 굴곡되며, 귓불(22)을 덮도록 하여 전방으로 최하부에서 반전시켜 귓불 앞에 이른다. 즉 귓불을 사이에 끼워넣는 클립으로 한다. 최하부에는 장식품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구멍, 링 또는 후크)로 한다. 또한 귓불 앞에 나타나는 반환 부분인 귓불 부착부(31)는 그 자체의 형상이 장식적 요소가 강한 것으로 하고, 그 표면의 마무리도 장식적 요소가 강한 것으로 한다.
이러한 귓불 부착부(31), 압착 스프링부(32), 진동부(33), 장식품 부착부(34)에 의해 구성되는 골전도 스피커 장치(30)는 바람직하게는 좌우 양쪽에 장착한다. 또한 좌우의 차이를 느끼는 것이 어렵지만, 음장(音場)의 좌우 차이에 따라 진동에도 좌우의 차이를 부여한다. 그에 따라 체감으로 방향감이 얻어진다.
이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적당한 장소 예를 들면, 귓불 부착부(31)의 부근에 마이크를 부착하면, 그것만으로 보청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귓불 부착부(31)는 클립으로 귓불(22)을 사이에 끼워넣어 고정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나사 조임식으로 나사를 꽉 조임으로써 귓불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음신호의 소스를 골전도 스피커 장치(30)내에 갖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에 필요한 회로(통신 제어 회로, 수신 회로, 송신 회로, 안테나 등)를 내재시킨다. 이들은 전술한 압착 스프링부(32)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테나를 압착 스프링부 그 자체로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통신은 전파에 의한 통신 이외에 초음파에 의한 통신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통신은 짧은 거리에서의 통신, 예를 들면 의복 주머니에 넣은 기기와의 통신을 할 수 있으면 된다.
도 1은 좌우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마이크 장치와 어댑터의 통신 시스템과 휴대 전화 장치를 조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어댑터(656)는 휴대 전화기(644)와 입출력 단자(655)에 의해 접속된다. 입출력 단자(655)는 휴대 전화기(644)의 커넥터와 접속하는 단자를 몇 개 구비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644)는 주지한 바와 같이 안테나(501)와 표시부(502), 다이얼 버튼(503) 등을 갖고 있다. 어댑터(656)와 좌우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 675)는 무선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어댑터(656)와 마이크 장치(661) 간에도 무선 통신을 행한다. 각각의 내부 블록도는 도 4에 나타낸다(도 4에서 골전도 스피커 장치(675)의 내부 블록도는 생략되어 있지만,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와 동일하다). 그리고 통신 시퀀스는 도 7에 나타 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기기는 통신 제어 회로(651, 659, 664, 668), 송신 회로(649, 658, 663, 667), 수신 회로(646, 657, 662, 666)를 갖는다. 또한 휴대 전화기(644)는 안테나에 연결되는 RF 회로(645), 수신 회로의 출력을 변조하는 변조 회로(647), 변조 회로(647)의 출력 신호를 이어폰이나 마이크에 건네주는 베이스밴드부(648), 베이스밴드부(648)에 연결되는 통신 제어 회로(651), 그것에 연결되는 메모리(653), 표시 제어부(652), LCD(654), 통신 제어 회로(651)에서의 전화국을 향한 출력을 베이스밴드부(648)를 통해서 받아 송신 회로(649)에 건네주는 복조 회로(650)를 갖는다. 또한 휴대 전화기(644)와 커넥터(655)에 의해 접속된 어댑터(656)는 본래 휴대 전화기(644) 내부의 이어폰이나 마이크로 입출력해야 하는 음성을 마이크 장치(661),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로 입출력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베이스(660)를 구비하고 있다. 어댑터(656), 마이크 장치(661),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는 각각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어 무선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퀀스에 따라 접속 요구, 접속 확인, 트레이닝의 절차를 거치고나서, 음성·데이터 통신(850)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675))는 접속 요구 송신(830)을 어댑터(656)에 대해 보내고, 그 응답으로서의 접속 확인 신호 수신(831)을 받음으로써 대기(Idle) 상태(841)가 된다. 마이크 장치(661)는 접속 요구 송신(810)을 어댑터(656)로 보내고, 그 응답으로서의 접속 확인 신호 수신(811)을 받음으로써 대기(Idle) 상태(801)가 된다. 또한 마이크 장치(661)가 어댑터(656)로부터 트레이닝 데이터 송신 요구를 수 신(812) 받은 것에 답하여 어댑터(656)로 트레이닝 데이터를 송신(813)하면, 어댑터(656)는 그것을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675))로 보낸다.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675))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수신(832)하면 준비(Ready) 상태(842)가 되며, 그에 답하여 트레이닝 데이터를 송신(833)하고 어댑터(656)는 그것을 마이크 장치(661)로 보낸다. 마이크 장치(661)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수신(814)하면 준비(Ready) 상태(802)가 된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마이크 장치(661), 어댑터(656) 및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675)) 간에 음성·데이터 통신(850)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3은 마이크 장치(661)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른바 와이어리스 마이크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른바 브로치와 같이 장식성이 높은 물품으로서의 외관을 갖는다. 장식부(50)는 체인이나 끈 등을 통과시키는 부착부(590)를 갖고 있다.
실시예 1
도 2는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675))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예에서는 귓불(22)에 클립하는 장치로 구성되고, 진동부(33)는 귓불(22)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귓불(22)의 뒤쪽에 가까운 인체 부분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실시예가 가능해진다. 클립을 덮도록 장식부(50)가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은 좌우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후두부에서 연결하는 연결구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후두부의 연결구를 꺼리지 않을 경우에는 유두 돌기부에 진동부(33)가 딱맞게 밀착되는 밀착감이 얻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구(700)의 내부에 필요한 회로의 일부를 받아들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면의 후크(702)에 의해 귓바퀴에 걸쳐 고정시킨다.
상술한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는 휴대 전화에의 접속을 전제로 설명했지만, 라디오, CD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TV 수상기 등에 이 어댑터를 이용하는 실시예, 마이크 장치에 어댑터를 연결하여 보청기로 사용하는 실시예 등도 이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수중 작업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툴로서 이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파에 의한 통신이 아니라 초음파에 의한 통신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는 2개의 골전도 스피커를 스피커로 이용한 것 이외에, 또 하나의 마이크를 이용함으로써 마이크와 스피커를 실현하였다. 그런데 펜던트에 마이크를 설치하는 것보다 더욱 편리한 실시예가 있다. 그것은 2개의 스피커 중 하나를 마이크로 겸용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 2는 본원의 발명자가 예의 실험한 결과, 골전도 스피커를 역으로 마이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에 기초한다. 요컨대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및 상기 이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좌우의 스테레오 스피커로 사용하는 모드와, 한쪽을 스피커로 다른 쪽을 마이크로 사용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골전도 스피커 세트가 가능하다. 따라서 2개의 스피커를 모두 스피커로 사용하는 모드에서는 스테레오로 이용하 고, 한쪽을 마이크로 사용하는 모드에서는 모노럴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서 나타낸 하드웨어 구성과, 도 7에서 나타낸 시퀀스도에 대해 약간의 변경을 가함으로써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2개 있는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하나에 전기 신호에 의해 전환되는 소프트한 스위치를 설치하여 마이크로 사용하는 경우 필요한 회로로 전환되도록 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사용하는 모드와 스피커로 사용하는 모드에서 각각 도 7과 유사한 시퀀스를 마련하여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7, 도 18, 도 19를 이용하여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17은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 회로(1008)는 수신 회로(1006) 및 송신 회로(1007)와 연계하여 작용하는 제어 회로로서, 스피커 겸 마이크(1010)가 스피커로 작용할지(단자 H에 연결될지), 마이크로 작용할지(단자 L에 연결될지)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스피커 겸 마이크(1010)가 스피커로 기능하는 모드에서는 전용 스피커(1009)에 왼쪽 음성 신호를 전달하고, 스피커 겸 마이크(1010)에는 오른쪽 음성을 전달한다. 스피커 겸 마이크(1010)가 마이크로 기능하는 모드에서는 전용 스피커(1009)에 왼쪽 음성 신호만을 전달한다(또는 좌우의 음성 신호를 합성한 것을 전달한다). 도 18은 모드 전환(1020)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모드 전환(1020)은 수신 상태(1021)와 송신 상태(1022)를 전환시키는 것이며, 수신 상태(1021)에서는 전환 스위치가 도 17의 단자 H측에 연결되어 스피커 겸 마이크(1010)가 스피커로 동작한다(1023). 송신 상태(1022)에서는 전환 스위치가 도 17의 단자 L측에 연결되어 스피커 겸 마이크(1010)가 마이크로 동작한다(1024). 도 19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구성하는 제어 회로(1008)의 흐름도이다. 제어 회로(1008)의 동작이 개시되면(1030), 초기 설정을 실행한다(1031). 초기 설정은 마이크 겸 스피커가 스피커로 동작하는 모드이다. 다음으로 송신 회로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1033). 단순히 음악을 즐기고 있는 상태에서는 송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하고, 전화로 통화하고 있는 상태 등에서는 송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다. 송신 상태로 판단되면 송신 설정(1035)을 실행한다. 즉 마이크 겸 스피커를 L 단자에 접속시켜 마이크 동작을 하게 한다. 송신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는 수신 상태(수신뿐인 상태)로 판단하여 수신 설정(1037)을 실행한다. 즉 마이크 겸 스피커를 H 단자에 접속시켜 스피커 동작을 하게 한다. 전원 차단 등에 의해 동작이 종료된다(1039).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 2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휴대 전화기의 이어폰·마이크로 사용하는 실시예이다. 즉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휴대 전화기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음악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감상 모드시에는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전화가 걸려와 통화 모드로 전환될 때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휴대 전화기를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휴대 전화기를 통하여 웹상의 음악 컨 텐츠나 음성 정보 컨텐츠 등을 재생할 때에는 양 귀로부터 정보를 얻고, 전화가 걸려와 통화 모드가 되었을 때에는 한쪽 골전도 스피커를 마이크로 이용하여 말하는 것과 듣는 것을 동시에 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래 전화에 의한 통화는 상대방이 말하는 신호와 자신이 말하는 신호가 섞여서 통신되는 것이므로, 음성이 두개골에서 서로 섞이는 것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의 전환은 휴대 전화기의 착신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개의 골전도 스피커가 장착자의 얼굴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 장착자의 얼굴이 향해 있는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GPS 장치와의 교신을 함으로써 내비게이션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마이크를 통하여 취득하는 음성에서 성문(聲紋)을 산출하여 보안 기능을 높인 뱅킹 시스템을 휴대 웹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 노선이나 지도 정보와의 링크 서비스 등도 고려해볼 수 있다. 또한 2개의 골전도 스피커가 비정상적으로 떨어졌을 때에 SOS 신호를 발신하는 등 방범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이 SOS 신호는 접속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에 의해 전화 발신하는 것, 메일 발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순히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구하기 위한 알람 소리를 낼 수도 있다. 이 알람 소리는 골전도 스피커의 낙하를 장착자에게 알리는 정도의 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실시예 3은 음악 컨텐츠 등을 재생하는 데 휴대 전화의 기능을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었지만, CD 플레이어나 M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을 이 용하여 음악 컨텐츠를 즐기는 경우, 도중에 휴대 전화기에 걸려 온 착신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이용하는 어댑터에 응용 가능하다. 그 응용예가 실시예 4이다. 즉 휴대 전화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에 접속되는 휴대 전화기 어댑터로서, 다른 음원 재생기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음원 입력 단자,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의 통신을 무선으로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 및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좌우의 스테레오 스피커로 사용하여 상기 음원 입력 단자로부터의 음원을 즐기는 음원 재생 모드와, 상기 휴대 전화기에 착신이 있을 때에 상기 2개의 스피커 중 한쪽을 스피커, 다른 쪽을 마이크로 사용하는 통화 모드를 전환시키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도 10에 이 실시예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휴대 전화기의 이어폰·마이크 단자에 접속되는 어댑터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에서 CD 플레이어(42)는 M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사람이 개인적으로 음악을 휴대하여 즐길 목적에 이용하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음악 재생기의 헤드폰 단자에 본 발명을 응용하여 이루어지는 어댑터(656)를 접속한다. 어댑터(656)는 휴대 전화기(644)와도 접속된다. 또한 어댑터(656)는 골전도 스피커 장치(665, 675)와 각각 무선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 기능은 도 7의 시퀀스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5
소리를 듣는 모드와 말하는 모드를 전환시키는 것이 편리한 것은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퍼스널 컴퓨터의 경우도 동일한 필요성이 고려된다. 퍼스널 컴퓨터에 응용한 예를 실시예 5로 한다. 음악이나 DVD 등의 감상시에는 2개의 스피커를 스테레오 재생으로 듣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해, 사용자의 목소리를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성문 인식에 의해 보안을 강화하는 경우나, 워드 프로세서의 입력을 음성 인식으로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이크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에 장착자가 상기 퍼스널 컴퓨터를 통하여 음악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감상 모드시에는 그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조작자의 음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제안한다.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카메라를 부착함으로써, 성문뿐만 아니라 눈코의 위치에 의한 본인 확인, 지문에 의한 본인 확인 등 보안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전자 사전에 응용한 예이다. 철자가 불확실한 경우, 발음에 의한 검색이 편리한 경우가 있다. 발음의 입력은 발음 기호에 의한 것보다는 음성 입력에 의한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마이크가 필요해진다. 한편 전자 사전인 경우에도, 음성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2개의 스피커에서 출력을 얻는 쪽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전자 사전으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전자 사전을 통하 여 발음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감상 모드시에는 그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조작자의 음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제안한다.
실시예 7
실시예 7은 전자 번역 시스템에 응용한 예이다.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끼리 대화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말할 때에는 1개의 마이크로 충분하지만, 들을 때에는 양쪽 귀로 듣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전자 번역 시스템으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전자 번역 시스템을 통하여 음성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재생 모드시에는 그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조작자의 음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것을 제안한다. 이 전자 번역 시스템에는 추가로 표시 장치를 부착하여 번역의 결과를 텍스트 표시하여 시각적으로도 이해를 돕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8
실시예 8은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청각 지원 시스템에 응용하는 예이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청각 지 원 시스템을 통하여 음악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감상 모드시에는 그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조작자의 음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청각 지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청각 장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시각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청자에 대해 음성을 크게 하여 듣게 할 뿐 아니라, 표시 수단에 내용을 텍스트 표시시킴으로써 수화를 모르는 사람과의 사이에서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텍스트 변환을 위해서는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골전도 스피커를 마이크로 이용하는 경우에 음성 인식의 인식률도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실시예 9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예 9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귀걸이(귓바퀴를 관통하는 피어스 홀을 인체에 뚫지 않고 귓바퀴를 사이에 두어 고정시키는 클립식의 귀걸이)를 겸용하는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피에조형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의 개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귀걸이를 겸용하는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귀걸이는 도 11, 12, 13에서는 귓불을 사이에 끼워넣는 이어클립 타입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후술하는 도 14, 15, 16에서는 귓불에 구멍을 뚫어 고정시키는 피어스 타입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골전도 스피커·마이크의 예로서, 여기에서는 피에조 소자형 골전도 스피커·마이 크를 제안한다. 피에조형은 마그네틱형에 비해 가볍고 소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고음 재생 특성이 높으며, 저소비 전력이다. 따라서 휴대 기기에 적합하다. 귀의 기도가 막히지 않고 핸즈프리를 실현할 수 있으며, 소음이 있는 장소에서도 목소리를 캐치할 수 있는 등의 특징도 갖고 있다. 도 10의 장식부(50)는 반투명 부재로 구성하여 휴대 전화의 착신시에 불이 들어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주위 사람들도 전화의 착신을 알아차릴 수 있다. 내장된 전지에서 전원을 공급하여 착신시에 LED에 불이 들어오게 할 수 있다. 또는 장식부(50)의 내부에 패턴 안테나와 정류 회로를 탑재하고, 송수신 전파로 자기 발전하여 LED에 불이 들어오게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장식부(50)는 메인 기판(51)과의 사이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하고, 충전지를 겸한다. 충전지를 교환하여 사용하거나 장식부를 멋진 것으로 교체하거나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장식부(50)를 나사 조임이나 또는 끼워넣음에 의해 메인 기판(51)에 부착하는 구조로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게 한다. LED의 색이 다른 것, 보석이 다른 것 등 여러 디자인의 장식부를 그날의 TPO에 따라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장식부(50)는 떼어냈을 때에 충전기에 수납함으로써 충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 피에조형 골전도 스피커 본체(53)는 클립 기능(귓바퀴를 사이에 끼워넣는 기능)을 갖는 귓불 장착부(52)에 의해 메인 기판(51)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귓불 장착부(52)는 단순히 기계 구조적으로 피에조형 골전도 스피커 본체(53)와 메인 기판(51)을 연결할 뿐 아니라, 전기적인 접점을 갖고 결선을 하는 것이다.
실시예 10
도 13을 참조하여 실시예 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귀걸이(귓바퀴를 관통하는 피어스 홀을 인체에 뚫지 않고 귓바퀴를 사이에 두어 고정시키는 클립식의 귀걸이)를 겸용하는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로서, 장식부를 매단 실시예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장식부(150) 속에 충전지(또는 일회용 전지)가 수납되고, 장식면에서 손색이 없는 코드로 메인 기판(151)에 접속된다. 그리고 필요한 케이블을 수납한 귓불 장착부(152)를 통하여 피에조형 골전도 스피커 본체(153)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귓불 장착부(152)는 충분한 스프링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귓바퀴를 사이에 끼워넣고, 또한 피에조형 골전도 스피커 본체(153), 메인 기판(151) 및 장식부(150)의 중량을 지탱하는 것이다. 도 13에서 메인 기판(151)을 귀의 앞쪽에 설치하는 것으로 묘사했지만, 피에조형 골전도 스피커 본체(153)와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도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11
도 14를 참조하여 실시예 1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피어스로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구성한 예로서, 전지와 기판과 스피커 본체를 귓바퀴의 뒤쪽에 설치한 실시예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귓불 또는 귓바퀴 연골부(200)에 피어스 홀이 뚫려 피어스로서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귓불 장착부(252)는 금속 등의 피어스이다. 메인 기판(251)의 내부에 전지가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장식부(250)와 메인 기판(251)은 일체적인 구조가 된다. 이 구조에서는 귀의 앞쪽이 되는 귓불 장착 부(252)의 고정구는 단순히 기계 구조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이면 충분하며, 전기적인 접점을 가질 필요가 없다.
실시예 12
도 15를 참조하여 실시예 1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피어스로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구성한 예로서, 전지(장식부(350))를 앞쪽에 설치하고, 메인 기판(351)과 스피커 본체(353)를 귓바퀴의 뒤쪽에 설치한 실시예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귓바퀴의 일부인 귓불 또는 귓바퀴 연골부(300)에는 피어스 홀이 뚫려있고, 메인 기판(351)과 스피커 본체(353)의 중량을 합친 것과, 전지를 포함하는 장식부(350) 중량의 밸런스를 맞춰 설계된다. 귓불 장착부(352)는 동심형의 2개의 전기적인 접점을 갖는 나사를 갖는 것으로서 장식부(350)와의 사이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13
도 16을 참조하여 실시예 1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피어스로 골전도 스피커·마이크를 구성한 예로서, 전지(장식부(450))를 귓불 장착부(452)에 고정시켜 매달고, 메인 기판(451)과 스피커 본체(453)를 귓바퀴의 뒤쪽에 설치한 실시예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귓바퀴의 일부인 귓불 또는 귓바퀴 연골부(400)에는 피어스 홀이 뚫려있고, 메인 기판(451)과 스피커 본체(453)의 중량을 합친 것과, 전지를 포함하는 장식부(450)의 중량이 밸런스를 맞춰 설계된다. 귓불 장착 부(452)는 동심형의 2개의 전기적인 접점을 갖는 나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 도 15, 도 16에서는 귓불 또는 귓바퀴 연골부(200, 300, 400)에 대해 사선으로 단면을 묘사하였다.
헤드폰을 이용한 다양한 기기에 응용 가능하다.

Claims (6)

  1. 2개의 골전도(骨傳導) 스피커 장치; 및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좌우의 스테레오 스피커로 사용하는 모드와, 한쪽을 스피커로 다른 쪽을 마이크로 사용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골전도 스피커 세트.
  2.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전자 기기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전자 기기를 통하여 음악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감상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전자 기기.
  3.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전자 번역 시스템으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전자 번역 시스템을 통하여 음성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재생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조작자의 음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전자 번역 시스템.
  4.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청각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장착자가 상기 청각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음악 등의 컨텐츠를 이용하는 컨텐츠 감상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를 양쪽 모두 스피커로 이용하고, 조작자의 음성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 음성 입력 모드시에는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 중 한쪽이 마이크로 기능하는 스피커·마이크 전환 수단을 갖는
    청각 지원 시스템.
  5.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내비게이션 장치로서,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상호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스피커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스피커 위치 검출 수단의 산출 결과에 기초하여 지도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지도 회전 수단을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
  6.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와 무선으로 접속된 휴대 전화기로서,
    상기 2개의 골전도 스피커 장치의 상호 간격이 소정 간격 이내인 것을 검출하는 상호 간격 검출 수단; 및
    상기 상호 간격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조난 신호를 발하는 조난 신호 발신 수단을 갖는
    휴대 전화기.
KR1020077017642A 2005-01-31 2006-01-31 골전도 스피커 세트, 전자 기기, 전자 번역 시스템, 청각지원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치 및 휴대 전화기 KR200701196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4311 2005-01-31
JP2005024311 2005-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613A true KR20070119613A (ko) 2007-12-20

Family

ID=3674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642A KR20070119613A (ko) 2005-01-31 2006-01-31 골전도 스피커 세트, 전자 기기, 전자 번역 시스템, 청각지원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치 및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67433A1 (ko)
EP (1) EP1850628A4 (ko)
JP (1) JPWO2006080517A1 (ko)
KR (1) KR20070119613A (ko)
WO (1) WO20060805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5735A1 (ko) * 2011-02-01 2012-08-09 주식회사 보니아코포레이션 골전도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US11564030B2 (en) * 2019-10-02 2023-01-24 Mobilus Labs Limited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8285B2 (en) * 2008-03-28 2011-12-13 Medtronic, Inc. Reversible implantable acoustic sensor
CN101594161A (zh) * 2008-05-29 2009-12-02 株式会社威克姆研究所 骨导集音器
US10112029B2 (en) 2009-06-19 2018-10-30 Integrated Listening Systems, LLC Bone conduction apparatus and multi-sensory brain integration method
US11528547B2 (en) 2009-06-19 2022-12-13 Dreampad Llc Bone conduction apparatus
US9313306B2 (en) 2010-12-27 2016-04-12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artilage conduction un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ear cartilage
CN103053147B (zh) 2010-12-27 2017-03-22 罗姆股份有限公司 呼入/呼出通话单元以及呼入通话单元
JP5783352B2 (ja) 2011-02-25 2015-09-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JP5352634B2 (ja) * 2011-07-11 2013-11-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入力装置
JP5966333B2 (ja) * 2011-12-01 2016-08-10 ゴールデンダンス株式会社 頭部装着型補聴器
EP2806654B1 (en) * 2012-01-20 2019-09-04 FINEWELL Co., Ltd. Portable telephone having cartilage conduction section
EP2869591B1 (en) 2012-06-29 2020-12-09 FINEWELL Co., Ltd. Stereo earphone
US20140323183A1 (en) * 2012-08-02 2014-10-30 Eric Albert Klein Hinged Miniature Wireless Headset
AU2013348398A1 (en) * 2012-11-26 2015-07-16 Integrated Listening Systems Bone conduction apparatus and multi-sensory brain integration method
ES1078582Y (es) * 2013-01-24 2013-05-13 Garcia Pedro Munoz Audifono
WO2015025829A1 (ja) * 2013-08-23 2015-02-26 ローム株式会社 携帯電話
EP3062491B1 (en) 2013-10-24 2019-02-20 FINEWELL Co., Ltd. Bracelet-typ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bracelet-type notification device
JP6551919B2 (ja) 2014-08-20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検知装置および見守り通報装置
EP3236669A4 (en) 2014-12-18 2018-10-03 Rohm Co., Ltd.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type vibration unit, and electromagnetic-type vibration unit
CN107848125B (zh) 2015-07-15 2021-04-27 株式会社精好 机器人和机器人系统
JP6551929B2 (ja)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機能を有する腕時計
KR102108668B1 (ko) 2016-01-19 2020-05-07 파인웰 씨오., 엘티디 펜형 송수화 장치
WO2017181365A1 (zh) 2016-04-20 2017-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耳机声道控制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10887679B2 (en) * 2016-08-26 2021-01-05 Bragi GmbH Earpiece for audiograms
JP6513839B2 (ja) 2018-01-24 2019-05-15 BoCo株式会社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JP2020053948A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JP7018205B2 (ja) * 2019-01-11 2022-02-10 BoCo株式会社 聴音装置
JP2021097318A (ja) * 2019-12-17 2021-06-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WO2023007840A1 (ja) * 2021-07-30 2023-02-02 BoCo株式会社 通話装置
US20230043366A1 (en) * 2021-08-03 2023-02-09 Patrick Jones Wireless Earr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044A (en) * 1978-03-08 1982-07-27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Method for optimizing photoresponsive amorphous alloys and devices
JPS5778183U (ko) * 1980-10-29 1982-05-14
JPH0354990A (ja) * 1989-07-24 1991-03-08 Katsuo Motoi イヤーマイクロフォン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6319190A (ja) * 1992-03-31 1994-11-15 Souei Denki Seisakusho:Yugen レシーバーとマイクロホーンを一体化したイヤホーンの構成方法装置
EP1371261A2 (en) * 2000-07-13 2003-12-17 Matech, Inc. Audio headset
JP3985094B2 (ja) * 2002-07-30 2007-10-03 透 加藤 骨導スピー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4279154A (ja) * 2003-03-14 2004-10-07 Zyx:Kk 方位検知デバイスを利用した方位検知補正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5735A1 (ko) * 2011-02-01 2012-08-09 주식회사 보니아코포레이션 골전도 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
US11564030B2 (en) * 2019-10-02 2023-01-24 Mobilus Labs Limited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1974092B2 (en) 2019-10-02 2024-04-30 Mobilus Labs Limited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67433A1 (en) 2008-10-30
EP1850628A1 (en) 2007-10-31
EP1850628A4 (en) 2012-10-03
JPWO2006080517A1 (ja) 2008-06-19
WO2006080517A1 (ja)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9613A (ko) 골전도 스피커 세트, 전자 기기, 전자 번역 시스템, 청각지원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치 및 휴대 전화기
US11601538B2 (en) Headset having right- and left-ear sound output units with through-holes formed therein
JP3985094B2 (ja) 骨導スピー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10778824B2 (en) Pen-type handset
US7031485B2 (en) Ear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component
US7418281B2 (en) Centralized voice recognition unit for wireless control of personal mobile electronic devices
US6091832A (en) Wearable personal audio loop apparatus
US8094858B2 (en) Eyewear retention device
JP5473640B2 (ja) スピーカー装置
RU245401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генерации звука в ушной раковине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US20060158608A1 (en) Eyeglasses with signal receiving function
US20150181338A1 (en) Stereo Earphone
US20080152183A1 (en) Compact wireless headset
JP2012510218A (ja) 蝶形骨伝導の通信装置及び/或いは補聴装置
CN110140358B (zh) 配有集成耳机的耳饰
US10321218B2 (en)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CN101594161A (zh) 骨导集音器
JP2000341778A (ja) 骨伝導スピーカーを用いた送受話装置
JP2001292489A (ja) 骨伝導マイク付きヘッドホン
KR101861357B1 (ko) 소음 감지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장치
JP2015099974A (ja) 受話方法および送受話装置
CN108124214B (zh) 一种蓝牙耳机及其组合
KR101784610B1 (ko) 이어폰 고정용 이어기구
GB2402835A (en) Earring type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