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218Y1 -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218Y1
KR200446218Y1 KR2020070014383U KR20070014383U KR200446218Y1 KR 200446218 Y1 KR200446218 Y1 KR 200446218Y1 KR 2020070014383 U KR2020070014383 U KR 2020070014383U KR 20070014383 U KR20070014383 U KR 20070014383U KR 200446218 Y1 KR200446218 Y1 KR 200446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upling
guide
guid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111U (ko
Inventor
남정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4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21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1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1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2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8Arrangements of two or more hingeably connected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i.e. connected by flexible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수직으로 결합할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장방형의 관통결합홀이 관통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관통결합홀에 끼워지도록 관통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호 끼워지는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의 관통결합홀 중앙부에 일정 직경의 원형으로 오려내어 형성된 가이드 안내편과, 상기 관통결합돌기의 상단 외면을 경사지게 하여 뾰족하게 형성한 가이드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쇄회로기판, 관통, 돌기, 경사면, 안내판

Description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EASY TO JOIN VERTICAL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평 인쇄회로기판 20 : 수직 인쇄회로기판
11 : 관통결합홀 21 : 관통결합돌기
11a : 가이드 안내편 21a : 가이드편
S : 경사면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에 서로 수직으로 결합할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은 절연체인 에폭시 수지 또는 베이클라이트 수지로 만든 얇은 기판위에 구리박으로 인쇄된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집적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등의 전기적 부품들이 납땜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가전기기, 통신기기, 자동차등에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전자부품을 노이즈 및 다른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보스가 일체로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수평 인쇄회로기판상에 수직으로 또 하나의 수직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그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도 3은 일반적인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인쇄회로기판(100)의 표면에 장방형으 로 형성된 관통결합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 인쇄회로기판(10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 인쇄회로기판(200)의 테두리에는 상기 관통결합홀(110)에 끼워지는 관통결합돌기(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결합돌기(210)는 상기 장방형의 관통결합홀(110)과 폭과 길이에 맞게 형성하여 상기 관통결합돌기(210)가 관통결합홀(110)에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수평 인쇄회로기판(100)에 수직 인쇄회로기판(200)이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수직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결합돌기의 상단면이 상기 관통결합홀의 폭과 길이에 해당하는 평평한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결합돌기가 상기 수평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결합홀에 끼워질때, 관통결합돌기의 상단면을 관통결합홀에 정확히 맞춘 다음 가압하여 억지끼움방식에 의해 결합해야하므로 그 끼움작업이 매우 힘들었으며, 또한 상기 관통결합돌기의 상단 모서리 또는 상기 관통결합홈의 내측면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에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을 상호 수직결합시 이용되는 관통결합돌기 및 관통결합홀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결합작업이 인쇄회로기판의 파 손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장방형의 관통결합홀이 관통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관통결합홀에 끼워지도록 상단 외면을 경사지게 하여 뾰족하게 형성한 가이드편(21a)이 형성된 관통결합돌기(21)가 돌출형성되어 상호 끼워지는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의 관통결합홀(11) 중앙부에 일정 직경의 원형으로 오려내어 형성된 가이드 안내편(11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의 내측면에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S)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평 인쇄회로기판(10) 상에 관통결합홀(11)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결합홀(11)에 끼워지는 관통결합돌기(21)가 수직 인쇄회로기판(2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결합돌기(21)의 상단에는 그 외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면을 뾰족하게 형성한 가이드편(21a)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편(21a)은 상기 관통결합돌기(21)의 돌출높이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하지 않고 상단 일부분만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통결합돌기(21)가 끼워지는 상기 관통결합홀(11)은 상기 관통결합돌기(21)의 횡단면의 형상인 장방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관통결합돌기(21)의 상단 가이드편(21a)이 형성되지 않은 횡단면과 동일한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한다.
게다가, 상기 관통결합홀(11)에는 그 중앙부를 일정 직경의 원형으로 오려내어 형성되는 가이드 안내편(11a)을 구비한다.
상기 원형의 가이드 안내편(11a) 직경은 상기 관통결합홀(11)의 폭보다는 크고 길이보다는 작게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의 내측면을 원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S)으로 형성하여 상기 관통결합홀(11)에 유입되는 관통결합돌기(21)의 가이드편(21a)이 용이하게 상기 관통결합홀(11)의 중앙부로 안내되어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능 및 작용을 살펴보면,
수평 인쇄회로기판(10)의 관통결합홀(11)에 수직 인쇄회로기판(20)의 관통결 합돌기(21)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10,20)을 상호 수직하게 결합시키게 되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장방형의 관통결합홀(11) 중앙부에 일정직경의 가이드 안내편(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결합돌기(21)의 상단부에는 뾰족하게 형성된 가이드편(21a)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관통결합돌기(21)를 상기 관통결합홀(11)에 끼울 경우,
일정 직경을 가진 가이드 안내편(11a)에 상기 뾰족한 가이드편(21a)이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이 일정 직경을 가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편(21a)이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의 일정직경 범위내에서만 투입되면 상기 가이드편(21a)은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에 의해 안내되어져 상기 관통결합홀(11)의 정확한 끼움위치에 도달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S)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에 투입되어 접촉되는 상기 가이드편(21a)이 상기 경사면(S)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관통결합홀(11)의 정확한 끼움위치에 안내되어 상호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결합돌기(21)를 관통결합홀(11)에 정확히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어 관통결합돌기(21)를 관통결합홀(11)에 끼우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결합돌기(21)의 상단에 가이드편(21a)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결합돌기(21)의 상기 관통결합홀(11)에 초기 진입시 상기 관통결합홀(11)의 충분한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관통결합돌기(21)와 상기 관통결합홀(11)의 초기 진입시 발생되었던 관통결합돌기(21)의 상단 모서리 또는 관통결합홀(11)의 내측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을 상호 수직결합시 이용되는 관통결합돌기 및 관통결합홀의 결합작업이 상호 정확한 끼움위치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어 보다 간편하게 결합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가가 있으며,
또한, 관통결합돌기 및 관통결합홀의 초기 결합시 상기 관통결합홀에 충분한 여유공간이 확보되면서 관통결합돌기의 모서리 부분 및 관통결합홀의 내측면이 파 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결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상에는 장방형의 관통결합홀이 관통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의 테두리에는 상기 관통결합홀에 끼워지도록 상단 외면을 경사지게 하여 뾰족하게 형성한 가이드편(21a)이 형성된 관통결합돌기(21)가 돌출형성되어 상호 끼워지는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의 관통결합홀(11) 중앙부에 일정 직경의 원형으로 오려내어 형성된 가이드 안내편(11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안내편(11a)의 내측면에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S)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2. 삭제
KR2020070014383U 2007-08-30 2007-08-30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KR200446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383U KR200446218Y1 (ko) 2007-08-30 2007-08-30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383U KR200446218Y1 (ko) 2007-08-30 2007-08-30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11U KR20090002111U (ko) 2009-03-04
KR200446218Y1 true KR200446218Y1 (ko) 2009-10-09

Family

ID=4150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383U KR200446218Y1 (ko) 2007-08-30 2007-08-30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2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857B1 (ko) 2011-03-07 2013-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577U (ko) * 1986-05-12 1987-11-19
JPH0631170U (ja) * 1992-09-21 1994-04-22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577U (ko) * 1986-05-12 1987-11-19
JPH0631170U (ja) * 1992-09-21 1994-04-22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11U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660B2 (en) Metallic shroud for use with board-mounted electronic connectors
KR100581032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KR20030071629A (ko) 접점가이드 유지장치
US6163461A (en) Terminal mounting structure for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446218Y1 (ko) 수직결합이 용이한 인쇄회로기판
US7510406B2 (en) Retaining device for retaining electrical connector on peripheral electronic apparatus
KR101708341B1 (ko) Rf 커넥터
US788334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5724993B2 (ja) コネクタ装置
CN109314329B (zh) 用于数据传输的插头连接器
JP6563342B2 (ja) 部品取付構造
US7128599B1 (en) Low profile microphone connector
JP2010123589A (ja) 電子部品の端子構造
JP2008123966A (ja) 基板コネクタ
US6729909B2 (en) Card connector
JP2006005209A (ja) 電子回路基板とコネクタの固定構造
TWM466378U (zh) Sim卡插座電連接器(二)
JP2018032779A (ja) 基板セット及び基板セットの製造方法
JP5588312B2 (ja) 電子回路ユニット
JP6738688B2 (ja) 基板セット及び固定用サブ基板
JP2009252696A (ja) 基板コネクタ
JP2007018925A (ja)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装置を備えた回路板、並びに電子機器
KR101564448B1 (ko) 어댑터 플러그
JP2006147938A (ja) 電子部品の実装方法、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が実装されたモジュール
KR101528313B1 (ko)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