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14Y1 -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714Y1
KR200445714Y1 KR2020070020489U KR20070020489U KR200445714Y1 KR 200445714 Y1 KR200445714 Y1 KR 200445714Y1 KR 2020070020489 U KR2020070020489 U KR 2020070020489U KR 20070020489 U KR20070020489 U KR 20070020489U KR 200445714 Y1 KR200445714 Y1 KR 200445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azin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315U (ko
Inventor
조현석
심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Priority to KR2020070020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71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7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2Manually-operable devices
    • B41F15/06Manually-operable devic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41F21/04Gripp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creen Printe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는, 이송부 및 인쇄부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스크린 인쇄장치에서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이 적재된 매거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 상기 리프트부와 상기 공급부의 사이에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 내에 있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는 푸싱부;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이 모두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어진 매거진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의 하면을 얼라이닝하는 제1 기준부;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의 일 측면을 얼라이닝하는 제2 기준부; 및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여 상기 매거진의 상면을 고정시키는 클램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Apparatus for introducing printed circuit boards in a screen printer}
본 고안은 스크린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회로기판을 스크린 인쇄장치로 도입하는 작업공간을 최소화하는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 표면실장용 스크린 인쇄장치는 인쇄회로기판표면의 각 접점공간에 집적회로(IC)나 각종 저항 등을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크림솔더형(cream solder type) 납을 도포할 수 있도록 것인 바, 이와 같은 스크린 인쇄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conveyer)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의 각 접점공간과 대응되는 투입구멍이 형성된 마스크의 표면에 놓인 납을 인쇄회로기판의 각 접점공간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스퀴즈(squeegee), 전후,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쇄회로기판과 마스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camera), 그리고 마스크의 각 투입구멍을 닦아낼 수 있도록 하는 크리너(cleaner)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스크린 인쇄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도입하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를 구비하는바,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공간이 감소하고 구조 및 동작이 단순한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는, 이송부 및 인쇄부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스크린 인쇄장치에서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이 적재된 매거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 상기 리프트부와 상기 공급부의 사이에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 내에 있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는 푸싱부;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이 모두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어진 매거진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의 하면을 얼라이닝하는 제1 기준부;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의 일 측면을 얼라이닝하는 제2 기준부; 및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여 상기 매거진의 상면을 고정시키는 클램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준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제1 기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준면이 상기 매거진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매거진이 얼라이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기준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측부에 돌출된 제2 기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준면이 상기 매거진의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매거진이 얼라이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싱부는, 왕복운동하는 푸싱 실린더; 상기 푸싱 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푸싱 실린더의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는 LM(Linear Motion) 가이드; 및 상기 푸싱 실린더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푸싱 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LM 가이드의 일단을 결합하는 결합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푸싱부는, 일단이 상기 푸싱부의 몸체에서 연장된 부분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LM 가이드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푸싱 실린더(242)의 로드가 앞으로 전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의 타단이 LM 가이드 내부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LM 가이드가 상기 푸싱 실린더의 로드의 전진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매거진 내에 있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밀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싱부는, 상기 푸싱 실린더의 상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푸싱 실린더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을 때 상기 푸싱 실린더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도그; 및 내부가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그가 상기 내부로 들어오면 상기 푸싱 실린더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음을 감지하는 오버로드(over load)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클램퍼는, 우레탄 재질로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는 스크린 인쇄장치에 인쇄회로기판을 공급함에 있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의 클램핑부가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이 단순하여 인쇄회로기판들이 적재된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클램핑부에 이물질의 발생이 줄어들어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스크린 인쇄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200), 플라즈마 처리부(300), 인쇄부(400) 및 인쇄회로기판 배출장치(50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200)는 인쇄회로기판을 스크린 인쇄장치(100)로 도입하고, 플라즈마 처리부(300)는 인쇄회로기판을 플라즈마 처리하고, 인쇄부(400)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선을 인쇄하고, 인쇄회로기판 배출장치(500)는 인쇄된 인쇄회로기판을 배출한다.
또한, 스크린 인쇄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을 도입장치(200)로부터 인쇄부(400)로 이송하는 도입 컨베이어부(600), 및 인쇄부(400)에서 인쇄된 인쇄회로기판을 인쇄회로기판 배출장치(500)로 이송하는 배출 컨베이어부(7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200)는 공급부(210), 리프트부(220), 클램핑부(230), 푸싱부(240) 및 배출부(250)를 포함한다.
공급부(210)는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이 적재된 매거진을 공급한다. 공급부(210)는 상면에 매거진을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를 구비한다.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이송수단을 사용하 수 있다.
공급부(210)에는 복수개(예를 들어, 5개)의 매거진들을 적재할 수 있다. 공급부(210)는 매거진을 하나씩 차례로 클램핑부(230)로 공급한다.
리프트부(220)는 공급부(21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리프트부(220) 는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230)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리프트부(220)는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이 적재된 매거진을 단계적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매거진 내에 15개의 인쇄회로기판이 적재되어 있을 경우, 맨 마지막에 있는 인쇄회로기판이 푸싱부(240)에 의해 밀어내어질 위치에 도달하면, 리프트부(220)는 15단계의 다운 동작을 실행한다.
클램핑부(230)는 리프트부(220)와 공급부(210)의 사이에 위치하고, 리프트부(220)의 측면에 결합된다. 클램핑부(230)는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클램핑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의 클램핑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핑부(230)는 제1 기준부(232), 제2 기준부(234), 클램퍼(236)를 포함한다.
제1 기준부(232)는 클램핑부(230)의 몸체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1 기준부(232)는 매거진의 하면을 얼라이닝한다. 제1 기준부(232)는 클램핑부(230)의 몸체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제1 기준면을 구비한다. 제1 기준면이 매거진의 하면에 접촉하여 매거진이 얼라이닝된다.
제2 기준부(234)는 클램핑부(230)의 몸체의 측부에 설치된다. 제2 기준부(234)는 매거진의 일 측면을 얼라이닝한다.
제2 기준부(234)는 클램핑(230)부의 측부에 돌출된 제2 기준면을 구비한다. 제2 기준면이 매거진의 측면과 접촉하여, 매거진이 얼라이닝된다.
클램퍼(236)는 클램핑부(230)의 몸체의 상부에 설치된다. 클램퍼(236)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여 상기 매거진의 상면을 고정시킨다. 클램퍼(236)는 우레탄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부(230)는 기존의 클램핑 장치에 비하여 이물질 발생이 최소화되어,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230)는 기존의 클램핑 장치에서 기준면에 밀착시키는 실린더가 제거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게 되었다. 클램핑부(230)의 동작이 단순화됨으로써, 클램핑부(230)가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다시 도 2로 되돌아가, 푸싱부(240)는 공급부(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매거진 내에 있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밀어낸다. 푸싱부(240)의 상세한 동작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푸싱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2의 푸싱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2의 푸싱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푸싱부(240)는 푸싱 실린더(242), LM(Linear Motion) 가이드(244) 및 결합링크(246)를 포함한다.
푸싱 실린더(242)는 푸싱부(2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한다. 푸싱 실린더(242)의 상세한 구조 및 동작은 당업자라면 널리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LM 가이드(244)는 푸싱 실린더(242)의 왕복운동에 의해 푸싱 실린더(242)의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움직여서 인쇄회로기판을 밀어낸다.
LM 가이드(244)는 내부가 중공형으로서 약간 굽은 형태를 이루며, LM 가이드(244)의 하부에는 결합부재(248)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재(248)는 일단이 푸싱부(240)의 몸체에서 연장되어 나온 부분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LM 가이드(244)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되어있다. 푸싱 실린더(242)의 로드가 앞으로 전진하는 경우, 결합부재(248)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합부재(248)의 타단이 LM 가이드(244) 내부를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LM 가이드(244)는 푸싱 실린더(242)의 로드의 전진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LM 가이드(244)는 매거진 내에 있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밀어낸다.
결합링크(246)는 푸싱 실린더(24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푸싱 실린더(242)의 로드와 LM 가이드(244)의 일단을 결합한다.
푸싱부(240)는 도그(272) 및 오버로드 센서(274)를 더 포함한다.
도그(272)는 푸싱 실린더(242)의 상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푸싱 실린더(242)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을 때 푸싱 실린더(242)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오버로드 센서(274)는 내부가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도그(272)가 상기 내부로 들어오면 푸싱 실린더(242)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음을 감지한다. 즉, 오버로드 센서(274)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여 도그(272)가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들어오면 푸싱 실린더(242)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음을 감지하게 된다.
다시 도 2로 되돌아가, 배출부(250)는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 모두가 푸싱부(240)에 의해 밀어내어지면, 매거진을 배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 인쇄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클램핑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클램핑부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푸싱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푸싱부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푸싱부의 정면도.

Claims (7)

  1. 이송부 및 인쇄부로 이루어진 인쇄회로기판 스크린 인쇄장치에서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이 적재된 매거진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부;
    상기 리프트부와 상기 공급부의 사이에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어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을 고정시키는 클램핑부;
    상기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매거진 내에 있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는 푸싱부; 및
    상기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들이 모두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어진 매거진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의 하면을 얼라이닝하는 제1 기준부;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매거진의 일 측면을 얼라이닝하는 제2 기준부; 및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여 상기 매거진의 상면을 고정시키는 클램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몸체의 하부에 돌출된 부분의 상면을 제1 기준면으로서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준면이 상기 매거진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매거진이 얼라이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부는,
    상기 클램핑부의 측부에 돌출된 제2 기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준면이 상기 매거진의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매거진이 얼라이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왕복운동하는 푸싱 실린더;
    상기 푸싱 실린더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푸싱 실린더의 운동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움직여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이송부로 밀어내는 LM(Linear Motion) 가이드; 및
    상기 푸싱 실린더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푸싱 실린더의 로드와 상기 LM 가이드의 일단을 결합하는 결합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일단이 상기 푸싱부의 몸체에서 연장된 부분과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LM 가이드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푸싱 실린더(242)의 로드가 앞으로 전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재의 타단이 LM 가이드 내부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LM 가이드가 상기 푸싱 실린더의 로드의 전진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매거진 내에 있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상기 푸싱 실린더의 상면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푸싱 실린더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을 때 상기 푸싱 실린더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도그; 및
    내부가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그가 상기 내부로 들어오면 상기 푸싱 실린더에 과도한 하중이 걸렸음을 감지하는 오버로드(over load)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우레탄 재질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KR2020070020489U 2007-12-21 2007-12-21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KR200445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489U KR200445714Y1 (ko) 2007-12-21 2007-12-21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489U KR200445714Y1 (ko) 2007-12-21 2007-12-21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15U KR20090006315U (ko) 2009-06-25
KR200445714Y1 true KR200445714Y1 (ko) 2009-08-27

Family

ID=4132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489U KR200445714Y1 (ko) 2007-12-21 2007-12-21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71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0696A (ja) 1998-05-21 1999-12-10 Sanyo Electric Co Ltd 基板のクランプ方法およびクランプ装置
JP2006103073A (ja) 2004-10-04 2006-04-20 Hitachi Industries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070111427A (ko) * 2007-10-26 2007-11-21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탭 ic 부착을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경화물질을도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034067A (ko) * 2006-10-13 2008-04-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및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0696A (ja) 1998-05-21 1999-12-10 Sanyo Electric Co Ltd 基板のクランプ方法およびクランプ装置
JP2006103073A (ja) 2004-10-04 2006-04-20 Hitachi Industries Co Ltd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080034067A (ko) * 2006-10-13 2008-04-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및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방법
KR20070111427A (ko) * 2007-10-26 2007-11-21 주식회사 휘닉스 디지탈테크 탭 ic 부착을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에 경화물질을도포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15U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701B1 (ko) 스크린프린터의 스텐실 공급장치
JP7241819B2 (ja) 収納装置
US9338892B2 (en) Screen printer and component mounting line
US9409248B2 (en) Screen printer, component mounting line,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100927837B1 (ko) 인쇄회로기판의 스크린 인쇄장치
CN101119631B (zh) 部件安装机的吸嘴更换装置
JP4644021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KR100364946B1 (ko) Bga 패키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ic 테스트 장치
CN107615910B (zh) 附着物去除方法及附着物去除装置
KR101823926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KR101143835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200445714Y1 (ko) 스크린 인쇄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도입장치
US6230394B1 (en) X-Y table shield for component placement device
JPH1117397A (ja) ワークの下受装置
JP5096420B2 (ja) プリント基板の支持装置
JP3906904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04034639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100913948B1 (ko) 스크린 인쇄장치의 얼라이닝 장치
KR101190867B1 (ko)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KR100910770B1 (ko) 부품 실장기용 피이더 시스템
KR100466576B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지그장치
JP2005340492A (ja) 表面実装機
JP5214516B2 (ja) 支持ピン移載装置
JP5091286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KR200399870Y1 (ko)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