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867B1 -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 Google Patents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867B1
KR101190867B1 KR1020070107917A KR20070107917A KR101190867B1 KR 101190867 B1 KR101190867 B1 KR 101190867B1 KR 1020070107917 A KR1020070107917 A KR 1020070107917A KR 20070107917 A KR20070107917 A KR 20070107917A KR 101190867 B1 KR101190867 B1 KR 10119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fitting
nozzles
bed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044A (ko
Inventor
신호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8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를 제공한다. 상기 부품실장기는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어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상기 부품이 실장되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 헤드 및, 상기 노즐의 교체를 위하여 별도의 노즐들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노즐들을 구비한 부분이 상기 베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베드에 장착되는 자동노즐교환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는 다수의 노즐들을 구비한 부분 즉, 노즐구비체가 베드로부터 분리되어지도록 된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정진행상 이 다수의 노즐들을 새로운 노즐로 교체하여야 할 경우, 노즐구비체만을 베드로부터 분리한 다음 노즐들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빠르면서도 쉽게 노즐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부품, 실장, 노즐

Description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Chip mounter having auto nozzzle changer}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실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을 자동으로 교환시켜주도록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실장기라 함은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 상에 집적회로, 고밀도 집적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의 전자부품(이하,'부품'이라 칭하기로 함)을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부품실장기는 이상과 같은 다수의 부품 등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이러한 부품들이 실장되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및, 상기 부품들을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그 픽업된 부품을 기판 상에 실장하는 헤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품공급장치로부터 부품들이 공급되면, 헤드는 그 공급되는 부품을 흡착 등의 방법으로 픽업한 후, 이를 기판 상으로 이동시켜 기판 상에 실장하게 된다.
이때, 이상과 같은 부품들을 픽업한 후 실장하는 헤드는 직접 이상과 같은 부품들에 접촉되어 이들 부품들을 픽업하는 것이 아니라 노즐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한다.
다시 말하면, 부품실장기의 헤드 끝단에는 부품에 직접 접촉되는 노즐이 장착되며, 부품실장기의 헤드는 이러한 노즐을 매개체로 부품을 픽업한다.
한편, 부품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부품들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또 이들 부품들의 크기는 대부분 그 종류에 따라 각각 상이하다.
그러므로, 부품실장기는 이들 공급되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규격의 노즐을 사용한다. 즉, 부품실장기에는 공급되는 부품들의 종류에 따른 다수의 노즐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부품실장기는 부품실장작업 전 또는 부품실장작업 도중, 공급되는 부품들에 따른 노즐의 교환이 필요할 시, 그 헤드에 장착된 노즐을 미리 구비된 노즐들 중 어느 하나와 교환한 후, 부품실장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품실장기에는 미리 구비된 노즐들 즉, 노즐교환기가 부품실장기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실장작업 도중이나 부품실장작업 후 등에 있어서, 노즐들을 교체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최근 부품실장기의 성능 개선으로 부품실장작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 빠른 부품실장작업에 맞추어 노즐의 교체작업도 빠르게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 부품실장기의 경우에는 미리 부품실장기에 구비된 노즐들 즉, 노즐교환기가 부품실장기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실장작업 도중이나 부품실장작업 후 등에 있어서 노즐을 교체하기가 매우 난해하며, 또 그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즐들을 매우 빠르고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그 일부를 탈착시킬 수 있는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품실장기를 제공한다. 상기 부품실장기는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어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상기 부품이 실장되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 헤드 및, 상기 노즐의 교체를 위하여 별도의 노즐들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노즐들을 구비한 부분이 상기 베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베드에 장착되는 자동노즐교환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노즐교환장치는 상기 베드에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상면 장착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노즐들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노즐홀들이 형성된 노즐구비체 및,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구비체에 구비된 노즐들 또는 상기 헤드에 장착된 노즐을 선택적으로 홀딩하여 노즐이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교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구비체가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체에 장착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는 상기 노즐구비체가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노즐구비체가 상기 고정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구비체 탈착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측면의 반대방향인 타측면에는 상기 고정체에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제2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노즐구비체 탈착유닛은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서 그 측면 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구비체가 상기 고정체에 장착될 시 상기 제2 끼움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2 끼움돌기 및,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끼움돌기가 상기 제2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이동몸체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비체는 상기 노즐홀들이 다수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홀들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의 노즐홀들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노즐홀들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의 노즐홀들이 형성된 슬라이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교환유닛은 상기 고정체의 양측면에 각각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들을 상호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들이 상기 슬라이드에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일정각도 회동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는 다수의 노즐들을 구비한 부분 즉, 노즐구비체가 베드로부터 분리되어지도록 된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정진행상 이 다수의 노즐들을 새로운 노즐로 교체하여야 할 경우, 노즐구비체만을 베드로부터 분리한 다음 노즐들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매우 빠르면서도 쉽게 노즐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부품실장기에 따르면, 하나의 부품실장기에 다수의 부품 대응력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유연한 생산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 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부품실장기의 자동노즐교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자동노즐교환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실장기는 XY 좌표계 즉, 직각 좌표계를 이용하여 부품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된 구성이다. 하지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다른 좌표계 예를 들면,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부품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된 부품실장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실장기(100)는 베드(110), 상기 베드(110)에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30) 상에 실장될 부품(31,32)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170), 상기 부품(31,32)이 실장되도록 기판(30)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150), 상기 부품공급장치(170)로부터 공급된 부품(31,32)을 픽업한 다음 이를 기판(30) 상에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145)을 구비한 헤드(140), 상기 헤드(140)의 Y축 방향 이송을 위해 상기 베드(110)의 양측에 장착되되 상기 베드(110)의 Y축 방향으로 나란히 장착되는 Y축 이송기구(120), 상기 헤드(140)의 X축 방향 이송을 위해 상기 Y축 이송기구(120)에 장착되되 상기 베드(110)의 X축 방향으로 나란히 장착되는 X축 이송기구(130), 상기 X축 이송기구(130)를 상기 Y축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182), 상기 헤드(140)를 상기 X축 이송기구(130)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184), 상기 노즐(145)의 교체를 위하여 별도의 노즐들(이하, '예비 노즐'이라 칭하기로 함)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노즐들을 구비한 부분이 상기 베드(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베드(110)에 장착되는 자동노즐교환장치(190) 및, 상기 부품실장기(1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베드(110)는 대략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공급장치(190)는 상기 베드(110)의 일측 중앙부와 상기 일측 중앙부에 마주하는 타측 중앙부에 장착된다.
상기 기판운송장치(150)는 상기 기판(30)이 상기 헤드(140)의 부품실장영역을 경유하도록 상기 부품공급장치(170)가 장착되지 아니한 상기 베드(1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부품공급장치(170)가 장착되지 아니한 상기 베드(110)의 타측으로 상기 기판(30)을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부품실장영역은 상기 베드(110)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기판운송장치(150)는 상기 기판(30)이 상기 베드(110)의 중앙부를 경유하도록 상기 베드(110)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베드(110)의 타측으로 상기 기판(30)을 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판운송장치(150)는 하나의 컨베이어 또는 한쌍의 컨베이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노즐교환장치(190)는 상기 베드(110)에 고정되는 고정체(191), 상기 고정체(191)의 상면 장착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노즐들(145)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노즐홀들(201)이 형성된 노즐구비체(200) 및, 상기 노즐구비체(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구비체(200)에 구비된 노즐들 또는 상기 헤드(140)에 장착된 노즐(145)을 선택적으로 홀딩하여 노즐(145)이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교환유닛(192)을 포함한다.
따라서, 부품실장공정이 진행되기 전, 상기 노즐구비체(200)는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되고, 그 노즐구비체(200)에는 다수의 예비 노즐이 구비되어진다. 그러므로, 부품실장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헤드(140)에 장착된 노즐(145)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중앙제어유닛은 헤드(140)를 이 자동노즐교환장치(190) 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헤드(140)에 장착된 노즐(145)을 노즐구비체(200)에 구비된 빈 노즐홀(201) 측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노즐교환유닛(192)은 상기 헤드(140)에 장착된 노즐(145)을 홀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140)는 그 장착되어 있던 노즐(145)을 상기 빈 노즐홀(201) 내부에 남겨둔 채로 다시 상부로 이동한 다음, 새롭게 장착될 노즐이 삽입되어 있는 노즐홀(201)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후에는 그 노즐(145)의 상부 측으로 하강하여 노즐(145)이 헤드(140)에 장착되도록 한다. 이때, 노즐교환유닛(192)은 홀딩된 노즐(145)을 자유상태로 놓아주게 되며, 헤드(140)는 새롭게 장착된 노즐(145)을 가지고 부품실장공정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자동노즐교환장치(19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고정체(191)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고정체(19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그 상면에는 상기 노즐구비체(200)가 장착되도록 장착부가 마련되며, 그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노즐구비체(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마련된다.
즉, 상기 고정체(191)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구비체(200)가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200)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홈(19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191)의 타측에는 상기 노즐구비체(200)가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20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노즐구비체(200)가 상기 고정체(191)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구비체 탈착유닛(193)이 설치된다.
상기 노즐구비체 탈착유닛(193)은 상기 고정체(191)의 타측에서 그 측면 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몸체(197), 상기 이동몸체(197)의 일측면 곧, 상기 노즐구비체(200)에 대향될 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구비체(200)가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될 시 후술될 제2 끼움홈(225)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2 끼움돌기(194) 및, 상기 이동몸체(197)의 타측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구비체(200)가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될 시 상기 제2 끼움돌기(194)가 상기 제2 끼움홈(195)에 끼워지도록 상기 이동몸체(197)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19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된 노즐구비체(200)를 상기 고정체(191)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몸체(197)를 상기 지지스프링(196)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노즐구비체(200)를 분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191)의 상면 곧, 장착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노즐구비체(2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돌기(199)가 형성될 수 있 다.
상기 노즐구비체(200)는 상기 고정체(191)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상기 노즐구비체(200)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되기 위한 수단들이 마련된다.
즉, 상기 고정체(191)의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노즐구비체(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홈(195)에 끼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돌기(221)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구비체(200)의 일측면의 반대방향인 타측면에는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200)의 일부 곧, 전술한 제2 끼움돌기(194)가 끼워지도록 제2 끼움홈(2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구비체(200)의 밑면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199)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위치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구비체(200)가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될 시 상기 위치고정돌기(199)는 상기 위치고정홈에 끼워진다.
그 결과, 상기 노즐구비체(200)는 상기 고정체(191)에 장착될 시 그 측면이나 전후 등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상기 고정체(191)의 미리 정해진 일정위치에 고정되어진다.
또한, 상기 노즐구비체(200)는 상기 노즐홀들(201)이 다수 형성된 상부 프레임(210), 상기 상부 프레임(210)에 일측단만이 지지되고 그 나머지 부분들은 상기 상부 프레임(21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상부 프레임(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홀들(201)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의 노즐홀들이 형성된 하부 프레 임(220) 및, 상기 상부 프레임(210)과 상기 하부 프레임(2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그 측면 방향 등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되 그 일측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210)과 하부 프레임(220)의 타측단 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노즐홀들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의 노즐홀들이 형성된 슬라이드(2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예비 노즐들 또는 교체가 필요하여 상기 헤드(140)로부터 분리되어진 노즐들(145)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 노즐홀들(201)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노즐구비체(200)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230)의 일측단 즉, 상기 상부 프레임(210)과 상기 하부 프레임(220)의 타측단 측으로 노출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드(230)의 일측단에는 후술될 노즐교환유닛(192)의 끼움부재(192c)가 끼워지도록 결합부(235)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35)는 'U' 형상 등의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교환유닛(192)은 상기 고정체(191)의 양측면에 각각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링크부재(192b), 상기 링크부재들(192b)을 상호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들(192b)이 상기 슬라이드(230)의 결합부(235)에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부재(192c) 및, 상기 링크부재들(19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링크부재들(192b)을 상호 연결하는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들(192b)을 일정각도 회동되게 하는 액츄에이터(192a)로 구성된다.
따라서, 부품실장공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헤드(140)에 장착된 노즐(145)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중앙제어유닛은 헤드(140)를 이 자동노즐교환장치(190) 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헤드(140)에 장착된 노즐(145)을 노즐구비체(200)에 구비된 빈 노즐홀(201) 측으로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액츄에이터(192a)는 상기 슬라이드(230)가 슬라이딩되도록 일정거리 이동되어 상기 링크부재들(192b)을 일정각도 회동시키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슬라이드(230)는 상기 링크부재들(192b)에 연결된 끼움부재(192c)와 상기 끼움부재(192c)에 결합된 결합부(235)를 통해 상기 링크부재들(192b)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그 회동력으로 일정거리 슬라이딩되고, 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빈 노즐홀(201) 측으로 삽입된 헤드(140)의 노즐(145)을 홀딩하게 된다.
이에, 상기 헤드(140)는 그 장착되어 있던 노즐(145)을 상기 빈 노즐홀(201) 내부에 남겨둔 채로 다시 상부로 이동한 다음, 새롭게 장착될 노즐이 삽입되어 있는 노즐홀(201)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후에는 그 노즐의 상부 측으로 하강하여 노즐이 헤드(140)에 장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교환유닛(192)은 그 일정거리 이동된 액츄에이터(192a)를 다시 원래의 방향으로 복귀시키어 상기 홀딩된 노즐(145)을 자유상태로 놓아주게 되며, 상기 헤드(140)는 새롭게 장착된 노즐을 가지고 계속 부품실장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들(192b)은 각각 상기 고정체(191)의 양측면 중 상기 제1 끼움홈(195)이 형성된 측의 일측단에 그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일정각도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192a)는 공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실장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부품실장기의 자동노즐교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자동노즐교환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어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상기 부품이 실장되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 헤드; 및 상기 노즐의 교체를 위하여 별도의 노즐들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노즐들을 구비한 부분이 상기 베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베드에 장착되는 자동노즐교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노즐교환장치는 상기 베드에 고정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의 상면 장착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노즐들이 끼워지도록 다수의 노즐홀들이 형성된 노즐구비체 및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구비체에 구비된 노즐들 또는 상기 헤드에 장착된 노즐을 선택적으로 홀딩하여 노즐이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교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구비체가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체에 장착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는 상기 노즐구비체가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를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노즐구비체가 상기 고정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노즐구비체 탈착유닛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측면의 반대방향인 타측면에는 상기 고정체에 장착될 시 상기 노즐구비체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제2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구비체 탈착유닛은 상기 고정체의 타측에서 그 측면 방향으로 소정거리 왕복이동되게 배치되는 이동몸체,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노즐구비체가 상기 고정체에 장착될 시 상기 제2 끼움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2 끼움돌기 및,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끼움돌기가 상기 제2 끼움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이동몸체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비체는 상기 노즐홀들이 다수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홀들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의 노즐홀들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의 이격 공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노즐홀들에 각각 대응되게 다수의 노즐홀들이 형성된 슬라이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교환유닛은 상기 고정체의 양측면에 각각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들을 상호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부재들이 상기 슬라이드에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일정각도 회동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기.
KR1020070107917A 2007-10-25 2007-10-25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KR10119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17A KR101190867B1 (ko) 2007-10-25 2007-10-25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917A KR101190867B1 (ko) 2007-10-25 2007-10-25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44A KR20090042044A (ko) 2009-04-29
KR101190867B1 true KR101190867B1 (ko) 2012-10-12

Family

ID=4076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917A KR101190867B1 (ko) 2007-10-25 2007-10-25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735A (ko) 2015-12-10 2017-06-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최적 노즐 및 스피드 선정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777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ズル交換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777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ズル交換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735A (ko) 2015-12-10 2017-06-2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최적 노즐 및 스피드 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044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3660B2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JP6300808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およびフィーダ移し替え方法
US10112269B2 (en) Screen printer, component mounting line, and screen printing method
JP4031107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およびその方法
WO2016129069A1 (ja) 部品供給装置
KR19980070362A (ko) 전자부품 실장방법 및 전자부품실장장치
WO2016135909A1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装着機
CN108633246B (zh) 部件安装体制造系统以及部件安装体制造方法
JP4490236B2 (ja) ノズル交換ユニットおよび同ユニットを備えた表面実装機
WO2014192168A1 (ja) 電子回路部品実装システム
KR101190867B1 (ko)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KR101294766B1 (ko) 자동노즐교환장치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JP2001094298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4220036B2 (ja) 実装機におけるフィーダー交換装置
JP3970009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6039742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方法および電子回路部品装着システム
JP2012069587A (ja) 対回路基板作業機および対回路基板作業システム
WO2020070809A1 (ja) 作業機
JP4047608B2 (ja) 実装機
JP6270291B2 (ja) 部品装着装置
JP2012146791A (ja) 電子回路部品装着方法および電子回路部品装着システム
JP7426800B2 (ja) 部品実装機
JP6869734B2 (ja) 表面実装機、表面実装機のノズル交換プログラムおよび表面実装機のノズルの交換方法
JPH02132895A (ja) 部品供給装置の段取り替え方法及び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
WO2019130422A1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