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616Y1 -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 Google Patents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616Y1
KR200443616Y1 KR2020080015542U KR20080015542U KR200443616Y1 KR 200443616 Y1 KR200443616 Y1 KR 200443616Y1 KR 2020080015542 U KR2020080015542 U KR 2020080015542U KR 20080015542 U KR20080015542 U KR 20080015542U KR 200443616 Y1 KR200443616 Y1 KR 200443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inclined surface
exposed
fixing groov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권
Original Assignee
조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권 filed Critical 조현권
Priority to KR2020080015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6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출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는 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측면에 그러한 경사면과는 달리 타일의 내부를 향하는 역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역경사면의 하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위치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타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수리를 위한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에 관한 것이다.
타일, 이중경사면, 역경사면

Description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Tile having dual slant plate}
본 고안은 건축물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노출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는 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측면에 그러한 경사면과는 달리 타일의 내부를 향하는 역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역경사면의 하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위치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타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수리를 위한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은 바닥이나 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만든 평판상의 점토질 소성제품으로, 내장타일, 외장타일, 모자이크타일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도 9는 종래 타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종래의 파손 타일의 수리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의 타일(10)은 노출면과 바닥면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에 따라 타일의 바닥면이 단순히 콘크리트(30) 등의 접착력에 의해서만 시공면(20)에 지지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타일과 콘크리트 등 고정 물 사이에 틈이 발생하면 타일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타일은 노출면과 바닥면의 크기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어 세탁기 등 가전제품을 빈번하게 이동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빈번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콘크리트 등 고정물과의 틈이 발생하고, 발생된 틈의 간격이 커지면 타일을 부착하여 놓은 접착테이프와의 접착이 약해지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타일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외부 충격에 의해 타일이 부분적으로 파손될 경우 종래의 타일은 노출면과 바닥면의 크기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타일과 타일 사이의 간격 모양이 직사각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파손된 타일(11)을 콘크리트(3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시공면(20)에 접하는 타일의 바닥면에 공구를 끼워 넣어야 하는바, 작업자가 수리용 공구(50)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일자형 드라이버의 경우, 그 단부의 구조가 브이(V)자 형태로 되어 있어 파손된 타일을 제거하는 작업 중 파손된 타일과 붙어 있는 정상 타일(12)의 파손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하나의 파손된 타일을 교체하기 위해 주변의 타일을 모두 교체하게 되어 타일과 콘크리트 등의 재료가 많이 소비되고, 작업량도 증가하게 되며, 작업 시간도 길어지게 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고, 주변의 많은 타일을 교체함에 따라 기 존재하던 타일과의 위치 차이에 의한 미관상 불일치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평2-2045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타일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이러한 홈을 채우면서 타일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었고,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141040호에 개시되 바와 같이 타일의 바닥면 중앙에 긴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콘크리트 등 고정재를 채워 넣어 위치를 지지하게 하는 것이 제안되었고,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50-652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타일의 바닥면 전체에 걸쳐 십자형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콘크리트 등 고정재를 채워 넣어 위치를 지지하게 하는 것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타일의 이동을 측면에서 지지하기 위해 타일의 측면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거나, 타일의 바닥면 중앙에 긴 홈을 형성하거나, 바닥면 전체에 십자형을 홈을 형성하고 이러한 홈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을 경우, 타일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나, 견고한 고정으로 인하여 파손된 타일의 부분적인 교체를 위한 타일의 분리가 더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바닥면 전체에 십자형의 홈을 형성할 경우에는 타일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얇아져서 내구성을 떨어뜨리게 되며, 이와 같은 내구성 저하를 막기 위해 타일이 두꺼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출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는 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측면에 그러한 경사면과는 달리 타일의 내부를 향하는 역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역경사면의 하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위치고정홈을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의 저하 없이 시공된 타일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킴과 아울러, 파손시 부분적인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을 구비한 타일은, 시공시 인접한 타일과의 사이가 역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기 위해 상기 바닥면의 면적이 노출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고, 면적이 상이한 노출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 상기 경사면 일단에서 타일의 내부를 향하며 상기 바닥면에 이르도록 경사진 역경사면; 및 상기 역경사면의 하부공간으로 이루어진 위치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노출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는 경사면과, 이러한 경사면 일단에서 타일의 내부를 향하는 역경사면이 함께 구비되어, 역경사면 하부의 위치고정홈에 콘크리트를 채워 타일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키면서 역경사면과 콘크리트의 접합부위를 이용하여 타일 파손시 부분적인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배면도이다. 이때, 도 1의 (a)는 노출면에서 본 타일의 정면도이고, (b)는 바닥면에서 본 타일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역경사면과 위치고정홈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타일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100)은 내외장재로 기능하기 위해 시공 후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110)과, 시공면인 바닥 등에 접하는 바닥면(120)과, 상기 노출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130)과, 상기 경사면 일단에 형성되어 타일의 내부를 향하도록 경사진 역경사면(140)과, 상기 역경사면의 하부공간으로 이루어진 위치고정홈(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120)의 면적은 노출면(110)의 면적보다 일정 비율 넓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바닥면의 한 변의 길이는 노출면의 한 변의 길이와 타일 두께의 25~30%의 합에 해당하는 만큼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30)은 상부에 위치하는 노출면(110)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면(120)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노출면(110)보다 바닥면(120)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고 이러한 양면을 경사면(130)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시공 후 타일(100)과 타일(100) 사이 의 간격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가 넓고 시공면(200)에 접하는 하부가 좁은 대략 역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역경사면(140)과 그 하부의 위치고정홈(150)에 채워진 콘크리트 돌출부(310)의 접합부분이 쉽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시공면(200)과의 접합면에 이르지 않고도 타일(100)의 분리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출면의 면적이 좁으므로 타일 분리를 위한 작업시 일자형 드라이버 등 수리공구(500)를 조작하여도 인접한 타일의 노출면에 접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작업공간을 타일(100)과 타일(100)의 연결부분에서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인접한 타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역경사면(140)은 상기 경사면(130)의 일단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30)과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즉 타일 내부를 향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며 바닥면(120)에 이르도록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역경사면(140)은 타일의 측면에서 상기 경사면보다 얇은 두께에 걸쳐 형성되어 타일의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며, 하부에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역경사면(140)은 상기 바닥면(120)으로부터 대략 15~20° 정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경사면(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역경사면(140)은 상기 경사면(130)에서 직접 연장된 비스듬하게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위치고정홈(150)을 대략 삼각기둥의 형상으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은 상기 경사면(130)에서 직접 연장된 비스듬한 평행면으로 형성되고 전 후면은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130)에서 일정거리만큼 타일 내측으로 절곡된 후 수직하게 아래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120)에 이름으로써 상기 위치고정홈(150)을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130)에서 일정거리만큼 타일 내측으로 절곡된 후 곡선을 이루며 상기 바닥면(120)에 이르도록 아래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150)을 반원형의 터널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역경사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역경사면(140)은 그 하부의 위치고정홈(150)에 콘크리트(300)가 타설되어 돌출부(310)를 형성함으로써 타일(100)의 위치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콘크리트와 타일의 접합부분을 시공면에서 일정 높이 올려줌으로써 타일 수리시에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홈(150)은 상기 역경사면(140)의 하부의 공간으로 구성되며, 시공면(200)에 콘크리트(300)를 타설할 때 타일과 타일 사이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일부가 상기 위치고정홈(150)에 채워져 상기 돌출부(310)를 형성하면서 타일(100)의 이동을 방지하는 움직임 방지 공간임과 동시에, 교체시 타일(1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다시 부착될 타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교체 활용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위치고정홈은 타일의 크기에 따라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고정용 볼트를 이용한 타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100)은 위치고정홈(150)에 채워진 콘크리트로 형성된 돌출부(310)에 의해 타일 시공 작업 시 타일의 상하 또는/및 좌우 움직임이 방지되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시공 후 타일의 표면에 가해지는 뒤틀림 등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타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또는 경사면에 타일을 시공할 경우, 대략 역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타일과 타일 사이의 공간에 고정용 볼트(400)를 결합하고, 볼트의 넓은 머리 부분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 타일의 바닥면이 걸리면서 고정되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파손된 타일의 수리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100)은 경사면에 의해 타일(100)과 타일(100) 사이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이 대략 역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게 됨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파손 타일(160) 만을 교체하여 수리하고자 할 경우, 외부로 노출 되는 역 사다리꼴 모양의 연결부분이 넓게 확보되므로, 그러한 공간을 통하여 인접한 타일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타일의 바닥면에 이르기 전에 상기 경사면에서 시작되는 역경사면과 콘크리트의 돌출부(310)간의 접합부분이 먼저 노출되므로, 이 공간에 드라이버 등의 수리공구(500)를 삽입하여 파손 타일(160)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용이하게 타일을 제거한 후, 남아 있는 콘크리트의 돌출부(310)에 의해 교체용 타일의 정확한 시공 위치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시공에 의해 교체하지 않은 타일과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재시공 요구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제조금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10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타일의 경사면(130)을 형성하기 위한 비스듬한 면이 형성된 하부금형(630)에 타일을 소성하기 위한 타일원료(620)를 채우고, 타일의 역경사면(140)을 형성하기 위한 비스듬한 면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상부금형(610)을 덮어서 타일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화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타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역경사면과 위치고정홈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역경사면과 위치고정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고정용 볼트를 이용한 타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라 파손된 타일의 수리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파손된 타일의 다른 수리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의 제조 금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종래 타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파손 타일의 수리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타일 110 - 노출면
120 - 바닥면 130 - 경사면
140 - 역경사면 150 - 위치고정홈
160 - 파손 타일 200 - 시공면
300 - 콘크리트 310 - 돌출부
400 - 고정용 볼트 500 - 수리공구

Claims (6)

  1. 시공 후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과, 시공면에 접하는 바닥면이 구비된 타일에 있어서,
    시공시 인접한 타일과의 사이가 역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기 위해 상기 바닥면의 면적이 노출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고, 면적이 상이한 노출면에서 바닥면에 이르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
    상기 경사면 일단에서 타일의 내부를 향하며 상기 바닥면에 이르도록 경사진 역경사면; 및
    상기 역경사면의 하부공간으로 이루어진 위치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한 변의 길이는 노출면의 한 변의 길이와 타일 두께의 25~30%의 합에 해당하는 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노출면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경사면은 바닥면과 15~20°의 경사 각도를 이루어, 상기 경사면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에서 직접 연장되며 바닥면에 이르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을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에서 일정거리 타일 내측으로 절곡된 후 수직하게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을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에서 일정거리 타일 내측으로 절곡된 후 바닥면으로 연장되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을 반원형의 터널모양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KR2020080015542U 2007-11-23 2008-11-22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KR200443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42U KR200443616Y1 (ko) 2007-11-23 2008-11-22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870 2007-11-23
KR2020080015542U KR200443616Y1 (ko) 2007-11-23 2008-11-22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616Y1 true KR200443616Y1 (ko) 2009-03-02

Family

ID=4134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542U KR200443616Y1 (ko) 2007-11-23 2008-11-22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604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KR20140049413A (ko) 벽체 외장설비
JP6514439B2 (ja) 外壁材の接合構造
KR20120094458A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타일 고정구조
KR200443616Y1 (ko)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KR100795132B1 (ko) 천장용 패널
KR200463059Y1 (ko) 거푸집용 보강파이프 고정구
KR10119530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교량 신축이음부용 보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교량 신축이음부
JP6334117B2 (ja) 屋根の棟構造
KR200292763Y1 (ko) 일체형 알루미늄 단위 거푸집판넬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KR101218595B1 (ko)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5048580A (ja) 腰壁・土間構造
KR102413438B1 (ko) 고밀도 목재패널의 결합구조
KR102146013B1 (ko) 콘크리트 벽체 모서리 시공용 면귀
CN102900190A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及施工方法
JP6250330B2 (ja) 壁構造
KR20130083876A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JP2015001104A (ja) 建物外壁におけるタイル支持方法及び建物
KR101276344B1 (ko) 방음패널 결합용 구조체
KR200400388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KR101490522B1 (ko) 슬래브와 벽체(기둥) 사이의 시공 접합 공법
KR20220136777A (ko)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0554512B1 (ko) 유로폼 결합 사용 옥상 난간 방수턱용 거푸집
JP2652839B2 (ja) 乾式施工用タイルおよびタイルの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