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777A -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777A
KR20220136777A KR1020210042876A KR20210042876A KR20220136777A KR 20220136777 A KR20220136777 A KR 20220136777A KR 1020210042876 A KR1020210042876 A KR 1020210042876A KR 20210042876 A KR20210042876 A KR 20210042876A KR 20220136777 A KR20220136777 A KR 2022013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corner
window fram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180B1 (ko
Inventor
이상진
김승일
김치엽
홍동진
이정환
강정기
이제현
김현덕
정수호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1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2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85Corner arrangements for borders; Devices for making rounded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할 때, 상기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단부를 연결하되,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도록 연결하는 라운드부; 및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결합되는 직각모서리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Frame for preventing cracks of corners and Concrete Structure with openings for window frame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물은 시공 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기둥, 슬라브, 각종 개구부 등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을 거친다. 그 중 창틀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거푸집을 이용하여 벽을 형성하고, 그 외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개구부를 제외한 부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고 양생에 의해 개구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체가 완성된다.
그런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창틀용 개구부(2)의 모서리는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모서리(4)로부터 크랙(3)이 발생되어 건물 벽체(1)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며, 유지 보수에 상당한 비용 발생을 초래한다. 이에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크랙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안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한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할 때, 상기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단부를 연결하되,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도록 연결하는 라운드부; 및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부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결합되는 직각모서리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는, 상기 라운드부의 곡면에 접촉하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외면과 평형하게 연장되는 제1 면; 및 상기 접촉면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외면과 평향하게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라운드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는 상기 라운드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부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빗물이 흐르는 제1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경사형성부와, 상기 제1 경사면으로 빗물이 흐르도록 하는 제2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경사형성부를 갖는 경사면형성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일측이,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줄눈을 형성하기 위한 줄눈프레임에 결합될 때, 상기 라운드부와 상기 줄눈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메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1 절곡부; 상기 개구부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창틀의 수직면을 지지하는 수직면부; 상기 창틀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수평면부; 상기 수직면부 및 상기 수평면부가 만나는 모서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수직면부와 상기 수평면부가 수직으로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할 때, 상기 모서리의 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모서리보다 돌출되고 라운드진 라운드면을 갖는 크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는 상기 콘크리트의 외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크랙방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1 경사면은 제2 경사면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 가장자리에 줄눈이 형성될 때, 상기 줄눈과 인접한 상기 크랙방지부의 외측면은 상기 줄눈의 평면과 일치하고,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크랙방지부의 내측면은 상기 창틀이 설치될 때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측면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크랙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크랙을 도시한 도면,
도2는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적용하여 시공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에 따른 프레임이 줄눈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창틀용 개구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움부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
도8은 창틀용 개구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움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도7에서 사용된 메움부재의 사시도,
도10은, 도8에서 사용된 메움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적용하여 시공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도5에 따른 프레임이 줄눈프레임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창틀용 개구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움부재가 배치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8은 창틀용 개구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움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도7에서 사용된 메움부재의 사시도, 도10은 도8에서 사용된 메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된 창틀용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크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거푸집을 설치할 때, 상기 창틀용 개구부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1) 제1 실시예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라운드부(30), 및 직각모서리형성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상측의 좌우 모서리 부분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제1 프레임부(1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외면은 상기 개구부(201)의 수직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방향이라 함은, 상기 개구부(201)를 형성하기 위해서 좌우 수직한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수직부재(110)가 놓이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부(10)에는 제1 절곡부(11)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절곡부(11)는 상기 개구부(201)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110)가 결합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된 부분으로, 상기 제1 절곡부(11)는 상기 제2 프레임부(20)와 평행하다.
상기 제2 프레임부(2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외면은 상기 개구부(201)의 수평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방향이라 함은, 상기 개구부(201)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하 수평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수평부재(120)가 놓이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프레임부(20)에는 제2 절곡부(21)가 마련된다. 상기 제2 절곡부(21)는 상기 개구부(201)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재(120)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된 부분으로, 상기 제2 절곡부(21)는 상기 제1 프레임부(10)와 평행하다.
상기 라운드부(30)는 상기 제1 프레임부(10)와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단부의 단부를 연결하고,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는다. 상기 라운드부(30)는, 상기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이 만나는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상기 모서리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는 크랙방지부(231)를 형성한다.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부(30)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접촉면(41), 제1 면(42), 및 제2 면(43)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면(41)은 상기 라운드부(30)의 곡면에 접촉하는 면이다. 상기 접촉면(41)은 상기 라운드부(30)의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면(42)은 상기 접촉면(41)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외면과 평형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 면(42)은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외면과 함께 수직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면(43)은 상기 접촉면(4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외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2 면(43)은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외면과 함께 수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1,2 면(42,43)은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및 상기 라운드부(30)는 일체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2 프레임부(10,20) 및 상기 라운드부(30)는 압출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 라운드부(30)에 결합된다.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예컨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라운드부(30)에 결합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 제1,2 프레임부(10,20) 및 상기 라운드부(30)와는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될 수 있다.
(2) 제2 실시예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상기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라운드부(30), 직각모서리형성부(40), 및 경사면형성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4개의 모서리가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하측의 좌우 모서리 부분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라운드부(30), 및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사면형성부(22)는 제2 프레임부(20)의 저면에 마련되며, 빗물 등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개구부(201)의 외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형성부(22)는, 제1 경사형성부(221)와 제2 경사형성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형성부(221)는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빗물 등이 흐르는 제1 경사면(240)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상기 개구부(201)를 외측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개구부(201)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경사형성부(222)는, 상기 제1 경사형성부(22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경사면(240)으로 빗물 등이 흐르도록 하는 제2 경사면(250)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2 경사면(250)은 상기 라운드부(30)에 의해 형성되는 라운드면(2311)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라운드부(30)는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의 외측에 인접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라운드부(30)에 의해 형성된 라운드면(2311)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 등은 제2 경사면(250)을 타고, 상기 제1 경사면(240)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경사면형성부(22)는 상기 개구부(201) 하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1 경사면(240) 및 제2 경사면(250)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상기 개구부(201)의 하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 부분의 구조를 형성할 때 사용된다. 상기 개구부(201)의 상부의 좌측 모서리 및 우측 모서리를 형성할 때는, 상기 경사면형성부(22)가 제거된 크랙 방지용 프레임을 사용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메움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는 줄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줄눈(131)은, 온도의 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반복적인 수축 및 팽창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의 시공시, 상기 콘크리트의 외벽면(141)을 형성하는 외벽용 판재(140)에 상기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는 줄눈(131)을 형성하기 위해서 줄눈프레임(130)이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제1 프레임부(10) 및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일측은,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결합된다. 상기 제1 프레임부(10)와 상기 제2 프레임부(20)가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안착되면, 상기 라운드부(30)와 상기 줄눈프레임(13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발행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움부재(50)는, 상기 라운드부(30)와 상기 줄눈프레임(13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외벽면(141)과 상기 라운드부(30)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면(2312)이 서로 일치하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201)의 상부 좌우 모서리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은 도9과 같은 형태의 메움부재(50)가 사용되고, 상기 개구부(202)의 하부 좌우 모서리에 설치되는 프레임(100)에는 도10과 같은 형태의 메움부재(50)가 사용된다. 도10에 도시된 메움부재(50)는, 그 일단부는 타단부와 비교하여, 상기 경사면형성부(22)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절단된 모습을 취한다.
상기 메움부재(50)가 상기 라운드부(30)와 상기 줄눈프레임(13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메움부재(5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므로, 콘크리트의 양생 후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의해 형성되는 줄눈(131)과 그 외측면(2312)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그라인딩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합성수재 재질로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합성수지로는 상기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프레임을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다른 측면에 따르면 모서리의 크랙이 방지되는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200)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상기한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을 통해 제조되는 콘크리트 구조체(2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창틀의 수직면을 지지하는 수직면부(210)와, 상기 창틀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수평면부(220)와, 상기 수직면부(210) 및 상기 수평면부(220)가 만나는 모서리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모서리부(230)는, 상기 수직면부(210)와 상기 수평면부(220)가 수직으로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할 때 상기 모서리의 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모서리보다 돌출되고 라운드진 라운드면(2311)을 갖는 크랙방지부(2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랙방지부(231)는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바깥쪽에 마련되고,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안쪽은 창틀이 설치되는 공간으로서 그 모서리는 상기 수직면부(210)와 수평면부(220)가 서로 수직으로 만나서 직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201)의 4개의 꼭지점 부근에는 상기 크랙방지부(231)가 형성되어 라운드진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빗물 등이 원할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201)의 하단에는 상기 콘크리트의 외벽면(14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240)이 마련된다.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상기 개구부(201)의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일단과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제2 경사면(25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는 줄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줄눈(131)의 작용은 상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 줄눈(131)이 형성될 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줄눈(131)과 인접한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외측면(2312)은 상기 줄눈(131)의 평면과 일치하고, 상기 외측면(231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내측면(2313)은 상기 창틀이 설치될 때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측면(2312)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에 창틀이 끼워질 때, 상기 창틀은 상기 내측면(2313)을 향하여 직각모서리를 갖는 부위로 접근되어 끼워져 설치되며, 이때 상기 내측면(2313)은 상기 창틀이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 및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200)의 작용 내지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소정 두께의 벽을 형성하면서 창틀용 개구부(201)를 형성하기 위해서, 내벽용 판재(142)와 외벽용 판재(140)를 이격시켜서 배치하고, 상기 외벽용 판재(140)에는 소정의 격자 형태로 줄눈프레임(130)을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틀용 개구부(201)의 가장자리에는 줄눈프레임(130)이 형성되며,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의 일측은 줄눈프레임(130)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안착된다.
상기 개구부(201)의 하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의 경사형성부에는 상기 줄눈프레임(130)에 안착되는 안착부(223)가 마련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의 가장자리에 줄눈(131)이 형성되는 공법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은, 상기 개구부(201)의 가장자리에는 줄눈(131)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로 시공될 수 있다.
도2를 기준으로 전면 측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외벽이 형성되고, 후면 측으로 내벽을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운드부(30)는 외벽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내벽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201)의 상부 좌우 모서리부(230)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모서리형성부(40)와 라운드부(30)가 구비된 타입의 프레임이 사용되고, 상기 개구부(201)의 하부 좌우 모서리부(230)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모서리형성부(40), 라운드부(30), 및 경사면형성부(22)가 함께 구비된 타입의 프레임의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을 상기와 같은 상태로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도3과 같은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200)가 완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개구부(201)를 갖는데, 좌우측에 수직면부(210)와, 상하측에 수평면부(220)를 구비하며, 4개의 모서리 부위에는 콘크리트가 라운드 형태로 채워진 크랙방지부(231)가 형성된다. 상기 크랙방지부(231)는 상기 직각모서리로부터 콘크리트가 더 채워져 보강되므로, 상기 모서리에 발생되는 크랙 발생을 예방하는 작용 내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201)의 하측에는 콘크리트의 외벽면(14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240)이 형성되고,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라운드면(2311)은 제2 경사면(250)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경사면(250)은 상기 제1 경사면(240)으로 연결되어, 크랙방지부(231)의 라운드면(2311)에 떨어진 빗물 등은 상기 제2 경사면(250) 및 제1 경사면(240)을 따라서 하방으로 원활하게 흘러 내릴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 및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200)는, 창틀용 개구부(201)의 모서리에 라운드면(2311)을 갖는 크랙방지부(2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모서리 부위에 크랙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이 내외벽 판재(142,140) 뿐만 아니라 줄눈프레임(130)과 함께 사용될 때, 메움부재(50)를 이용하여 줄눈(131)의 외벽면(141)과 크랙방지부(231)의 외측면(2312)이 서로 평탄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 외벽면(141)을 평탄하게 만들기 위한 별도의 그라인딩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100)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프레임을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크랙방지부(231)는, 모서리의 크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내측면(2313)은 창틀이 결합될 때 창틀의 이동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창틀이 적정한 범위로 끼워졌는지 용이하게 판단하고, 그 창틀이 설치되는 깊이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창틀이 설치된 구조물의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제1 프레임부 11... 제1 절곡부
20... 제2 프레임부 21... 제2 절곡부
22... 경사면형성부 221... 제1 경사형성부
222... 제2 경사형성부 223... 안착부
30... 라운드부 40... 직각모서리형성부
41... 접촉면 42... 제1 면
43... 제2 면 50... 메움부재
100...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110... 수직부재
120... 수평부재 130... 줄눈프레임
131... 줄눈 140... 외벽용 판재
141... 외벽면 142... 내벽용 판재
200...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201... 개구부 210... 수직면부
220... 수평면부 230... 모서리부
231... 크랙방지부 2311... 라운드면
2312... 외측면 2313... 내측면
240... 제1 경사면 250... 제2 경사면

Claims (10)

  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창틀용 개구부(201)를 형성할 때,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부(10);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부(20);
    상기 제1 프레임부(10) 및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단부를 연결하되, 라운드 형태의 곡면을 갖도록 연결하는 라운드부(30); 및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직각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라운드부(30)의 적어도 일부에 돌출 결합되는 직각모서리형성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 라운드부(30)의 곡면에 접촉하는 접촉면(41);
    상기 접촉면(41)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외면과 평형하게 연장되는 제1 면(42); 및
    상기 접촉면(4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외면과 평향하게 연장되는 제2 면(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0), 상기 제2 프레임부(20), 및 상기 라운드부(30)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직각모서리형성부(40)는 상기 라운드부(30)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부(20)에는 상기 개구부(201)의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빗물이 흐르는 제1 경사면(24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경사형성부(221)와, 상기 제1 경사면(240)으로 빗물이 흐르도록 하는 제2 경사면(250)을 형성하기 위한 제2 경사형성부(222)를 갖는 경사면형성부(2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10) 및 상기 제2 프레임부(20)의 일측이,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줄눈(131)을 형성하기 위한 줄눈프레임(130)에 결합될 때,
    상기 라운드부(30)와 상기 줄눈프레임(13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메움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01)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수직부재(110)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부(10)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1 절곡부(11);
    상기 개구부(201)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수평부재(120)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프레임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되는 제2 절곡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8.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창틀용 개구부(201)에 있어서,
    창틀의 수직면을 지지하는 수직면부(210);
    상기 창틀의 수평면을 지지하는 수평면부(220);
    상기 수직면부(210) 및 상기 수평면부(220)가 만나는 모서리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모서리부(230)는, 상기 수직면부(210)와 상기 수평면부(220)가 수직으로 만나서 모서리를 형성할 때, 상기 모서리의 폭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모서리보다 돌출되고 라운드진 라운드면(2311)을 갖는 크랙방지부(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01)의 하단에는 상기 콘크리트의 외벽면(14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240)이 형성되고,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일단과 상기 제1 경사면(240)은 제2 경사면(25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외벽면(141)으로부터 함몰되어 상기 창틀용 개구부(201) 가장자리에 줄눈(131)이 형성될 때,
    상기 줄눈(131)과 인접한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외측면(2312)은 상기 줄눈(131)의 평면과 일치하고, 상기 외측면(231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기 크랙방지부(231)의 내측면(2313)은 상기 창틀이 설치될 때 걸림턱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측면(2312)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20210042876A 2021-04-01 2021-04-01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257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876A KR102578180B1 (ko) 2021-04-01 2021-04-01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876A KR102578180B1 (ko) 2021-04-01 2021-04-01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777A true KR20220136777A (ko) 2022-10-11
KR102578180B1 KR102578180B1 (ko) 2023-09-13

Family

ID=8359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876A KR102578180B1 (ko) 2021-04-01 2021-04-01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180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216A (ja) * 1995-03-30 1996-10-15 Ishida Komuten:Kk 壁面開口型枠用の接合面木
KR200260685Y1 (ko) * 2001-10-22 2002-01-12 (주)유창알텍스 거푸집용 프레임의 보강멤버
KR200408508Y1 (ko) * 2005-11-24 2006-02-13 주식회사한성스틸 거푸집 인코너용 마감재
KR20070121388A (ko) * 2006-06-22 2007-12-27 임정순 저항부재를 갖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20080035787A (ko) * 2006-10-20 2008-04-24 임정순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보강구
KR20080036341A (ko) * 2006-10-23 2008-04-28 임정순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연결시스템
KR20100006356A (ko) * 2008-07-09 2010-01-19 임정순 강도보강 및 재활용성이 향상된 인코너부재
JP2010209626A (ja) * 2009-03-12 2010-09-24 Ingu:Kk 玄関部布基礎の天端型枠
KR101928536B1 (ko) * 2018-05-16 2018-12-12 이건철 사인장 균열의 유도 균열 라인을 제공하는 개구부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190017509A (ko) * 2017-08-11 2019-02-20 채남희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102099365B1 (ko) * 2019-09-16 2020-04-09 나성민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KR102151343B1 (ko) * 2019-04-01 2020-09-02 김명준 거푸집용 프레임부재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프레임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0216A (ja) * 1995-03-30 1996-10-15 Ishida Komuten:Kk 壁面開口型枠用の接合面木
KR200260685Y1 (ko) * 2001-10-22 2002-01-12 (주)유창알텍스 거푸집용 프레임의 보강멤버
KR200408508Y1 (ko) * 2005-11-24 2006-02-13 주식회사한성스틸 거푸집 인코너용 마감재
KR20070121388A (ko) * 2006-06-22 2007-12-27 임정순 저항부재를 갖는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20080035787A (ko) * 2006-10-20 2008-04-24 임정순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보강구
KR20080036341A (ko) * 2006-10-23 2008-04-28 임정순 거푸집용 인코너부재를 위한 연결시스템
KR20100006356A (ko) * 2008-07-09 2010-01-19 임정순 강도보강 및 재활용성이 향상된 인코너부재
JP2010209626A (ja) * 2009-03-12 2010-09-24 Ingu:Kk 玄関部布基礎の天端型枠
KR20190017509A (ko) * 2017-08-11 2019-02-20 채남희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101928536B1 (ko) * 2018-05-16 2018-12-12 이건철 사인장 균열의 유도 균열 라인을 제공하는 개구부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151343B1 (ko) * 2019-04-01 2020-09-02 김명준 거푸집용 프레임부재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프레임
KR102099365B1 (ko) * 2019-09-16 2020-04-09 나성민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180B1 (ko) 202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3289A (ko) 교량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의 시공 방법
CN104763138B (zh) 一种抗注塑缩影的建筑模板
KR20220136777A (ko)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CN217631063U (zh) 装饰模框以及构造物
KR200442878Y1 (ko) 재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KR101785722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824021B1 (ko)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KR100959025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제조방법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CN111379337B (zh) 一种二次结构抗渗防漏施工方法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JP397968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
CN106320692A (zh) 一种建筑拼接模板
KR101231779B1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KR100538832B1 (ko)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KR10252914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
JP6770667B2 (ja) プラットホーム構築用部品、及び、プラットホームの構築方法
JP4680724B2 (ja) 住宅用残存化粧型枠
JP200107355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ノロ止め材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CN211590623U (zh) 一种立浇空腹梁模板
CN209504427U (zh) 一种空心楼盖装配箱的上盖模具
JP2018188803A (ja) 壁高欄同士の接合構造
KR101575201B1 (ko) 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강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