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365B1 -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65B1
KR102099365B1 KR1020190113491A KR20190113491A KR102099365B1 KR 102099365 B1 KR102099365 B1 KR 102099365B1 KR 1020190113491 A KR1020190113491 A KR 1020190113491A KR 20190113491 A KR20190113491 A KR 20190113491A KR 102099365 B1 KR102099365 B1 KR 10209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vertical
horizontal
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나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민 filed Critical 나성민
Priority to KR102019011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의 전면(Front Surface)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지지부(Joint Supporting Part),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중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지지부(Width Supporting Part),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 지지부(Length Supporting Part), 상기 가로 지지부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 줄눈바(Width Line Bar) 및 상기 세로 지지부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 줄눈바(Length Line Bar)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LINE FORMING APPARATUS FOR EXPOSED CONCRETE WALL AND PANEL OF FORMWOR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노출 콘크리트 벽체에서 정확한 위치에 충분히 곧은 형태의 줄눈을 형성하기 위한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건축 구조물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건설되고 있다.
최근에는 콘크리트의 본연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냄으로서 중후하며 단단한 질감을 표현하기 위한 노출 콘크리트(Exposed Concrete) 공법이 활용되고 있다.
노출 콘크리트 공법은 건물 또는 옹벽과 같은 구조물의 시공 시, 외벽(외면)을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본 골조재인 콘크리트 물성을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건축의 마감 기법이다.
이러한 노출 콘크리트 공업은 콘크리트 자체가 갖고 있는 색상 및 질감으로 마감을 나타내는 형태의 공법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탈거한 상태 그대로를 노출시켜 콘크리트 자체가 나타내는 독특한 미와 중후함을 강조하는 건축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콘크리트 공법에서는 콘크리트 벽체(Concrete Wall)에 별도의 미장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노출 콘크리트 공법에서는 거푸집 탈거 후 고르지 못한 면이 발생되거나 줄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생동감과 규칙성이 저하되며 건축물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 노출 콘크리트 공법에서는 표면 보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으며,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출 콘크리트 공법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7737호[문헌 1]에서는 갱폼(거푸집 패널에 대응) 표면에 양면접착 테이프 혹은 나사를 이용하여 줄눈틀(줄눈바에 대응)을 고정시키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줄눈틀과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줄눈틀을 정렬(Align)시키는 기술적 구성은 전혀 게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줄눈틀들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노출 콘크리트 공법에 대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8043호[문헌 2]에서는 거푸집 본체(거푸집 패널에 대응)에 다수의 오목눌줄 성형용 볼록막대(줄눈바에 대응)가 결합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아울러, 문헌 2에서는 4개의 오목눈줄 성형용 볼록막대들이 상호간 교차 배치되는 기술적 구성을 더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기술에서는 4개의 오목눈줄 성형용 볼록막대들이 교차하는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7737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8043호
본 발명은 줄눈의 형성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하고, 줄눈의 형태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의 전면(Front Surface)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지지부(Joint Supporting Part),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중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지지부(Width Supporting Part),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 지지부(Length Supporting Part), 상기 가로 지지부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 줄눈바(Width Line Bar) 및 상기 세로 지지부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 줄눈바(Length Line Ba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 지지부는 상기 가로 줄눈바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가로 체결부(First Width Fasten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줄눈바는 상기 제 1 가로 체결부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체결부(Second Width Fasten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지지부는 상기 세로 줄눈바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세로 체결부(First Length Fasten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줄눈바는 상기 제 1 세로 체결부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체결부(Second Length Fastening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지지부는 제 1 영역(First Area), 상기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제 2 영역(Second Area),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과 인접하는 제 3 영역(Third Area) 및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제 3 영역과 마주보는 제 4 영역(Fourth Are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가로 줄눈바 중 제 1 가로 줄눈바(First Width Line Bar)에 대응되는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First Width Line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가로 줄눈바 중 제 2 가로 줄눈바(Second Width Line Bar)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Second Width Line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영역에는 상기 세로 줄눈바 중 제 1 세로 줄눈바(First Length Line Bar)에 대응되는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First Length Line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영역에는 상기 세로 줄눈바 중 제 2 세로 줄눈바(Second Length Line Bar)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Second Length Line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지지부는 상기 제 1 가로 줄눈바, 상기 제 2 가로 줄눈바, 상기 제 1 세로 줄눈바 및 상기 제 2 세로 줄눈바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중첩(Overlap)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가로 줄눈바, 상기 제 2 가로 줄눈바, 상기 제 1 세로 줄눈바 및 상기 제 2 세로 줄눈바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1 가로 조인트 연결부(First Wid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상기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조인트 연결부(Second Wid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세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1 세로 조인트 연결부(First Leng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세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상기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조인트 연결부(Second Leng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 상기 제 2 영역, 상기 제 3 영역 및 상기 제 4 영역은 각각 기울어진 제 1 경사면(First Incline Plan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First Width Line Connecting Part), 상기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Second Width Line Connecting Part),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First Length Line Connecting Part) 및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Second Length Line Connecting Part)는 각각 상기 제 1 경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로 줄눈바의 끝단, 상기 제 2 가로 줄눈바의 끝단, 상기 제 1 세로 줄눈바의 끝단 및 상기 제 2 세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각각 기울어지며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Second Incline Plan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가로 지지부 중 제 1 가로 지지부(First Width Supporting Part)에 대응되는 제 1 가로 지지 연결부(First Width Supporting Connecting Part)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가로 지지부 중 제 2 가로 지지부(Second Width Supporting Part)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지지 연결부(Second Width Supporting Connecting Part)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3 영역에는 상기 세로 지지부 중 제 1 세로 지지부(First Length Supporting Part)에 대응되는 제 1 세로 지지 연결부(First Length Supporting Connecting Part)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4 영역에는 상기 세로 지지부 중 제 2 세로 지지부(Second Length Supporting Part)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지지 연결부(Second Length Supporting Connecting Part)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은 노출 콘크리트 벽체에 정확한 위치에 균일한 간격으로 줄눈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은 줄눈의 형태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조인트 지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가로 지지부, 세로 지지부 및 조인트 지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줄눈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줄눈바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줄눈바, 조인트 지지부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방향(DR1)을 가로 방향(Width Direction)이라 하고, 제 2 방향(DR2)을 세로 방향(Length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또는 높이 방향(Height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10A, 이하에서는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은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0)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배치되는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10, 이하에서는 '줄눈 형성 장치'라 칭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패널(10A)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20)는 공정 시 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를 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줄눈 형성 장치(10)는 콘크리트 벽체에 줄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줄눈 형성 장치(10A)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면(Front Surface)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패널(10A)의 '전'과 '후'를 표시하였다.
패널(10A)의 전면(전)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10A)의 후면(Rear Surface, 후)은 외부를 향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패널(10A)을 복수개 엮어서 거푸집(Formwork)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줄눈 형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지지부(Joint Supporting Part, 100),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Supporting Part, 200) 및 적어도 하나의 줄눈바(Width Line Bar,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 지지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 지지부(100)는 줄눈바(300)들이 교차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조인트 지지부(100)는 줄눈바(300)들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줄눈바(300)의 끝단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면에 고정 배치되고, 그 끝단이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줄눈바(300)의 양끝단 사이의 중간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가로 지지부(Width Supporting Part, 210)와 세로 지지부(Length Supporting Part, 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지지부(2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면에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중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혹은 가로 방향(Width Direction))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세로 지지부(22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면에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혹은 세로 방향(Length Direction))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줄눈바(300)는 적어도 한쪽 끝단은 조인트 지지부(100)에 체결되고, 줄눈바(300)의 양쪽 끝단 사이의 중간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부(2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줄눈바(3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조인트 지지부(100)와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줄눈바(300)는 가로 줄눈바(Width Line Bar, 310) 및 세로 줄눈바(Length Line Ba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 줄눈바(310)는 지지부(200) 중 가로 지지부(210)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제 3 방향(DR3))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조인트 지지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세로 줄눈바(320)는 지지부(200) 중 세로 지지부(220)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조인트 지지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인트 지지부(100)에는 가로 지지부(210), 세로 지지부(220), 가로 줄눈바(310) 및 세로 줄눈바(320)가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인트 지지부(100)와 가로 지지부(210) 및 세로 지지부(220)를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전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강하게 고정하여 기본적인 형태를 완성하고, 그 이후에 가로 줄눈바(310)와 세로 줄눈바(320)를 조인트 지지부(100), 가로 지지부(210) 및 세로 지지부(220)에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 전에 다양한 형태의 줄눈바(300)의 체결이 용이하고, 시공 후에 줄눈바(300)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함으로써,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줄눈바(300)들의 교차위치 뿐만 아니라, 줄눈바(300)의 중간부분을 충분히 강하게 지지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한 줄눈바(3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에 균일한 패턴과 균일한 형태로 줄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줄눈 형성 장치(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조인트 지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조인트 지지부(100)는 제 1 영역(First Area, AR1), 제 2 영역(Second Area, AR2), 제 3 영역(Third Area, AR3) 및 제 4 영역(Fourth Area, AR4)으로 분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영역(AR1), 제 2 영역(AR2), 제 3 영역(AR3) 및 제 4 영역(AR4)은 임의로 설정한 가상의 영역으로서, 이러한 영역의 분할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제 2 영역(AR2)은 제 1 영역(AR1)과 마주보는 영역일 수 있다.
제 3 영역(AR3)은 제 1 영역(AR1) 및 제 2 영역(AR2)과 인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4 영역(AR4) 및 제 1 영역(AR1) 및 제 2 영역(AR2)과 인접하고 제 3 영역(AR3)과 마주보는 영역일 수 있다.
조인트 지지부(100)는 복수의 줄눈바(300)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줄눈 연결부(Line Connecting Part, 110(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할 수 있다.
줄눈 연결부(110)는 베이스부(Base Part, 101)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줄눈 연결부(110)는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First Width Line Connecting Part, 110a),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Second Width Line Connecting Part, 110b),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First Length Line Connecting Part, 110c) 및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Second Length Line Connecting Part, 110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110a)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1 영역(AR1)에 형성되며, 가로 줄눈바(310) 중 제 1 가로 줄눈바(First Width Line Bar, 310TA)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110a)를 통해 제 1 가로 줄눈바(310TA)가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110b)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2 영역(AR2)에 형성되며, 가로 줄눈바(310) 중 제 2 가로 줄눈바(Second Width Line Bar, 310TB)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110c)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3 영역(AR3)에 형성되며, 세로 줄눈바(320) 중 제 1 세로 줄눈바(First Length Line Bar, 320TA)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110d)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4 영역(AR4)에 형성되며, 세로 줄눈바(320) 중 제 2 세로 줄눈바(Second Length Line Bar, 320TB)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는, 줄눈 연결부(110)가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줄눈 연결부(110)가 줄눈바(300)를 연결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줄눈 연결부(110)는 후크(Hook) 형태, 홈 또는 홀 형태 등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조인트 지지부(100)는 가로 지지부(210) 또는 세로 지지부(220)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 연결부(Supporting Connecting Part, 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연결부(120)는 제 1 가로 지지 연결부(First Width Supporting Connecting Part, 120a), 제 2 가로 지지 연결부(Second Width Supporting Connecting Part, 120b), 제 1 세로 지지 연결부(First Length Supporting Connecting Part, 120c) 및 제 2 세로 지지 연결부(Second Length Supporting Connecting Part, 120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구조적 형태로 인해, 제 2 가로 지지 연결부(120b) 및/또는 제 2 세로 지지 연결부(120d)는 적어도 일부가 드러나지 않을 수 있다.
제 1 가로 지지 연결부(120a)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1 영역(AR1)에 형성되고, 가로 지지부(210) 중 제 1 가로 지지부(First Width Supporting Part, 210TA)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 1 가로 지지 연결부(120a)는 제 1 가로 지지부(210TA)를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가로 지지 연결부(120a)는 베이스부(101)로부터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1 수평 연장부(121a), 제 1 수평 연장부(121a)의 좌우 양쪽 끝단에서 각각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 연장부(122a), 2개의 제 1 수직 연장부(122a)의 사이 영역에서 제 1 수평 연장부(121a)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직 돌출부(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로 지지 연결부(120b)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2 영역(AR2)에 형성되고, 가로 지지부(210) 중 제 2 가로 지지부(Second Width Supporting Part, 210TB)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가로 지지 연결부(120b)는 베이스부(101)로부터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2 수평 연장부(121b), 제 2 수평 연장부(121b)의 좌우 양쪽 끝단에서 각각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제 2 수직 연장부(122b), 2개의 제 2 수직 연장부(122b)의 사이 영역에서 제 2 수평 연장부(121b)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수직 돌출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세로 지지 연결부(120c)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3 영역(AR3)에 형성되며, 세로 지지부(220) 중 제 1 세로 지지부(First Length Supporting Part, 220TA)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세로 지지 연결부(120c)는 베이스부(101)로부터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3 수평 연장부(121c), 제 3 수평 연장부(121c)의 좌우 양쪽 끝단에서 각각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제 3 수직 연장부(122c), 2개의 제 3 수직 연장부(122c)의 사이 영역에서 제 3 수평 연장부(121c)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수직 돌출부(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세로 지지 연결부(120d)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4 영역(AR4)에 형성되며, 세로 지지부(220) 중 제 2 세로 지지부(Second Length Supporting Part, 220TB)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세로 지지 연결부(120d)는 베이스부(101)로부터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4 수평 연장부(121d), 제 4 수평 연장부(121d)의 좌우 양쪽 끝단에서 각각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제 4 수직 연장부(122d), 2개의 제 4 수직 연장부(122d)의 사이 영역에서 제 4 수평 연장부(121d)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수직 돌출부(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조인트 지지부(100)는 베이스부(101)에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형성되는 제 1 체결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제 1 체결수단(First Fastening Member, FM1)이,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체결홀(130)을 통해 조인트 지지부(100)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조인트 지지부(100)는 대략 십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H1'은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제 1 체결수단(FM1)이 관통하기 위한 홀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가로 지지부(210)와 세로 지지부(2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가로 지지부, 세로 지지부 및 조인트 지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로 지지부(210)와 세로 지지부(220)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부분인 경우에는 가로 지지부(210)와 세로 지지부(220)를 지지부(200)로 통칭하기로 한다.
도 5를 살펴보면, 지지부(200)는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양쪽 끝단에 위치하는 끝단 연결 부분(End Connecting part, 230), 양쪽 끝단 연결 부분(230)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Fastening Part, 240) 및 끝단 연결 부분(230)과 체결부(240)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체결부(240)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Middle Part, 250)을 포함할 수 있다.
끝단 연결 부분(230)은 조인트 지지부(100)의 지지 연결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가로 지지부(210)인 경우에는 끝단 연결 부분(230)은 제 1 가로 지지 연결부(120a) 또는 제 2 가로 지지 연결부(120b)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세로 지지부(220)인 경우에는 끝단 연결 부분(230)은 제 1 세로 지지 연결부(120b) 또는 제 2 세로 지지 연결부(120d)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끝단 연결 부분(230)은 중간 부분(250)의 끝단으로부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 1 연장 부분(First Extended Part, 232), 제 1 연장 부분(232)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 부분(Second Extended Part, 233) 및 제 2 연장 부분(233)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40)는 지지부(200)와 줄눈바(300)의 체결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240)는 중간 부분(250)보다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 베이스부(Protruding Base Part, 241), 돌출 베이스부(241)에 형성되는 제 2 체결홀(242) 및 돌출 베이스부(241)의 상면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출부(Fastening Protruding Part, 24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돌출부(243)는 줄눈바(300)에 형성된 소정의 구조물, 예컨대 또 다른 체결부와 맞물리는 방법으로 줄눈바(300)와 지지부(200)를 강하게 체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지지부(200) 중 가로 지지부(210)는 줄눈바(300) 중 가로 줄눈바(310)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가로 체결부(First Width Fastening Part, 240-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200) 중 세로 지지부(220)는 줄눈바(300) 중 세로 줄눈바(320)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세로 체결부(First Length Fastening Part, 24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로 체결부(240-1) 및 제 1 세로 체결부(240-2)는 도면에서 구분하지는 않았으나, 오해를 막기 위해 서로 다른 식별부호를 지정하였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줄눈바(300) 중 가로 줄눈바(310)는 제 1 가로 체결부(240-1)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체결부(Second Width Fastening Part, 미도시)를 포함하고, 줄눈바(300) 세로 줄눈바(320)는 제 1 세로 체결부(240-2)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체결부(Second Length Fastening Par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로 체결부와 제 2 세로 체결부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류 등의 제 2 체결수단(Second Fastening Member, FM2)이, 도 5에서와 같이, 제 2 체결홀(242)을 통해 지지부(200)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H2'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제 2 체결수단(FM2)이 관통하기 위한 홀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설명한 지지부(200)는 양쪽 끝단에 각각 끝단 연결 부분(230)이 위치하는 것으로서, 두 개의 조인트 지지부(1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지지부(200)를 제 1 타입(First Type) 지지부(200T1)라고 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한쪽 끝단이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타입의 지지부(200)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지지부(200)를 제 2 타입(First Type) 지지부(200T2)라고 할 수 있다.
제 1 타입과 제 2 타입은 가로 지지부(210)와 세로 지지부(220)에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지지부(210) 중 양쪽 끝단이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타입을 제 1 타입 가로 지지부라고 하고, 한쪽 끝단이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타입을 제 2 타입 가로 지지부라고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는 제 2 타입 지지부(200T2)의 일례가 게시되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제 2 타입 지지부(200T2)는 일측 끝단에 연결홀(231)을 포함하는 끝단 연결 부분(23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타입 지지부(200T2)에 포함된 체결부(240)의 개수도 제 1 타입 지지부(200T1)에 포함된 체결부(240)의 개수보다 더 적을 수 있다.
제 2 타입 지지부(200T2)는 제 1 타입 지지부(200T1)에 비해 베이스 플레이트(20) 사이에 가장자리(Edge)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줄눈바(300)를 보다 강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 2 타입 지지부(200T2)에서 끝단 연결 부분(230)과 체결부(240) 사이의 간격(D2)을 제 1 타입 지지부(200T1)에서 끝단 연결 부분(230)과 체결부(240) 사이의 간격(D1)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 1 타입 지지부(200T1)와 제 2 타입 지지부(200T2)를 구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지지부(200)가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된 경우의 일례를 도 7에 게시하였다.
도 7을 살펴보면, 하나의 조인트 지지부(100)에는 제 1 가로 지지부(210TA), 제 2 가로 지지부(210TB), 제 1 세로 지지부(220TA) 및 제 2 세로 지지부(220TB)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로 지지부(210TA)는 제 1 타입 가로 지지부일 수 있고, 제 2 가로 지지부(210TB)는 제 2 타입 가로 지지부일 수 있다. 또는, 제 1 가로 지지부(210TA)와 제 2 가로 지지부(210TB)는 동일한 타입인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제 1 세로 지지부(220TA)와 제 2 세로 지지부(220T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지지부(200)의 끝단 연결 부분(230)의 제 2 연장 부분(233)에 형성되는 연결홀(231)에 조인트 지지부(100)의 지지 연결부(120)의 수직 돌출부(123)가 대응(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00)와 조인트 지지부(100)가 강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줄눈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가로 줄눈바(310)와 세로 줄눈바(320)를 구분하지 않고 줄눈바(300)로 통칭하는 경우에는 해당 내용이 가로 줄눈바(310)와 세로 줄눈바(320)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줄눈바(300)는 노출 콘크리트 공법으로 형성되는 노출 콘크리트 벽체에 소정의 줄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줄눈바(300)는 도 9의 (A), (B), (C)와 같이, 제 1 부분(First Part, 301)과 제 1 부분(301)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Second Part, 30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A)는 줄눈바(300)의 비스듬히 바라본 것이고, (B)는 줄눈바(300)의 측단면을 나타난 것이고, (C)는 줄눈바(300)의 하부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 1 부분(301)은 베이스 플레이트(20) 상에서 지지부(200)에 대응되고, 제 2 부분(302)은 조인트 지지부(100)에 대응될 수 있다.
줄눈바(300)의 제 2 부분(302)은 제 1 부분(301)의 양쪽 끝단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해당 줄눈바(300)가 두 개의 조인트 지지부(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줄눈바(300)를 제 1 타입 줄눈바라고 할 수 있다.
또는, 줄눈바(300)에서 제 1 부분(301)의 한쪽 끝단에만 제 2 부분(302)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해당 줄눈바(300)가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와 조인트 지지부(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줄눈바(100)를 제 2 타입 줄눈바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 1 타입 줄눈바와 제 2 타입 줄눈바를 구분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줄눈바(300)의 제 2 부분(302)에는 조인트 지지부(100)와의 연결을 위한 구조물, 즉 조인트 연결부(Connecting Part, 322)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줄눈바(300)의 제 2 부분(302)에는 조인트 지지부(1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함몰부(322)가 형성되고, 이러한 함몰부(322) 내에 조인트 연결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연결부(322)의 형태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줄눈 연결부(100)의 형태에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줄눈 연결부(100)가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조인트 연결부(322)는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는, 조인트 연결부(322)가 함몰된 형태, 즉 홈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조인트 지지부(100)에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및 제 2 세로 줄눈바(320TB)가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제 1 가로 줄눈바(310TA)의 끝단에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110a)에 대응되는 제 1 가로 조인트 연결부(First Wid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110a)와 제 1 가로 조인트 연결부가 결합함으로써, 조인트 지지부(100)에 제 1 가로 줄눈바(310TA)가 강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가로 줄눈바(310TB)의 끝단에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110b)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조인트 연결부(Second Wid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제 1 세로 줄눈바(320TA)에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110c)에 대응되는 제 1 세로 조인트 연결부(First Leng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제 2 세로 줄눈바(320TB)에는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110d)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조인트 연결부(Second Leng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줄눈바(300)의 제 1 부분(301)에는 지지부(200)와의 연결을 위한 구조물, 즉 지지부(200)의 체결부(240)에 대응되는 또 다른 체결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또 다른 체결부(311)는 앞서 언급한 제 2 가로 체결부와 제 2 세로 체결부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체결부(311)는 하나의 줄눈바(300)에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타입 줄눈바인 경우에는 하나의 줄눈바에 복수의 또 다른 체결부(311)가 형성되고, 제 2 타입 줄눈바인 경우에는 하나의 줄눈바에 하나의 또 다른 체결부(311)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의 (A), (B), (C)는 제 1 타입 줄눈바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타입 줄눈바에서는 제 1 부분(301)의 양쪽에 형성되는 제 2 부분(302)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타입 줄눈바에서 제 1 부분(301)의 왼쪽에 위치한 제 2 부분(302)은 하측에 치우치게 위치한 경우에는, 제 1 부분(301)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 2 부분(302)은 상측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체결부(311)는, 도 10의 (B)와 같이, 지지부(200)의 체결부(24)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311a)과 삽입홀(311a)의 주연부에서 줄눈바(300)를 향해 돌출되는 주연 돌출부(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돌출부(243)가 삽입홀(311a)에 삽입되면, 체결 돌출부(243)와 주연 돌출부(311b)가 서로 맞물리고, 이에 따라 지지부(200)에 줄눈바(300)가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시에 콘크리트의 압력에 줄눈바(300)가 이탈되거나, 줄눈바(30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줄눈바(30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A)와 같이, 줄눈바(300)는 노출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줄눈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줄눈바(300)의 내측에는 지지부(200)가 수용되는 소정이 공간(3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눈바(300)는 지지부(200)를 충분히 덮을 수 있다.
여기서는, 줄눈바(300)의 단면이 사다리꼴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줄눈바(300)의 단면은 삼각형 형태, 반원 형태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줄눈바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살펴보면, 조인트 지지부(100)와 중첩하는 영역에서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가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되면서도 서로 엇갈리게 맞물릴 수 있다.
도 11에서 조인트 지지부(100)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경우,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가 교차하는 영역에서는 불교기호인 '만'(卍)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가 교차하는 영역에서 줄눈바(300)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 콘크리트 벽체에서 줄눈의 간격을 더욱 균일하게 하고, 그 형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인트 지지부(100)는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즉, 조인트 지지부(100)의 형태가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되는 줄눈의 형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 지지부(100)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도가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줄눈의 형태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조인트 지지부(100)를 교체하지 않고, 단순히 줄눈바(300)만을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공정의 자유도가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줄눈바(300)는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Fastening Member)의 도움이 없어도 조인트 지지부(100) 및 지지부(200)에 강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눈바(300)의 교체가 용이함으로써, 다양한 패턴, 형태의 줄눈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줄눈바, 조인트 지지부의 또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의 끝단은 삼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의 끝단은 각각 서로 맞물려서 십자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는 각각 조인트 지지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조인트 지지부(100)에 중첩(Overlap)되는 영역에서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는, 도 14와 같이,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 중 제 1 세로 줄눈바(320TA)와 제 2 세로 줄눈바(320TB)는 서로 인접하고, 제 1 가로 줄눈바(310TA)와 제 2 가로 줄눈바(310TB)는 제 1 세로 줄눈바(320TA)와 제 2 세로 줄눈바(320TB)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세로 줄눈바(320TA)와 제 2 세로 줄눈바(320TB)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더욱 강하게 저항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 중 두 개의 줄눈바가 인접하는 경우에 조인트 지지부(100)의 형태도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와 같이,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1 방향(DR1)으로의 폭(L1)은 제 2 방향(DR2)으로의 폭(L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인트 지지부(100)는 더욱 안정적으로 제 1 가로 줄눈바(310TA), 제 2 가로 줄눈바(310TB), 제 1 세로 줄눈바(320TA), 제 2 세로 줄눈바(320TB)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조인트 지지부(100)는 경사면(First Incline Plane)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1 영역(AR1), 제 2 영역(AR2), 제 3 영역(AR3) 및 제 4 영역(AR4)은 각각 기울어진 제 1 경사면(First Incline Plane, P1)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조인트 지지부(100)의 제 1 경사면에는 줄눈바(300)와의 연결을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해 제 1 보조 연결부(First Auxiliary Connecting Part, 1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조인트 지지부(100)가 제 1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우, 줄눈바(300)도 제 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Second Incline Plane, P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살펴보면, 줄눈바(300)의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줄눈바(300)를 조인트 지지부(100)에 보다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줄눈바(300)의 경사면(P2)에는 제 1 보조 연결부(140)에 대응되는 제 2 보조 연결부(Second Auxiliary Connecting Part, 1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보조 연결부(140)가 돌출된 형태라고 하면, 제 2 보조 연결부(141)는 홈 또는 홀과 같이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줄눈 형성 장치(10)를 포함하는 패널(10A)을 복수개 배열/고정하여 거푸집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노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줄눈 형성 장치(10)에 의해 노출 콘크리트 벽체에 줄눈이 형성될 수 있다.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히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의 전면(Front Surface)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지지부(Joint Supporting Part);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중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지지부(Width Supporting Part);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로 지지부(Length Supporting Part);
    상기 가로 지지부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 줄눈바(Width Line Bar); 및
    상기 세로 지지부에 나란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한쪽 끝단이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세로 줄눈바(Length Line Bar);
    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지지부는 상기 가로 줄눈바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가로 체결부(First Width Fasten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줄눈바는 상기 제 1 가로 체결부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체결부(Second Width Fasten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지지부는 상기 세로 줄눈바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세로 체결부(First Length Fasten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 줄눈바는 상기 제 1 세로 체결부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체결부(Second Length Fastening Part)를 포함하는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지지부는
    제 1 영역(First Area), 상기 제 1 영역과 마주보는 제 2 영역(Second Area),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과 인접하는 제 3 영역(Third Area) 및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과 인접하고 상기 제 3 영역과 마주보는 제 4 영역(Fourth Are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가로 줄눈바 중 제 1 가로 줄눈바(First Width Line Bar)에 대응되는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First Width Line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가로 줄눈바 중 제 2 가로 줄눈바(Second Width Line Bar)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Second Width Line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영역에는 상기 세로 줄눈바 중 제 1 세로 줄눈바(First Length Line Bar)에 대응되는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First Length Line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4 영역에는 상기 세로 줄눈바 중 제 2 세로 줄눈바(Second Length Line Bar)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Second Length Line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지지부는 상기 제 1 가로 줄눈바, 상기 제 2 가로 줄눈바, 상기 제 1 세로 줄눈바 및 상기 제 2 세로 줄눈바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조인트 지지부에 중첩(Overlap)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 1 가로 줄눈바, 상기 제 2 가로 줄눈바, 상기 제 1 세로 줄눈바 및 상기 제 2 세로 줄눈바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인접하는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1 가로 조인트 연결부(First Wid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상기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조인트 연결부(Second Wid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세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1 세로 조인트 연결부(First Leng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세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상기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조인트 연결부(Second Length Joint Connecting Part)가 형성되는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상기 제 2 영역, 상기 제 3 영역 및 상기 제 4 영역은 각각 기울어진 제 1 경사면(First Incline Plan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로 줄눈 연결부(First Width Line Connecting Part), 상기 제 2 가로 줄눈 연결부(Second Width Line Connecting Part), 제 1 세로 줄눈 연결부(First Length Line Connecting Part) 및 제 2 세로 줄눈 연결부(Second Length Line Connecting Part)는 각각 상기 제 1 경사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로 줄눈바의 끝단, 상기 제 2 가로 줄눈바의 끝단, 상기 제 1 세로 줄눈바의 끝단 및 상기 제 2 세로 줄눈바의 끝단에는 각각 기울어지며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Second Incline Plane)을 포함하는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는 상기 가로 지지부 중 제 1 가로 지지부(First Width Supporting Part)에 대응되는 제 1 가로 지지 연결부(First Width Supporting Connecting Part)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에는 상기 가로 지지부 중 제 2 가로 지지부(Second Width Supporting Part)에 대응되는 제 2 가로 지지 연결부(Second Width Supporting Connecting Part)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3 영역에는 상기 세로 지지부 중 제 1 세로 지지부(First Length Supporting Part)에 대응되는 제 1 세로 지지 연결부(First Length Supporting Connecting Part)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4 영역에는 상기 세로 지지부 중 제 2 세로 지지부(Second Length Supporting Part)에 대응되는 제 2 세로 지지 연결부(Second Length Supporting Connecting Part)가 더 형성되는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KR1020190113491A 2019-09-16 2019-09-16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KR10209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91A KR102099365B1 (ko) 2019-09-16 2019-09-16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91A KR102099365B1 (ko) 2019-09-16 2019-09-16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985A Division KR102119106B1 (ko) 2020-03-23 2020-03-23 노출 콘크리트 벽체 줄눈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365B1 true KR102099365B1 (ko) 2020-04-09

Family

ID=7027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491A KR102099365B1 (ko) 2019-09-16 2019-09-16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777A (ko) * 2021-04-01 2022-10-11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184A (ko) * 2006-10-30 2008-05-07 박옥교 벽체 배수플레이트 설치 구조
KR100977804B1 (ko) * 2009-11-19 2010-08-25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줄눈 가변형 갱폼
KR101308043B1 (ko) 2013-03-20 2013-09-12 (주)세정건설 오목줄눈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오목줄눈 모듈화 시공방법
KR101717737B1 (ko) 2016-06-14 2017-03-17 미진정공(주) 갱폼용 줄눈틀
KR20170003227U (ko) * 2016-03-08 2017-09-18 강세민 갱폼용 줄눈 형성 부재
KR101801270B1 (ko) * 2017-06-02 2017-12-20 손형호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9184A (ko) * 2006-10-30 2008-05-07 박옥교 벽체 배수플레이트 설치 구조
KR100977804B1 (ko) * 2009-11-19 2010-08-25 주식회사 우진폼테크 줄눈 가변형 갱폼
KR101308043B1 (ko) 2013-03-20 2013-09-12 (주)세정건설 오목줄눈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오목줄눈 모듈화 시공방법
KR20170003227U (ko) * 2016-03-08 2017-09-18 강세민 갱폼용 줄눈 형성 부재
KR101717737B1 (ko) 2016-06-14 2017-03-17 미진정공(주) 갱폼용 줄눈틀
KR101801270B1 (ko) * 2017-06-02 2017-12-20 손형호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777A (ko) * 2021-04-01 2022-10-11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2578180B1 (ko) 2021-04-01 2023-09-1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0873B2 (en) Mold for producing molded concrete blocks
CN100447363C (zh) 用于浇铸混凝土的带附件的金属模
KR102099365B1 (ko) 노출 콘크리트 벽체의 줄눈 형성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거푸집 패널
KR1007188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KR102119106B1 (ko) 노출 콘크리트 벽체 줄눈 형성 장치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CN217631063U (zh) 装饰模框以及构造物
KR930021898A (ko) 형태가공(formwork)구성성분
KR20180072267A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1083403B1 (ko) 벽면 타설용 폼블록 고정용 브릿지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CN104763140B (zh) 建筑用平板塑料模板
KR20000067735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슬래브판
KR20200008077A (ko) 거푸집 조립체
KR200375941Y1 (ko) 마디형 프렛타이
ITTO960108U1 (it) Pietra da costruzione in particolare per la costruzione di muri di sostegno.
CN213837726U (zh) 一种建筑用钢筋混凝土柱制作辅助装置
CN217420520U (zh) 一种便于定位的模板补边装置及早拆模板装置
ATE192530T1 (de) Schalungselement
KR101005037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10071741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패널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JP2007291812A (ja) タイル取付用パネル及びタイル壁面の施工方法
JPH04269253A (ja) 屋根構造
KR200372734Y1 (ko) 문틀용 조립식 거푸집
KR200408444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