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201Y1 -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201Y1
KR200443201Y1 KR2020070006870U KR20070006870U KR200443201Y1 KR 200443201 Y1 KR200443201 Y1 KR 200443201Y1 KR 2020070006870 U KR2020070006870 U KR 2020070006870U KR 20070006870 U KR20070006870 U KR 20070006870U KR 200443201 Y1 KR200443201 Y1 KR 200443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hinge shaft
portable device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028U (ko
Inventor
지용구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지용구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구, 주식회사 더존씨앤티 filed Critical 지용구
Priority to KR2020070006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20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0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0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2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로서, LED 칩 및 USB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기판과, 상기 USB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자 회로 기판을 내장하고, 제1 힌지축 관통공을 구비하는 USB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힌지축 관통공을 갖는 회전 커버와, 상기 장치 본체와 회전 커버의 상대 회전을 매개하도록 상기 LED 칩의 상부측에서 상기 본체 및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 고정되는 하부 개방된 원통형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B 휴대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USB 단자, 전자 회로 기판, 힌지축, LED 칩, 회전 커버, USB 키로크, USB 메모리폰

Description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Rotatably Openabl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Having Detachable Rotation Shaft}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USB 휴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휴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USB 휴대 장치의 보관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의 USB 휴대 장치가 사용을 위해 회전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2의 USB 휴대 장치가 회전 완료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a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USB 장치 본체
100A: 상부 케이스
100B: 하부 케이스
110: 힌지축
130: 확산 필름
150: 전자 회로 기판
151a: USB 단자
155: LED 칩
170: 전자파 차폐 필름
200: 회전 커버
본 고안은 USB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형 커버를 힌지축 연결하여 부착하고, 힌지축을 USB 본체의 사용시 이를 지시하는 조명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동시에 이를 분리형 구조로 함으로써 제품의 경제성, 조립성, 생산성 및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회전 개폐식 USB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형 커버를 부착한 종래의 USB 휴대 장치는 그 부착 방식에 따라 회전 형 커버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USB 장치 본체에 이에 상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양자를 축 연결한 힌지 회전 구조, 또는 이와는 반대로 회전형 커버에 홈을 형성하고 USB 장치 본체에 이에 상응하는 회전축을 일체로 형성하고 양자를 축 연결한 힌지 회전 구조 등이 존재한다.
또한, USB 장치 본체에 힌지축을 일체로 구성하는 경우는 그 힌지축을 USB 장치의 사용시 그 사용중임을 지시하는 조명 유닛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한 구성 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USB 휴대 장치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USB 휴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회전 커버를 갖는 USB 휴대 장치는 USB 장치 본체(10)와, 이 본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 연결된 회전 커버(20)와, 상기 본체와 회전 커버 간의 상대 회전을 매개하는 힌지축(15)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전자 회로 기판이 설치된 장방형의 상하 케이스(10a 10b), 상기 전자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 일단에 설치된 USB 단자(도시 생략), 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배면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된 힌지축(1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 측면에는 측면의 폭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긴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추후 본체가 커버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커버에 고정시 억지 끼움식으로 커버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전 커버(20)는 상기 본체(10)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 및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부와 측부 상당부가 개방된 중공의 구조체로서, 한 쌍의 마주하는 상하 평면부(20a, 20b)와 이들 평면부 사이의 저면부(20c) 및 측면부(20b)를 구비하며, 측면부(20d)의 상당 부분은 상기 본체가 회전 출입되는 통로로서의 개방부(20e)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커버의 평면부(20a, 20b)의 적소에는 돌출 원주림(21)을 갖는 회전 구멍(21a)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접착 고정된 힌지축(15) 이 돌출 고정됨으로써, 이 힌지축을 매개로 본체(10)와 커버(2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본체의 일단에 설치된 USB 단자가 커버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 가능 상태가 되거나 커버 내로 수납되어 보관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USB 휴대 장치는 반복적인 커버 회전 동작으로 인해 그 힌지축에 하중 집중이 생기게 되는데, 이 힌지축의 파손시 USB 장치 본체 전체 또는 회전 커버 자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유지 보수의 문제가 있다.
또한, USB 장치의 사용시 이를 지시하도록 힌지축을 조명 유닛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사용하는 경우, 통상 LED 칩에 의한 발광 효과를 얻게 되는데, 힌지축 자체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발광시 USB 본체 전체가 발광되어 미려한 발광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해, 힌지축을 포함한 USB 장치 본체 전체를 반투명 재질로 일체로 사출 성형한 후, 조명 기능의 힌지축을 제외한 나머지 본체 부분을 스프레이 마스킹 처리하는 후처리 절차를 추가로 요하게 되는데, 이는 생산 단가 상승 및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형 커버를 힌지축 연결하여 부착하고, 힌지축을 USB 본체의 사용시 이를 지시하는 조명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동시에 이를 분리형 구조로 함으로써 제품의 경제성, 조립성, 생산성 및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회전 개폐식 USB 휴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조명 유닛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힌지축 내부에 확산 필름을 부착하여 조명 유닛 전체적으로 미려한 발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회전 개폐식 USB 휴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의 전자 회로로부터의 전자파에 의해 USB 장치가 그 동작을 방해받지 않도록 전자파의 방출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회전 개폐식 USB 휴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는
LED 칩과 USB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기판과, 상기 USB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자 회로 기판을 내장하고, 제1 힌지축 관통공을 구비하는 USB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힌지축 관통공을 갖는 회전 커버와, 상기 장치 본체와 회전 커버의 상대 회전을 매개하도록 상기 LED 칩의 상부측에서 상기 본체 및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 고정되는 하부 개방된 원통형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SB 장치 본체는 상기 힌지축 관통공을 갖는 상부 본체 케이스와 이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커버는 상하 대향면과 이 대향면 사이의 연결 저면으로 형성되고, 상부 대향면에 상기 제2 힌지축 관통공이 형성된 U-형의 중공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커버의 상부 대향면은 그 제2 힌지축 관통공 주변의 저면에 제1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대향면은 그 상면에 상기 제2 힌지축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USB 본체의 상부 케이스는 그 제1 힌지축 관통공 둘레에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홈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는 그 저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 고정홈과 연속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축은 억지 끼움식으로 힌지축 관통공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축의 상부 저면에는 LED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는 전자파 차폐능을 갖는 전자파 차폐 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SB 휴대 장치는 USB 키로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SB 휴대 장치는 전자 회로 기판에 메모리 소자를 더 포함하는 USB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USB 휴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USB 휴대 장치의 보관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의 USB 휴대 장치가 사용을 위해 회전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c는 도 2의 USB 휴대 장치가 회전 완료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a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는 LED 칩(155)을 실장한 전자 회로와 이 전자 회로에 연결된 USB 단자(151a)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기판(150)과, 상기 USB 단자(151a)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자 회로 기판(150)을 내장하는 USB 장치 본체(100)와, 이 장치 본체(10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커버(200)와, 상기 장치 본체(100)와 회전 커버(200)의 상대 회전을 매개하도록 그들에 관통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 힌지축(110)을 포함한다.
상기 USB 장치 본체(100)는 제1 힌지축 관통공(105)을 갖는 상부 본체 케이스(100A)와 이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 케이스(100B)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100A)는 하부가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체로서, 상부면부(101a), 양측면부(101b) 및 단면부(101c, 101e)로 이루어진다.
이중 단면부(101e)는 개방형으로 구성되어 이를 통해 전자 회로 기판(150)의 USB 단자(151a)가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단면부(101e)의 외측으로는 상기 돌출되는 USB 단자(151a)를 안착 지지하는 상부 개방형의 USB 수납부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 USB 수납부는 하면 부(101a'), 이 하면부 둘레로 직립된 측면부(101b') 및 단면부(101c')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00B)는 상기 상부 케이스(100A)에 체결 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힌지축 관통구(105)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105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는 전자파 차폐능을 갖는 전자파 차폐 필름(170)이 부착되어, USB 장치의 작동시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덜 받도록 한다.
상기 상하부 케이스의 체결 수단으로서, 상부 케이스의 단면부(101c)와 하면부(101a')에 각각 고정 홈(101d, 101d')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하부 케이스에는 고정 돌기(103d, 103d')를 형성하며, 양 체결 요소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하 케이스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커버(200)는 상하 대향면(200a, 200b)과 이 대향면 사이의 연결 저면(200c)으로 형성되고, 상부 대향면(200a)에 제2 힌지축 관통공(210a)이 형성된 U-형의 중공체이다. 따라서, 상하 대향면 사이에는 USB 장치 본체(100)가 회전 출입 가능한 중공의 공간(200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110)은 하부에 플랜지(115)가 형성되고 하부측이 개방된 불투명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전자 회로 기판(150)의 LED 칩(155) 상면에 그 개방 하부가 위치하도록 USB 장치 본체(100)의 제1 힌지출 관통공(105)과 회전 커버(200)의 제2 관통공(210a)을 통해 삽입 돌출된다.
상기 힌지축(110)은 상기 제1 관통공(105)의 주변 저면에 그 플랜지(115)가 지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105, 210a)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돌출되며, 제2 관통공(210a) 둘레로는 상기 힌지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보스 플 랜지(2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110)은 USB 장치 본체(100)와 회전 커버(200)의 상대 회전시 동반 회전되지 않도록 USB 장치 본체(100)의 관통공(102) 주변 저면에 돌출된 돌기(109a)에 끼워지도록 플랜지(115)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오목 홈이 구비된 돌기(11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힌지축(110)의 상부 저면에는 LED 칩으로부터의 발광이 골고루 확산되도록 확산 필름(130)이 부착되어, USB 장치의 사용시 LED 칩의 미려한 발광 효과를 가져온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USB 장치 본체(100)와 회전 커버(200)의 상대 회전시, USB 장치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상대 회전시키면서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장치 본체(100)와 회전 커버(200)에는 서로 대응하는 가이드 요소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커버의 상부 대향면(200a)은 그 제2 힌지축 관통공(210a) 주변의 저면에 제1 가이드 돌기(215a)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대향면(200b)은 그 상면에 상기 제2 힌지축 관통공(21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가이드 돌기(215b, 217b)를 구비하며, 상기 USB 본체(100)의 상부 케이스(100A)는 그 제1 힌지축 관통공(105) 둘레에 상기 제1 가이드 돌기(215a)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홈(105a, 107a)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100B)는 그 저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215b, 217b)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홈(105a', 107a')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 고정홈(105a, 105a')과 연속 가이드 홈(107a, 107a')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가이드 홈에 끼워져 안내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215a, 215b)는 상기 불연속 고정 홈(105a, 105a')의 위치에 있을 때 장치 본체(100)를 정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연속 가이드 홈(107a, 107a')에 있을 때는 장치 본체(100)가 안정적으로 힌지 회전되도록 한다.
전술한 힌지축 및 가이드 요소에 따른 USB 장치 본체(100)와 회전 커버(200) 사이의 상대 회전 동작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USB 휴대 장치의 보관시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3b는 USB 휴대 장치가 사용을 위해 회전시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3c는 USB 휴대 장치가 회전 완료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USB 휴대 장치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그 구성을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USB 휴대 장치는 전자 회로 기판 내에 메모리 소자를 실장한 플래시 메모리 장치용 USB 휴대 장치나 USB 메모리폰, 또는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지 않는 USB 키로크(keylock) 등에 적용될 수 있다.
USB 메모리폰은 USB 저장 장치에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과 사용자 정보를 내장한 것으로, PC에 꽂으면 바로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이 실행되며, 따라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이 연결된 PC에 USB 메모리폰만 꽂으면 로그인 없이 바로 인터넷 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USB 휴대 장치이다.
또한, USB 키로크는 소프트웨어 또는 주요 파일의 무단복제를 방지하기 위하 여 소프트웨어 또는 주요 파일과 하드웨어인 USB 키로크에 암호를 걸고, 소프트웨어 또는 파일의 실행시 실행시 보안키 역할을 하는 USB 키로크 없이는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소프트웨어 또는 파일의 무단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USB 휴대 장치이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은 회전형 커버를 힌지축 연결하여 부착하고, 힌지축을 USB 본체의 사용시 이를 지시하는 조명 유닛으로서 구성하는 동시에 이를 분리형 구조로 함으로써 제품의 경제성, 조립성, 생산성 및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회전 개폐식 USB 휴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조명 유닛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힌지축 내부에 확산 필름을 부착하여 조명 유닛 전체적으로 미려한 발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회전 개폐식 USB 휴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의 전자 회로로부터의 전자파에 의해 USB 장치가 그 동작을 방해받지 않도록 전자파의 방출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회전 개폐식 USB 휴대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0)

  1.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로서,
    LED 칩 및 USB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회로 기판과,
    상기 USB 단자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자 회로 기판을 내장하고, 제1 힌지축 관통공을 구비하는 USB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힌지축 관통공을 갖는 회전 커버와,
    상기 장치 본체와 회전 커버의 상대 회전을 매개하도록 상기 LED 칩의 상부측에서 상기 본체 및 커버의 관통공을 통해 돌출 고정되는 하부 개방된 원통형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장치 본체는 상기 힌지축 관통공을 갖는 상부 본체 케이스와 이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 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버(200)는 상하 대향면(200a, 200b)과 이 대향면 사이의 연결 저면(200c)으로 형성되고, 상부 대향면(200a)에 상기 제2 힌지축 관통공(210a)이 형성된 U-형의 중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버의 상부 대향면(200a)은 그 제2 힌지축 관통공(210a) 주변의 저면에 제1 가이드 돌기(215a)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대향면(200b)은 그 상면에 상기 제2 힌지축 관통공(21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가이드 돌기(215b, 217b)를 구비하며, 상기 USB 본체의 상부 케이스(100A)는 그 제1 힌지축 관통공(105) 둘레에 상기 제1 가이드 돌기(215a)를 안내하는 제1 가이드 홈(105a, 107a)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100B)는 그 저면에 상기 제2 가이드 돌기(215b, 217b)를 안내하는 제2 가이드 홈(105a', 107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홈(105a, 107a; 105a', 107a')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 고정홈(105a, 105a')과 연속 가이드 홈(107a, 107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억지 끼움식으로 힌지축 관통공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상부 저면에는 LED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에는 전자파 차폐능을 갖는 전자파 차폐 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휴대 장치는 USB 키로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휴대 장치는 전자 회로 기판에 메모리 소자를 더 포함하는 USB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개폐형 USB 휴대 장치.
KR2020070006870U 2007-04-26 2007-04-26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KR200443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870U KR200443201Y1 (ko) 2007-04-26 2007-04-26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870U KR200443201Y1 (ko) 2007-04-26 2007-04-26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28U KR20080005028U (ko) 2008-10-30
KR200443201Y1 true KR200443201Y1 (ko) 2009-01-28

Family

ID=41345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870U KR200443201Y1 (ko) 2007-04-26 2007-04-26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2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79B1 (ko) 2009-02-23 2010-02-10 주식회사 메모렛월드 2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유에스비 메모리장치
KR101483761B1 (ko) 2013-06-14 2015-01-16 주식회사 아론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587B1 (ko) * 2008-11-14 2010-04-01 (주)엠포유 회전 방식의 usb 메모리 장치
KR200445476Y1 (ko) * 2008-12-01 2009-08-04 이진우 Usb 메모리 장치
CN106888560B (zh) * 2015-12-15 2021-03-12 安徽海之量储存设备有限公司 接口防损坏u盘
KR102519045B1 (ko) 2016-07-28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79B1 (ko) 2009-02-23 2010-02-10 주식회사 메모렛월드 2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한 유에스비 메모리장치
KR101483761B1 (ko) 2013-06-14 2015-01-16 주식회사 아론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28U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201Y1 (ko)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US7392072B2 (en) Camera lens module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JP4466630B2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型電子機器
US7467000B2 (en) Hinge device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telephone
US20070148537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4000946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JPH0879346A (ja) 携帯用電話機のヒンジ機構
JP2003002172A (ja) ワイパアーム
JP2003239942A (ja) ヒンジ構造及びモバイル情報端末機器
JP4141249B2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JP2006204047A (ja) フロアコンセント装置
US20040169044A1 (en) Cover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012203A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73679B1 (ko) 폴더/슬라이드 겸용 휴대폰
JP2008067381A (ja) 携帯端末装置
JP4472468B2 (ja) 携帯電子機器
JP4185416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1116038A (ja) ヒンジユニット
JP4041027B2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297213A (ja)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
JP4917370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JP2003032342A (ja) 外装用化粧カバーおよび携帯用情報機器
JP4563961B2 (ja) 電子機器
JP4463495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0305658A (ja) ハードカバー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