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761B1 -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761B1
KR101483761B1 KR20130068481A KR20130068481A KR101483761B1 KR 101483761 B1 KR101483761 B1 KR 101483761B1 KR 20130068481 A KR20130068481 A KR 20130068481A KR 20130068481 A KR20130068481 A KR 20130068481A KR 101483761 B1 KR101483761 B1 KR 101483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power
ligh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826A (ko
Inventor
정한덕
최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론
Priority to KR2013006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76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부와, 전원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커넥터부(200);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발광부(300); 및 전원부(10)와 상기 발광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부(10)를 통해 발광부(3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부(400);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은 발광부를 케이블 본체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빛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기 어두운 곳에서 보다 쉽고 정확하게 포트의 위치를 찾아 스마트폰 단자에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SMART PHONE LIGHTING CABL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케이블에 발광수단을 구비시켜 케이블을 연결하기 어두운 곳에서 보다 쉽고 정확하게 포트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은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배터리가 모두 방전되면 충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커넥터는 단지 어댑터부터 휴대폰으로 충전전압을 공급하는 통로역할만을 한다.
상기 문제점을 보완한 기술이 "공개특허공보 2004-0088167"의 개인휴대단말기의 충전전압이 상승함에 따라 단계별로 색깔이 변화하는 발광소자를 통해 개인휴대단말기의 충전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단순히 충전상태를 확인하는 것이고 발광소자의 빛의 세기가 약하여 어두운 장소에서 충전을 할 경우에 포트의 위치를 정확히 찾아서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어두운 장소에서도 충분한 세기의 발광 기능이 부가된 충전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충전케이블에 있어서, 발광부를 케이블 본체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빛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기 어두운 곳에서 보다 쉽고 정확하게 포트의 위치를 찾아 스마트폰 단자에 연결할 수 있는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은 전원부(10)와,상기 전원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부(100);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커넥터부(200);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발광부(300); 및 상기 전원부(10)와 상기 발광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부(10)를 통해 상기 발광부(3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3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하는 확산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은 발광부를 케이블 본체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빛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하기 어두운 곳에서 보다 쉽고 정확하게 포트의 위치를 찾아 스마트폰 단자에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의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의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일실시예인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원부(10)와, 전원부(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커넥터부(200);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발광부(300); 및 전원부(10)와 상기 발광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부(10)를 통해 상기 발광부(3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스위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커넥터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전원부(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전압과 전류로 변환해 스마트폰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전원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220V/15A의 전력을 5V/0.5A로 변환해 스마트폰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원부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 플러그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원을 상기 커넥터부(200)로 제공하는 배선부재(11)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외부 전원과 결합해 상기 변환부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러그는, 가정에 배치된 배선에 연결된 콘센트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변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플러그와 상기 변환부는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플러그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변환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변환부는, 높은 전압과 전류를 낮은 전압과 전류로 변환하는 변압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변환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적정한 전력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배선부재(11), 상기 변환부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커넥터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배선부재(11)는, 전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환부에는 USB슬롯이 배치되고 상기 배선부재(11)의 일단에는 USB단자가 결합되어 서로 커넥팅 결합을 통해 전원을 상기 커넥터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상기 배선부재(1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타원형, 직육면체 또는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의 재질은 전기 및 열의 절연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폴리스틸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은 고주파 특성이 우수하며 열의 불양도체이므로 빛이 발산될때 나오는 열을 이겨내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상판, 하판, 수용홈 ,스위치홀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110) 및 하판(120)은 반타원형, 반구 등 다양한 형상이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을 결합하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30)은, 발광부, 스위치부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홀(140)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일부가 내부로 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홀은 후술될 스위치(41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41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스위치홀의 형상도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홀(14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410)를 누를 때 쉽고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커넥터부의 일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는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전원부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마트폰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부는, 스마트폰으로 전원이나 데이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부는 다수의 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선은 각각 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3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향해 빛을 조사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광부는, 상기 커넥터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300)는 색의 광을 발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백색광의 색온도(CCT) 조절 폭이 큰, 청색, 녹색, 적색 및 황색 LED칩들을 이용하는 다색이 발광될 수 있다.
상기 다색 발광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을 갖는 패키지 부재와, 입력단들과 출력단들로 구성된 단자들과, 상기 패키지 부재 내에 모두 수용되되, 상기 단자들에 의해 전력을 인가받아 발광 동작하는 청색, 적색, 녹색, 황색 LED칩들과, 상기 단자들을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청색, 적색, 녹색, 황색 LED칩들의 광도를 개별 또는 그룹별로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상기 전원부(10)와 상기 발광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부(10)를 통해 상기 발광부(3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전원부(10)와 상기 발광부(300) 사이에 배치되어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발광부(300)를 온오프시키기 위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버튼스위치, 모션 센서, 소리 센서,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스위치로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410)를 누르는 동안 상기 발광부(300)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스위치를 눌러서 온오프하지 않고 단지 손으로 접촉하여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제어회로를 내장한 접촉작동식 무접점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은접점방식(水銀接點方式)을 이용한 수은 스위치, 또는 금속볼을 내장한 볼접점식 스위치와 같은 관성감지형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00)를 모션 센서로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기능을 갖는 충전기가 있는 장소로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300)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소리센서에 미리 세팅되어 있는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발광부(400)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손뼉을 한번 치면 상기 발광부(300)가 점등되고 다시 한번 치면 상기 발광부(300)가 멸등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400)가 조도 센서인 경우 발광기능을 갖는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의 조도를 감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조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발광부(300)가 점등 또는 멸등되도록 제어한다.
확산부재(500)는 발광부(3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확산부재(500)는 상기 발광부(300)를 통해 상기 커넥터부(200)를 향해 조사되는 빛을 넓게 확산 시키거나 한 곳을 향해 빛을 모아줄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5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상판(110)과 상기 하판(120)에 각각 결합되어 빛을 확산 또는 모을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500)는 점이나 선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면을 따라 확산시켜 화면 전체적으로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보이도록 해 주는 반투명 확산판 또는 발산되는 빛을 전체 면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플라스틱 성형 렌즈의 일종인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외부로 확산할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500)의 재질은 상기 발광부(30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균일하고 확산시킬수 있도록 유리, 플라스틱 또는 렌즈 등 빛이 투과하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산부재(500)는 발산되는 빛을 적색 녹색 파랑의 3가지 빛을 조합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이상의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원부 11 : 배선부재 100 : 본체부 110 : 상판 120 : 하판 130 : 수용홈 140 : 스위치홀 200 : 커넥터부 300 : 발광부 400 : 스위치부 410 : 스위치

Claims (2)

  1. 전원부;
    상기 전원부의 일측과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홈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결합되며,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커넥터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부를 통해 상기 발광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외부로 확산하는 확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판, 하판, 스위치홀 및 상기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홀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일부가 내부로 향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커넥터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고,
    상기 확산부재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부를 향해 조사되는 빛을 넓게 확산시키거나 모아줄 수 있는 반투명 확산판 또는 도광판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2. 삭제
KR20130068481A 2013-06-14 2013-06-14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KR101483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481A KR101483761B1 (ko) 2013-06-14 2013-06-14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481A KR101483761B1 (ko) 2013-06-14 2013-06-14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26A KR20140145826A (ko) 2014-12-24
KR101483761B1 true KR101483761B1 (ko) 2015-01-16

Family

ID=5259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481A KR101483761B1 (ko) 2013-06-14 2013-06-14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7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201Y1 (ko) 2007-04-26 2009-01-28 지용구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KR20120007003U (ko) * 2011-04-01 2012-10-10 주식회사 뉴지로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201Y1 (ko) 2007-04-26 2009-01-28 지용구 회전 개폐형 유에스비 휴대 장치
KR20120007003U (ko) * 2011-04-01 2012-10-10 주식회사 뉴지로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26A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2530A1 (en) Automatic light control devices and sockets
TWI760292B (zh) 照明裝置及其上的照明組件及調節件
KR20160033383A (ko) 무선 충전 led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671617A (zh) 一种led灯具
CN101469826B (zh) 便携式电子装置
KR20160085284A (ko) 포트를 포함하는 장치
US20070268688A1 (en) USB powered electric torch
KR101483761B1 (ko) 스마트폰 발광 충전 케이블
KR102522819B1 (ko) 통합형 충전기가 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KR101872891B1 (ko) 조명시스템
US20200044468A1 (en) Mobile power supply module with light source
CN213638287U (zh) 一种智能触摸调光开关及其应用的灯具
US9553464B2 (en) In-vehicle-mounted charging device
CN204420599U (zh) 手提灯
CN102853403A (zh) 可变色发光模块及灯具
KR200469155Y1 (ko) 충전식 엘이디 조명장치
CN110661340A (zh) 一种可外接替换无线模块的智能电源
CN210957913U (zh) 一种可外接替换无线模块的智能电源
US20150043219A1 (en) Blue light LED sensor lamp
KR20150097887A (ko) 스마트 기기의 충전효율 확인가능형 무접점 충전장치
KR101814512B1 (ko) 휴대용 엘이디 랜턴
KR20170110962A (ko) 배터리 내장형 스마트 기기용 조명
CN107642706A (zh) 一种快速双开关照明装置
CN214064604U (zh) 一种具有移动电源功能的多功能感应灯
CN209458803U (zh) 组合式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