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819B1 - 통합형 충전기가 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합형 충전기가 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819B1
KR102522819B1 KR1020207030279A KR20207030279A KR102522819B1 KR 102522819 B1 KR102522819 B1 KR 102522819B1 KR 1020207030279 A KR1020207030279 A KR 1020207030279A KR 20207030279 A KR20207030279 A KR 20207030279A KR 102522819 B1 KR102522819 B1 KR 102522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electrical device
power level
output power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1326A (ko
Inventor
2세 마이클 제이. 브랜든
스티븐 이. 오스미알로브스키
리우 징
Original Assignee
에너자이저 브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자이저 브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에너자이저 브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3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1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충전 채널(예를 들어, 충전 포트)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로 전력을 보내도록 구성되는 충전 채널(20)을 포함하는, 전기 조명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 충전 포트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 전기 디바이스는 제 1 출력 파워 레벨(예를 들어, 제 1 휘도)에서 출력(예를 들어, 조명 출력)을 생성한다. 전기 디바이스는, 충전 채널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온보드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온보드 제어기는 출력 파워를 제 2 출력 파워 레벨(예를 들어, 제 2 휘도)로부터 보존 파워로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통합형 충전기가 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점점 더 많이 유행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재충전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전력 소스를 계속 찾고 있다. 예를 들어, 플래시, 랜턴, 라디오, 스피커(예를 들어, 블루투스®연결형 스피커), 및/또는 기타 등등과 같은 다른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온보드 전력원(예를 들어, 배터리)은, 별개의 전자 디바이스를 전기 디바이스의 충전 채널(예를 들어, 충전 포트)에 연결함으로써 별개의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폰)의 재충전가능한 전력원을 충전하기 위해서 활용될 수 있다. 충전 포트를 어떤 전기 디바이스에 내장시키면, 다른 전력원(예를 들어, 벽 콘센트)이 없는 곳에서 전기 디바이스를 흔히 활용하는 소비자에게 특히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퍼, 하이커, 및 다른 실외 활동하는 사람은 다양한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폰 및/또는 캠핑 랜턴)을 파워 그리드 기반의 전력원으로부터 먼 곳에서 흔히 활용할 수 있고, 따라서 그러한 사용자는 일부 전자 디바이스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는 보조 파워 서플라이를 찾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 디바이스의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는 유한 한 양의 파워만을 전류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유한한 파워 용량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이러한 디바이스들의 사용자는 이러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를 그들의 일차적인 목적(예를 들어, 플래시, 스피커, 및/또는 기타 등등으로서)을 위하여 또는 파워 서플라이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를 재충전하기 위한 파워 서플라이로서 사용할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른 목적을 위한 전기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다른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전기 디바이스 피쳐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폰,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기타 등등)를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통합된 디바이스 충전 채널 포트를 가지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플래시, 랜턴, 및/또는 기타 등등)에 관한 것이다. 전기 디바이스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통합형 조명 디바이스) 및 통합된 디바이스 충전 채널 포트로 파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가질 수 있다. 전기 디바이스는 전기 디바이스의 파워 사용을 모니터링하고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출력 디바이스 및/또는 통합된 디바이스 충전 채널 포트 중 하나로의 파워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조정 및/또는 재지향하도록 구성되는 온보드 제어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된 디바이스 충전 채널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제어기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전력량을 감소시켜서 연결된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될 전기 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로서, 파워 서플라이; 최소 출력 파워와 최대 출력 파워 사이에서 출력 파워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디바이스;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로 전류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채널; 및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면,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최대 출력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온보드 제어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출력 디바이스는 최소 휘도와 최대 휘도 사이의 휘도를 가지는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이고,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자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출력 휘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충전 채널은, 상기 별개의 전자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제 1 출력 파워에서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상기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출력의 출력 파워를 상기 제 1 출력 파워보다 적은 제 2 출력 파워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산 출력 파워 레벨 중 하나에서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보드 제어기는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자 디바이스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최대 출력 파워를 감소시키는 것은, 상기 출력의 출력 파워를 제 1 이산 출력 파워 레벨로부터 제 2 이산 출력 파워 레벨로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제 1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는 제 1 출력 프로파일 -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없는 동안 상기 제 1 출력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됨 -; 및 제 2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는 제 2 출력 프로파일 -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출력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은 상기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음 -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출력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더욱이, 파워 서플라이는 하나 이상의 온보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출력 디바이스가 최소 출력 파워와 최대 출력 파워 사이의 출력 파워를 가지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전기 디바이스의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것;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충전 채널을 통해 상기 전기 디바이스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충전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 및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위하여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는 최소 휘도와 최대 휘도 사이의 휘도를 가지는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이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자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출력 휘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제 1 출력 파워에서 출력을 생성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상기 출력의 출력 파워를 상기 제 1 출력 파워보다 적은 제 2 출력 파워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파워를 조절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파워를 복수 개의 이산 출력 파워 레벨 중 하나로 조정(throttling)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산 출력 파워 레벨은 적어도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파워 레벨을 비활성화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적어도 두 개의 출력 프로파일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출력 프로파일은, 제 1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는 제 1 출력 프로파일 -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없는 동안 상기 제 1 출력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됨 -; 및 제 2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는 제 2 출력 프로파일 -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출력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은 상기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음 -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기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출력 디바이스가 최소 출력 파워 레벨과 최대 출력 파워 레벨 사이의 파워 레벨을 가지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전기 디바이스의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단계;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충전 채널을 통해 상기 전기 디바이스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충전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출력 디바이스는 최소 휘도와 최대 휘도 사이의 휘도를 가지는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출력 휘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제 1 출력 파워 레벨에서 출력을 생성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의 파워 레벨을 상기 제 1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은 제 2 출력 파워 레벨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파워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파워를 복수 개의 이산 출력 파워 레벨 중 하나로 조정(throttling)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산 출력 파워 레벨은 적어도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지 않는 동안, 제 1 출력 프로파일에 따라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출력 프로파일은 제 1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함 -; 및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제 2 출력 프로파일에 따라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2 출력 프로파일은 제 2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고, 상기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은 상기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음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데, 이들은 반드시 척도에 맞게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로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전기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조명 디바이스의 다양한 전기 컴포넌트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조명 디바이스의 기능성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부가 아니라 일부의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설명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사실상, 실시예들은 많은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가 적용가능한 법적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게 하도록 제공된다. 유사한 번호는 전체에서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셀 폰,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 플래시, 팬, 스피커, 케이블, 및/또는 기타 등등)에 전류를 전송하기 위한 보조 파워 서플라이로서 활용될 수 있는 전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 내에 내장된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디바이스는 하나의 전기 디바이스로부터 또는 이를 통하여 다른 전기 디바이스로 전류를 전송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셀 폰은 보조 파워 서플라이로서 활용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사용자가 파워 그리드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동안에 그렇지 않으면 사용될 것들 외에는 추가적 디바이스를 소지할 필요가 없이, 대응하는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를 가지는 전기 디바이스를 충전(및/또는 재충전)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보조 파워 서플라이의 기능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충전 채널(예를 들어, 충전 포트)은 보조 전력원을 제공하는 것 이외의 다른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에 통합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는 조명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는 광,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사운드, 및/또는 기타 등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예를 들어, 광 신호, 사운드 신호, 무선 신호, 및/또는 기타 등등)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파워를 보존하고 전기 디바이스의 파워 서플라이로서의 사용성과 다른 출력 기능(예를 들어, 광 신호와 같은 출력의 생성)을 위한 사용성의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전기 디바이스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동안에 각각의 출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활용되는 파워(예를 들어,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온보드 제어기를 가질 수 있다. 온보드 제어기는 충전 채널을 모니터링하고,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것이 검출되면(예를 들어, 물리적 스위치 및/또는 전기 신호 스위치의 트리거 이벤트의 검출을 통하여), 출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출력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파워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통합된 충전 포트를 가지는 캠핑 랜턴에 있는 온보드 제어기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바일 폰에 대해 연결될 수 있는 충전 케이블)가 통합된 충전 포트에 연결되는 동안에, 캠핑 랜턴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통합된 충전 포트를 가지는 스피커 내의 온보드 제어기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통합된 충전 포트에 연결되는 동안에 스피커의 출력 볼륨을 낮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예시적인 휴대용 디바이스 전기 디바이스(10)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는 광 출력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전기 랜턴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하우징(11) 내에 위치된 다양한 전기 컴포넌트를 가진다. 그러나,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가 플래시, 스피커, 무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팬, 히터, 가습기, 제습기, 또는 파워 서플라이(예를 들어,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전기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렌즈부(12) 및 통합된 핸들(13)을 망라한다. 렌즈부(1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해서, 렌즈부(12) 내에 위치된 광원(15)에 의해 생성되는 광이 렌즈부(12)를 통해 방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식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광원(15)은, 동시 조명 및/또는 대안적 조명을 통하여, 복수 개의 대안적 조명 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광 방출기(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광원(15)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적색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적색 LED 및 상대적으로 더 높은 레벨의 백색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백색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휴대용 전기 랜턴은 제 1 조명 모드(예를 들어, 적색 광 모드)를 통해서 적색 LED를 활성화하거나, 대안적인 예에서는 제 2 조명 모드(예를 들어, 백색 광 모드)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백색 LED(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백색 LED)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에 대한 복수 개의 사용 상태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파워 스위치(16)로서 구현됨)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버튼,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 하나 이상의 스위치,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휠, 하나 이상의 용량성 센서,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온" 상태(예를 들어, 선택불가능한 파워 레벨에서의 단일 "온" 상태) 및 "오프" 상태 사이에서 선택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출력 모드(예를 들어, 적색 광 모드 또는 백색 광 모드) 및/또는 다양한 출력 파워 레벨(예를 들어, 예시된 랜턴의 광원(15)에 의해 방출된 다양한 휘도 레벨)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온" 상태 중에서 선택하게 한다. 단일 버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버튼을 순차적으로 활성화시켜서 "오프" 상태 및 다양한 "온" 상태 사이에서 반복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을 한 번 누르면 라이트가 제 1 조명 모드(예를 들어, 적색 광 모드)로 켜지고, 버튼을 다시 누르면 라이트가 제 1 휘도 레벨에서 제 2 조명 모드(예를 들어, 백색 광 모드)로 변하며, 버튼을 세 번째 누르면 라이트가 제 2 조명 모드 내의 제 2 휘도 레벨로 변하고, 버튼을 다시 누르면 라이트가 오프 상태로 되돌아간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나의 조명 모드만을 가지고, 따라서 사용자-인터페이스 버튼을 여러 번 누르면 라이트가 단일 조명 모드(예를 들어, 백색 광 모드) 내의 다양한 휘도 레벨에서 순환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로부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됨)로 파워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채널은, 전기 디바이스(50)(예를 들어, 충전/데이터 케이블, 온보드 재충전가능한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 및/또는 기타 등등)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포트(20)(예를 들어, USB-포트, 마이크로-USB 포트, 미니-USB 포트, 라이트닝 충전기 포트, 및/또는 기타 등등)로서 구현된다. 그러나, 충전 채널은 무선 유도성 충전 인터페이스, 자기 파워 포트, 2구 콘센트, 및/또는 기타 등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파워-통신 인터페이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는 파워 서플라이(14)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예를 들어, 교체가능한 일차 배터리 또는 재충전가능한 이차 배터리(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 내에 내장되거나 교체가능한 이차 배터리)) 또는 다른 전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턴으로 구현되는 휴대용 조명 디바이스(10)는 4 개의 D-셀 배터리로 구현되는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고, 랜턴은 적어도 약 1000 루멘의 광 출력을 생성할 수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파워 서플라이(14)는 하나 이상의 파워 컨버터(예를 들어, 외부의 무정전 파워 서플라이에 연결가능함),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4)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15))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예를 들어, 충전 채널 포트(20))에 제어기(17)를 통해서 파워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7)는 전력(예를 들어, 전류)의 흐름을 파워 서플라이(14)로부터 출력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로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집적 회로로서 구현된다. 제어기(1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6)와 통신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입력에 따라서 파워 서플라이(14)로부터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출력으로 파워를 지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 파워 레벨을 가지는 출력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기(17)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로부터의 충전을 위하여 언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연결되는지를 검출하도록, 충전 채널과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충전 채널이 충전 채널 포트(20)로서 구현되는 실시예들에서, 충전 채널 포트(20)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가 충전 채널 포트(20)에 연결되는 때를 검출하기 위한 존재 센서(presen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채널 포트(20)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온보드 제어기(17)에 연결된 것이 검출되면,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 포트(20)와 전기 연결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존재-감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채널 포트(20)의 하나의 특정 실시예는 5 핀 USB 커넥터이다. 또 다른 예로서, 충전 채널은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예를 들어,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케이블)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기계식 스위치, 자기식 스위치,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로 빠져나가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보드 제어기(17)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15))를 통해 출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충전 채널을 통하여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를 충전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보드 제어기(17)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15))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하여(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로 제공될 허락된 최대 직류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펄스-폭 변조를 통하여 출력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파워-펄스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및/또는 기타 등등),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검출될 때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방출되는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보드 제어기(17)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에 대해 연결되지 않는 동안에 구현되는 최대 직류 전류 레벨보다 낮은, 출력 디바이스로 제공될 최대 직류 전류 레벨을 구현함으로써,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도록(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15)에 의해 방출되는 출력 광을 조절함)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온보드 제어기(17)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제공되는 파워 간격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파워 간격에서 출력 디바이스에 펄스-폭 변조된 전류 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파워 레벨이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것이 검출되면, 온보드 제어기(17)는, 충전 채널을 통해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와 전기 연결이 형성되는 때에 출력 디바이스가 액티브라면 출력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파워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온보드 제어기(17)는 온보드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15))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킨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랜턴으로서 구현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의 예시적인 기능성을 보여주는 흐름도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보드 제어기(17)는, 출력 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동작 모드 중 특정 동작 모드에서 액티브라면 출력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가 적색 LED(예를 들어, 액티브일 때 제 1의 적색 광 모드 동작을 제공함) 및 하나 이상의 백색 LED(예를 들어, 액티브일 때 제 2의 백색 광 동작 모드를 제공함)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로서 구현되는 실시예들에서, 온보드 제어기(17)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가 제 2의 백색 광 동작 모드에서 액티브일 때 출력을 디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의 적색 광 동작 모드는 그 자체로 충분히 낮은 전류 인출(draw)을 제공하여(예를 들어, 디밍 이후에 제 2의 백색 광 동작 모드보다 적음), 적색 LED의 디밍이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전력량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는 블록 3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조명 디바이스를 파워온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블록 32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은 원하는 동작 모드 및/또는 최소 및 최대 파워/휘도/출력 파워 레벨 사이의 원하는 파워/휘도/출력 파워 레벨을 선택할 수 있고(예를 들어, 복수 개의 이산 출력 파워 레벨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최대 출력 파워 레벨 사이의 이용가능한 출력 파워 레벨의 무한대로 조절가능한 범위 내에서 출력 파워 레벨을 선택하거나, 또는 하나의 이용가능한 "온" 파워 레벨을 선택함), 제어기(17)는 전류를 파워 서플라이(14)로부터 조명 디바이스(15)로 지향시켜 선택된 파워 레벨에 따라서 제 1 휘도 레벨(제 1 조명 출력 파워 레벨)에서 광을 방출한다. 또한, 제어기(17)는 충전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을 위해 연결되는지 여부/언제 연결되는지를 검출한다. 조명 디바이스가 액티브인 동안에 충전 채널을 통하여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와 연결(예를 들어, 물리적 연결, 전기 연결, 및/또는 기타 등등)이 형성되는 것이 검출되면(블록 33에 표시되는 바와 같음), 블록 3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는 조명 디바이스(15)로 전송되는 파워의 흐름을 감소시켜서, 방출된 휘도 레벨을 제 2 휘도 레벨(제 2 조명 출력 파워 레벨)로 감소시킨다. 휘도 레벨에 맞게 조절하는 것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6)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파워 출력의 이러한 조절은, 조명 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동작 모드 중 하나에서 액티브인 동안에, 조명 출력 레벨이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동안에(예를 들어, 조절이 없이), 조명 디바이스가 복수 개의 동작 모드 중 제 2의 하나에서 액티브인 동안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기(17)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고, 조명 디바이스(15)가 액티브인 동안에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제거되는 것이 검출되면(예를 들어,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로부터 분리됨)(블록 35에 표시된 바와 같음), 제어기(17)는 조명 디바이스(15)에 제공되는 파워를 증가시켜서 블록 36에 표시된 것처럼 휘도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제 1 휘도/조명 출력 파워 레벨로, 제 1 휘도/조명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2 휘도/조명 파워 출력 레벨 사이의 제 3 휘도/조명 출력 파워 레벨로). 오직 하나의 예로서, 제어기(17)는 조명 디바이스(15)에 제공되는 파워를 증가시켜서, 휘도 레벨을 외부 전기 디바이스가 연결된 동안에 제공된 디밍된 휘도 레벨보다 크지만 외부 전기 디바이스가 연결되기 전에 방출된 제 1 휘도 레벨보다 적은(더 어두운) 제 3 휘도 레벨로 증가시킬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제어기(17)는 조명 디바이스(15)에 제공되는 파워를 증가시켜서 휘도 레벨을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낮은" 휘도 레벨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기(17)는 사용자에게 더 밝은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높은" 휘도 레벨로 복귀할 수 있는 옵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기(17)는 조명 디바이스(15)의 휘도를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에 대하여 연결되지 않은 동안에 방출된 제 1 휘도 레벨보다 50%보다 큰 양만큼, 예를 들어 약 90%-99% 사이의 양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따라서, 디밍 이후에 방출되는 휘도는 디밍 이전에 방출된 휘도의 약 1%-10% 사이가 되게 됨). 조명 디바이스(15)에 의해 방출되는 휘도를 감소시키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되기 위한 파워 서플라이로부터의 파워가 보존됨과 동시에, 조명 디바이스가 파워 서플라이(14)에 저장된 전력에 기반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7)는 충전 채널에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검출될 때 조명 디바이스(15)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최대 휘도 레벨(예를 들어,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기(17)는 이러한 최대 휘도를,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와의 연결이 형성될 때 조명 디바이스(15)가 파워온 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 조명 디바이스(15)가 후속하여 활성화되면(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기(17)는 조명 디바이스(15)에 제공되는 전력량을 구현된 최대값에 따라서 한정하고, 이를 통하여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에 대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 조명 디바이스(15)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최대 휘도 레벨을 제한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조명 디바이스(15)가 활성화될 때 원하는 휘도 레벨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기(17)는, 사용자가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의 존재가 검출되면, 제어기(17)에 의해 구축된 최소 휘도 레벨(예를 들어, "오프" 상태) 및 최대 휘도 레벨 사이의 휘도 레벨을 선택하게 하면서,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최대 휘도 레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6)를 통해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7)는 최대 휘도 레벨을 넘는 임의의 휘도 레벨을 비활성화하면서, 다른 휘도 레벨 옵션은 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가 복수 개의 이산 휘도 레벨 사이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는 실시예들에서, 최대 휘도 레벨을 넘는 휘도 레벨은 제어기(17)에 의해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어기(17)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휘도 레벨 옵션에서 방출되는 휘도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각각의 휘도 레벨 옵션에서 방출되는 휘도 레벨을 비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예를 들어, 각각의 휘도 레벨은 퍼센티지 비율로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기(17)는 방출된 휘도를 전기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휘도 레벨 중 임의의 것보다 적은 최대 휘도 레벨로 한정할 수 있다.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동안에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의 출력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파워 레벨을 감소시킴으로써,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는 이용가능한 전력(예를 들어,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14)를 통해 저장됨)의 큰 퍼센티지를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를 충전하는 것에 할당함과 동시에,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의 출력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시간량을 온보드 파워 서플라이(14)에 의해 제공되는 파워에 기반하여 증가시킨다.
일 예로서, 4 개의 D-사이즈 배터리를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14)의 경우, 제어기(17)는 약 0.7A-5A의 전류를 전기 디바이스(50)가 연결된 충전 채널로 보내면서, 약 25-35 mA의 전류를 출력 디바이스(15)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용가능한 전류의 총량, 및 따라서 충전 채널로 가는 전류의 총량은 파워 서플라이(14) 내에 제공되는 배터리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알칼리 D-사이즈 배터리의 경우, 충전 채널로 보내지는 전류량은 약 0.5-2A일 수 있다(예를 들어, 약 700-900mA).
결론
많은 변형예와 다른 실시예가, 앞선 설명과 연관된 도면에서 제공된 교시내용을 이해하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변형예와 다른 실시예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 특정 용어가 채용되지만, 이들은 일반적이고 설명하는 의미에서 사용되고, 한정하려는 목적이 아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는 조명 디바이스, 스피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통합된 충전 채널을 가지는 다양한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임의의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개념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고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충전 채널과 전기 연결 상태인 동안에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의 출력 디바이스로 제공되는 출력 파워를 한정하도록 구성되는(이를 통하여 출력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파워 레벨을 한정함) 온보드 제어기(17)를 포함시킴으로써, 다양한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10) 중 임의의 것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로서, 스피커의 최대 볼륨은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스피커의 충전 채널에 연결되는 동안 감소될 수 있고, 팬의 최대 회전 속도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팬의 충전 채널에 연결된 동안에 감소될 수 있으며, 최대 디스플레이 휘도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충전 채널과 연결된 동안에 감소될 수 있고, 및/또는 다른 경우도 성립한다.
더욱이, 복수 개의 충전 채널(예를 들어, 복수 개의 충전 포트(20))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온보드 제어기(17)는 복수 개의 충전 채널 각각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연결된 전기 디바이스(50)의 개수에 기반하여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보드 제어기(17)는 하나의 전기 디바이스(50)만이 연결된 동안에 휘도를 제 1 디밍된 휘도 레벨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전기 디바이스(50)가 연결된 동안에 휘도를 제 2 디밍된 휘도 레벨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온보드 제어기(17)는 연결된 전기 디바이스(50) 각각으로부터의 전류 인출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충전 채널을 거치는 전류 인출량에 기반하여 디밍된 휘도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디바이스가 디밍되는 양은 충전 채널을 거치는 전류 인출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예를 들어, 비례적으로 또는 디밍된 이산 휘도 레벨들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Claims (20)

  1.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로서,
    파워 서플라이;
    최소 출력 파워 레벨과 최대 출력 파워 레벨 사이에서 출력 파워를 갖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디바이스;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로 전류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채널; 및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면,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온보드 제어기를 포함하고, 및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제1 출력 파워 레벨에서 출력 파워를 갖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제1 출력 파워 레벨에서 출력 파워를 갖는 출력을 생성하는 동안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상기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및
    상기 제1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은 제2 출력 파워 레벨로 상기 출력 파워를 조절하도록 더 구성된,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최소 휘도와 최대 휘도 사이의 휘도를 가지는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이고,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휘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채널은, 상기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포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산 출력 파워 레벨 중 하나에서 출력 파워를 갖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은, 상기 출력의 출력 파워를 제 1 이산 출력 파워 레벨로부터 제 2 이산 출력 파워 레벨로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제 1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는 제 1 출력 프로파일 -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없는 동안 상기 제 1 출력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됨 -; 및
    제 2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는 제 2 출력 프로파일 - 상기 온보드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출력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은 상기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음 -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출력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는 하나 이상의 온보드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10.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로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출력 디바이스가 최소 출력 파워 레벨과 최대 출력 파워 레벨 사이의 출력 파워를 가지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고,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충전 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의 충전 채널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제1 출력 파워 레벨에서 출력 파워를 갖는 출력을 생성하는 동안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고, 및
    상기 출력의 상기 출력 파워를 상기 제1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은 제2 출력 파워 레벨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전송된 파워를 조절하는,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최소 휘도와 최대 휘도 사이의 휘도를 가지는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이고,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휘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파워를 복수 개의 이산 파워 레벨 중 하나로 조정(throttling)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산 파워 레벨은 적어도 최소 파워 레벨 및 최대 파워 레벨을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파워 레벨을 비활성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적어도 두 개의 출력 프로파일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출력 프로파일은,
    제 1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는 제 1 출력 프로파일 -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검출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없는 동안 상기 제 1 출력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됨 -; 및
    제 2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는 제 2 출력 프로파일 - 상기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상기 제 2 출력 프로파일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은 상기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음 -을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 제어기.
  16. 전기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출력 디바이스가 최소 출력 파워 레벨과 최대 출력 파워 레벨 사이의 출력 파워를 가지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전기 디바이스의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단계;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충전 채널을 통해 상기 전기 디바이스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전기 디바이스의 충전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출력 디바이스가 제1 출력 파워 레벨에서 출력 파워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상기 출력 디바이스의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출력의 상기 출력 파워를 상기 제1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은 제2 출력 파워 레벨로 감소시키도록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전송된 파워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 작동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디바이스는 최소 휘도와 최대 휘도 사이의 휘도를 가지는 광 출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된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의 존재를 검출하면, 상기 최대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 작동 방법.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파워를 복수 개의 이산 파워 레벨 중 하나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산 파워 레벨은 적어도 최소 파워 레벨 및 최대 파워 레벨을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 작동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지 않는 동안, 제 1 출력 프로파일에 따라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출력 프로파일은 제 1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함 -; 및
    상기 충전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별개의 전기 디바이스가 검출되면, 제 2 출력 프로파일에 따라서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상기 출력 디바이스로 파워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2 출력 프로파일은 제 2 최소 출력 파워 레벨 및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을 규정하고, 상기 제 2 최대 출력 파워 레벨은 상기 제 1 최대 출력 파워 레벨보다 적음 -를 더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 작동 방법.
KR1020207030279A 2018-04-02 2019-02-14 통합형 충전기가 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KR102522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43,411 2018-04-02
US15/943,411 US10433396B1 (en) 2018-04-02 2018-04-02 Portable electrical device with integrated charger
PCT/US2019/018063 WO2019194904A1 (en) 2018-04-02 2019-02-14 A portable electrical device with integrated char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1326A KR20200131326A (ko) 2020-11-23
KR102522819B1 true KR102522819B1 (ko) 2023-04-17

Family

ID=6552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279A KR102522819B1 (ko) 2018-04-02 2019-02-14 통합형 충전기가 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33396B1 (ko)
EP (1) EP3776792A1 (ko)
JP (1) JP7128905B2 (ko)
KR (1) KR102522819B1 (ko)
CN (1) CN113366726A (ko)
WO (1) WO2019194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1514S1 (en) * 2020-06-23 2023-07-04 Energizer Brands, Llc Lantern
JP7432486B2 (ja) 2020-10-30 2024-02-16 株式会社マキタ ランタン付き音声出力装置
US20240167676A1 (en) 2022-11-18 2024-05-23 Energizer Brands, Llc Portable lighting device with integrated stor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0092A (ja) * 2010-10-01 2011-02-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電源制御方法
JP3176495U (ja) 2012-03-21 2012-06-21 廣東正飛移動照明有限公司 タッチスイッチを有する照明及び移動充電装置
CN203942676U (zh) 2014-05-12 2014-11-12 游世中 一种多功能不停电式led台灯
US20150009657A1 (en) * 2013-07-05 2015-01-08 Thierno Souleymane Bah Light Apparatus
US9759421B1 (en) 2013-10-23 2017-09-12 Robert Baschnagel Light bulb device with functional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4617A (en) * 1973-07-12 1975-02-04 Esb Inc Charge control means for motive power battery charger
KR890000843Y1 (ko) * 1986-02-15 1989-03-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축전지의 충방전 제어 회로
KR950004749B1 (ko) * 1991-10-25 1995-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화기의 무접점 디지탈 파워 송수신 시스템
JP2005019226A (ja) 2003-06-26 2005-01-20 Calsonic Kansei Corp 表示照明制御装置
JP2005025381A (ja) 2003-06-30 2005-01-27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4912577B2 (ja) * 2004-09-01 2012-04-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2足歩行ロボットの充電システム
US20060197497A1 (en) * 2005-03-07 2006-09-07 Wong Kwan B A Electric accessory
KR100806562B1 (ko) * 2006-07-07 2008-02-28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 시스템
US20080231226A1 (en) 2007-03-23 2008-09-2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Powered Device
CN201219205Y (zh) 2008-04-28 2009-04-08 中银(宁波)电池有限公司 一种具有照明功能的充电器
US11181249B2 (en) 2008-11-12 2021-11-23 Tseng-Lu Chien Outdoor LED projection light
JP5452048B2 (ja) * 2009-03-26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充電器
CN201739787U (zh) 2010-06-04 2011-02-09 建始县永恒太阳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圆形可调野营灯
CN201739788U (zh) 2010-06-04 2011-02-09 建始县永恒太阳能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usb可调野营灯
TWI434004B (zh) 2010-12-16 2014-04-11 Geee Creations Inc Multi-purpose lighting device
US8853951B2 (en) 2011-11-21 2014-10-07 Janlincia Llc Method of adjusting brightness by desired run time
WO2014089068A1 (en) * 2012-12-04 2014-06-12 Halo2Cloud Llc Portable power charger with rechargeable flashlight
WO2016025869A1 (en) * 2014-08-14 2016-02-18 Schumacher Electric Corp. Compact multifunctional battery booster
US10302259B2 (en) 2015-09-22 2019-05-28 We Turn Your Lights On, Inc. Low voltage lighting system for use during power outages
US20170264118A1 (en) 2016-03-11 2017-09-14 Halo2Cloud Llc Combination portable power charger and compact mirror
CN205859704U (zh) 2016-08-02 2017-01-04 浙江001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拉灯
CN107726112A (zh) 2017-11-20 2018-02-23 中山驰马灯饰照明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变光功能的台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0092A (ja) * 2010-10-01 2011-02-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電源制御方法
JP3176495U (ja) 2012-03-21 2012-06-21 廣東正飛移動照明有限公司 タッチスイッチを有する照明及び移動充電装置
US20150009657A1 (en) * 2013-07-05 2015-01-08 Thierno Souleymane Bah Light Apparatus
US9759421B1 (en) 2013-10-23 2017-09-12 Robert Baschnagel Light bulb device with functional features
CN203942676U (zh) 2014-05-12 2014-11-12 游世中 一种多功能不停电式led台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33396B1 (en) 2019-10-01
EP3776792A1 (en) 2021-02-17
KR20200131326A (ko) 2020-11-23
US20190306951A1 (en) 2019-10-03
CN113366726A (zh) 2021-09-07
JP2021520030A (ja) 2021-08-12
WO2019194904A1 (en) 2019-10-10
JP7128905B2 (ja)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819B1 (ko) 통합형 충전기가 있는 휴대용 전기 디바이스
CA2860435C (en) Travel nightlight with usb charger
US10609781B2 (en) Ambient light sensing lighting strobe system
KR20180095397A (ko) Led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led 구동 방법
US20120155069A1 (en) Multi-purpose illumination device
US20140368118A1 (en) Dual power smps for a modular lighting system
US11096260B2 (en) Ambient light sensing lighting strobe system
US11076460B2 (en) Lighting system
US20030067767A1 (en) Portable energy-saving lighting device
WO2011009300A1 (zh) 一种化妆盒
WO2011010326A2 (en) A portable lighting device
CN108463033A (zh) 具有无线电源的照明系统
KR102129944B1 (ko) 휴대 가능한 led 조명장치
KR200285106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기를 구비한 컴퓨터
KR101955899B1 (ko) 유선 및 무선 제어를 연동한 조명 제어 시스템
CN213342772U (zh) 照明设备电路及照明设备
CN216313583U (zh) 一种大功率恒流控制器
KR101207788B1 (ko) 감성조명장치
CN203927671U (zh) 一种无线充电台灯
KR200210704Y1 (ko) 휴대폰용 비상 충전기
CN216591162U (zh) 一种多功能应急灯
CN214674459U (zh) 具有双向镜结构的发光无线充电宝
CN102588858A (zh) 可充电手持式灯管
US20220225485A1 (en) Hard and soft light module with ambient light sensing
CN206130633U (zh) 一种无线充电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