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788B1 - 감성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감성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788B1
KR101207788B1 KR1020100140052A KR20100140052A KR101207788B1 KR 101207788 B1 KR101207788 B1 KR 101207788B1 KR 1020100140052 A KR1020100140052 A KR 1020100140052A KR 20100140052 A KR20100140052 A KR 20100140052A KR 101207788 B1 KR101207788 B1 KR 10120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unit
ligh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919A (ko
Inventor
공명국
선경표
허정욱
김종일
이영준
정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0014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7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분한 휘도로 조명이 가능한 감성조명장치를 위하여, 제1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1발광부와 제2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2발광부를 포함하는 복합발광부와, 상기 제1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제1전원제어부와 상기 제2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제2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전원제어부와 상기 제2전원제어부는, 상기 복합발광부의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줄어들 시 상기 복합발광부의 상기 제2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1발광부와 상기 제2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감성조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성조명장치{Emotional 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감성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충분한 휘도로 조명이 가능한 감성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성조명장치는 조명장치가 방출하는 광의 색온도를 심리상태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이다. 예컨대 일출, 한낮, 일몰에 따라 태양광의 색온도가 변하는바, 이러한 태양광의 색온도 변화를 구현하여 실내에서도 그와 같은 색온도 변화를 느끼게 하는 조명장치를 감성조명장치의 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감성조명장치는 색온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시, 비록 색온도는 조절할 수 있지만 다른 편의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충분한 휘도로 조명이 가능한 감성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1발광부와 제2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2발광부를 포함하는 복합발광부와, 상기 제1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제1전원제어부와 상기 제2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제2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전원제어부와 상기 제2전원제어부는, 상기 복합발광부의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줄어들 시 상기 복합발광부의 상기 제2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1발광부와 상기 제2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감성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조절될 시, 상기 제2전원제어부는 상기 복합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일정하도록 상기 제2발광부에 인가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전원제어부는, 상기 제1발광부에 흐르는 제1전류를 센싱하는 제1전류센싱부와, 상기 제1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1전류를 이용해 제1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제1옵토커플러와, 상기 제1옵토커플러가 생성한 상기 제1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발광부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결정된 광량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전원제어부는, 상기 제2발광부에 흐르는 제2전류를 센싱하는 제2전류센싱부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1발광부가 방출할 광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제2전류전달부와, 상기 제2전류전달부가 전달한 전류를 이용해 제2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제2옵토커플러와, 상기 제2옵토커플러가 생성한 상기 제2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제2발광부에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전류전달부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기준전압공급부와, 상기 제2전류센싱부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2전류센싱부에서 상기 비교기의 출력부 방향이 순방향이도록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전압공급부에 의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상기 비교기 내에서 생성되면 상기 비교기는 상기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기준전압공급부에 의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상기 비교기 내에서 생성되면 상기 비교기는 상기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비교기는 오피앰프와 게인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준전압공급부는 상기 오피앰프의 +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게인조절부는 상기 오피앰프의 -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오피앰프의 출력부가 상기 비교기의 출력부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게인조절부는 저항과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R-C 병렬연결 임피던스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감성조명장치에 따르면, 충분한 휘도로 조명이 가능한 감성조명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는 복합발광부(300)와 전원제어부(400)를 구비한다.
복합발광부(300)는 제1발광부(100)와 제2발광부(200)를 구비하는데, 제1발광부(100)는 제1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2발광부(200)는 제2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발광부(100)는 대략 3500K의 웜화이트(warm white)의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제2발광부(200)는 대략 5000K 내지 6000K의 쿨화이트(cool white)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물론 제1발광부(100)가 쿨화이트의 광을 방출하고 제2발광부(200)가 웜화이트의 광을 방출할 수도 있으며 이와 상이한 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발광부(100)가 웜화이트의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제2발광부(200)가 쿨화이트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제1발광부(100)나 제2발광부(200)는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광을 방출하는 소자로서 예컨대 화합물 반도체의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불릴 수 있다. 복합발광부(3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제1발광부(100)들과 복수개의 제2발광부(20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400)는 제1전원제어부(110)와 제2전원제어부(210)를 구비하는데, 제1전원제어부(110)는 제1발광부(1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제2전원제어부(210)는 제2발광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전원제어부(110)와 제2전원제어부(210)는, 복합발광부(300)의 제1발광부(1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줄어들 시 복합발광부(300)의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하도록, 제1발광부(100)와 제2발광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예컨대, 제1발광부(100)는 최대로 광을 방출하고 제2발광부(200)는 최소로 광을 방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복합발광부(300)에서 방출되는 광에서 쿨화이트의 비중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기를 원함에 따라 웜화이트의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100)의 방출 광량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복합발광부(300)가 방출하는 광의 전체적인 색온도는 사용자의 의도대로 상대적으로 쿨화이트 쪽에 가까운 색온도가 될 수 있지만, 제1발광부(100)의 방출 광량이 줄기 때문에 제2발광부(200)의 방출 광량이 늘어나지 않는 한 복합발광부(300)가 방출하는 전체적인 광량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감성조명장치가 실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복합발광부(300)가 방출하는 전체 광량이 줄어드는 것은 실내조명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의 경우, 제1전원제어부(110)와 제2전원제어부(210)가, 복합발광부(300)의 제1발광부(1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줄어들 시 복합발광부(300)의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하도록, 제1발광부(100)와 제2발광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웜화이트의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100)의 방출 광량이 줄어들 경우, 쿨화이트의 광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200)의 방출 광량을 늘려, 결과적으로 복합발광부(3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이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명에 사용되는 광의 색온도만을 변화시키기를 원한 경우, 휘도 저하 없이 효과적으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상적으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웜화이트의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100)의 방출 광량이 줄어들 경우, 쿨화이트의 광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200)의 방출 광량을 늘려, 결과적으로 복합발광부(3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일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는 사용자가 제1발광부(1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조작부는 제1전원제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발광부(1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조작부에 의해 제1발광부(1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조절될 시, 제2전원제어부(210)는 복합발광부(3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일정하거나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제2발광부(200)에 인가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적 신호라 함은 제2발광부(200)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전원제어부(210)는 제2발광부(20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함으로써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 구체적으로 제1발광부(100)와 이 제1발광부(1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전원제어부(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구체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발광부(1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1전원제어부(110)는, 제1전류센싱부, 제1옵토커플러(OC1) 및 제1전원공급부(S1)를 구비한다.
제1전류센싱부는 제1발광부(100)에 흐르는 제1전류를 센싱하는데,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센싱저항(RS1)과 제1오피앰프(OP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센싱저항(RS1)에 흐르는 전류는 제1발광부(100)에 흐르는 전류인바, 제1오피앰프(OP1)를 이용해서 제1센싱저항(RS1) 양단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제1센싱저항(RS1)에 흐르는 전류, 즉 제1발광부(100)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제1옵토커플러(OC1)는 제1전류센싱부(RS1)가 센싱한 제1전류를 이용해 제1피드백신호를 생성한다. 이 제1옵토커플러(OC1)는 예컨대 발광다이오드(D1)와 감광트랜지스터(T1)를 구비할 수 있다. 결국 제1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1전류에 의해 제1옵토커플러(OC1)에서 제1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1전원공급부(S1)에 인가하는데, 제1전원공급부(S1)는 이 제1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제1발광부(100)가 조작부에 의해 결정된 광량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제1발광부(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전원공급부(S1)는 예컨대 SMPS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전원제어부(110)는, 제1발광부(100)가 조작부에 의해 결정된 광량을 안정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제1발광부(100)에 흐르는 전류량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부분, 구체적으로 제2발광부(200)와 이 제2발광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2전원제어부(2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구체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발광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2전원제어부(210)는, 제2전류센싱부, 제2전류전달부, 제2옵토커플러(OC2) 및 제2전원공급부(S2)를 구비한다.
제2전류센싱부는 제2발광부(200)에 흐르는 제2전류를 센싱하는데,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센싱저항(RS2)과 제2오피앰프(OP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센싱저항(RS2)에 흐르는 전류는 제2발광부(200)에 흐르는 전류인바, 제2오피앰프(OP2)를 이용해서 제2센싱저항(RS2) 양단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제2센싱저항(RS2)에 흐르는 전류, 즉 제2발광부(200)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제2전류전달부는 기준저항(RREF)과 가변저항(RV)을 포함할 수 있는데,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의 제2전류전달부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2전류전달부는 조작부에 의해 결정된 제1발광부(100)가 방출할 광량을 고려하여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의 적어도 일부를 제2옵토커플러(OC2)에 전달한다. 예컨대 가변저항(RV)이 작아질수록,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 중 기준저항(RREF)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작아진다.
제2옵토커플러(OC2)는 제2전류전달부가 전달한 전류를 이용해 제2피드백신호를 생성한다. 이 제2옵토커플러(OC2)는 예컨대 발광다이오드(D2)와 감광트랜지스터(T2)를 구비할 수 있다. 결국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의 일부에 의해 제2옵토커플러(OC2)에서 제2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2전원공급부(S2)에 인가하는데, 제2전원공급부(S2)는 이 제2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제2발광부(200)가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제2발광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만일 가변저항(RV)이 조절되어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 전부가 아닌 일부만을 이용하여 제2피드백신호가 생성할 시, 제2전원공급부(S2)는 제2발광부(200)에 충분한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게 되어 제2발광부(200)에 공급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늘리게 되고, 이는 결국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하는 광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제2전원공급부(S2)는 예컨대 SMPS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2피드백신호를 고려하여 제2발광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제1발광부(100)가 조작부에 의해 방출 광량이 줄어들게 되면, 조작부에 연동된 가변저항(RV)의 크기를 줄어들어, 제2전원공급부(210)가 제2발광부(200)에 충분하지 않은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단하도록 하여 제2발광부(200)에 공급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늘리도록 함으로써,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하는 광량을 증가시켜, 복합발광부(3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색온도의 광이 방출되도록 하되 전체적인 광량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거나 개략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2전원공급부(S2)에도 조작부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될 광량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전원공급부(S2)에도 조작부가 연결될 시, 이 조작부는 제1전원공급부(S1)에 연결된 조작부와 일체일 수도 있고 개별적인 것일 수도 있다.
도 2나 도 3의 제1전원제어부(110)나 제2전원제어부(210)는 제1발광부(100)나 제2발광부(200)에 흐른 전류를 받아 제1발광부(100)나 제2발광부(200)의 방출광량을 유지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로우 사이드 센싱(low side sensing) 시스템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발광부(100)나 제2발광부(200)의 하이 사이드에서 센싱하는 하이 사이드 센싱(high side sensing) 시스템이나 하이 앤 로우 사이드 센싱(high and low side sensing)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는 후술할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1의 제2발광부(200)와 이 제2발광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2전원제어부(2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구체적인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의 제2발광부(20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제2전원제어부(210)는, 제2전류센싱부, 제2전류전달부, 제2옵토커플러(OC2) 및 제2전원공급부(S2)를 구비한다.
제2전류센싱부는 제2발광부(200)에 흐르는 제2전류를 센싱하는데,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센싱저항(RS2)과 제2오피앰프(OP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제2전류전달부는 제3오피앰프(OP3), 게인조절부(211), 기준전압공급부(217) 및 다이오드(D3)를 포함할 수 있는데,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감성조명장치의 제2전류전달부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게인조절부(211)는 예컨대 저항(213)과 커패시터(215)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인조절부(211)와 제3오피앰프(OP3)를 포함하는 구성을 비교기 또는 전류제어부라 할 수 있다.
제2전류전달부는 조작부에 의해 결정된 제1발광부(100)가 방출할 광량을 고려하여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의 적어도 일부를 제2옵토커플러(OC2)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준전압공급부(217)에 의해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낮은 전압이 게인조절부(211)에 의해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인가되면 제3오피앰프(OP3)의 출력부가 하이(high)가 되어 다이오드(D3)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지만, 기준전압공급부(217)에 의해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전압이 게인조절부(211)에 의해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인가되면 제3오피앰프(OP3)의 출력부가 로우(low)가 되어 다이오드(D3)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후자의 경우, 결국 제2전류전달부는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의 일부를 제2옵토커플러(OC2)에 전달하게 된다.
제2옵토커플러(OC2)는 제2전류전달부가 전달한 전류를 이용해 제2피드백신호를 생성한다. 이 제2옵토커플러(OC2)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데,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 전부가 아닌 일부만을 이용하여 제2옵토커플러(OC2)가 제2피드백신호가 생성할 시, 제2전원공급부(S2)는 제2발광부(200)에 충분한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게 되어 제2발광부(200)에 공급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늘리게 되고, 이는 결국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하는 광량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제2전원공급부(S2)는 예컨대 SMPS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2피드백신호를 고려하여 제2발광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제1발광부(100)가 조작부에 의해 방출 광량이 줄어들게 되면, 조작부에 연동된 게인조절부(211)가 기준전압공급부(217)에 의해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보다 높은 전압을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인가하여, 제2전원공급부(210)가 제2발광부(200)에 충분하지 않은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단하도록 하여 제2발광부(200)에 공급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늘리도록 함으로써,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하는 광량을 증가시켜, 복합발광부(3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색온도의 광이 방출되도록 하되 전체적인 광량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거나 개략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2전원공급부(S2)에도 조작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될 광량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전원공급부(S2)에도 조작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시, 이 조작부는 제1전원공급부(S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조작부와 일체일 수도 있고 개별적인 것일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예시적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준전압공급부(217)에 의해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Vref)은 제1발광부(100)가 100% 발광하는 경우, 즉 제1발광부(100)가 최대 광량을 방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전압이라고 할 수 있고, 게인조절부(211)에 의해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제1발광부(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압이라 할 수 있다.
제1발광부(100)가 아예 꺼진 경우, 게인조절부(211)는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매우 큰값의 전압(제1전압)을 인가해 다이오드(D3)를 통해 빠지는 전류를 크게 하여, 제2전원공급부(S2)가 제2발광부(200)에 매우 작은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단하도록 하여 제2발광부(200)에 공급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늘리도록 함으로써,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하는 광량을 크게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1발광부(100)가 어느 정도 켜진 경우, 게인조절부(211)는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상기 제1전압보다 작은 전압을 인가해, 제1발광부(100)가 켜진 정도, 즉 제1발광부(100)에서의 방출 광량이 증가할수록 제3오피앰프(OP3)의 - 단자에 작은 전압이 입력되도록 하여, 제1발광부(100)에서의 방출 광량이 증가할수록 작은 전류가 다이오드(D3)를 통해 빠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발광부(100)에서의 방출 광량이 증가할수록 제2전원공급부(S2)가 판단하는 제2발광부(200)의 불충분한 전류의 양이 적어지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제1발광부(100)에서의 방출 광량이 증가할수록 제2발광부(100)에서의 방출 광량이 덜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전원공급부(S2)가 판단하는 제2발광부(200)의 불충분한 전류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적절한 광량이 제2발광부(200)에서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게인조절부(211)는 예컨대 저항(213)과 커패시터(215)를 포함하는 R-C 병렬연결 임피던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조명부 110: 제1전원제어부
200: 제2조명부 210: 제2전원제어부
300: 복합조명부 400: 전원제어부

Claims (8)

  1. 제1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1발광부와 제2색온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제2발광부를 포함하는 복합발광부;
    상기 제1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제1전원제어부와 상기 제2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제2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부; 및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전원제어부와 상기 제2전원제어부는, 상기 복합발광부의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줄어들 시 상기 복합발광부의 상기 제2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제1발광부와 상기 제2발광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전원제어부는,
    상기 제2발광부에 흐르는 제2전류를 센싱하는 제2전류센싱부;
    상기 조작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제1발광부가 방출할 광량을 고려하여 상기 제2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2전류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는 제2전류전달부;
    상기 제2전류전달부가 전달한 전류를 이용해 제2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제2옵토커플러; 및
    상기 제2옵토커플러가 생성한 상기 제2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일정하도록 하기 위한 전원을 상기 제2발광부에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류전달부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에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기준전압공급부; 및
    상기 제2전류센싱부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부 사이에 연결되되 상기 제2전류센싱부에서 상기 비교기의 출력부 방향이 순방향이도록 연결된 다이오드;
    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전압공급부에 의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상기 비교기 내에서 생성되면 상기 비교기는 상기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기준전압공급부에 의해 상기 비교기에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상기 비교기 내에서 생성되면 상기 비교기는 상기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감성조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줄어들 시, 상기 제2전원제어부는 상기 복합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량이 일정하도록 상기 제2발광부에 인가하는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는, 감성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제어부는, 상기 제1발광부에 흐르는 제1전류를 센싱하는 제1전류센싱부와, 상기 제1전류센싱부가 센싱한 제1전류를 이용해 제1피드백신호를 생성하는 제1옵토커플러와, 상기 제1옵토커플러가 생성한 상기 제1피드백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발광부가 상기 조작부에 의해 결정된 광량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감성조명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오피앰프와 게인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준전압공급부는 상기 오피앰프의 +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게인조절부는 상기 오피앰프의 -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오피앰프의 출력부가 상기 비교기의 출력부인, 감성조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조절부는 저항과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R-C 병렬연결 임피던스인, 감성조명장치.
KR1020100140052A 2010-12-31 2010-12-31 감성조명장치 KR101207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052A KR101207788B1 (ko) 2010-12-31 2010-12-31 감성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052A KR101207788B1 (ko) 2010-12-31 2010-12-31 감성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919A KR20120077919A (ko) 2012-07-10
KR101207788B1 true KR101207788B1 (ko) 2012-12-04

Family

ID=4671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052A KR101207788B1 (ko) 2010-12-31 2010-12-31 감성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999B1 (ko) 2015-06-24 2022-08-10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광원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769A (ja) * 2003-07-31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KR100940042B1 (ko) * 2009-07-22 2010-02-04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Led 조명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0769A (ja) * 2003-07-31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KR100940042B1 (ko) * 2009-07-22 2010-02-04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Led 조명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919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9642B (zh) 照明装置
JP4116435B2 (ja) Led照明装置システム及びこのled照明装置システムのled光源に電力を供給する方法
EP2670218B1 (e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headlamp
JP5605702B2 (ja) 照明装置
JP6566293B2 (ja) 照明システムおよび照明器具
TW201028046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ple light sources via a single regulator circuit to provide variable color and/or color temperature light
KR20110128921A (ko) 백열 램프 컬러 온도 거동을 갖는 led 조명
KR20130022123A (ko)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을 제어하는 방법
KR100876191B1 (ko) 발광소자의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JP2005129512A5 (ko)
JP4262565B2 (ja) 照明装置
US11259377B2 (en) Color temperature and intensity configurable lighting fixture using de-saturated color LEDs
JP2014176295A (ja) 照明装置
KR101306742B1 (ko)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을 제어하는 방법
JP5454189B2 (ja) 電源回路、及び照明装置
JP2006278304A (ja) Led照明装置
JP2009010099A (ja) 照明装置
US20150296577A1 (en) Ceiling Fan Device with LED Lamp
JP2010176984A (ja) 照明装置
US9924575B2 (en) Dimming circuit for digital control
KR101207788B1 (ko) 감성조명장치
JP2019075369A (ja) 自己調光ledシステム
CN107787605B (zh) Led照明模块
JP7010125B2 (ja) 照明器具
KR20130136284A (ko)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