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224Y1 - 라켓 - Google Patents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224Y1
KR200440224Y1 KR2020070008636U KR20070008636U KR200440224Y1 KR 200440224 Y1 KR200440224 Y1 KR 200440224Y1 KR 2020070008636 U KR2020070008636 U KR 2020070008636U KR 20070008636 U KR20070008636 U KR 20070008636U KR 200440224 Y1 KR200440224 Y1 KR 200440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et
frame
shaft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필조
Original Assignee
신신상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신상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신상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8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2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reinforcing fibres, e.g. carbon, polyamide fibres
    • A63B2209/023Long, oriented fibres, e.g. wound filaments, woven fabrics, m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레임과 샤프트 및 그립으로 형성된 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라켓은 후레임과 샤프트 외주면을 따라 합금와이어가 내장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반복되는 타격과 강한 임팩트에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유지하는 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라켓에 있어서, 후레임과 샤프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코팅층과 다수의 합금와이어가 형성되는 데,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는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와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라켓은 후레임과 샤프트 외주면을 따라 합금와이어가 내장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반복되는 타격과 강한 임팩트에도 파손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고안의 라켓은 반복되는 타격시 일어나는 충격을 후레임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합금와이어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하고 이때 흡수되지 않고 전달되는 충격을 샤프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합금와이어에 의해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격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고 남게 되는 미세한 충격은 그립에서 최종적으로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갖게 함으로써 운동하는 사람의 손목이나 팔의 근육에 전달되는 공의 타격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운동자의 피로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라켓은 합금와이어를 통하여 충격을 완 충함으로서 타격시 부드러운 충격흡수가 가능하므로 종전과 같이 라켓을 이용한 운동시 라켓이 부러지게 되어 라켓을 재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라켓, 후레임, 합금와이어

Description

라켓{Racke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라켓에 관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라켓에 관한 실시예의 주요부(A)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A,A')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라켓 11: 그물망
14: 샤프트 15: 그립
20: 후레임 30: 합금와이어
본 고안은 후레임과 샤프트 및 그립으로 형성된 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켓의 후레임와 샤프트 외주면을 따라 합금와이어가 내장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반복되는 타격과 강한 임팩트에도 파손되지 않는 라켓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배드민턴 운동시 셔틀콕(shuttlecoak)에 타격을 가하는 배드민턴 라켓은 다수개의 줄이 그물망 형식으로 엮어짐으로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함은 물론 그립부분의 길이 또한 길게 형성되어 원거리에 있는 셔틀콕을 무리 없이 타격하는, 즉 다수개의 줄로 형성된 망사부의 탄력에 의해 셔틀콕을 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배드민턴 운동시 라켓을 들고 셔틀콕을 치는 경우 배드민턴 운동의 특성상 스윙폭이 크고 타격되는 셔틀콕 역시 강한 반발력이 필요한 관계로 그립부분이 견고하게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배드민턴 라켓은 일반적으로 그라파이트카본 소재를 재료로 사용하여 성형하고 있으나 이 그라파이트카본은 가벼우면서 탄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드민턴 라켓은 배드민턴 라켓을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는 경우 배드민턴 셔틀콕의 반복된 탄력에 따라 후레임과 그립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 내지는 흡수하지 못하여 강한 임팩트가 순간적으로 주어지면 후레임과 그립등이 쉽게 파손하거나 부러지는 등 단점이 있다. 더구나 배드민턴 셔틀콕의 반복되는 타격시 배드민턴 라켓을 쥐고 있는 그립에 반복된 타격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고 이 충격은 결국 배드민턴 운동자의 손목이나 팔의 근육을 자극하여 피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후레임과 샤프트 외주면을 따라 합금와이어가 내장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반복되는 타격과 강한 임팩트 에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유지하는 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고안의 라켓은 반복되는 타격시 일어나는 충격을 후레임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합금와이어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하고 이때 흡수되지 않고 전달되는 충격을 샤프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합금와이어에 의해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격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고 남게 되는 미세한 충격은 그립에서 최종적으로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갖게 함으로써 운동하는 사람의 손목이나 팔의 근육에 전달되는 공의 타격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운동자의 피로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라켓을 채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라켓에 있어서, 후레임과 샤프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코팅층과 다수의 합금와이어가 형성되는 데,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는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와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라켓에 있어서 상기 합금와이어는 티탄합금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라켓에 있어서, 후레임과 샤프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코팅층과 다수의 합금와이어가 형성되는 데,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는 상기 코팅 층의 내부에 상기 후레임과 샤프트의 외주면을 나선모양으로 권취하도록 부착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와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라켓에 관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라켓에 관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라켓(10)에 관한 실시예는 후레임(12), 샤프트(14) 및 그립(15)을 기본으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라켓(10)은 상기 라켓(10)을 스윙하는 경우 공기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중앙에 그물망(11)이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후레임(12)이 형성되고, 상기 후레임(12)과 상기 샤프트(14)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코팅층(20)과 다수의 합금와이어(30)가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20)은 부착하는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30)를 내장한다.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30)는 후레임(12)과 상기 샤프트(14)의 외주면 둘레에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라켓(10)은 상기 코팅층(20)과 다수의 합금와이어(30)을 사용함으로써 셔틀콕의 반복되는 타격과 강한 임팩트에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유지하고, 셔틀콕의 순간 임팩트에 의한 충격을 후레임(12)과 샤프트(14)에 분산시 키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라켓에 관한 실시예의 주요부(A)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의 주요부(A)는 코팅층(20)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외주면 둘레에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30)가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다.
또 주요부(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라켓은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30)가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고 또다시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30)와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전부 상기 코팅층(30)가 코팅층을 형성하여 이중으로 고정한 구조이므로, 셔틀콕의 반복되는 타격과 강한 임팩트에 의한 충격에도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30)가 후레임(12)과 샤프트(14)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내구성을 유지하며 충격을 흡수 내지 완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라켓에서 셔틀콕의 순간 임팩트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상기 합금와이어(30)는 고강도의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며 티탄(titanium)을 주체로 합금된 티탄합금(titanium alloys)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금와이어(30)는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의 외주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나란히 벌여서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된다.
상기 합금와이어(30)는 또한 배드민턴의 그물망(11)과 셔틀콕의 순간 임팩트에 있어서 상기 순간 임팩트가 후레임(12)과 샤프트(14) 각각에 비하여 순간 임팩 트를 비교적 크게 받는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의 연결부(13)에 일체로 부착하여 상기 연결부(3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킨다. 이는 상기 연결부(13)는 합금와이어(30)가 샤프트(14)를 따라 단절됨이 없이 연장, 즉 상기 샤프트(14)와 연결부(15) 양측에 걸쳐 연장하여서 상기 코팅층(30)과 함께 순간 임팩트를 분산하는데 유리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라켓에서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30)로 하여금 셔틀콕의 순간 임팩트에 의한 충격을 1차적으로 후레임(12)과 샤프트(14)에 분산시키고 2차적으로 그립(15)으로 분산시킨다.
또 상기 합금와이어(30)는 상기 후레임(12)과 상기 샤프트(14)의 외주면을 따라 끊어짐이 없이 평행하게 부착한다(도 1 참조).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는 상기 코팅층(20)의 내부에 상기 샤프트(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나선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도시 안됨). 즉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는 상기 코팅층의 내부에 상기 후레임과 샤프트의 외주면을 나선모양으로 권취(winding)하도록 부착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와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라켓에서 상기 나선모양(screw shaped)이란 상기 합금와이어(30)가 상기 후레임(12)과 상기 샤프트(14)의 둘레에 나선식으로 감기면서 형성하는 모양을 의미한다.
또 상기 합금와이어(30)는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 또는 그립(15)중에서 단지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후레임(12)과 샤 프트(14) 및 그립(15)의 어느 하나에 부착가능한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라켓에 관한 실시예에서 상기 합금와이어(30)는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됨으로서 상기 후레임(12)과 샤프트(14)의 반복된 충격을 완충하고 강한 셔틀콕의 순간 임팩트에도 파손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A,A')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후레임(12) 및 상기 샤프트(14)의 외주면에는 합금와이어(30)가 코팅층(20)의 내부에 포함된 것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상기 합금와이어(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강도의 낮은 탄성계수를 가지며 티탄(titanium)을 주체로 합금된 티탄합금이 바람직하지만, 고탄소강 등의 합금 등으로 와이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티탄합금 또는 고탄소강은 후레임(12) 및 상기 샤프트(14)의 외주면 둘레에 부착하는 다수개의 합금와이어(30)로 하여금 라켓(10)과 셔틀콕이 타격되어 충격을 가하는 경우 공에 타격에 대한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컨대 본 고안은 배드민턴 라켓에만 국한되지 않고 베드민턴이외에 테니스에 사용하는 라켓, 또는 탁구라켓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도록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라켓에 의하면, 라켓의 후레임과 샤프트 외주면을 따라 합금와이어가 내장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반복되는 타격과 강한 임팩트에도 파손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고안의 라켓은 반복되는 타격시 일어나는 충격을 후레임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합금와이어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하고 이때 흡수되지 않고 전달되는 충격을 샤프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합금와이어에 의해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격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고 남게 되는 미세한 충격은 그립에서 최종적으로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갖게 함으로써 운동하는 사람의 손목이나 팔의 근육에 전달되는 공의 타격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운동자의 피로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라켓은 합금와이어를 통하여 충격을 완충함으로서 타격시 부드러운 충격흡수가 가능하므로 종전과 같이 라켓을 이용한 운동시 라켓이 부러지게 되어 라켓을 재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라켓에 있어서,
    후레임과 샤프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코팅층과 다수의 합금와이어가 형성되는 데,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는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부착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와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금와이어는 티탄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
  3. 라켓에 있어서,
    후레임과 샤프트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코팅층과 다수의 합금와이어가 형성되는 데,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는 상기 코팅층의 내부에 상기 후레임과 샤프트의 외주면을 나선모양으로 권취하도록 부착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다수의 합금와이어와 상기 후레임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
KR2020070008636U 2007-05-25 2007-05-25 라켓 KR200440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36U KR200440224Y1 (ko) 2007-05-25 2007-05-25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636U KR200440224Y1 (ko) 2007-05-25 2007-05-25 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224Y1 true KR200440224Y1 (ko) 2008-05-30

Family

ID=4163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636U KR200440224Y1 (ko) 2007-05-25 2007-05-25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2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447B2 (en) Strike Trainer
JP3826313B2 (ja) グリップエンド底部加重用錘及びグリップエンド底部加重構造
US7651419B2 (en) Handle providing shock absorption
JP2008029620A (ja) 野球用又はソフトボール用バット
WO2005070068A3 (en) Extended-use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KR200440224Y1 (ko) 라켓
JP2853926B2 (ja) 衝撃振動吸収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スポーツ用具のグリップエンド、工具のグリップエンドならびに二輪車のグリップエンド
US20150335960A1 (en) Tennis racket having an optimized striking area
JP4284356B2 (ja) ラケット
US20080102995A1 (en) Racket
CN206391482U (zh) 一种网球拍框体及网球拍
JP3742905B2 (ja) ラケットフレーム
US8608596B1 (en) Racket with a movable throat
KR101132068B1 (ko) 연습용 골프 클럽
KR101285956B1 (ko) 연습용 골프채
JP2001252376A (ja) ラケット
JP3106787U (ja) ゴルフクラブグリップ部の構造
CN113332687A (zh) 可增加击球力道及减震效果的球拍结构
KR200170831Y1 (ko) 다양한 종류의 공을 타격할 수 있는 만능라켓
KR200442367Y1 (ko) 라켓
JP4049631B2 (ja) ラケットフレーム
US20200276484A1 (en) Baseball or softball bat with adjustable sound generator
JPH0420357A (ja) スポーツ用打球具
JP5703438B2 (ja) 素振り練習器
KR200453513Y1 (ko) 테니스 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