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367Y1 - 라켓 - Google Patents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367Y1
KR200442367Y1 KR2020070008723U KR20070008723U KR200442367Y1 KR 200442367 Y1 KR200442367 Y1 KR 200442367Y1 KR 2020070008723 U KR2020070008723 U KR 2020070008723U KR 20070008723 U KR20070008723 U KR 20070008723U KR 200442367 Y1 KR200442367 Y1 KR 200442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triking portion
frame
racket
ball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785U (ko
Inventor
치아-유안 창
펭-흐시앙 창
Original Assignee
치아-유안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아-유안 창 filed Critical 치아-유안 창
Priority to KR2020070008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36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7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3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2Strings; String substitutes; Products applied on strings, e.g. for protection against humidity or we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02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using strings with different cross-sections on the same frame, e.g. with different thick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라켓(5)은, 손잡이(7), 손잡이(7)에 연결되어 있으며 손잡이(7)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종축(X)을 갖는 프레임(6), 및 프레임(6)에 지지되는 스트링 웨브(stringed web)(8)를 포함한다. 프레임(6)은 종방향 축(X)을 따라 서로 반대쪽에 2개의 단부(61, 62)를 갖는다. 스트링 웨브(8)는 종축(X)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트링(81) 및 종축(X)과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며 종방향 스트링(81)과 교차하여 복수의 그물망(80)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방향 스트링(82)에 의해 형성된다. 종방향 스트링(81) 및 횡방향 스트링(82)은 또한 스트링 웨브(8)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주 볼 타격부(primary ball-striking portion)(A)를 형성하고 주 볼 타격부 주위로 연장되는 부 볼 타격부(secondary ball-striking portion)(B)를 형성한다. 주 볼 타격부(A)에 위치한 그물망(80)은 프레임(6)의 양 단부(61, 62) 중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라켓, 스트링 웨브, 손잡이, 그물망, 스트링 간격, 볼, 타격, 프레임

Description

라켓 {RACKET}
도 1은 종래의 라켓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라켓의 스트링 웨브의 그물망 디자인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라켓의 스트링 웨브의 그물망 디자인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구기용 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볼 타격(ball-striking) 효과를 만들고 다양한 경기력 및 강도를 사용자 또는 경기자에게 맞추도록 상이한 강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손잡이와 조합될 수 있는 스트링 웨브(stringed web)를 가지는 구기용 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기용 라켓(1)을 나타내는 것으로, 손잡이(3), 및 손잡이(3)에 연결되며 라켓(1)의 타격면을 형성하는 스트링 웨브(4)를 지지하는 프레임(2)을 가지는 라켓 헤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것으로,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라켓 헤드를 가지는 배드민턴 라켓을 예로 들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셔틀콕(shuttlecock)을 일반적으로 "볼(ball)"이라고 하기로 한다.
프레임(2)은 손잡이(3)에 연결되는 하단부(21) 및 손잡이(3) 반대쪽의 상단부(22)를 갖는다. 종축(X)은 하단부(21)로부터 상단부(22)로 연장된다.
손잡이(3)는 프레임(2)에 연결되는 샤프트부(32) 및 샤프트부(32)에 연결되는 그립부(31)를 포함한다. 샤프트부(32)는 일반적으로 합금(티타늄 합금 및 알루미늄 합금 등) 또는 복합소재(카본파이버 등)로 만들어진다.
스트링 웨브(4)는, 종축(X)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트링(41), 및 종축(X)과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스트링(41)과 교차하여 복수의 그물망(40)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방향 스트링(42)에 의해 형성된다. 종방향 스트링(41) 및 횡방향 스트링(42)은 또한, 웨브(4)의 실질적인 중앙 영역에 주 볼 타격부(C)를 형성하고, 주 볼 타격부(C)의 외주로부터 프레임(2) 쪽으로 연장되는 부 볼 타격부(D)를 형성한다. 이 부 볼 타격부(D)는, 주 볼 타격부(C)로부터 프레임(2)의 상단부(22)로 연장되는 상부 섹션(D2), 및 주 볼 타격부(C)로부터 프레임(2)의 하단부(21)로 연장되는 하부 섹션(D1)을 갖는다. 주 볼 타격부(C) 내에 위치되며 종방향 스트링(41) 및 횡방향 스트링(42)에 의해 형성되는 그물망(4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주 볼 타격부(C) 외측의 하부 섹션(D1)에 위치되는 횡방향 스트링(42)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거리는 프레임(2)의 하단부(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마찬가지로, 주 볼 타격부(C) 외측의 상부 섹션(D2)에 위치되는 횡방향 스트링(42)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거리는 프레임(2)의 상단부(22)를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즉, 주 볼 타격부(C) 외측에 위치되는 그물망(40)은 주 볼 타격부(C) 둘레로부터 프레임(2)의 하단부(21) 및 상단부(22)를 향하는 방향으로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라켓(1)을 이러한 설계로 함으로써, 웨브(4)의 모든 스트링이 프레임(2) 상에서 균등하게 장력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횡방향 스트링이 보다 근접하게 이격되고 따라서 그물망의 크기가 보다 작은 주 볼 타격부(C)에는 보다 튼튼한 볼 타격면이 제공되고 따라서 볼의 반발 속도가 보다 커진다. "스위트 스폿(sweet spot)"이라고 하는, 라켓(1)의 최적의 볼 타격 영역은 주로 주 복 타격부(C)의 중앙이 된다. 볼의 임팩트가 주 볼 타격부(C)의 중앙에서 이루어지면, 탁월한 타격력이 형성되어 강력한 볼 타격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볼을 타격하기 위해 동일한 힘이 인가될 때, 힘의 암(arm)이 클수록 커다란 토크가 형성된다. 그립부(31)로부터 상부 섹션(D2)까지의 거리가 주 볼 타격부(C)까지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볼이 상부 섹션(D2)을 타격하는 경우, 볼의 반발력이 크고 볼의 비속(flying speed)이 크다. 반대로, 그립부(31)로부터 하부 섹션(D1)까지의 거리가 주 볼 타격부(C)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볼이 하부 섹션(D1)을 타격하는 경우, 볼의 반발력 및 비속이 감소된다.
그러나, 라켓의 설계에 있어서, 평범한 기량 및 보통의 힘을 가지는 경기자는, 스위트 스폿인, 주 볼 타격부(C)의 중심에 볼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일반적으로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타격이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고, 강력한 볼 타 격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스트링 웨브(4)의 타격면의 강성이 주 볼 타격부(C)의 상부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상부 영역에서 발생되는 볼 반발력도 따라서 감소한다. 이것은 양호한 기량 및 힘을 가진 경기자가 주 볼 타격부(C)의, 힘의 암이 보다 긴, 상부 영역으로 볼을 타격하여 보다 강력한 볼 타격 효과를 얻으려고 하는 경우에도 볼 타격 효과를 제한하게 된다.
또한, 기량 및 힘이 평범한 경기자에게는, 라켓(1)이 보다 가요성이 양호하고 강성이 적은 샤프트부(32)를 가지는 경우, 라켓을 스윙하는 것이 보다 편안하고 용이하지만, 볼이 라켓의 스위트 스폿에 타격되지 않으면 탁월한 볼 타격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기량 및 힘이 양호한 경기자에게는, 라켓(1)이 가요성이 덜하고 강성이 큰 샤프트부(32)를 가지는 경우, 라켓(1)의 스윙 속도를 크게 할 수 있지만, 볼 발발 속도 및 타격력은 여전히 전술한 것과 같이 다소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라켓의 설계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샤프트부(32)가 가요성이 보다 크고 강성이 보다 크게 만들어진다고 해도, 기량 및 힘이 상이한 여러 경기자의 요구를 여전히 만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상이한 기량 및 힘을 가지는 경기자에게 알맞도록 상이한 강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샤프트부와 조합되었을 때 다양한 볼 타격 효과를 낼 수 있는 스트링 웨브를 구비하는 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켓은,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손잡이와 정렬되는 종축을 가지며 상기 종축을 따라 서로 반대쪽에 2개의 단부를 가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종축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트링과 상기 종축과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며 상기 종방향 스트링과 교차하여 복수의 그물망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방향 스트링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링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스트링 및 상기 횡방향 스트링은 또한 상기 스트링 웨브의 실질적인 중앙부에 주 볼 타격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 볼 타격부 주위로 연장되는 부 볼 타격부를 형성하며, 상기 주 볼 타격부에 위치한 그물망은 상기 프레임의 양 단부 중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이렇게 설계함으로써, 그물망이 프레임의 양 단부 중 손잡이와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손잡이 반대쪽의 단부로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면, 볼을 최적으로 타격하기 위한 스위트 스폿이 주 볼 타격부의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평범한 기량 및 힘을 가진 경기자가 주 볼 타격부의 의도한 타격 지점에 볼을 맞추지 못한 경우에도 이상적인 볼 타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라켓이 강성이 작고 가요성이 큰 샤프트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볼을 타격하기 위해 라켓을 스윙할 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어서, 운동이 보다 즐거워질 수 있다.
프레임의 양 단부 중 손잡이 반대쪽 단부로부터 손잡이와 연결되는 다른 쪽 단부를 향해 그물망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 주 볼 타격부의 상부 섹션의 강성이 향상되고 볼에 대하여 커다란 타격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양호한 기량 및 힘을 가진 경기자가 공격을 하는 경우, 공격자는 볼을 타격할 때 힘의 암을 길게 하여 보다 큰 파워가 발생되도록 주 볼 타격 영역의 상부 섹션에 볼을 맞출 필요가 있는지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볼을 타격할 때 강성이 보다 크고 가요성이 보다 작은 샤프트부로 만들어진 라켓에 의해 보다 큰 파워가 형성되면 볼의 반발 속도가 보다 커진다.
따라서, 스트링 웨브의 이러한 설계 및 샤프트부의 다양한 강성 또는 가요성에 의해, 상이한 기량 및 힘을 가진 여러 경기자에게 알맞도록 다양한 볼 타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켓(5)을 나타낸다. 라켓(5)은, 손잡이(7), 손잡이(7)로부터 연장되는 프레임(6), 및 프레임(6)에 지지되는 스트링 웨브(8)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배드민턴 라켓을 예로 들고 있지만, 본 고안은 이것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테니스 라켓, 스쿼시 라켓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라켓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고안의 개념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6)은 손잡이(7)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종축(X), 및 종축(X)을 따라 서로 반대쪽에 2개의 단부(61, 62)를 가지며, 일 단부(61)는 손잡 이(7)에 연결되고 타 단부(62)는 손잡이(7)와 대면한다.
손잡이(7)는 프레임(2)의 단부(61)에 연결되는 샤프트부(72) 및 샤프트부(72)에 연결되는 그립부(71)를 포함한다.
스트링 웨브(8)는, 종축(X)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트링(81)과 종축(X)과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며 종방향 스트링(81)과 교차하여 복수의 그물망(80)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방향 스트링(82)에 의해 형성된다. 종방향 스트링(81) 및 횡방향 스트링(82)은 또한, 주 볼 타격부(A)(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및 주 볼 타격부(A)의 외측에 위치되는 스트링 웨브(8)의 나머지 부분인 부 볼 타격부(B)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종방향 스트링(81) 및 횡방향 스트링(82)에 의해 형성되며 주 볼 타격부(A)에 위치되는 그물망(80)은 프레임(6)의 단부(61)로부터 다른 단부(62) 쪽 방향으로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이것은, 주 볼 타격부(A)에 위치되는 횡방향 스트링(82)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거리가 프레임(6)의 단부(61)로부터 다른 단부(62) 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되고/또는 주 볼 타격부(A)에 위치되는 종방향 스트링(81)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거리가 프레임(6)의 단부(61)로부터 다른 단부(62) 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물망(80)의 크기가 프레임(6)의 단부(61)로부터 다른 단부(62) 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스트링 웨브(80)의 강성 및 이에 따른 볼의 반발력은 반대로 이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힘으로 라켓을 스윙할 때, 힘의 암이 커지면 발생되는 토크가 커진다. 즉, 그립 부(71)로부터 볼이 타격되는 지점까지의 거리가 커지면, 볼에 가해지는 타격력이 커진다. 따라서, 볼을 타격할 때 형성되는 토크는 프레임(6)의 단부(61)로부터 다른 단부(62) 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다시 말하자면, 스트링 웨브(8)의 그물망 크기가 커지면, 볼에 대한 반발력이 작아지고, 그 반대이며, 그립부(71)에 대한 타격 지점의 거리가 커지면 볼에 대한 타격력이 커지고, 그 반대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라켓(5) 설계에 의해, 주 볼 타격부(A)의 상부 영역에서의 볼에 대한 타격력의 증가는 그물망 크기의 감소로 인한 반발력의 감소를 보상할 수 있어서, 스위트 스폿이 주 볼 타격부(A)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볼이 주 볼 타격부(A)의 어느 지점에 맞더라도, 볼에 대한 타격력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평범한 기량 및 힘을 가진 경기자가 볼을 주 볼 타격부(A)의 의도한 타격 지점에 맞추지 못한 경우에도, 볼을 타격하기 위해 주 볼 타격부(A) 전체에 의해 발생되는 힘이 균일해지기 때문에, 강력하고 이상적인 볼 타격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라켓(5)이 강성이 보다 작고 가요성이 보다 큰 샤프트부(72)로 만들어지는 경우,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의 라켓(5) 스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라켓(5)은 평범한 기량 및 힘을 가진 경기자에게 적합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켓(5)을 나타낸다. 라켓(5)은 마찬가지로, 손잡이(7), 손잡이(7)에 연결되는 프레임(6), 및 프레임(6)에 지지되는 스트링 웨브(8)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 지로 배드민턴 라켓을 예로 들고 있다. 본 고안에 기재된 구조적인 설계는 테니스 라켓, 스쿼시 라켓 등의 제조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기재된 배드민턴 라켓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주 볼 타격부(A)에 위치되고 종방향 스트링(81)과 횡방향 스트링(82)에 의해 이루어지는 그물망(80)이 프레임(6)의 손잡이(7) 반대쪽 단부(62)로부터 손잡이(7)에 연결된 단부(61) 쪽 방향으로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스트링 웨브(8)의 주 볼 타격부(A)에 위치되는 횡방향 스트링(82)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거리는 프레임(6)의 단부(62)로부터 다른 단부(61) 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스트링 웨브(8)의 주 볼 타격부(A)에 위치되는 종방향 스트링(81) 중 인접하는 2개 사이의 거리 또한 프레임(6)의 단부(62)로부터 다른 단부(61) 쪽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라켓(5)의 이러한 설계에 의해, 스트링 웨브(8)의 가장 큰 토크를 발생하는 가장 강한 부분은 주 볼 타격부(A)의 상부 섹션(프레임(6)의 상단부(62)에 보다 근접한 영역)에 집중된다. 프레임(6)의 단부(62)로부터 다른 단부(61) 쪽 방향으로 그물망(80)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스트링 웨브(8)의 강성은 이 방향으로 반대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라켓(5)을 동일한 힘으로 스윙할 때, 힘의 암이 커지면 형성되는 토크도 커지고, 볼 타격 시에 발생되는 토크는 프레임(6)의 다른 단부(61)로부터 단부(62) 쪽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주 볼 타격부(A)의 상부 섹션에서는, 스트링 웨브(8)의 강성 및 그에 따른 토크가 증가되기 때문에, 볼에 대하여 매우 커다란 타격력이 발생될 수 있다.
양호한 기량 및 힘을 가진 경기자가 볼을 강력하게 타격하는 경우, 경기자는 강력한 볼 타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주 볼 타격부(A)의 상부 섹션에 볼을 맞추는 선택을 하게 된다. 또한, 라켓(5)은 강성이 보다 크고 가요성이 보다 작은 샤프트부(72)를 구비하여 만들어질 수 있어서, 볼에 대한 강력한 타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라켓(5)의 파워 및 볼 반발 속도를 상당히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강력한 볼 타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라켓(5)은 양호한 기량 및 힘을 가진 경기자에게 보다 적합하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시 및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상기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라켓(5)은 상이한 경도 및 강성을 가지는 샤프트부(72)의 제공에 의해 상이한 기량 및 힘을 가진 경기자에게 적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경기자는 볼에 대하여 상이한 충격력을 발생시키도록 볼을 타격하기 위해 주 볼 타격부(A) 상의 적절한 볼 타격 지점을 선택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8)

  1. 손잡이(7);
    상기 손잡이(7)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7)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종축(X)을 갖고, 상기 종축(X)을 따라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2개의 단부(61, 62)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단부(61, 62) 중 일 단부(61)가 상기 손잡이(7)에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6); 및
    상기 프레임(6)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단부(61, 62) 중 일 단부(61)로부터 타 단부(62)로 연장된 복수의 종방향 스트링(81) 및 상기 종방향 스트링(81)과 교차하여 복수의 그물망(80)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방향 스트링(82)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링 웨브(stringed web)(8)
    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스트링(81) 및 상기 횡방향 스트링(82)은 또한 상기 스트링 웨브(8)의 중앙부에 주 볼 타격부(primary ball-striking portion)(A)를 형성하고 상기 주 볼 타격부 주위로 연장되는 부 볼 타격부(secondary ball-striking portion)(B)를 형성하며,
    상기 주 볼 타격부(A)에 위치한 그물망(80)은 상기 프레임(6)의 양 단부(61, 62)의 상기 타 단부(62)로부터 상기 일 단부(61)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주 볼 타격부(A)가 하부 섹션보다 상부 섹션에서 보다 큰 강성 및 장력을 갖도록 상기 주 볼 타격부(A)에서 상호 인접하는 2개의 횡방향 스트링(82)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방향으로만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볼 타격부(A)의 상기 종방향 스트링(81) 중 인접하는 2개의 스트링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방향으로만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라켓.
  8. 손잡이(7);
    상단부(62) 및 하단부(61)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부가 상기 손잡이(7)에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6); 및
    상기 프레임(6)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스트링(81) 및 상기 종방향 스트링(81)과 교차하여 복수의 그물망(80)을 형성하는 복수의 횡방향 스트링(82)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링 웨브(stringed web)(8)
    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스트링(81) 및 상기 횡방향 스트링(82)은 또한 상기 스트링 웨브(8)의 중앙부에 주 볼 타격부(primary ball-striking portion)(A)를 형성하고 상기 주 볼 타격부 주위로 연장되는 부 볼 타격부(secondary ball-striking portion)(B)를 형성하며,
    상기 주 볼 타격부(A)에 위치한 그물망(80)은 상기 상단부(62)로부터 상기 하단부(61)로의 하방으로만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주 볼 타격부(A)에서 상기 횡방향 스트링(82)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방으로만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주 볼 타격부(A)에서 상기 종방향 스트링(81)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하방으로만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용 라켓.
KR2020070008723U 2006-10-25 2007-05-28 라켓 KR200442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723U KR200442367Y1 (ko) 2006-10-25 2007-05-28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39333 2006-10-25
KR2020070008723U KR200442367Y1 (ko) 2006-10-25 2007-05-28 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85U KR20080000785U (ko) 2008-04-30
KR200442367Y1 true KR200442367Y1 (ko) 2008-11-05

Family

ID=4132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723U KR200442367Y1 (ko) 2006-10-25 2007-05-28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3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85U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051B1 (ko) 긴테니스라켓
US7553246B2 (en) Racket
US7976415B2 (en) Racket with versatile handle
US7806789B2 (en) Sports racket
US4802678A (en) Sports racket
JPS63164967A (ja) スポ−ツラケツト
US5277422A (en) Games racket frame
US20080102995A1 (en) Racket
KR200442367Y1 (ko) 라켓
US20120322590A1 (en) Ball-striking implement
JP6525745B2 (ja) ラケット
US20080254921A1 (en) Racket frame
WO1991013657A1 (en) Multi-frame racket
US4655449A (en) Racket having a grip member spaced from the handle
EP1060767A2 (en) Improved games racket
JP4511675B2 (ja) ラケット
KR102225915B1 (ko) 배드민턴 라켓
JP3738276B2 (ja) テニスラケットフレーム
JP3152862U (ja) バドミントン用ラケット
JP3201966U (ja) ラケット
JP3508910B2 (ja) ラケットフレーム
JP3016909U (ja) 凹凸形ラケット
CN209790781U (zh) 一种改进型抗扭球拍
US20130172133A1 (en) Tennis racquet "triple-axis-symmetry"
CN202860037U (zh) 运动球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