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513Y1 - 테니스 라켓 - Google Patents

테니스 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513Y1
KR200453513Y1 KR2020100009131U KR20100009131U KR200453513Y1 KR 200453513 Y1 KR200453513 Y1 KR 200453513Y1 KR 2020100009131 U KR2020100009131 U KR 2020100009131U KR 20100009131 U KR20100009131 U KR 20100009131U KR 200453513 Y1 KR200453513 Y1 KR 200453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orce
impact
handle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361U (ko
Inventor
김한나
Original Assignee
김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나 filed Critical 김한나
Priority to KR2020100009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1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3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3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9/00Stringed rackets, e.g. for tennis
    • A63B49/02Frames
    • A63B49/03Frames characterised by throat sections, i.e. sections or element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을 타격하는 임팩트 과정에서 운동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은 최소화시키고 공에 대한 타격력은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으로, 타원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줄이 연결된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타격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되며, 외부의 힘에 대하여 탄성력이 작용하여 타격시 상기 손잡이부로 전달되는 충격은 분산시키고, 상기 타격부는 타격반발력을 증가시키는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타격시 손잡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 테니스 게임을 하더라도 테니스 엘보우 현상을 유발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격부는 탄성력에 의한 타격이 가능하므로 타격력을 크게 증폭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니스 라켓{Tennis racket}
본 고안은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을 타격하는 임팩트 과정에서 운동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은 최소화시키고 공에 대한 타격력은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테니스 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니스는 배드민턴과 더불어 일반 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대중 스포츠로써, 그 동호인 수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니스 운동에 사용하는 테니스 라켓(1)은, 크게 타격부(10)와, 상기 타격부(10)에 연결되는 손잡이부(20)로 구성되며, 상기 타격부(10)에는 테니스 공을 타격하기 위한 줄(11)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부(20)는 운동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움켜쥘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의 외주연에는 띠 형태의 미끄럼 방지부재(21)가 권취된다.
한편, 테니스 게임은 운동자의 올바른 타격 습관 및 스윙 자세를 비롯한 많은 연습과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강력한 임팩트 스윙이 가능하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테니스 라켓(1)을 사용하는 일반인의 경우에는 많은 연습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타격력은 쉽게 향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타격시 발생되는 엘보우(사용자의 팔꿈치에 발생하는 통증)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안의 목적은 타격시 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엘보우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켓의 탄성력을 통해 공에 대한 타격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테니스 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테니스 라켓은 타원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줄이 연결된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타격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되며, 외부의 힘에 대하여 탄성력이 작용하여 타격시 상기 손잡이부로 전달되는 충격은 분산시키고, 상기 타격부는 타격반발력을 증가시키는 탄성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탄성부의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부와의 결합 및 탄성조정을 위한 조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조정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정부재의 외주면과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의 표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정도에 따라 탄성력의 강도를 인지할 수 있는 탄성력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이물질에 의해 그 표면이 손상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타격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에 의해 타격시 손잡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 테니스 게임을 하더라도 테니스 엘보우 현상을 유발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타격부는 탄성력에 의한 타격이 가능하므로 타격력을 크게 증폭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테니스 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니스 라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니스 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니스 라켓(1000)은 크게, 타격부(100)와, 손잡이부(200)와, 상기 타격부(100)와 손잡이부(20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타격부(100)는 대략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101)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줄(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폴리우레탄과 같이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 다른 소재가 채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110)과 후술할 손잡이부(200)는 속이 빈 공간부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니스 라켓(1000) 전체 무게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타격부(100)의 아래쪽 방향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으로, 운동자가 한손은 용이하게 움켜쥘 수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부(200)는 후술할 탄성부(3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타격부(100)의 프레임(11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의 외주연에는 운동자의 손이 쉽게 미끄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재(210)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0)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손잡이부(200)에 감기거나 끼워서 결합시키는 구조로 제작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외주연에 다수개의 돌기들이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300)는 일단이 상기 타격부(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공의 충격력을 흡수하는 한편 공에 탄력적인 타격을 작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300)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무 등과 같이 탄성적인 성질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300)는 테니스 공을 타격할 시,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손잡이부(200)로 전달되는 충격은 분산시키고 상기 타격부(100)에 대해서는 타격 반발력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테니스 게임 도중 상대방 타격에 의해 날아오는 테니스 공을 타격할 경우, 그 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은 상기 타격부(100), 탄성부(300) 및 손잡이부(2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운동자의 팔에 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300)는 타격부(100)와 손잡이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므로, 날아오는 테니스 공의 강도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휘어짐으로써 상기 손잡이부(2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크게 감소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공에 대한 타격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 휘어진 탄성부(30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려는 복원력과 운동자의 스윙력이 더해져 타격력을 크게 증폭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운동자는 종래의 테니스 라켓 보다 강력한 임팩트 스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300)는 재질이나 단면 두께 등에 따라 작용하는 탄성력이 달라지게되므로, 운동자의 신체조건(남,여,노,소)을 감안한 다양한 재질이나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300)는 이물질에 의해 그 표면이 쉽게 손상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처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300)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 및 탄성력 조정을 위한 조정부재(310)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에는 상기 조정부재(310)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수용홈(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부재(310)의 외주면과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가 형성된다.
이는, 운동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손잡이부(200)로부터 노출되는 탄성부(30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탄성부(300)의 표면에는 상기 손잡이부(200)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정도에 따라 탄성력의 강도를 운동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 표시부(320)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니스 라켓(1000)은 탄성부(300)에 의해 타격시 손잡이부(2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타격부(100)는 탄성력에 의한 타격이 가능하여 타격력을 크게 증폭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테니스 라켓(1000)은 초보자, 어린이, 노약자 등이 흥미를 가지고 테니스 운동을 즐길수 있는 보조 운동기구로써 적합한 것이다.
100 : 타격부
200 : 손잡이부
300 : 탄성부

Claims (5)

  1. 타원형 프레임의 내부 공간부에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줄이 연결된 타격부,
    상기 타격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타격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되며, 외부의 힘에 대하여 탄성력이 작용하여 타격시 상기 손잡이부로 전달되는 충격은 분산시키고, 상기 타격부는 타격반발력을 증가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부와의 결합 및 탄성조정을 위한 조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조정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재의 외주면과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표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정도에 따라 탄성력의 강도를 인지할 수 있는 탄성력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이물질에 의해 그 표면이 손상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코팅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라켓.
KR2020100009131U 2009-08-31 2010-08-31 테니스 라켓 KR200453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31U KR200453513Y1 (ko) 2009-08-31 2010-08-31 테니스 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394 2009-08-31
KR2020100009131U KR200453513Y1 (ko) 2009-08-31 2010-08-31 테니스 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61U KR20110002361U (ko) 2011-03-08
KR200453513Y1 true KR200453513Y1 (ko) 2011-05-13

Family

ID=4420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131U KR200453513Y1 (ko) 2009-08-31 2010-08-31 테니스 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1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108A (ja) * 2000-04-14 2001-10-23 Naohide Tomita 練習用柔軟ラケット
KR100697825B1 (ko) * 2005-01-18 2007-03-22 박영신 공치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108A (ja) * 2000-04-14 2001-10-23 Naohide Tomita 練習用柔軟ラケット
KR100697825B1 (ko) * 2005-01-18 2007-03-22 박영신 공치기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361U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169B2 (en) Ball
US6575854B1 (en) Automatic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n object
US6050908A (en) Training bat
US7052419B2 (en) Ball bat
US5230506A (en) Batting practice device
US9114284B2 (en) Streamer ball
US5728008A (en) Ball striking device with means of imparting enhanced forward momentum to the ball
US20130303297A1 (en) T/P weights 5
US7211010B2 (en) Reinforcing member for a badminton racquet
KR200453513Y1 (ko) 테니스 라켓
US8920260B1 (en) Golf club putter with roller putting head
US20150335960A1 (en) Tennis racket having an optimized striking area
GB2222092A (en) Swing training device
US20070243948A1 (e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sporting equipment
US3709490A (en) Play, sports and training apparatus
JP3134402U (ja) ゴルフ練習用らせん構造ウエイト
US8021209B1 (en) Novelty sports equipment with adjustable impact surface
KR101785988B1 (ko) 테배콕을 이용한 레저스포츠 세트
KR200459059Y1 (ko) 스윙 연습용 배트
KR20110006506U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N210813793U (zh) 一种曲棍球杆手柄
US10799771B2 (en) Racquet flex control device
KR200170831Y1 (ko) 다양한 종류의 공을 타격할 수 있는 만능라켓
KR20100005236U (ko) 연습용 라켓 결합구
KR950010302Y1 (ko) 골프 스윙 연습용 중량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