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068B1 - 연습용 골프 클럽 - Google Patents

연습용 골프 클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068B1
KR101132068B1 KR1020090110269A KR20090110269A KR101132068B1 KR 101132068 B1 KR101132068 B1 KR 101132068B1 KR 1020090110269 A KR1020090110269 A KR 1020090110269A KR 20090110269 A KR20090110269 A KR 20090110269A KR 101132068 B1 KR101132068 B1 KR 10113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ctice
golf club
hitting
sw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650A (ko
Inventor
강문구
강웅석
Original Assignee
강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웅석 filed Critical 강웅석
Priority to KR1020090110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0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8Golf club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obtaining a variable impa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63B2053/0495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moving on impact, slidable, spring or otherwise elastically bias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그립부 그리고,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스윙 연습시 실내 바닥면 등과 부딪히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완충시키기 위해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실내 스윙 연습으로 인하여 실내 환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실내에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제 골프클럽과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회전 특성을 갖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연습을 실시하는 바, 자세 교정의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습용 골프 클럽 {A GOLF CLUB FOR TRAINING}
본 발명은 연습용 골프클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골프 스윙 자세교정과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는 연습용 골프 클럽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골프는 신체 및 정신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되는 스포츠로 인식되면서,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골프는 주로 실외에서 실시되는 스포츠로서 골프 경기를 수행하는 경우 교외의 골프장을 방문하나, 시간 및 금전적인 문제들로 인하여 스윙 및 퍼팅 등의 기본 자세를 연습하는 경우까지 매번 골프장을 방문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이러한 자세 연습은 실내와 같이 개인적인 장소에서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골프클럽은 90~115cm의 길이로 구성되며,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조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스윙 연습을 실시하는 경우 실내의 벽면 및 가구 등에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실내에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연습하는 경우 지면과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골프 클럽이 손상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에도 무리가 가해질 수 밖에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실제 골프클럽의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실내 연습용 골프 클럽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연습용 골프 클럽의 경우 실제 골프클럽에 비해 길이 및 스윙시 회전하는 특성 등이 상이한 바, 이를 이용하여 자세 연습을 반복 실시하는 경우 실제 골프클럽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져 오히려 실제 스윙 자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골프클럽을 사용하는 경우 실제 골프클럽과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회전 특성을 갖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내에서 사용하더라도 벽면 또는 가구 등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수 있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그립부 그리고,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스윙 연습시 실내 바닥면 등과 부딪히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완충시키기 위해 탄성 재질의 충격흡수부를 구비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의 하측은 실내에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소정 두께의 충격 흡수부로 구비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스윙시 지면과 부딪히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한 후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헤드부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충격 흡수부는,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하는 경우 지면과 부딪히는 전방 가운데 부분이 인접한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이때, 상기 충격 흡수부는 금속 재질의 스펀지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는 상기 충격흡수부로 인한 상기 헤드부의 중량 및 무게 중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몸체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충격흡수부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전면은 타격시 골프공과 맞닿는 타격면을 형성하고, 상기 타격면은 스위트 스팟에 인접한 부분과 상기 스위트 스팟으로부터 소정 거리 벗어난 부분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타격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그립부 그리고,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실내에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는 내부에 상기 탄성 재질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몸체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윙 연습시 스탠스 위치 및 타격 지적의 위치가 표시된 연습용 매트 그리고, 상기 매트 위에서 상기 매트를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매트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연습용 골프클럽을 포함하는 골프 연습용 팩키지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습용 매트는 상기 연습용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상기 매트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하는 경우, 상기 연습용 골프클럽이 타격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일시적인 흔적이 발생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실내 스윙 연습으로 인하여 실내 환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나아가 실내에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내 환경의 파손의 위험 부담없이 자신감 있는 스윙이 가능하며, 실제 골프클럽과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회전 특성을 갖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연습을 실시하는 바, 자세 교정의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는 일반적인 아이언에 해당하는 연습용 클럽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10)은 샤프트부(20), 그립부(30) 및 헤드부(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는 실제 골프 클럽의 샤프트와 마찬가지로, 연습용 골프 클럽(10)의 본체를 형성하며, 길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스윙시 사용자의 팔의 회전에 따른 회전 반경을 연장시켜, 빠른 순간속도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재질 또한 일반 골프 클럽의 샤프트와 마찬가지로 합성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그라파이트 또는 스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그립부(30)는 샤프트부(20)의 상단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골프 클럽을 감싸쥐는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일반 골프클럽의 그립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면서, 사용자의 힘을 골프 클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그립부(30)는 섬유 재질 등의 소정의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샤프트부(2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30)의 외면은 소정의 마찰력이 존재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100)는 샤프트부(20)의 하단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스윙에 의해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00)는 골프 클럽의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갖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가속되면서 빠른 속도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헤드부(100)의 형상은 골프 클럽의 용도, 즉 클럽 넘버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골프공을 먼거리까지 타격하는 클럽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헤드부를 구비한 클럽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스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헤드부(100)는 스윙시 골프 클럽 회전 방향의 최외각에서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바, 실내에서 스윙 연습을 진행하는 경우 헤드부(100)가 실내의 바닥 및 천정과 같은 벽면 또는 가구 등과 부딪히면서 손상을 입히고, 큰 소음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이면서 스윙 연습을 반복하는 경우, 바람직한 스윙 궤도에 비해 무의식적으로 상측으로 치우치는 스윙궤도를 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잘못된 궤도로 연습을 반복하는 경우, 스윙 자세가 왜곡되어 실전에서 제대로 공을 맞추지 못하는 헛스윙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와 같이 아이언에 대응되는 연습용 골프 클럽의 경우에는, 필드 상에 위치하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여기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이라 함은, 지면에 높여진 골프공이 스윙시 타격에 의해 소정 거리 비상할 수 있도록, 골프공의 바로 후측의 지면을 슬라이싱 하듯 스윙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다만, 이러한 방식의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 골프 클럽과 지면이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골프 클럽이 망가지거나, 사용자의 신체에 충격을 줄 수 있어, 별도의 완충 매트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러한 자세의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10)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실내 벽면과 부딪히더라도 손상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아니라, 나아가 실내에서도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연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헤드부(100)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헤드부(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 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헤드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는 연결부(110), 몸체(120) 및 충격 흡수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10)는 헤드부(100) 상측에 형성되어 샤프트부(20)의 하단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20)는 전면이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면(121)을 형성하고, 헤드부(100)의 대부분의 중량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부(130)는 헤드부(100)의 몸체 주변에 형성된다. 이때, 충격 흡수부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윙 연습시 상기 헤드부가 실내 벽면 등과 부딪히거나,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충분히 완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충격 흡수부(130)는 골프 클럽의 용도를 고려하여 몸체(120)의 주변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부(130)가 헤드부의 하면을 구성하도록 노출 형성되어 몸체의 하측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 흡수부(130)는 몸체의 하면에 소정 두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스윙시 지면과 직접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나아가, 스윙시 지면과 부딪히는 부분, 즉 헤드부의 타격 방향에 해당하는 전방 가운데의 충격 흡수부는 인접한 충격 흡수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 흡수부(130)의 최대 두께가 헤드의 전체의 높이 중 20% 이상을 차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를 구성하는 경우,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을 하더라도 지면과 부딪히는 충격을 충격 흡수부(1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면과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실내 바닥면 및 사용자의 신체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실내에서도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 연습이 가능한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부(130)의 재질은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고 소음을 방지시킬 수 있 재질을 선택하여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한 크기의 단면을 갖는 금속 섬유가 뭉치를 형성하는 형태의 금속 스펀지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충격 흡수부(130)가 소정의 중량을 갖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바, 일반 골프 클럽에 비해 중량 차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10)은 스윙 연습시 지면과 충돌하더라도, 금속 스펀지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부(1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 후, 충돌이 종료되면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는 바, 실내에서도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금속 스펀지의 변형에 따른 탄성력 및 마찰력에 의해 실제 지면을 타격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금속 스펀지(130)가 직접 실내 벽면과 부딪혀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 스펀지(13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섬유 등의 매끄러운 재질을 이용하여 충격 흡수부(130)의 표면을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충격 흡수부(130)는 헤드부(100)에 설치됨에 있어 상기 몸체와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체 가능한 구성은 종래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장기간 사용으로 충격 흡수부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 이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바, 연습용 골프 클럽의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스펀지 재질을 이용하여 충격흡수부(130)를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합성 고분자 물질, 코르크, 섬유 재질의 스펀지 등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재질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헤드부의 형상이 몸체의 하측에 충격 흡수부가 이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격 흡수부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헤드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상이한 형상의 헤드부를 갖는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경우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실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헤드부(100)가 골프공의 타격을 위해 타격면이 형성되는 몸체(120) 를 구비하였다. 다만, 아이언 클럽에 대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 별도의 골프공 없이 간편하게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가 빈번한 바, 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타격면을 구비하지 않고 헤드부(100) 전체의 표면이 충격 흡수부(130)로 감싸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실시예에 비해 충격 흡수부의 두께를 더욱 두껍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충격이 전달되거나 실내의 벽면 및 가구 등이 손상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부(100) 내측에는 별도의 몸체(12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몸체(120)는 충격 흡수부(130)에 비해 무거운 중량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습용 골프 클럽이 충격 흡수부로 인해 실제 골프 클럽의 중량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보상하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구비되는 몸체를 충격 흡수부가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헤드부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별도의 몸체를 구비하지 않고 충격 흡수부만으로 헤드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골프 클럽 중 아이언을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골프 클럽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다른 종류의 골프 클럽을 이용한 제3, 제4 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아이언을 이용하여 구성하였던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습용 골프 클럽(10)은 샤프트부(20), 그립부(30) 및 헤드부(1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00)는 연결부(110), 몸체(120) 및 충격 흡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헤드부(10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는 도 6의 헤드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헤드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몸체(120) 및 몸체(120)의 주변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충격 흡수부(1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몸체(120)의 하측 또는 측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윙 연습시 실내의 벽면 등과 충돌하면서 충격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드라이버는 골프공을 가장 멀리까지 타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골프 클럽으로서 가장 크게 휘두르는 스윙이 요구되는 바, 스윙 연습시 실제 골 프 클럽과 상이한 회전특성을 갖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 자세가 실제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스윙하는 경우 자세가 오히려 흐트러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윙시 회전특성을 결정하는 골프 클럽의 길이, 중량 및 무게를 최대한 실제 골프 클럽과 가깝게 구성하여, 스윙시 회전 특성이 최대한 유사한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10)은 실제 골프 클럽과 동일한 길이의 샤프트부(20) 및 동일한 길이의 헤드부(100)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헤드부(100)의 길이, 즉 몸체(120)의 높이와 충격 흡수부(130)의 높이를 더한 길이가 실제 골프 클럽의 헤드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경우, 그립부(30)로부터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점까지의 거리를 실제 골프클럽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10)은 실제 골프 클럽과 동일한 중량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00)는 몸체(120)와 충격흡수부(130)로 구성되고, 이때 충격 흡수부(130)는 몸체에 비하여 낮은 비중을 갖도록 형성되는 바 실제 골프 클럽의 헤드에 비해 중량이 적게 나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보정부(122)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부(100)의 중량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정부(122)는 헤드부(100)가 골프공을 타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헤드부(100)의 몸체(120) 후면에 위치하 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보정부(122)의 중량은 상기 충격 흡수부(130)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의 보정부(122)를 부가함으로서 충격 흡수부(130)의 중량을 보상하여, 헤드부(100)의 중량이 실제 골프 클럽의 헤드와 동일하도록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10)의 중량이 보정부(122)를 이용하여 실제 골프 클럽의 중량과 동일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상기 보정부(122)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의 위치가 다르게 구성되어 회전 특성이 상이하게 나 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정부(122)를 구성함에 있어 보정부(122)의 중량뿐 아니라 형상 및 위치를 고려하여 무게 중심의 위치까지 보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정부(122)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별도의 재질을 헤드부 몸체(120)에 추가적으로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헤드부(100)의 몸체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몸체와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부 몸체(120)의 형상을 설계함에 있어 보정부(122)를 반영하여 형상을 설계하여, 일체 성형 방식에 의하여 몸체(120)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부 몸체(120)의 형상은 실제 골프 클럽의 헤드 형상에 비해 후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충격 흡수부(130)에 의한 무게 중심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되는 부분이 몸체(120)의 하측으로 치우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헤드부(100)가 충격 흡수부(130)를 구비하여 실내에서도 안전하게 자세 연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헤드부(100)의 보정부(122)에 의해 실제 골프 클럽과 거의 동일한 회전 특성을 갖는 바 실내 자세 연습의 결과가 실제 골프 클럽을 이용하는 때에도 효과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아이언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구성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10)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샤프트부(20), 그립부(30) 및 헤드부(1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참조).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의 헤드부(100)는 연결부(110), 몸체(120) 및 충격 흡수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충격 흡수부는(1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몸체(120)의 하측 또는 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윙 연습시 실내의 벽면 등과 충돌하면서 충격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0)의 전면에는 골프공을 직접 타격할 수 있는 타격면(12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라이버나 롱 아이언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스윙 연습을 하는 경우, 골프공 없이 빈 스윙 방식으로 연습하는 것에 비해, 웨지 등의 숏 아이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직접 골프공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타격면(121)의 스위트 스팟에 해당하는 위치로 골프공을 타격하여 목표 지점으로 골프공을 접근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타격면(121) 중 유효한 부분을 이용하여 골프공을 타격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스위트 스팟과 인접한 유효부분(121a)과 상기 스위트 스팟으로부터 벗어난 부분(121b)을 상이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위트 스팟과 인접한 유효 부분(121a)은 몸체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되, 스위트 스팟과 소정 거리 벗어난 부분(121b)은 별도의 재질로 코팅할 수 있다. 이 경우,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면(121)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타격음이 발생되어, 타격이 유효 부분(121a)에서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실내에서 안전하게 연습을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격음에 따라 타격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연습용 골프 클럽(1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하는 경우, 연습 공간의 제약 없이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포함하여 다양한 자세의 스윙을 연습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정확한 스탠스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스윙을 연습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스탠스 위치가 표시된 골프공 연습용 매트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200)는 상면에 가상의 타격 위치 및 상기 타격 위치(202)에 대응되는 스탠스 위치(201)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윙 연습시 매트(200)를 바닥에 설치한 후, 매트(200) 상면에 표시된 스탠스 위치(201)에 선 상태로 가상의 타격 위치(202)를 향해 스윙 연습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타격 위치(202)에 따른 정확한 스탠스 위치(201)를 유지한 상태로 스윙 연습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한 바, 자세 교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골프 연습용 매트(200)는 사용자가 매트(200) 위에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하는 경우, 상기 연습용 골프 클럽이 상기 매트를 타격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윙 후 가상의 타격 위치 및 연습용 골프 클럽에 의해 타격된 위치의 위치 관계를 확인하여 스윙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는 연습용 골프 클럽에 의해 타격된 위치(미도시)에 일시적으로 흔적이 발생하고, 소정 시간 후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흔적이 사라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매트의 전부 또는 타격 위치와 인접하는 일부를 형상 복원이 가능한 탄성 고무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윙 연습시 연습용 골프 클럽의 헤드부에 의해 타격되면, 해당 타격된 위치가 일시적으로 움푹 패인 후 소정 시간 이후 재질의 성질에 의해 플랫한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서 매트의 전부 또는 타격 위치와 인접하는 일부의 표면이 카페트와 같이 섬유질의 융털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스윙 연습시 연습용 골프 클럽의 헤드부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지면, 해당 타격된 위치에 흔적이 발생하고, 사용자가 해당 위치를 정돈함으로서 흔적을 지울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예들은 적용 가능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를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실내에서도 용이하게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하는 자세를 연습할 수 있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제공하며, 나아가 전술한 골프 연습용 매트를 하나의 패키지로 이용할 경우, 스윙 연습시 타격 위치를 매번 확인하며서 연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바 정확한 스윙 자세를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드부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헤드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도 4의 헤드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의 사시도,
도 7는 도 6의 헤드부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헤드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습용 골프 클럽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연습용 매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12)

  1.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그립부; 그리고,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실내에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주변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로 구비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스윙 연습시 지면과 직접 부딪힐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소정 두께의 탄성을 갖는 완충 부재로 구성되어, 스윙시 지면과 부딪히면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한 후 탄성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하는 경우 지면과 부딪히는 전방 가운데 부분이 인접한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금속 재질의 스펀지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6.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충격흡수부로 인한 상기 헤드부의 중량 및 무게 중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몸체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충격흡수부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8.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면은 타격시 골프공과 맞닿는 타격면을 형성하고, 상기 타격면은 스위트 스팟에 인접한 부분과 상기 스위트 스팟으로부터 소정 거리 벗어난 부분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타격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9.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그립부; 그리고,
    상기 샤프트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실내에서 지면을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완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스윙 연습시 지면과 직접 부딪힐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내부에 상기 완충부재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몸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습용 골프 클럽.
  11. 스윙 연습시 스탠스 위치 및 타격 지적의 위치가 표시된 연습용 매트; 그리고,
    상기 매트 위에서 상기 매트를 타격하는 방식의 스윙을 연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매트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연습용 골프클럽;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스윙 연습시 매트와 직접 부딪힐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용 팩키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용 매트는 상기 연습용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상기 매트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스윙하는 경우, 상기 연습용 골프클럽이 타격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일시적인 흔적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용 팩키지.
KR1020090110269A 2009-11-16 2009-11-16 연습용 골프 클럽 KR10113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69A KR101132068B1 (ko) 2009-11-16 2009-11-16 연습용 골프 클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269A KR101132068B1 (ko) 2009-11-16 2009-11-16 연습용 골프 클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50A KR20110053650A (ko) 2011-05-24
KR101132068B1 true KR101132068B1 (ko) 2012-04-02

Family

ID=4436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269A KR101132068B1 (ko) 2009-11-16 2009-11-16 연습용 골프 클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18B1 (ko) * 2015-07-20 2016-09-13 이복용 타격 포지션 확인 기능을 가지는 골프클럽
KR101927626B1 (ko) * 2017-06-29 2018-12-10 이두희 스윙연습용 골프클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506B1 (ko) 2001-06-16 2004-02-19 김철만 얼음골프공 타격용 우드클럽의 헤드 커버
KR20070013869A (ko) * 2005-07-27 2007-01-31 임수희 골프클럽헤드의 중량조절체
JP2007083012A (ja) * 2005-08-23 2007-04-05 Bridgestone Sports Co Ltd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9112585A (ja) * 2007-11-07 2009-05-28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506B1 (ko) 2001-06-16 2004-02-19 김철만 얼음골프공 타격용 우드클럽의 헤드 커버
KR20070013869A (ko) * 2005-07-27 2007-01-31 임수희 골프클럽헤드의 중량조절체
JP2007083012A (ja) * 2005-08-23 2007-04-05 Bridgestone Sports Co Ltd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9112585A (ja) * 2007-11-07 2009-05-28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650A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6898A1 (en) Portable Golf Mat
US8192305B2 (en) Golf club head for putter, and golf putter
KR101132068B1 (ko) 연습용 골프 클럽
US20170007897A1 (en) Baseball Training Device
KR102360039B1 (ko) 롱퍼팅 라인이 부가된 실내퍼팅연습기
KR20120066898A (ko) 연습용 골프 클럽
US20050272524A1 (en) Golf club
KR101046427B1 (ko) 스윙웨이트 기능을 갖는 골프클럽용 헤드커버
JP3146079U (ja) 打撃練習装置
JP2002219203A (ja) ゴルフ練習システム
KR100709302B1 (ko) 골프 연습용 충격 방지구
KR100642166B1 (ko) 골프 퍼터용 헤드
KR200407742Y1 (ko) 골프퍼터타격연습장치
KR101623733B1 (ko) 골프클럽용 헤드 어셈블리
US20180126242A1 (en) An Improved Tee for Ball Sports
KR20110110075A (ko) 연습용 골프채
KR200456864Y1 (ko) 실내 연습용 골프 아이언채
KR102451942B1 (ko) 러프 매트
KR102322849B1 (ko) 비거리 증가 연습용 골프클럽
JP5626523B2 (ja) スイング練習器
GB2381756A (en) A golf putter
KR200440224Y1 (ko) 라켓
WO2013031627A1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機
KR200427080Y1 (ko) 골프 퍼터
JP5703438B2 (ja) 素振り練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