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942B1 - 러프 매트 - Google Patents

러프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942B1
KR102451942B1 KR1020200158022A KR20200158022A KR102451942B1 KR 102451942 B1 KR102451942 B1 KR 102451942B1 KR 1020200158022 A KR1020200158022 A KR 1020200158022A KR 20200158022 A KR20200158022 A KR 20200158022A KR 102451942 B1 KR102451942 B1 KR 10245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topography
rough
fram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940A (ko
Inventor
이정훈
전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프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프존
Priority to KR102020015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42B1/ko
Priority to CN202180078351.2A priority patent/CN116472092A/zh
Priority to JP2023530314A priority patent/JP2023551172A/ja
Priority to PCT/KR2021/017250 priority patent/WO2022108416A1/ko
Priority to US18/037,547 priority patent/US20230398423A1/en
Publication of KR2022007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페어웨이 매트에서 골프샷을 하는 것에 비해 난이도를 상당히 높이고 좀 더 현실감 있게 러프에서의 골프샷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샷을 어렵게 하는 지형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타격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러프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는, 러프에서의 샷 환경을 제공하는 러프 매트로서, 골프공이 놓이는 잔디부를 구비하는 매트 상판부; 및 굴곡 지형의 형성을 위한 패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매트 상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트 상판부가 상기 패턴 형상에 따라 굴곡 지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형형성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러프 매트{ROUGH MAT}
본 발명은 골프 연습장이나 스크린 골프 시스템 등에서 특히 러프 환경에서의 골프샷 연습 또는 가상의 골프 경기를 하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올려놓고 러프 환경에서의 골프공 타격을 하는 러프 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골프 연습장이나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골프샷을 하도록 마련되는 골프 매트는 고무 재질의 사각형 판의 상단에 인조잔디를 깔아서 만들어진 형태로 제공되며, 그와 같은 골프 매트의 인조잔디 위에 골프공을 올려놓고 사용자가 골프클럽을 이용하여 골프스윙에 의해 골프 매트의 인조잔디 위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골프샷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골프 매트는, 페어웨이에서의 골프샷을 연습할 수 있는 페어웨이 매트와, 러프 환경에서 골프샷을 연습할 수 있는 러프 매트, 그리고 벙커 상황에서 골프샷을 연습할 수 있는 벙커 매트로 세분화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골프샷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골프 매트는 탄성력이 좋은 고무 재질의 사각형 판 위에 인조잔디가 형성된 판을 올려놓은 구성으로서, 페어웨이 매트는 짧은 인조잔디로 구현하고 러프 매트는 긴 인조잔디로 구현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그런데, 실제 골프장에서 러프는 단순히 긴 잔디나 수풀 등이 형성되어 있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부분의 지형 자체가 다양한 지형을 형성하여 골프샷을 할 때 페어웨이에 비해 상당히 어려운 환경을 제공하는데, 종래의 통상적인 러프 매트는 단순히 페어웨이 매트보다 긴 잔디를 밋밋한 판 위에 형성시킨 형태이므로, 실제로 페어웨이 매트에서 골프샷을 하는 것보다 난이도가 훨씬 더 높은 러프 환경에서의 골프샷을 연습하기에 상당히 부족하며 페어웨이 매트와 차별성이 부각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공개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581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775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102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9124호 등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581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775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102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912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페어웨이 매트에서 골프샷을 하는 것에 비해 난이도를 상당히 높이고 좀 더 현실감 있게 러프에서의 골프샷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샷을 어렵게 하는 지형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타격감을 제공하도록 하는 러프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는, 러프에서의 샷 환경을 제공하는 러프 매트로서, 골프공이 놓이는 잔디부를 구비하는 매트 상판부; 및 굴곡 지형의 형성을 위한 패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매트 상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트 상판부가 상기 패턴 형상에 따라 굴곡 지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형형성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은, 복수의 볼록부에 의한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매트 상판부가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따라 굴곡 지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과 매트 상판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의 위에 상기 매트 상판부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 사이에 상기 다수의 볼록부에 의한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과 상기 매트 상판부 사이 및 상기 각 볼록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다른 러프 매트는, 러프에서의 샷 환경을 제공하는 러프 매트로서, 골프공이 놓이는 잔디부를 구비하는 매트 상판부; 및 상기 매트 상판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볼록부에 의한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매트 상판부가 복수의 둔덕 지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형형성 프레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은, 소정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기재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의 하부에 캐비티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캐비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캐비티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연질의 충진재가 충진되도록 하여 골프클럽에 의해 상기 둔덕 지형을 타격하는 타격감을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과 매트 상판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및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의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하부 지형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에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이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러프 매트는, 골프샷을 어렵게 하는 지형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페어웨이 매트에서 골프샷을 하는 것에 비해 난이도를 상당히 높이고 좀 더 현실감 있게 러프에서의 골프샷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b)는 (a)에 도시된 러프 매트의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에 대해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의 (b)의 II-II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a)의 I-I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와 다른 형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에 대해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모두 결합한 상태의 러프 매트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b)에 도시된 러프 매트에서 볼록부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충진재로 충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러프 매트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b)는 (a)에 도시된 러프 매트의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는, 베이스판(100)과, 매트 상판부(220)와, 상기 베이스판(100) 및 매트 상판부(220) 사이에 구비되는 지형형성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바닥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골프 연습장이나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타석에 러프 매트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구비되어 그 상부에 구비되는 매트 상판부(220)와 지형형성 프레임(30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의 (a) 및 (b)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0)을 단순한 사각판의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의 구조물을 보호하고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판(100)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과 매트 상판부(2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골프클럽에 의한 타격시 완충을 위하여 고무재질이나 기타 완충이 가능한 재질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타격시의 완충을 위한 별도의 완충용 쿠션 등의 부재가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트 상판부(220)는 골프공이 놓이며 러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인조잔디(또는 천연잔디일 수도 있음)를 형성하는 잔디부(2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잔디부(210)가 식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매트 상판부(220)는 연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서 그 아래에 구비되는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형상 변형이 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상기 매트 상판부(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매트 상판부(220)가 러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러프 매트의 굴곡 지형의 형성을 위한 패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매트 상판부(2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매트 상판부(220)가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패턴 형상에 따라 굴곡 지형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예컨대 올록볼록한 엠보싱 패턴을 갖도록 구성되어 그 위에 놓이는 매트 상판부(220)가 상기 엠보싱 패턴을 따라 올록볼록한 지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기재부(310)와, 상기 기재부(3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320)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320) 각각의 하부에 캐비티(3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돔(dome) 형상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으로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320)를 다수 구비하여 엠보싱(embossing)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복수의 볼록부(320)를 형성하면서 각각의 볼록부(320)의 하부는 캐비티(3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상부가 복수의 볼록부(320)를 구비하고 하부면은 반대로 복수의 캐비티(3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320)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돔 형상의 볼록부 다수를 다소 촘촘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패턴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예컨대 도 1의 (b)에 도시된 볼록부(320) 4 ~ 5개를 합친 정도의 크기를 갖는 돔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는 등 그 크기와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볼록부(320) 사이에 각 볼록부(320)의 형상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5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상부에는 매트 상판부(220)가 구비되는데, 지형형성 프레임(300) 위에 매트 상판부(220)가 놓임으로써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상판부(220)는 지형형성 프레임(300)에 구비된 각 볼록부(320)에 대응하여 둔덕(위로 솟아서 불룩하게 언덕이 진 형태)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형성 프레임(300) 위에 매트 상판부(220)가 놓임으로써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복수의 볼록부(320)에 대응하여 매트 상판부(220)가 복수의 둔덕 지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매트 상판부(220)에 어떤 형태의 둔덕 지형이 형성되는지는 지형형성 프레임(300)이 갖는 패턴이 어떤 형태인지, 그리고 매트 상판부(220)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매트 상판부(220)의 재질을 매우 연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이 되는 재질이라면 지형형성 프레임(300)이 형성하는 볼록부(320)의 형태를 그대로 좆아 비교적 높은 둔덕을 형성하거나 비교적 깊은 굴곡을 형성할 수 있고, 매트 상판부(220)의 재질이 크게 변형되지 않는 재질이라면 지형형성 프레임(300)이 형성하는 볼록부(320)의 형태에 따라 소폭 솟아오르는 정도의 낮은 둔덕을 형성하거나 얕은 굴곡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지형형성 프레임(300)에 형성된 볼록부(320)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그에 따라 매트 상판부(220)에 형성되는 굴곡의 정도도 작아지고, 반대로 볼록부(320)의 크기를 크게 할수록 그에 따라 매트 상판부(220)에 형성되는 굴곡의 정도도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형형성 프레임의 복수의 볼록부에 따른 엠보싱 패턴에 의해 매트 상판부가 형성하는 둔덕 지형은 높게 솟아오른 형태의 둔덕은 물론 매우 낮게 솟은 형태의 완만한 둔덕도 포함하며, 겉으로 매트 상판부 상에 둔덕이 형성된 것인지 확인이 어려울 정도로 거의 평평하게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골프클럽으로 타격을 할 때 지형형성 프레임의 볼록부에 클럽헤드가 걸림으로써 둔덕을 타격하는 것과 같은 타격감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의 지형도 상기 둔덕 지형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등장하는 '둔덕 지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매트 상판부(220)가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복수의 볼록부에 의한 엠보싱 패턴에 의해 복수의 둔덕 지형을 형성함으로써, 잔디부(210)의 잔디 길이와 상기한 복수의 둔덕 지형에 의해 골프클럽의 타격시 단순히 평평하고 밋밋한 잔디매트보다 더 높은 난이도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률적이지 않은 난이도, 즉 임의의 난이도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률적이지 않은 임의의 난이도라 함은 러프 매트 상의 어느 위치에 골프공이 놓이는지에 따라 타격감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종래의 평평하고 밋밋한 매트의 경우 어느 위치에 골프공을 놓고 타격을 하던지 항상 거의 같은 타격감을 구현할 수밖에 없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는 지형형성 프레임에 의해 매트 상판부가 복수의 둔덕 지형을 형성함으로써 골프공이 놓인 위치마다 서로 다른 타격감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위치에서는 골프공을 타격할 때 클럽헤드가 둔덕 부분에 정확하게 걸려서 매우 타격하기 어려운 타격감을 줄 수 있고, 어떤 위치에서는 클럽헤드의 끝부분이 둔덕 부분에 걸려서 타격을 어렵게 할 수 있으며, 어떤 위치에서는 클럽헤드가 둔덕 부분을 스치듯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타격감을 줄 수 있는 등 다양하고 랜덤한 타격감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제 골프장에서 골프공을 타격할 때에도 페어웨이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보다 러프 지역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는 러프 지역에서의 타격이 지형의 장애 등에 의해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타격이 용이한지 여부가 상당히 랜덤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이 지형형성 프레임에 의해 매트 상판부가 복수의 둔덕 지형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하고 랜덤한 타격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에 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에 대해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의 (b)의 II-II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a)는 도 1의 (a)의 I-I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와 다른 형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는, 베이스판(100) 위에 지형형성 프레임(300)이 설치되고 그 위에 매트 상판부(220)가 설치되며, 상기 매트 상판부(220)에는 러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잔디를 형성하는 잔디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0)과 지형형성 프레임(300) 사이에는 골프클럽이 매트를 타격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별도의 완충 쿠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부(310)와, 상기 기재부(3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320)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320) 각각의 하부에 캐비티(3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 위에 지형형성 프레임(300)을 설치하고 그 위에 연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을 갖는 매트 상판부(220)를 설치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엠보싱 패턴에 따라 매트 상판부(220)의 형상이 변형이 되면서 굴곡을 갖는 지형 또는 복수의 둔덕(230)을 갖는 지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a)에서는 러프 매트의 매트 상판부(220)는 지형형성 프레임(300)이 갖는 다수의 볼록부(320)에 의한 엠보싱 패턴을 따라 다소 과도하게 굴곡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도 3의 (a)에 도시된 것보다 매트 상판부가 상당히 완만한 굴곡을 나타낼 수 있고 도 3의 (b)는 이와 같이 완만한 둔덕(240) 지형을 갖는 러프 매트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러프 매트 역시 도 2 및 도 3의 (a)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베이스판(100) 위에 지형형성 프레임(300)이 설치되고 그 위에 매트 상판부(220)가 설치되며, 상기 매트 상판부(220)에는 러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잔디를 형성하는 잔디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기재부(310)와, 상기 기재부(3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320)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320) 각각의 하부에 캐비티(3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매트 상판부(220)에 완만한 둔덕(240)이 형성되도록 하여 러프에서의 환경과 러프에서의 예측이 어려운 골프샷에 대한 감각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각각의 볼록부(320) 사이가 상대적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이므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상판부(220)가 지형형성 프레임(300) 위에 구비될 경우 지형형성 프레임(300)과 매트 상판부(220) 사이 및 상기 각 볼록부(320) 사이에 공간부(SP)가 형성될 수 있다. 매트 상판부(220)가 지형형성 프레임(300)에 의해 얼마나 변형이 되는가에 따라 상기 공간부(SP)의 크기는 변할 수 있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러프 매트는,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위에 매트 상판부(220)가 구비됨에 따라 베이스판(100)과 지형형성 프레임(300) 사이에 다수의 볼록부(320)에 의한 다수의 캐비티(340)가 형성되는 동시에 지형형성 프레임(300)과 매트 상판부(220) 사이 및 각 볼록부(320) 사이에 공간부(SP)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러프 매트가 구성됨으로써 러프 매트 상의 어느 위치에 골프공이 놓이는가에 따라 상기한 볼록부(320)와 공간부(SP)와 캐비티(340)의 조합에 의해 매우 다양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볼록부(320)는 타격시 클럽헤드에 저항감 또는 이물감을 제공하며 동시에 캐비티(320)는 타격된 볼록부(320)가 형상 변형이 쉽게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완충의 역할을 하며, 상기 공간부(SP)는 타격시 클럽헤드가 움푹 패이는 감각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의 볼록부(320)와 캐비티(340), 그리고 공간부(SP)의 조합에 의해 타격시 골프클럽에 다양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c)는 도 3의 (b)에 도시된 러프 매트에서 지형형성 프레임(300)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320) 하부에 형성된 복수의 캐비티(340)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연질의 충진재(360)가 충진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캐비티(340)에 충진재(360)를 충진시킴으로써 골프클럽으로 러프 매트를 타격시 그 충격에 의해 볼록부(320)가 변형이 되는 것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내구성을 높이고 타격시 좀 더 높은 이물감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에 대해 주요 구성요소별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도 2에 도시된 단면도에 대응되는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모두 결합한 상태의 러프 매트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b)에 도시된 러프 매트에서 볼록부와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충진재로 충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러프 매트는, 베이스판(100) 위에 지형형성 프레임(300)과 하부 지형프레임(400)이 서로 대향되도록 맞닿아 구비되고,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상부에 매트 상판부(220)가 설치되며, 상기 매트 상판부(220)에는 러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잔디를 형성하는 잔디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지형형성 프레임(30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부(310)와, 상기 기재부(3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볼록부(320)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320) 각각의 하부에 캐비티(34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지형프레임(40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복수의 볼록부(320)에 대응되는 복수의 오목부(420)를 형성하며, 복수의 볼록부(320) 각각에 복수의 오목부(420) 각각이 대응하도록 지형형성 프레임(300)과 하부 지형프레임(400)이 서로 맞닿아 결합하여 또는 접합하여 또는 일체화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지형형성 프레임(300)과 하부 지형프레임(400)의 결합은 구조적으로 결합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이 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서로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지형프레임(400)은 지형형성 프레임(300)을 거꾸로 뒤집은 것일 수도 있고,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 위에 지형형성 프레임(300)과 하부 지형프레임(400)을 서로 결합하여 설치하고 지형형성 프레임(300) 위에 연질의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을 갖는 매트 상판부(220)를 설치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엠보싱 패턴에 따라 매트 상판부(220)의 형상이 변형이 되면서 굴곡을 갖는 지형 또는 복수의 둔덕(250)을 갖는 지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프 매트를 구성함으로써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각 볼록부(320)와 하부 지형프레임(400)의 각 오목부(420)를 서로 대응되도록 매칭시켜서 그 내부의 공간(CA)을 좀 더 크게 확보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인 완충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지형형성 프레임(300)과 매트 상판부(220) 사이 및 각 볼록부(320) 사이의 제1 공간부(SP1)와 하부 지형프레임(400)과 베이스판(100) 사이 및 각 오목부(420) 사이의 제2 공간부(SP2)의 두 가지 형태의 공간부 다수를 구비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인 완충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c)는 도 4의 (b)에 도시된 러프 매트에서 지형형성 프레임(300)의 복수의 볼록부(320)와 하부 지형프레임(400)의 복수의 오목부(420)에 의해 형성된 각 내부 공간(CA)에 연질의 충진재(370)가 충진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공간(CA)에 충진재(370)를 충진시킴으로써 골프클럽으로 러프 매트를 타격시 그 충격에 의해 볼록부(320)가 변형이 되는 것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형형성 프레임(300) 등의 내구성을 높이고 타격시 좀 더 높은 이물감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러프 매트는 골프샷을 어렵게 하는 지형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페어웨이 매트에서 골프샷을 하는 것에 비해 난이도를 상당히 높이고 좀 더 현실감 있게 러프에서의 골프샷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베이스판, 210: 잔디부
220: 매트 상판부, 230: 둔덕
300: 지형형성 프레임, 310: 기재부
320: 볼록부, 340: 캐비티
360: 충진재

Claims (7)

  1. 러프에서의 샷 환경을 제공하는 러프 매트로서,
    골프공이 놓이는 잔디부를 구비하는 매트 상판부; 및
    굴곡 지형의 형성을 위한 패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매트 상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매트 상판부가 상기 패턴 형상에 따라 굴곡 지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형형성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은,
    복수의 볼록부에 의한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매트 상판부가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따라 굴곡 지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볼록부는 이웃하는 볼록부와의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각 볼록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프 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과 매트 상판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의 위에 상기 매트 상판부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 사이에 상기 다수의 볼록부에 의한 다수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과 상기 매트 상판부 사이 및 상기 각 볼록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프 매트.
  4. 러프에서의 샷 환경을 제공하는 러프 매트로서,
    골프공이 놓이는 잔디부를 구비하는 매트 상판부; 및
    상기 매트 상판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볼록부에 의한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하여 상기 매트 상판부가 복수의 둔덕 지형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형형성 프레임를 포함하며,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은,
    소정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기재부와,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의 하부에 캐비티를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캐비티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볼록부는 이웃하는 볼록부와의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각 볼록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프 매트.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캐비티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연질의 충진재가 충진되도록 하여 골프클럽에 의해 상기 둔덕 지형을 타격하는 타격감을 구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프 매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과 매트 상판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및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형형성 프레임의 복수의 볼록부에 대응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하부 지형프레임을 더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에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이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프 매트.
KR1020200158022A 2020-11-23 2020-11-23 러프 매트 KR10245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22A KR102451942B1 (ko) 2020-11-23 2020-11-23 러프 매트
CN202180078351.2A CN116472092A (zh) 2020-11-23 2021-11-23 粗草区垫
JP2023530314A JP2023551172A (ja) 2020-11-23 2021-11-23 ラフマット
PCT/KR2021/017250 WO2022108416A1 (ko) 2020-11-23 2021-11-23 러프 매트
US18/037,547 US20230398423A1 (en) 2020-11-23 2021-11-23 Rough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22A KR102451942B1 (ko) 2020-11-23 2020-11-23 러프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40A KR20220070940A (ko) 2022-05-31
KR102451942B1 true KR102451942B1 (ko) 2022-10-07

Family

ID=8170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22A KR102451942B1 (ko) 2020-11-23 2020-11-23 러프 매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98423A1 (ko)
JP (1) JP2023551172A (ko)
KR (1) KR102451942B1 (ko)
CN (1) CN116472092A (ko)
WO (1) WO202210841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9825A1 (en) * 2000-08-02 2002-02-07 Professional Golf Solutions Pty Ltd A synthetic grass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34Y1 (ko) * 1992-08-24 1995-05-25 구홍식 골프연습용 매트
KR0115184Y1 (ko) * 1993-07-13 1998-04-18 김광호 냉장고의 응축기
KR100994486B1 (ko) * 2010-02-28 2010-11-15 (주) 골프존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170021025A (ko) * 2015-08-17 2017-02-27 김동희 다양한 지면형상이 구비된 골프 연습용 매트
KR20170089124A (ko) * 2016-01-26 2017-08-03 주식회사 비지피 골프 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9825A1 (en) * 2000-08-02 2002-02-07 Professional Golf Solutions Pty Ltd A synthetic grass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40A (ko) 2022-05-31
CN116472092A (zh) 2023-07-21
JP2023551172A (ja) 2023-12-07
WO2022108416A1 (ko) 2022-05-27
US20230398423A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3870A (en) Golf mat to simulate course conditions
US8157667B2 (en) Golf swing training aid
KR100970176B1 (ko) 벙커 매트
US5765828A (en) Pool table golf apparatus and method of play
US5354064A (en) Golf ball striking mat
KR102451942B1 (ko) 러프 매트
US10828546B2 (en) Golf swing practice mat for strengthening swing and increasing club head speed
KR100581020B1 (ko) 다양한 지형선택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KR100938161B1 (ko) 디벗 자국을 알 수 있는 골프매트
JP2004216155A (ja) ゴルフ練習及び運動マット
JP3041838U (ja) 球技用練習器具
KR200413071Y1 (ko) 조립식 골프연습기
KR200312860Y1 (ko) 골프연습용 매트
KR200495428Y1 (ko) 볼 타격과 타격점이 확인 가능한 골프 스윙 연습기
KR101528311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US20050070367A1 (en) Golf training device
KR100657985B1 (ko) 다기능 골프용 티
KR101969363B1 (ko) 골프매트
WO2004043552A1 (en) Putting training plate and putting trai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0302615Y1 (ko) 골프연습용 매트
KR100503271B1 (ko) 골프연습용 매트
WO2019143663A1 (en) Golf swing practice mat
JP3012097U (ja) ゴルフ練習用ティー
JP3199886U (ja) ゴルフ練習用マット
KR20230002209U (ko) 접이식 레일-박스형 골프 퍼팅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