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486B1 -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486B1
KR100994486B1 KR1020100018296A KR20100018296A KR100994486B1 KR 100994486 B1 KR100994486 B1 KR 100994486B1 KR 1020100018296 A KR1020100018296 A KR 1020100018296A KR 20100018296 A KR20100018296 A KR 20100018296A KR 100994486 B1 KR100994486 B1 KR 10099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rain
unit
golf
golf mat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골프존 filed Critical (주) 골프존
Priority to KR102010001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복잡한 구조로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을 구현하도록 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비교적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는, 물리적인 지형의 구현이 가능한 골프 매트 장치에 있어서, 볼에 대한 골프 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지형구현유닛; 및 상기 골프 매트의 임의의 위치에 소정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GOLF MAT DEVICE AND GOLF SIMULA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적인 물리적 지형 구현이 가능한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골프 인구가 늘어나면서 실제 필드에서 골프 경기를 즐기는 것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좁은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골프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을 위한 장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골프 경기는 티박스(Tee Box)에서 그린(Green)까지 골프공을 타격하여 그린의 홀컵(Hole-cup)에 골프공을 넣는 프로세스를 갖는데, 골프 경기가 펼쳐지는 골프장의 지형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변수가 발생하게 되는 스포츠이다.
특히 그린에서 이루어지는 퍼팅(Putting)의 경우에는 그린 상의 라이(Lie)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확한 힘과 방향 등으로 골프공을 타격해야 하므로 골프 경기를 함에 있어서 매우 까다롭고 힘든 부분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골프의 특성을 반영하여 골프 연습 장치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도 특정 지형 조건 하에서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실제 골프장에서의 골프 경기를 하는 것과 유사한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 인공적인 지형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의 복잡한 구조로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을 구현하도록 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비교적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는, 물리적인 지형의 구현이 가능한 골프 매트 장치에 있어서, 볼에 대한 골프 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지형구현유닛; 및 상기 골프 매트의 임의의 위치에 소정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는 지형부재와, 상기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 제2방향 구동수단 및 수직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지형부재가 임의의 위치로 이송되어 임의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골프 매트 상에 임의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에 대한 제1 방향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지형구현유닛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 구동수단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에 대한 제2 방향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지형구현유닛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베이스 부재와,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지형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지형부재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형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멀티지형구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멀티지형구현유닛의 각 지형부재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직 구동부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는, 물리적인 지형의 구현이 가능한 골프 매트 장치에 있어서, 볼에 대한 골프 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며,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형부재; 및 상기 골프 매트의 임의의 위치에 소정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형부재를 평면상에서 이송시키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형부재를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제1방향 구동부와, 상기 지형부재를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제2방향 구동부와, 상기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복합적인 지형을 구현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형구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이송모듈은,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은,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는 지형부재와, 상기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이송모듈은,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 및 제2방향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각각 배치시키며 각각의 상기 수직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복수개의 지형구현모듈의 각 지형부재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부재와 상기 골프 매트 사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다공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형부재의 돌출지형부는 상기 통공을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돌기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지형부재의 수직 방향 이동시 상기 복수개의 돌기가 상기 다공판의 대응되는 부분의 통공들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골퍼에 의한 골프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을 감지하는 센서부; 가상의 골프코스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지형구현유닛;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상기 골프 매트의 특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른 물리적 지형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유닛 및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골퍼에 의한 골프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을 감지하는 센서부; 가상의 골프코스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며,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형부재; 상기 지형부재를 평면상에서 이송시켜 상기 골프 매트의 특정 위치로 이송시키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른 물리적 지형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종래의 물리적 지형 구현을 위한 복잡한 기계구조 방식을 탈피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비교적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매트 장치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형구현수단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형구현수단이 적용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형구현유닛과 다공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지형부재가 낮은 높이로 상승하여 완만한 라이를 형성하도록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지형부재가 높은 높이로 상승하여 급격한 라이를 형성하도록 구동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는 골프 연습을 위한 골프 연습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고 소위 스크린 골프 시스템과 같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매트 장치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는 골프 매트(100)와,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을 구현시키는 지형구현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골프 매트(100)와 지형구현수단(200) 사이에 다공판(300)이 개재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골프 매트(100)는 그 위에서 골퍼가 골프공(B)에 대해 골프 스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매트(Mat)로서 그 재질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스판(Span)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상단에 인조잔디 등이 식모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가 퍼팅을 위한 퍼팅 매트 장치로서 구현될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매트(100)의 일측에 홀컵(1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형구현수단(200)은 지형구현유닛(210)과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을 이송시키도록 구비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은 베이스 부재(211)와 상기 베이스 부재(21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상단에 물리적 지형구현을 위한 소정의 구조물이 형성된 지형부재(2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을 평면상의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과 평면상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동수단(미도시)과 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을 제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221, 231, 222, 232)와,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을 제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241, 242,243)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형구현유닛(210)이 평면상에서 이송됨으로써 골프 매트(100)의 어느 위치이든 임의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그 위치에서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이 지형부재(212)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매트(100) 상에 물리적 지형(120)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구현유닛(210)은 이송유닛에 의해 평면상의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이송유닛은 지형구현유닛(210)을 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고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는 제1 가이드레일(221)과 제2 가이드레일(222)이 서로 소정 거리 떨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221) 상을 제1 가이드몸체(231)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레일(222) 상을 제2 가이드몸체(232)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몸체(231)와 제2 가이드몸체(232)를 연결하는 가이드부재(241, 242, 243)에 의해 상기 제1 가이드몸체(231)와 제2 가이드몸체(232)는 서로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재(241, 242, 243)에는 지형구현유닛(210)이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제1 가이드몸체(231)와 제2 가이드몸체(232)가 각각 제1 가이드레일(221)과 제2 가이드레일(222)상을 직선 이동할 때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은 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송된다.
이때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의 X축 방향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미도시)가 서보 모터 등으로 구현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제1 구동부(미도시)는 지형구현유닛(210)에 구비되거나 제1 가이드몸체(231) 및 제2 가이드몸체(23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은 상기 가이드부재(241, 242, 243)를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Y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의 Y축 방향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미도시)가 서보 모터 등으로 구현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제2 구동부(미도시)는 스크류 부재와 상기 스크류 부재 상을 이동하는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가이드부재(241, 242, 243) 중 어느 하나를 스크류 부재로서 구비되도록 하고 지형구현유닛(210)의 베이스 부재(211) 내부에 상기 스크류 부재 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스크류 부재에 삽입되는 너트부재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스크류 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너트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지형구현유닛(210)이 Y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형구현유닛(210)의 베이스 부재(211)는 지형부재(212)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부재(241, 242, 243)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241, 242, 243) 상을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211)에는 수직가이드(215)가 구비되고 상기 지형부재(212)에는 상기 수직가이드(215)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홀(216)이 형성되어, 상기 지형부재(212)가 상기 베이스 부재(21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상기 수직가이드(215)와 가이드홀(216)은 베이스 부재(211)와 지형부재(212)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형부재(212)의 상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을 갖고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지형부(2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지형부(214)는 여하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에그 프라이(Fried egg)의 노른자 부위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지형부(2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돌기부(P)의 조합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부(P)는 후술할 다공판(300, 도 5 참조)의 통공(301, 도 5 참조)을 관통하여 지형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지형부재(212)는 수직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하 수직 방향,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구동부(미도시)는 서보 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모터와 기어장치 등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골프 매트 장치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블럭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시뮬레이션부(10)는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영상 구현과, 골퍼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을 센서부(20)가 감지하고 그 감지한 결과에 따른 골프공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여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어부(M)는 상기 시뮬레이션부(10)로부터 현재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골프코스의 지형데이터를 전송받고 그 지형데이터에 근거하여 이와 유사한 지형을 골프 매트 상에 구현하기 위해 제1 구동부(40)와 제2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지형구현유닛(210, 도 3 참조)을 평면상의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고 수직구동부(60)를 제어하여 지형부재(212, 도 3 참조)가 수직 방향으로 설정된 높이만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상의 지형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뮬레이션부(10)에 의한 지형데이터에 근거하여 물리적 지형 구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작부(30)의 조작에 의해 정해진 특정 지형이 형성되도록 각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지형구현유닛(210)의 지형부재(212)의 수직 구동 매커니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부재(212)의 돌출지형부(214)는 복수개의 돌기부(P)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부(P)는 골프 매트(100, 도 2 참조)의 하단에 구비되는 다공판(300)의 통공(301)을 관통하여 수직 상승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형부재(212)의 수직 방향 거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수직구동부(60)가 제어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수직구동부(60)가 지형부재(212)를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높이로 상승시키는 경우 골프 매트 상에 완만한 라이(Lie)가 구현되며, 수직구동부(60)가 지형부재(212)를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높이로 상승시키는 경우 골프 매트 상에 급격한 라이(Lie)가 구현된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지형데이터에 근거하여 또는 미리 설정된 모드에 근거하여 상기 수직구동부(60)를 제어함으로써 급격한 라이 또는 완만한 라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형구현유닛이 하나인 경우에 관한 것이었으나, 지형구현유닛이 복수개의 지형구현모듈로써 구비되고 각각의 지형구현모듈이 독립적으로 이송되도록 제어됨으로써 골프 매트 상에 복합적인 물리적 지형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지형구현모듈(210, 250)을 2개 구비한 경우에 관하여 나타낸 것인데, 지형구현유닛의 개수는 2 이상이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지형구현모듈(210)과 제2 지형구현모듈(250)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되도록 구동하는 제1 이송모듈과 제2 이송모듈을 포함하며, 제1 이송모듈은 상기 제1 지형구현모듈(210)을 제1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방향 제1 구동부(41)와 제2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방향 제1 구동부(42), 그리고 제1 지형부재(212)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제1 수직구동부(61)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지형구현모듈(210)이 제1 방향(도면상으로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231a, 232a)와, 제2 방향(도면상으로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240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제2 지형구현모듈(250)을 제1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방향 제2 구동부(51)와 제2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방향 제2 구동부(52), 그리고 제2 지형부재(252)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제2 수직구동부(62)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지형구현모듈(250)이 제1 방향(도면상으로 X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부(231b, 232b)와, 제2 방향(도면상으로 Y축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4가이드부(240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레일(221)과 제2가이드레일(222)은 각각 제1가이드부(231a, 232a)와 제2가이드부(231b, 232b)가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뮬레이션부(10)로부터 제어부(M)로 전송되는 골프코스 상의 지형에 관한 지형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한 각 구동부(41, 42, 51, 52, 61, 62)를 제어함으로써 골프 매트 상에 복합적인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어부(M)가 각 구동부 중 어느 일부 구동부만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지형의 구현도 역시 가능하다.
물론 시뮬레이션부(10)에서 전송되는 지형데이터에 근거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지형 구현 모드를 조작부(30)로써 조작함으로써 골프 매트 상에 구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지형구현유닛(210)에 하나의 지형부재가 구비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었으나, 하나의 지형구현유닛에 복수개의 지형부재가 구비되도록 하고 각각의 지형부재가 독립적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골프 매트 상에 복합적인 물리적 지형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의 지형구현유닛을 하나의 베이스 부재와 복수개의 지형부재를 구비한 멀티지형구현유닛으로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골프 매트 상에 복합적인 물리적 지형 구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는 2 개의 지형부재(262a 및 262b, 또는 272a 및 272b)가 구비되는 멀티지형구현유닛(260 또는 270)이 구비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의 지형부재(262a, 262b)가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이고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의 지형부재(272a, 272b)가 서로 어긋난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이며, 상기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그 구동방식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에 관한 제어계통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블럭도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지형구현유닛(260 또는 270)은 평면상의 제1 방향(도면상 X축 방향) 및 제2 방향(도면상 Y축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고, 지형을 구현함에 있어서 각 지형부재(262a 및 262b, 또는 272a 및 272b)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 구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멀티지형구현유닛(260 또는 270)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평면상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유닛에 관하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멀티지형구현유닛(260 또는 270)의 제1 지형부재(262a(도 9 참조) 및 272a(도 10 참조))는 제1 수직구동부(61)에 의해 수직 방향 구동이 이루어지며, 제2 지형부재(262b(도 9 참조) 및 272b(도 10 참조))는 제2 수직구동부(62)에 의해 수직 방향 구동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지형부재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 구동되어 골프 매트 상에 복합적인 지형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고 2 개의 지형부재 중 어느 하나만 수직 구동됨으로써 단순한 지형의 구현도 가능하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골프 매트 장치도 기본적으로 상기한 멀티지형구현유닛을 구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지형부재가 4 개가 구비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하나의 베이스 부재(281)에 대해 제1 지형부재(282a), 제2 지형부재(282b), 제3 지형부재(282c) 및 제4 지형부재(282d)가 각각 수직 구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각 지형부재(282a, 282b, 282c 및 282d)는 각각 제1 수직구동부(61), 제2 수직구동부(62), 제3 수직구동부(63) 및 제4 수직구동부(64)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직 구동되어 골프 매트 상에 복합적인 물리적 지형을 구현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에 대해서는 상기한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나머지 사항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0 : 골프 매트, 200 : 지형구현수단
210 : 지형구현유닛, 211 : 베이스 부재
212 : 지형부재, 214 : 돌출지형부
215 : 수직가이드, 216 : 가이드홀
221 : 제1 가이드레일, 222 : 제2 가이드레일
231 : 제1 가이드몸체, 232 : 제2 가이드몸체
240 : 가이드부재, 300 : 다공판

Claims (21)

  1. 물리적인 지형의 구현이 가능한 골프 매트 장치에 있어서,
    볼에 대한 골프 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지형구현유닛; 및
    상기 골프 매트의 임의의 위치에 소정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을 포함하는 골프 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는 지형부재와,
    상기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 및 상기 수직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지형부재가 임의의 위치로 이송되어 임의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골프 매트 상에 임의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 제2방향 구동수단 및 수직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지형부재가 임의의 위치로 이송되어 임의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골프 매트 상에 임의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에 대한 제1 방향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지형구현유닛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에 대한 제1 방향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지형구현유닛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향 구동수단은 상기 지형구현유닛에 대한 제2 방향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지형구현유닛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베이스 부재와,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지형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베이스 부재와,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지형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며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형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멀티지형구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지형구현유닛의 각 지형부재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직 구동부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3. 물리적인 지형의 구현이 가능한 골프 매트 장치에 있어서,
    볼에 대한 골프 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며,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형부재; 및
    상기 골프 매트의 임의의 위치에 소정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형부재를 평면상에서 이송시키고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골프 매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형부재를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제1방향 구동부와, 상기 지형부재를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제2방향 구동부와, 상기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수직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구현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복합적인 지형을 구현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형구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독립적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이송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송모듈은,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은,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는 지형부재와,
    상기 지형부재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직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송모듈은,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의 제1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1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제2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2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1방향 구동수단 및 제2방향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각 지형구현모듈을 평면상의 임의의 위치에 각각 배치시키며 각각의 상기 수직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복수개의 지형구현모듈의 각 지형부재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임의의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19. 물리적인 지형의 구현이 가능한 골프 매트 장치에 있어서,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며,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형부재;
    상기 지형부재와 상기 골프 매트 사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다공판; 및
    상기 골프 매트에 소정의 지형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형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형부재의 돌출지형부는 상기 다공판의 통공을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돌기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지형부재의 수직 방향 이동시 상기 복수개의 돌기가 상기 다공판의 대응되는 부분의 통공들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매트 장치.
  20.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골퍼에 의한 골프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을 감지하는 센서부;
    가상의 골프코스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지형구현유닛;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상기 골프 매트의 특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및
    상기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른 물리적 지형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유닛 및 상기 지형구현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21. 가상의 골프코스에 대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 있어서,
    골퍼에 의한 골프스윙이 이루어지는 골프 매트;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을 감지하는 센서부;
    가상의 골프코스에 관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센서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에서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뮬레이션부;
    상기 골프 매트 아래에 구비되며, 특정 형상의 돌출지형부가 형성되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형부재;
    상기 지형부재를 평면상에서 이송시켜 상기 골프 매트의 특정 위치로 이송시키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물리적 지형이 구현되도록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시뮬레이션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가상의 골프코스의 지형 정보에 따른 물리적 지형이 상기 골프 매트 상에 형성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100018296A 2010-02-28 2010-02-28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9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296A KR100994486B1 (ko) 2010-02-28 2010-02-28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296A KR100994486B1 (ko) 2010-02-28 2010-02-28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486B1 true KR100994486B1 (ko) 2010-11-15

Family

ID=4340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296A KR100994486B1 (ko) 2010-02-28 2010-02-28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4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30B1 (ko) 2012-04-26 2014-10-13 주식회사 아이코치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200048752A (ko) 2018-10-30 2020-05-08 (주)에프디크리에이트 지면 변경이 가능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
WO2021096271A1 (ko) * 2019-11-15 2021-05-20 김창연 골프연습을 위한 경사지 매트
KR20210066292A (ko) 2019-11-28 2021-06-07 (주)에프디크리에이트 스마트폰 연동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WO2022108416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골프존 러프 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479Y1 (ko) 2002-08-26 2002-11-23 김홍일 경사각도 및 굴곡조절가능 퍼팅 연습기
KR200414523Y1 (ko) 2006-02-06 2006-04-21 오수건 골프연습시스템의 그린 굴곡조절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479Y1 (ko) 2002-08-26 2002-11-23 김홍일 경사각도 및 굴곡조절가능 퍼팅 연습기
KR200414523Y1 (ko) 2006-02-06 2006-04-21 오수건 골프연습시스템의 그린 굴곡조절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30B1 (ko) 2012-04-26 2014-10-13 주식회사 아이코치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200048752A (ko) 2018-10-30 2020-05-08 (주)에프디크리에이트 지면 변경이 가능한 골프 퍼팅 연습장치
WO2021096271A1 (ko) * 2019-11-15 2021-05-20 김창연 골프연습을 위한 경사지 매트
KR20210059455A (ko) * 2019-11-15 2021-05-25 김창연 골프연습을 위한 경사지 매트
KR102289227B1 (ko) * 2019-11-15 2021-08-12 김창연 골프연습을 위한 경사지 매트
KR20210066292A (ko) 2019-11-28 2021-06-07 (주)에프디크리에이트 스마트폰 연동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WO2022108416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골프존 러프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486B1 (ko) 골프 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US10500470B2 (en) Adjustable putting green system and method thereof
EP3375503B1 (en) Educational toy and panel used for the same
US4991836A (en) Dynamic game apparatus and method using multiple magnets and a magnetic manipulator below them
CN103096984A (zh) 一种低地面间隙式供球装置
KR101283404B1 (ko) 퍼팅 플레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ITTO20090723A1 (it) Gioco dello shuffleboard virtuale.
KR20110125526A (ko) 스크린 골프 장치
KR20090103557A (ko) 실재 골프그린 모사를 위한 확장형 골프 퍼팅 연습 시스템
WO2013157390A1 (ja) ゴルフゲーム装置、ゴルフゲームサーバー、及び、ゴルフゲームシステム
EP0867211B1 (en) Machine for competition and entertainment by impulse action on an object with three-dimensional movement freedom
KR101677911B1 (ko) 로컬 지형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리얼 모션이 가능한 골프시뮬레이터용 스윙플레이트
KR101159676B1 (ko) 골프 연습용 매트장치
KR101675296B1 (ko) 타석 및 타격존이 분리된 골프시뮬레이터용 스윙 플레이트
KR20140072700A (ko) 스크린 골프용 스윙 매트 장치
GB2575302A (en) Sports practice simulator
EP0968743A1 (en) Game machine
TWI395602B (zh) 3d智慧型發球機
KR101306926B1 (ko) 리얼 퍼팅 환경이 구현된 퍼팅그린장치
WO2013157391A1 (ja) ゴルフゲーム装置、ゴルフゲームサーバー、及び、ゴルフゲームシステム
CN218011027U (zh) 一种模拟篮球投篮的玩具机器人装置
KR20220169629A (ko) 실제 필드를 체감할 수 있는 4d형 스크린 골프 모션 시뮬레이터
TWM654868U (zh) 高爾夫球果嶺模擬系統
WO2021205349A1 (en)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KR102523307B1 (ko) 골프 퍼팅 트레이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