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166Y1 -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 Google Patents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166Y1
KR200440166Y1 KR2020070004103U KR20070004103U KR200440166Y1 KR 200440166 Y1 KR200440166 Y1 KR 200440166Y1 KR 2020070004103 U KR2020070004103 U KR 2020070004103U KR 20070004103 U KR20070004103 U KR 20070004103U KR 200440166 Y1 KR200440166 Y1 KR 200440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medical bed
bed
way bearing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홍
Original Assignee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4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1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테이블이 부속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침대에 구비되는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침대프레임 양측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회동부를 일 방향 베어링과 상/하부몸체로 이루어진 회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테이블을 세울 때는 쉽고 빠르게 회동 가능하고 테이블을 접어 내릴 경우에는 천천히 회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특히, 환자에 대한 사용 안정성을 증대시킨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테이블의 수납을 위해 테이블을 접어 내리는 하강시에 테이블의 일단면에 맞닿는 댐퍼부를 침대 프레임 후면에 더욱 구성하여 더욱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침대, 다용도 테이블, 힌지부, 일 방향 베어링, 저널면, 외륜, 내륜

Description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table for medical treat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보여주는 일 예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구성되는 회동부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구성되는 회동부의 결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구성되는 일 방향 베어링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구성되는 일 방향 베어링의 내륜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본 고안에 구성되는 일 방향 베어링의 작용도.
도 7a 및 도 7b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접이식 테이블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용도.
도 8a 및 도 8b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접이식 테이블의 작동을 보여주는 다른 작용도.
**도면의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 : 침대 프레임 14 : 마감판
20 : 테이블 25 : 지지프레임
30 : 회동부
100 : 하부몸체 200 : 상부몸체
300 : 일 방향 베어링 400 : 댐퍼부
210 : 볼트 홀 211 : 볼트
212 : 스프링 215 : 요입홈
310 : 회동축부(내륜) 311 : 회동축
312 : 장홈 313 : 내륜의 원주면
314 : 스프링 315 : 볼
320 : 외부 케이싱부(외륜) 321 : 외륜의 원주면
가 : 접동면 나, 다 : 스토퍼 면
라 : 스냅링 마 : 결합공
본 고안은 접이식 테이블이 부속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테이블을 세울 때는 쉽고 빠르게 회동 가능하고 테이블을 접어 내릴 경우에는 천천히 회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특히, 환자에 대한 사용 안정성을 증대시킨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몸이 불편한 환자들의 주요한 생활공간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침대에는 활동에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환자들이 침대에서 식사 등을 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한 접이식의 다용도 테이블이 침대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접이식 테이블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상단에 시트가 마련되는 침대 프레임의 양 측부 각각에 구비되는 축 끼움식의 회동부가 구비되고 일단은 상기 회동부에 흰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테이블 배면과 연결되되 ㄴ형으로 꺽인 한 쌍의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이식 테이블을 세우거나 접는 동작은 이용자가 손으로 테이블을 파지하여 상하로 회동시킨다. 특히, 상기 테이블의 사용 후 접어 내리기 위한 테이블의 회동시 테이블이 중력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회동(떨어져 내리는)되어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의 안전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테이블의 회동축을 포함하는 힌지부를 조이거나 하여 테이블 회동이 쉽게 되지 않도록 하여 테이블을 접을 경우 빠른 속도로 접힐 수 없도록 할 수는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상기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해 펼치는 경우 또한 동일하게 천천히 펼쳐질 수밖에 없고 나아가 펼치거나 접는 동작에 드는 힘이 과도하게 필요하므로 사실상 통상의 축 끼움된 힌지부의 구성으로는 만족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또한, 접이식 테이블을 접어내려 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경우, 지지프레임이 빠르게 회동함에 따라 침대프레임과 큰 충격으로 부딪치고 그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여, 주위의 환자 등에게 불쾌감은 물론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의료용 침대의 잦은 파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접이식 테이블의 접고 펼치는 회동에 있어서 사용자가 테이블을 세우는 경우에는 빠르게 세울 수 있고, 접이식 테이블을 사용 후 원래 상태로 접는 경우에는 천천히 접힐 수 있는 회동부를 가지는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고안은, 상단에 시트가 마련되는 침대 프레임과, 테이블과, 상기 침대 프레임의 양 측부 각각에 구비되는 회동부와, 일단은 상기 회동부에 흰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테이블 배면과 연결되되 ㄴ형으로 꺽인 한 쌍의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테이블이 구비되는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침대 프레임과 고정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와 결합되되 스프링이 축설되는 요입홈을 가지는 다수의 볼트 홀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몸체와의 볼트 결합시 항시 결합력을 유지하는 상부몸체와, 외륜은 상기 상/하부몸체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내설되고 내륜인 회동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각각의 일단과 고정결합되는 일 방향 베어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테이블을 세우는 경우에는 일 방향 베어링의 외륜은 고정되며 내륜인 회동축부가 회동되도록 하여 빠르게 세울 수 있으며, 접이식 테이블을 접는 경우에는 일 방향 베어링의 내륜인 회동축부가 외륜과 함께 상/하부몸체내에서 마찰력의 저항을 받으며 회동되도록 하여 천천히 접힐 수 있는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료용 침대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후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되 마감판과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댐퍼부가 더욱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테이블을 접는 경우에 테이블 일단과 맞닿아 테이블 하강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일 방향 베어링은, 회동축을 가지고, 원주면의 일 지점에는 접선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홈에는 스프링 및 볼(ball)이 순차적으로 내설되는 디스크형의 내륜인 회동축부; 상기 회동축부를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포함하고, 원주면에는 돌출된 걸림단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외륜인 외부 케이싱부;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축부의 회동은 장홈의 개방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일 방향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인 접이식 테이블이 부속된 의료용 침대는 상기 테이블의 회동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침대프레임 양 측면부에 각각 구비되는 회동부를, 일 방향 베어링 및 이를 내설하고 있는 상/하부몸체로 구성하고 또한, 침대 프레임 후면에 댐퍼부를 더욱 한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테이블을 세울 때는 쉽고 빠르게 회동 가능하고 테이블을 접어 내릴 경우에는 천천히 회동 가능하고 테이블의 수납을 위해 테이블을 접어 내리는 하강시에 테이블의 일단면에 맞닿는 댐퍼부에 의해 하강시의 큰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 대한 구성요소 간의 관계 등에 따른 설명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를 보여주는 일 예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2 및 도 3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구성되는 회동부의 조립 사시도와 결합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 구성되는 일 방향 베어링의 조립 사시도와 내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본 고안에 구성되는 일 방향 베어링의 작용도이고, 도 7a 및 도 7b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접이식 테이블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용도이다. 도 8a 및 도 8b 각각은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접이식 테이블의 작동을 보여주는 다른 작용도이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침대에는 통상의 상단에 시트가 마련되는 침대 프레임(10), 테이블(20), 상기 침대 프레임(10)의 양 측부 각각 에 구비되는 회동부(30), 일단은 상기 회동부(30)에 흰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테이블 배면과 연결되되 ㄴ형으로 꺽인 한 쌍의 지지프레임(25)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테이블(20)을 가지되, 상기 회동부(30)의 보다 상세한 구성에 대한 제안 및 추가로 구성되는 충격흡수용 댐퍼부(400)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회동부(30)는 의료용 침대에 구비되는 접이식 테이블(20)의 회동동작을 위하여 구비되는 장치로써, 종래에는 축 끼움의 형태로 이루어져 테이블(20)의 펼치고 접는(정 또는 역 방향으로 회동)경우 테이블(20)의 회동 속도를 제어하기가 불가능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회동부(30)의 진보된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상기 테이블(20)의 펼치고 접는 회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동부(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크게 침대 프레임(10)과 고정 결합되는 하부몸체(100), 상기 하부몸체(100)와 결합되되 항시 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상부몸체(200), 상기 상/하부몸체(100, 200) 사이에서 외륜이 회동 가능하도록 내설되는 일 방향 베어링(300)로 구성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100)는 침대 프레임(10)의 양 측면 프레임 각각에 한 쌍으로 설치되되 서로 평행한 지점에 설치구성된다. 침대 프레임(10)과의 고정 방법은 제한하지 않으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볼트 체결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몸체(200)와 더불어 이를 구성하는 재질은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부몸체(200) 및 하부몸체(100)의 결합은 볼트(211)의 체결에 의한 결합이면 충분하되 상기 상부몸체(200)는 스프링(212)이 축 설되는 요입홈(215)을 가지는 다수의 볼트 홀(210)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스프링(212)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볼트 홀(210)에 체결되도록 하고 또한, 볼트(211)의 머리부가 포함되도록 볼트 홀(210)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된 요입홈(215)이 구비된다. 상기 요입홈(215)의 크기는 볼트(211)의 머리부가 들어갈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축설된 스프링(212)에 의한 탄성은 체결된 볼트(211)가 상부몸체(200)와 하부몸체(100)를 항시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력을 보장하여준다. 이와 같은 결합력은 의료용 침대를 장시간 사용 즉, 테이블의 잦은 회동으로 인한 상/하부몸체(100, 200)가 서로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하부몸체(100, 200) 사이에 내설되는 일 방향 베어링(300)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부(30)에 대하여 그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상기 회동부(30)에 힌지 결합하는 지지프레임(25)이 통상 90도의 회동각(테이블을 접고 펼치는)을 가지는 경우에 상기 지지프레임(25)의 접동면(가)을 최대, 최소 회동각에 대하여 단속을 위하여 단차져 형성되는 스토퍼면(나, 다)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하부몸체(100, 200)사이에는 일 방향 베어링(300)의 외륜, 즉 일 방향 베어링(300)이 가지는 내륜인 회동축부(310)가 아닌 일 방향 베어링(300) 자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내설되는데, 상기 일 방향 베어링(300)의 회동은 상/하부몸체부(100, 200) 및 일 방향 베어링(300)의 외륜 각각이 서로 직접 면 접촉하여 미끄럼 하는 방식이면 충분하다.
상기 일 방향 베어링(300)에서 내륜인 회동축부(310)는 상기 지지프레임(25, 25-1) 각각의 일단과 고정결합되는데(도 4참고), 특히 일 방향 베어링(300)의 내륜은 정해진 한쪽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일 방향 베어링(300)의 내륜이 회동 가능한 방향은 테이블(20)을 사용하기 위해 세우는 방향(도 4, 도 7a, 도 8a 각각에서 보여주는 A 회동 방향)으로 구성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30)에 의한 테이블(30)의 회동 방향에 따른 일 방향 베어링(300)의 동작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와 도 8a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테이블(20)을 사용하기 위한 방향(각 도면의 A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힘의 전달 경로는 테이블(20)에서 지지프레임(25)으로 그리고 일 방향 베어링(300)의 내륜까지 전달되어 상기 내륜이 회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내륜의 회전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즉, 외륜에대하여 자유롭기 때문(일 방향 베어링에서 회전 가능한 방향)에 쉽게 회동이 가능하여 빠르게 테이블(20)을 올릴 수 있으며, 상기 회동시에서의 외륜은 상/하부몸체(100, 200)내에서 마찰력의 저항을 받아 고정되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도 7b와 도 8b 각각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테이블(20)을 접는 경우(각 도면의 B방향)에서의 힘의 전달 경로는 테이블(20)에서 지지프레임(25)으 로 그리고 일 방향 베어링(300)의 내륜, 그리고 외륜까지 전달되어 상기 내륜과 외륜 각각은 일체 회동하게 된다.
상기 외륜과 내륜이 일체로 회동하게 되는 이유는, 상기 회동방향(테이블을 접는 경우)이 일 방향 베어링(300)의 내륜이 회동 불가능한 방향이기 때문에 내륜에 전달된 회동에 대한 힘이 외륜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그리고 힘을 전달받은 외륜은 상/하부몸체(100, 200)내에서 마찰력의 저항을 받아 천천히 회동 된다. 또한, 천천히 회동하는 이유는 도 3에서와 같이, 상/하부몸체(100, 200)에 구비되는 상기 볼트(211) 및 스프링(212)에 의한 결합력에 의해 일 방향 베어링(300)이 상/하부몸체(100, 200) 사이에서 고정되려는 압력을 받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테이블(20)을 원위치로 접어 내리는 경우에는 상/하부몸체로부터 받는 압력에 의한 회동 반발력이 작용하여 테이블(20)의 회동 속도를 늦추는 결과를 보여준다. 즉, 테이블(20)을 접기 위한 회동에 따른 테이블(20)의 속도는 일 방향 베어링(300)의 외륜이 회전하는 속도에 따라 천천히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일 방향 베어링(300)의 외륜이 회동하는 것은 테이블(20)을 내리는 경우에 한하고 이와 반대로 테이블(20)을 사용하기 위해 올리는 경우에는 상기 일 방향 베어링(300)의 내륜이 회동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 및 도 5 각각에서와 같이, 상기 일 방향 베어링(300)은 내륜과 외륜으로 구성되되, 상기 내륜은 회동축(311)을 가지고, 원주면(313)의 일 지점에는 접선방향으로 장홈(312)이 형성되며 상기 장홈(312)에는 스프링(314) 및 볼(315) 각각이 순차적으로 내설되는 디스크형의 회동축부(310)로 구성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외륜은 상기 내륜인 회동축부(310)를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포함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원주면(312)에는 돌출된 걸림단(322)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어 내설되는 상/하부몸체(100, 200)내에서 회동시 이탈 방지를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외부 케이싱부(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일 방향 베어링(300)은 상기 회동축부(310)의 회동은 장홈(312)의 개방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베어링이다.
도 6a와 도 6b 각각은 상기 일 방향 베어링(300)의 내륜인 회동축부(310)가 외륜인 외부 케이싱부(3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방향과 회동 불가능한 방향을 각각 도시하여 보여주고 있다.
도 6a에서와 같이 내륜인 회동축부(310)가 원주면(313)에 마련된 장홈(312)의 개방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장홈(315)에 내설된 볼(314)은 장홈(315)의 내측으로 밀려들어 가게 되고 따라서 내륜인 회동축부(310)은 외부 케이싱부(320)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된다.(도 8a 참조)
도 6b에서는 상기 도 6a에서 보여준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인 장홈(312)의 개방측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장홈(315)에 내설된 볼(314)이 장홈(315)의 외측으로 밀려들어 나가게 되고 이에 상기 볼(314)은 외부 케이싱부(320)의 내측면과 점 접촉을 하게 되어 내륜과 외륜은 고정이 되 는 것이다.
따라서, 내륜인 회동축부(310)의 역방향 회전(장홈의 개방측과 반대되는 방향)은 외륜인 외부 케이싱부(320)에 의해 단속되어, 상기 테이블을 회동시키는 회전은 내륜인 회동축부(310)가 고정된 외륜인 외부 케이싱부(320), 즉 내륜인 회동축부(310)과 외륜인 외부 케이싱부(320)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도 8b 참조)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의료용 침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일 방향 베어링(300) 한 쌍에 대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A방향은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하여 펼치는 회동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며, B방향은 테이블을 사용 후 접어 내리기 위한 회동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내륜인 회동축부(310)에는 양 면 중심부에 회동축(311, 311-1) 각각을 구비하여 그 중 일 회동축(311)은 외륜인 외부 케이싱부(320)와 의 결합을 위한 끼움부로 사용하고, 타 회동축(311-1)은 지지프레임(25)의 결합공(마)에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 회동축(311)은 원형으로 형성하여 내륜인 회동축부(310)가 외부 케이싱부(320)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타 회동축(311-1)은 사각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지지프레임(25)과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 회동축(311)의 말단 외주면에는 스냅링(라)이 끼워지는 홈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외부 케이싱부(320)에 대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보다 안전하게 테이블(20)이 접어질 수 있도록 상기 침대프레임(10) 중 후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되 마감판(14)과 시트(도면에는 미도시) 사이에 위치하는 댐퍼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400)는 가스 스프링이나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테이블(20)을 접는 경우에 테이블(20) 일단과 맞닿아 테이블(20) 하강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댐퍼부(400)의 말단에는 맞닿는 테이블(20)이 손상되지 않도록 섬유재 또는 실리콘재 등과 같은 충격 흡수부재를 더욱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에 의하여, 접이식 테이블을 세울 때는 쉽고 빠르게 회동 가능하고 테이블을 접어 내릴 경우에는 천천히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용 침대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단에 시트가 마련되는 침대 프레임과, 테이블과, 상기 침대 프레임의 양 측부 각각에 구비되는 회동부와, 일단은 상기 회동부에 흰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테이블 배면과 연결되되 ㄴ형으로 꺽인 한 쌍의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테이블이 구비되는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침대 프레임과 고정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와 결합되되 스프링이 축설되는 요입홈을 가지는 다수의 볼트 홀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몸체와의 볼트 결합시 항시 결합력을 유지하는 상부몸체와, 외륜은 상기 상/하부몸체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내설되고 내륜인 회동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 각각의 일단과 고정결합되는 일 방향 베어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테이블을 세우는 경우에는 일 방향 베어링의 외륜은 고정되며 내륜인 회동축부가 회동되도록 하여 빠르게 세울 수 있으며, 접이식 테이블을 접는 경우에는 일 방향 베어링의 내륜인 회동축부가 외륜과 함께 상/하부몸체내에서 마찰력의 저항을 받으며 회동되도록 하여 천천히 접힐 수 있는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침대는,
    상기 침대프레임의 후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되 마감판과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댐퍼부가 더욱 구비되어, 상기 접이식 테이블을 접는 경우에 테이블 일단과 맞닿아 테이블 하강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 베어링은,
    회동축을 가지고, 원주면의 일 지점에는 접선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홈에는 스프링 및 볼(ball)이 순차적으로 내설되는 디스크형의 내륜인 회동축부와;
    상기 회동축부를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포함하고, 원주면에는 돌출된 걸림단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외륜인 외부 케이싱부;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축부의 회동은 장홈의 개방측 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한 일 방향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 침대.
KR2020070004103U 2007-03-13 2007-03-13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KR200440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103U KR200440166Y1 (ko) 2007-03-13 2007-03-13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103U KR200440166Y1 (ko) 2007-03-13 2007-03-13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166Y1 true KR200440166Y1 (ko) 2008-05-28

Family

ID=4164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103U KR200440166Y1 (ko) 2007-03-13 2007-03-13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1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444Y1 (ko) 2009-08-07 2010-04-13 (주)폴리텍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
KR200457199Y1 (ko) 2009-03-18 2011-12-13 김찬우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KR20230111451A (ko)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프레임 분할형 의료용 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199Y1 (ko) 2009-03-18 2011-12-13 김찬우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KR200448444Y1 (ko) 2009-08-07 2010-04-13 (주)폴리텍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
KR20230111451A (ko) 2022-01-18 2023-07-25 주식회사 오토앤로봇 프레임 분할형 의료용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166Y1 (ko)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EP2281487B1 (en) Damping mechanism for folding seats in chairs
ES2774275T3 (es) Dispositivo de amortiguación para partes de muebles o para herrajes de muebles
KR200420098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US9907373B2 (en) Bag for a mobile device user with an adjustable support board
JP6676044B2 (ja) 格納可能な注ぎ口を備えたボトル用蓋組立体
EP4197515A1 (en) Ankle joint device having adjustable foot support initial angle
KR101543553B1 (ko)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RU2684237C2 (ru) Фрикционный амортизатор
US6018846A (en) Safety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play yard
US6468315B1 (en) Prosthetic apparatus with elastomeric shock absorber element
EP2324745A2 (en) Soft close hinge for a toilet seat
KR102201033B1 (ko) 상향 개폐방식 도어의 힌지장치
KR200367636Y1 (ko) 페달식 도어스토퍼
KR100840334B1 (ko) 강의용 책상
CN110726053A (zh) 一种适用于便携式电脑的支撑装置
KR101280909B1 (ko) 회전각도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 접철 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KR101297844B1 (ko) 접이식 힌지장치
KR101840298B1 (ko) 접이식 테이블
KR100549522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EP2374375B1 (en) A bedchair
JP4007759B2 (ja) 復帰形回転椅子用の高さ調節体
KR100672566B1 (ko) 모니터용 힌지어셈블리
JP3739041B2 (ja) 手摺装置
KR20100018206A (ko) 접이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