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99Y1 -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 Google Patents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99Y1
KR200457199Y1 KR2020090003104U KR20090003104U KR200457199Y1 KR 200457199 Y1 KR200457199 Y1 KR 200457199Y1 KR 2020090003104 U KR2020090003104 U KR 2020090003104U KR 20090003104 U KR20090003104 U KR 20090003104U KR 200457199 Y1 KR200457199 Y1 KR 2004571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guide
dining table
bar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456U (ko
Inventor
김찬우
Original Assignee
김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우 filed Critical 김찬우
Priority to KR2020090003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9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4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2Remote contr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리스(10)가 놓이는 몸체(11); 상기 몸체(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그(12); 식탁(14)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아(15); 및 상기 몸체(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 상기 침대 몸체(11)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서포트 바아(15)의 일단을 수납하여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6); 상기 구동모터(24)의 동력에 의해 상기 서포트 바아(15)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21); 및 상기 가이드 레일(16)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기 구동체인(21)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서포트 바아(15)를 이렉션 포지션과 다운 포지션으로 전환시키는 회동 리셉터클(18);을 포함하는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침대, 식탁, 환자용 침대

Description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Beds for patients provided with table}
본 고안은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탁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몸이 불편한 환자를 위해 작동이 편리하게 설계되었을 뿐만 아니라 보조 식탁을 구비함으로써 기능과 용도 측면에서 더욱 개선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침대는 입원 생활을 하는 환자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설비라고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의료용 침대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식사를 병행할 수 있도록 식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침대에 구비된 식탁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거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해 환자 개인의 사정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일부 의료용 침대에 구비된 식탁은 환자가 필요에 따라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끔 설계되어 있으나, 환자가 무거운 식탁을 수동으로 조정하여야 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식탁의 크기가 제한적이어서 음료수 컵이나 반찬 그릇 등을 충분히 올려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게 사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환자의 수고를 덜 수 있는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가능한 보조 식탁을 채용함으로써 밥이나 반찬 그릇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는 매트리스가 놓이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그; 식탁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아;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침대 몸체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서포트 바아의 일단을 수납하여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서포트 바아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기 구동체인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서포트 바아를 이렉션 포지션과 다운 포지션으로 전환시키는 회동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상기 서포트 바아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가이드 바아; 및 상기 가이드 바아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 리셉터클은 상기 가이드 롤러가 슬라이딩하면서 가이드 바아가 회전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 리셉터클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바아가 이렉션 포지션이 되도록 하는 이렉션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롤러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바아가 다운 포지션이 되도록 하는 다운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는 리모콘; 상기 식탁의 측면에 형성된 수납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납되는 보조 식탁; 상기 보조 식탁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 및 상기 보조 식탁의 착탈을 보조하는 누름식 푸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의료용 침대에 따르면,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식탁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자유롭게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환자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편리하고 자유롭게 식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어 식탁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보조 식탁을 이용함으로써 식탁 활용도를 넓힐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 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의료용 침대는 매트리스(10)가 놓이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그(12)와, 침대를 이동시키거나 환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손잡이(13)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의료용 침대의 몸체(11) 측면에는 식탁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식탁 구동부에는 식탁(14)이 서포트 바아(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식탁 구동부는 식탁(14)을 침대의 길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14)을 수납 위치(손잡이와 매트리스 사이)에 수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식탁 구동부는 침대 몸체(11)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6)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6)은 서포트 바아(15)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도 2 및 도 4에 나타나 있 다. 여기서, 도 2는 가이드 레일(16)의 요부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가이드 레일(16)의 단면을 보여준다.
상기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16)은 일측면에 장공(도 4의 17)이 형성된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일단부에는 회동 리셉터클(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6) 내부에는 서포트 바아(15)의 일단이 수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트 바아(15)의 일단에는 가이드 바아(19)가 직각이 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바아(19)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6) 내부에 수납되어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20)가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롤러(20)는 가이드 레일(16)의 장공(17) 턱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롤러(20)의 중심부는 소정의 빈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체인(21)이 통과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바아(19)의 양단에는 구동체인(21)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구동체인(21)은 가이드 레일(16)의 타단에서 회전하는 구동기어(22)에 결합된 채로 가이드 레일(16)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체인(21)을 지지하면서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복수의 보조기어(2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서포트 바아(15)는 가이드 바아(19)에 연결된 구동 체인(21)에 의해서 그 위치가 이동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구동기어(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4)(도면에서는 구동모터가 내장된 감속기어박스로 도시되었음)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구동체인(21)이 가이드 바아(19)를 전진 및 후진시킴으로써, 상기 서포트 바아(15)는 이렉션 포지션(도 3에 도시됨)과 다운 포지션(도 2에 도시됨)으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환은 상기 회동 리셉터클(18)에서 수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 리셉터클(18)은 상기 가이드 바아(19)의 양측에 있는 가이드 롤러(20)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구동체인(21)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아(19)는 회동 리셉터클(18)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 리셉터클(18)은 상기 서포트 바아(15)의 이렉션 포지션과 다운 포지션 설정을 위해서 상기 포지션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가이드 바아(19)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이렉션 스토퍼(25)와 다운 스토퍼(26)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25)(26)는 회동 리셉터클(18)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가이드 바아(19)의 가이드 롤러(20)가 상기 이렉션 스토퍼(25)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기 서포트 바아(15)가 수직으로 세워져 이렉션 포지션 상태가 되고, 반대로 가이드 롤러(20)가 상기 다운 스토퍼(26)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서포트 바아(15)가 수평으로 누운 상태가 되어 다운 포지션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상기 서포트 바아(15)가 이렉션 포지션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서포트 바아(15)의 타단에 결합된 식탁(14)이 도 1과 같이 올려진 상태(수평 상태)가 되어 환자가 식사를 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하고, 반대로 서포트 바아(15)가 다운 포지션이 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바아(15)가 수평이 되면서 식탁(14)이 누운 상태가 된다. 이하 청구범위에서는 이러한 의미로 상기 용어들이 사용되었다.
바람직하게, 서포트 바아(15)가 다운 포지션 상태가 될 때 상기 식탁(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매트리스(10)와 손잡이(13) 사이에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서포트 바아(15)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회동 리셉터클(18)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4)는 환자가 편리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 리모콘(27)과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모콘(27)의 구성은 종래의 기술을 참작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27)은 이렉션 포지션, 다운 포지션, 전진, 후진 등의 다양한 위치 설정을 위한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탁(14)은 환자의 편리성을 위해서 가벼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식탁(14)의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28)이 마련되고 상기 수납홈(28)에는 보조 식탁(29)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식탁(29)의 착탈을 더욱 편리하게 보조하기 위해서 누름식 푸시장치(한번 누르면 수납상태가 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푸시하는 장치)가 더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식 푸시장 치의 구성은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 식탁(29)의 상면에는 컵이나 그릇 등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안착홈(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의 사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최초에 서포트 바아(15)는 다운 포지션 상태에 있으며 이때 식탁(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매트리스(10)와 손잡이(13) 사이에 수납된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식사를 하고자 식탁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모콘(27)을 동작시켜 식탁(14)과 서포트 바아(15)를 이렉션 포지션 상태로 전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리모콘(27)에 구비된 예컨대, 이렉션 포지션 버튼을 누르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24)가 동작하면서 구동기어(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동기어(22)에 연결된 구동체인(21)이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20)가 회동 리셉터클(18) 내면에서 슬라이딩하는 동시에 가이드 바아(1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구동체인(21)은 보조기어(23)들에 의해서 그 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가이드 바아(19)의 회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20)가 이렉션 스토퍼(25)와 접촉할 때까지 계속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보듯이, 일측 가이드 롤러(20)가 이렉션 스토퍼(25)에 맞닿게 되면 서포트 바아(15)는 이렉션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식탁(14)도 상기 몸체(11)와 손잡이(13) 사이에서 빠져 나오면서 수평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 구동기어(22)가 회전하여 구동체인(21)이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 바아(19)와 가이드 롤러(20)는 가이드 레일(16) 내부로 진입하면서 도 4와 같이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서포트 바아(15)는 가이드 레일(16)의 장공(17)을 따라 함께 이동하고 따라서 식탁(14)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에 따라서 가이드 바아(19)와 가이드 롤러(20)의 진행 거리를 리모콘(27)으로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식탁(14)의 위치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컵이나 기타 그릇을 놓는 등 공간이 더 필요한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보조 식탁(29)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조 식탁(29)의 단부를 누르면 누름식 푸시장치의 작동에 의해 보조 식탁(29)의 일부가 수납홈(28)으로부터 인출되고, 그러면 사용자가 손으로 보조 식탁(29)의 나머지 부분을 인출하면 된다.
사용이 끝난 식탁(14)은 반대 과정으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인출된 보조 식탁(29)은 수납홈(28)의 원래 자리로 밀어 넣는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27)의 복귀 버튼을 누르면, 이번에는 구동모터(24)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고 따라서 구동기어(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체인(21)은 도 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구동 체인(21)의 양단에 결합된 가이드 바아(19)도 가이드 레일(16)을 따라 회동 리셉터클(18)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 바아(19)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리셉터클(18) 내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구동체인(21)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 롤러(20)가 회동 리셉터클(18)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가이드 바아(1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서포트 바아(15)와 식탁(14)도 이렉션 포지션 상태에서 다운 포지션 상태로 서서히 전환하게 된다.
가이드 바아(19)의 이러한 회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20)가 다운 스토퍼(26)와 맞닿아 정지할 때까지 계속된다.
최종적으로, 가이드 롤러(20)가 다운 스토퍼(26)와 접촉하여 정지하게 되면, 가이드 바아(19)의 회전은 멈추고, 서포트 바아(15)와 식탁(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포지션 상태로 원래 위치에 수납되게 된다.
본 고안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회동 리셉터클의 구성과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의 가이드 레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식탁이 다운 포지션 상태가 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구동모터와 구동기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Claims (4)

  1. 매트리스(10)가 놓이는 몸체(11);
    상기 몸체(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그(12);
    식탁(14)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아(15);
    상기 몸체(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
    상기 침대 몸체(11)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서포트 바아(15)의 일단을 수납하여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6);
    상기 구동모터(24)의 동력에 의해 상기 서포트 바아(15)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21); 및
    상기 가이드 레일(16)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기 구동체인(21)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서포트 바아(15)를 이렉션 포지션과 다운 포지션으로 전환시키는 회동 리셉터클(18);을 포함하고,
    식탁(14)의 직선 운동과 포지션 전환이 모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2. 매트리스(10)가 놓이는 몸체(11);
    상기 몸체(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그(12);
    식탁(14)을 지지하는 서포트 바아(15);
    상기 몸체(1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4);
    상기 침대 몸체(11)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서포트 바아(15)의 일단을 수납하여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6);
    상기 구동모터(24)의 동력에 의해 상기 서포트 바아(15)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21);
    상기 가이드 레일(16)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상기 구동체인(21)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서포트 바아(15)를 이렉션 포지션과 다운 포지션으로 전환시키는 회동 리셉터클(18);
    상기 서포트 바아(15)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가이드 바아(19); 및
    상기 가이드 바아(19)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2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리셉터클(18)은 상기 가이드 롤러(20)가 슬라이딩하면서 가이드 바아(19)가 회전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동 리셉터클(18)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바아(15)가 이렉션 포지션이 되도록 하는 이렉션 스토퍼(25)와, 상기 가이드 롤러(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 바아(15)가 다운 포지션이 되도록 하는 다운 스토퍼(2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4)를 동작시키는 리모콘(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탁(14)의 측면에 형성된 수납홈(28)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납되는 보조 식탁(29);
    상기 보조 식탁(29)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30); 및
    상기 보조 식탁(29)의 착탈을 보조하는 누름식 푸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KR2020090003104U 2009-03-18 2009-03-18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KR2004571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04U KR200457199Y1 (ko) 2009-03-18 2009-03-18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04U KR200457199Y1 (ko) 2009-03-18 2009-03-18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56U KR20100009456U (ko) 2010-09-29
KR200457199Y1 true KR200457199Y1 (ko) 2011-12-13

Family

ID=4419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04U KR200457199Y1 (ko) 2009-03-18 2009-03-18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9203A (zh) * 2018-08-29 2018-12-18 江苏兴鑫医用设备有限公司 摄影平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195A (ja) * 2000-07-17 2002-01-29 Tadaaki Kamura リモコン式テーブルを装備したベッド
JP2003259942A (ja) 2002-03-12 2003-09-16 Kazuyoshi Azuma ベッド
KR200438283Y1 (ko) * 2006-10-17 2008-02-04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전동식 탁자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
KR200440166Y1 (ko) 2007-03-13 2008-05-28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8195A (ja) * 2000-07-17 2002-01-29 Tadaaki Kamura リモコン式テーブルを装備したベッド
JP2003259942A (ja) 2002-03-12 2003-09-16 Kazuyoshi Azuma ベッド
KR200438283Y1 (ko) * 2006-10-17 2008-02-04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전동식 탁자가 설치된 환자용 침대
KR200440166Y1 (ko) 2007-03-13 2008-05-28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부속된 접이식 테이블의 회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의료용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56U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2004B2 (ja) リング状操作部を備えたリフト装置
CN108123571A (zh) 线性致动器
KR200457199Y1 (ko) 식탁 겸용 의료용 침대
CN203841943U (zh) 一种多功能护理病床
JP6259974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CN201299724Y (zh) 多功能护理床
CN211049944U (zh) 多功能医疗床
CN113332116A (zh) 多功能肿瘤科护理用按摩装置
JP6294146B2 (ja) 医療台
CN109077512B (zh) 一种按摩椅遥控器隐藏升降机构
CN201905546U (zh) 一种具有储物功能的沙发
CN204050108U (zh) 多功能电动病床
CN203408185U (zh) 可辅助病人上下床的电动轮椅
CN202207160U (zh) B型超声诊断用床
US11076701B2 (en) Convertible multifunctional furniture
CN115317274A (zh) 一种病床
CN101612087A (zh) 台面可移动手术台
KR20150010304A (ko) 메카니칼 락을 이용한 수술대 베드 전후 이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대
CN209392275U (zh) 一种方便患者上下的病床
JPH06181952A (ja) 患者用ベッド移し替え装置
CN111973421A (zh) 一种神经外科护理用按摩装置
CN213491121U (zh) 输液装置及输液系统
JP5043214B1 (ja) シャワーヘッド保持装置
CN106137639B (zh) 一种医用换床装置及换床方法
JP2008036124A (ja) フラップ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