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430Y1 - 개폐식 칠판 - Google Patents

개폐식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430Y1
KR200438430Y1 KR2020070010790U KR20070010790U KR200438430Y1 KR 200438430 Y1 KR200438430 Y1 KR 200438430Y1 KR 2020070010790 U KR2020070010790 U KR 2020070010790U KR 20070010790 U KR20070010790 U KR 20070010790U KR 200438430 Y1 KR200438430 Y1 KR 200438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guide block
base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택
Original Assignee
최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택 filed Critical 최용택
Priority to KR2020070010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430Y1/ko
Priority to PCT/KR2008/003691 priority patent/WO200900524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08Suspension fittings for cabinets to be hung 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B43L1/06Blackboards rigid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식 칠판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전방 벽면 중앙에 양측으로 보조칠판(111)을 구비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하, 좌·우 양측으로 각각 양측단(121)이 고정되면서 베이스(110)에서 전방으로 이격 된 가이드봉(120)과; 상기 가이드봉(120)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한 가이드블럭(130)과; 상기 가이드블럭(130)의 상면에 선단부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후단부를 가이드블럭(130)과 대향 되도록 절곡하여 고정부(141)를 칠판고정브래킷(140)과; 상기 칠판고정브래킷(140)의 고정부(141)에 배면이 고정되어 가이드블럭(130)에 의해 보조칠판(111) 측으로 슬라이드 되는 칠판(15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식 칠판, 베이스, 보조칠판, 가이드봉, 가이드블럭, 칠판고정브래킷

Description

개폐식 칠판{sliding blackboard}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이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이 개폐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개폐식 칠판 110: 베이스
111: 보조칠판 112: 설치홈
120: 가이드봉 121: 양측단
130: 가이드블럭 131: 슬라이드공
140: 칠판고정브래킷 141: 고정부
142: 지지브래킷 143: 간격조절 축
144: 회전롤러 150: 칠판
160: 영상표시장치
본 고안은 개폐식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은 흑판이라고도 하며, 프랑스에서 처음 고안되었고, 상당히 오래전부터 사용한 것으로 보이나 교육상 사용하게 된 것은 19세기부터이다.
한국에서는 개화기 이래 근대적인 학교 교육이 실시된 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초기의 칠판은 나무테에 판자를 붙여 먹물과 같은 검정색 도료를 칠한 형태였으나, 현재는 칠판 위에 도표를 펼쳐놓거나 전표를 분류할 수 있도록 마그넷을 사용한 것 또는 철강으로 만든 것 등도 있다.
칠판의 구조도 좌·우로 이동하는 것, 상·하로 이동하는 것 등 다양하며, 흑색 도료는 내구성이 강한 수지 도료로 바뀌었다.
더욱이 종래 거의 흑색뿐이던 칠판의 색은 기분을 안정시키려는 배려에서 교육인적자원부가 제정한 학교환경위생 기준에 따라 암녹색·암청색·암갈색 등으로 바뀌었는데, 이 중 암녹색이 가장 많다.
또한, 종래의 칠판은 분필 닿는 소리가 크게 들리는 결점이 있었으나, 현재의 칠판은 이를 보완하여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칠판은 강연이나 세미나, 학원, 대학강의실, 사무실 등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칠판은 벽면에 외곽틀체를 형성하되, 외곽틀체를 상하로 이격 된 수평틀체와 수평틀체를 지지하는 수직틀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칠판이 형성된 실내에는 시청각 교육을 위한 영상표시장치가 보관함 내부에 보관되어 일측 구석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영상표시장치가 일측 구성에 위치되어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시청각 교육과 판서 교육이 동시에 진행될 경우 시선이 분산되어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외곽틀체는 목재, 알루미늄 새시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수평틀체에 홈을 내어 이동하거나 롤러를 부착하여 칠판을 좌·우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외곽틀체에서 슬라이드 되는 칠판은 오랜 시간 사용시 좌·우 이동에 따른 동작이 부드럽지 않아 소음과 흔들림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동시 홈을 벗어나거나 조립의 부정확으로 칠판의 상하부가 끼이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무리한 힘을 주게 되는 등 진행하는 학습이나 강연 진행에 방해를 주는 등 기술의 신뢰성을 소비자에게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칠판을 슬라이드 하기 위해서는 외곽틀체를 형성해야하므로 칠판 설치 작업시간이 증가 되었으며, 외곽틀체의 형성으로 인하여 생산성 저하 및 제조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실내의 벽면 중앙 에 칠판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블럭이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봉을 형성하여 가이드블럭에 의하여 칠판 슬라이드 시 소음과 흔들림을 예방하도록 하는 개폐식 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칠판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되도록 하여 개폐시 영상표시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시청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폐식 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개폐식 칠판은; 실내의 전방 벽면 중앙에 양측으로 보조칠판을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하부에 형성되면서 각각의 양측단이 베이스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면서 베이스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한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에 선단부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후단부를 가이드블럭과 대향 되도록 절곡시키며 고정부를 형성하고, 고정부와 가이드블럭의 사이인 칠판고정브래킷의 중앙에 가이드블럭과 대향되도록 돌출된 지지브래킷을 형성하고, 지지브래킷의 하단부에 회전되도록 형성한 간격조절 축의 일측 끝단부에 베이스에 밀착되어 가이드블럭 슬라이드 시 회전되는 회전롤러를 형성한 칠판고정브래킷과; 상기 칠판고정브래킷의 고정부에 배면이 고정되어 가이드블럭에 의해 보조칠판 측으로 슬라이드 되는 칠판과; 상기 칠판이 보조칠판 전방으로 슬라이드 될 때 베이스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어 노출되는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이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이 개폐되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1 도 내지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개폐식 칠판(100)은; 벽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복수 형성되는 가이드봉(120)과; 상기 가이드봉(120) 결합되어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블럭(130)과; 상기 가이드블럭(130)에 고정되는 칠판고정브래킷(140)과; 상기칠판고정브래킷(140)에 고정되는 가이드봉(120)을 따라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칠판(150)으로 구성한다.
상기 개폐식 칠판(100)의 베이스(110)는 강의실, 회의실, 등과 같은 실내의 일측 벽면 중앙에 형성되면서 양측 끝단에는 보조칠판(111)을 구성한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상하부에는 설치홈(11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칠판(111)은 판서용으로 사용되거나 각종 게시물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베이스(110)의 전면 중앙에 각종 대중매체를 통한 시청각 교육을 진행하기 위하여 문자 기호 도형 화성 음성 등이 출력되는 영상표시장치(16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표시장치(160)는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브라운관, 액정디스플레이, 롤스크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식 칠판(100)의 가이드봉(120)은 베이스(110)의 상·하부에 형성된 설치홈(112)의 양측으로 상호 대향 되도록 양측단(121)이 고정되면서 베이스(110)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양측단(121)이 고정된 가이드봉(120)의 중앙을 브래킷 등으로 베이스(110)에 고정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개폐식 칠판(100)의 가이드블럭(130)은 중앙에 가이드봉(120)이 관통하는 슬라이드공(131)을 형성하여 가이드봉(120)을 따라 수평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복수 구성한다.
상기 개폐식 칠판(100)의 칠판고정브래킷(140)은 가이드블럭(130)의 상면에 선단부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후단부를 가이드블럭(130)과 대향 되도록 절곡한 고정부(141)를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부(141)는 베이스(110)의 양측에 형성한 보조칠판(111)보다 더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칠판고정브래킷(140)이 가이드블럭(130)의 상면에 외팔보 형식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보안 하도록 칠판고정브래킷(140)의 중앙에 가이드블럭(130)과 대향 되도록 돌출된 지지브래킷(142)을 형성하고, 지지브래킷(142)의 하단부에 회전되는 간격조절 축(143)을 구성한다.
그리고 간격조절 축(143)의 일측 끝단부에 간격조절 축(143)의 회전으로 간격이 조절되어 베이스(110)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회전롤러(144)를 구성하여 가이드블럭(130) 슬라이드시 칠판고정브래킷(140)을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개폐식 칠판(100)의 칠판(150)은 백묵을 이용하는 암녹색, 암청색 판서패널이나, 매직 팬 등을 이용하는 화이트 보드 등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에 수직으로 구획되어 양측으로 형성되면서 그 배면이 칠판고정브래킷(140)의 고정부(141)에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고정된 칠판(150)은 고정부(141)에 설치되어 보조칠판(111)보다 더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슬라이드시 보조칠판(111)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보조칠판(111)에 부착된 게시물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폐식 칠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개폐식 칠판은; 칠판을 통하여 판서를 하면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각 교육을 할 경우 양측으로 구획된 칠판(150)을 보조칠판(111) 이 형성된 양측으로 밀게 되면 가이드블럭(130)에 고정된 칠판고정브래킷(140)이 칠판(150)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어 가이드블럭(130)이 가이드봉(120)을 따라 칠판(150)을 미는 보조칠판(111) 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베이스(110)의 중앙에 설치된 영상표시장치(160)가 노출되어 시청각 교육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블럭(130)이 가이드봉(120)을 따라 슬라이드 될 때 간격조절 축(143)의 끝단에 형성한 회전롤러(144)는 베이스(110)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회전된다.
더불어, 지지브래킷(142)이 간격조절 축(143)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칠판고정브래킷(140)을 지지하게 되어 칠판고정브래킷(140)의 처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칠판(150)이 가이드 봉(120)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블럭(130)에 의해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되면서 이동소음, 유격 등이 발생하지 않아 전후 흔들림이 방지되면서 칠판(150)을 개폐하게 된다.
이렇게 칠판(150)이 개폐되어 영상표시장치(160)가 노출되면서 문자나 기호·도형·화상·음성 등의 데이터를 출력시켜 시청각 교육을 할 수 있게 되고, 영상에 대한 보충교육시 보조칠판(111)의 전방에 위치한 칠판(150)에 판서를 진행하면서 교육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칠판(150)이 소음과 흔들림 없어 슬라이드 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고, 개폐시 영상표시장치(160)가 칠판(150)의 중앙에 노출되어 교육자의 시선을 전방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폐식 칠판은; 베이스에 형성된 가이드봉에 칠판의 배면에 고정된 가이드블럭이 슬라이드 되면서 금속재 고유의 내마모성에 의하여 마모율을 현저하게 줄일 수가 있으므로 칠판의 흔들림 방지로 소음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개폐식 칠판은; 가이드봉과 가이드블럭에 의하여 외곽틀체를 형성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고, 가이블럭이 가이드봉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보조칠판의 전방으로 안내되어 간편하고 정확하게 슬라이드 되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개폐식 칠판은; 외곽틀체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가이드봉과 가이드블럭이 칠판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의 미관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개폐식 칠판은; 칠판의 배면에 고정된 가이드블럭이 가이드봉을 따라 보조칠판 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베이스의 중앙에 설치된 영상표시장치가 노출되므로 시청각 교육시 사각지대를 확보할 수 있어 시청각 교육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개폐식 칠판은; 영상표시장치가 노출되면서 문자나 기호·도형·화상·음성 등이 영상을 출력시켜 시청각 교육을 할 수 있게 되고, 영상에 대한 보충교육시 보조칠판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된 칠판에 판서를 진행하면서 교육을 할 수 있어 학습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실내의 전방 벽면 중앙에 양측으로 보조칠판(111)을 구비한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하부에 형성되면서 각각의 양측단(121)이 베이스(110)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면서 베이스(110)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가이드봉(120)과;
    상기 가이드봉(120)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형성한 가이드블럭(130)과;
    상기 가이드블럭(130)의 상면에 선단부를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후단부를 가이드블럭(130)과 대향 되도록 절곡시키며 고정부(141)를 형성하고, 고정부(141)와 가이드블럭(130)의 사이인 칠판고정브래킷(140)의 중앙에 가이드블럭(130)과 대향되도록 돌출된 지지브래킷(142)을 형성하고, 지지브래킷(142)의 하단부에 회전되도록 형성한 간격조절 축(143)의 일측 끝단부에 베이스(110)에 밀착되어 가이드블럭(130) 슬라이드 시 회전되는 회전롤러(144)를 형성한 칠판고정브래킷(140)과;
    상기 칠판고정브래킷(140)의 고정부(141)에 배면이 고정되어 가이드블럭(130)에 의해 보조칠판(111) 측으로 슬라이드 되는 칠판(150)과;
    상기 칠판(150)이 보조칠판(111) 전방으로 슬라이드 될 때 베이스(110)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어 노출되는 영상표시장치(16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칠판.
  2. 삭제
  3. 삭제
KR2020070010790U 2007-06-29 2007-06-29 개폐식 칠판 KR200438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790U KR200438430Y1 (ko) 2007-06-29 2007-06-29 개폐식 칠판
PCT/KR2008/003691 WO2009005248A1 (en) 2007-06-29 2008-06-26 Sliding black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790U KR200438430Y1 (ko) 2007-06-29 2007-06-29 개폐식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430Y1 true KR200438430Y1 (ko) 2008-02-15

Family

ID=4022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790U KR200438430Y1 (ko) 2007-06-29 2007-06-29 개폐식 칠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38430Y1 (ko)
WO (1) WO20090052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73B1 (ko) * 2014-12-22 2016-02-26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2042A (zh) * 2013-06-25 2013-10-02 谢虹 一种荧光板
JP6214516B2 (ja) * 2014-12-16 2017-10-18 株式会社青井黒板製作所 表示ボード用プロジェクターの走行装置
CN107170300B (zh) * 2017-07-17 2024-02-13 深圳中电数码显示有限公司 一种教学设备
JP7025756B2 (ja) * 2018-04-04 2022-02-25 株式会社北島製作所 可動式スクリーンの設置装置
CN113693391B (zh) * 2021-09-30 2022-08-26 江西软件职业技术大学 一种教育用可多方位调节的黑板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686A (ja) * 1999-03-31 2000-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黒板装置
JP2005022274A (ja) * 2003-07-03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黒板
JP2006192610A (ja) * 2005-01-11 2006-07-27 Aoi Kokuban Seisakusho:Kk 黒板装置
KR100529795B1 (ko) * 2005-04-01 2005-11-17 (주)컴버스테크 전자칠판의 좌우 이동이 용이한 데이터 트랙 레일장치를탑재한 전자칠판시스템
JP2006315223A (ja) * 2005-05-11 2006-11-24 Itoki Corp 情報伝達支援用パネ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73B1 (ko) * 2014-12-22 2016-02-26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05248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430Y1 (ko) 개폐식 칠판
KR101168964B1 (ko) 슬라이드식 벽면티브이를 구비한 칠판
KR20110027262A (ko) 이동식 화면부를 구비한 칠판
KR200439869Y1 (ko) 영상표시장치를 구비한 칠판
CN204936594U (zh) 隐形拼缝白板本体及由其构成的组合白板
JP4777156B2 (ja) スクリーン機能を兼ね備えたスライド式筆記板
KR20110065072A (ko) 슬라이드식 벽면티브이를 구비한 칠판
JP2019184712A (ja) 可動式スクリーンの設置装置
KR101595081B1 (ko) 유리칠판
CN212750122U (zh) 一种教育机机壳
KR101670186B1 (ko) 시청각 교육용 칠판
KR101504741B1 (ko) 슬라이드식 티브이를 구비한 칠판의 위치결정장치
JP3197760U (ja) スライド式プロジェクターの移動機構
CN104960359A (zh) 一种隐形拼缝白板本体及由其构成的组合白板
KR20000006043U (ko)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KR200364724Y1 (ko) 전자 칠판이 구비된 교습 장치
CN205943143U (zh) 一种新型交互式教学系统
KR100466848B1 (ko) 다목적용 교탁
TWM558381U (zh) 可移動位置之投影幕
KR200366924Y1 (ko) 슬라이드 이동식 화이트보드 칠판
KR101369503B1 (ko) 이동이 용이한 칼라보드형 다기능 칠판 및 그 제작방법
KR20200061511A (ko) 화이트보드 겸용 전자칠판
JP3125808U (ja) スクリーン機能を兼ね備えたスライド式筆記板
CN214647166U (zh) 一种可旋转折叠的交互智能黑板
CN209534564U (zh) 一种高中英语教学用多功能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