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043U -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 Google Patents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043U
KR20000006043U KR2019980017045U KR19980017045U KR20000006043U KR 20000006043 U KR20000006043 U KR 20000006043U KR 2019980017045 U KR2019980017045 U KR 2019980017045U KR 19980017045 U KR19980017045 U KR 19980017045U KR 20000006043 U KR20000006043 U KR 200000060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screen assembly
screen
image scre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장준관
대한칠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관, 대한칠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준관
Priority to KR2019980017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043U/ko
Publication of KR20000006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043U/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에 관한 것으로, 틀체의 횡방향으로 안내홈(12)이 서로의 상대위치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 칠판보호틀체(11a),(11b)와 일체로 결합되는 측부 칠판보호틀체(13)가 판서부재(14)를 외곽으로 감싸도록 된 메인칠판(10)과;
상기 메인칠판(10)의 전방외측에 배치되고, 영상기자재의 조사각도에 대응하여 화면부(9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조절수단(20)이 형성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와;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칠판(10)의 상,하부 칠판보호틀체(11a),(11b)상에 형성된 안내홈(12)을 따라서 메인칠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된 좌,우이동수단(30)과;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를 고정프레임(51)내에 있는 슬라이드부재(42)를 통하여 메인칠판(10)의 상하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스크린승강수단(50)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두상투영기를 이용하여 시청각 교육을 실시할 때 에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높이 및 좌,우 위치와 각도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강자들에게 최적의 피사높이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본 고안은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칠판의 전면부에 학교나 강의실등에 설치되어 시청각교육을 수행토록 하는 영상스크린을 수강자가 원하는 최적의 각도로 자유로히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스크린(일명 O. H. P)은 판서용으로 사용하는 중앙의 메인칠판의 양옆에서 레일을 타고 중앙쪽으로 궤도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개폐되는 이른바 미닫이식 보조 교육부재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용 부재들은 통상적으로 수강실의 전면에 설치되는데,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식과, 고정된 틀체로 부터 좌우로 슬라이드되게 설치되거나, 경첩등과 같은 절첩수단을 이용하여 수강자가 설치된 상태에서 중앙을 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식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고정식은 비교적 좌우로 길이가 긴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그 양측에 위치되는 수강자들은 빛의 반사와 투시각이 적은 관계로 수강에 어려움이 많아 최근에는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슬라이드식 및 회동식을 포함한 일명 개폐식 칠판의 경우에는 해당부재를 시야에 대하여, 좌,우의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최적의 위치로 위치전환된 상태에서 수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칠판용 영상스크린의 화면부 각도조절장치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국내발명특허 제 96 -17216호)와 같이 메인칠판의 틀체상 레인을 따라 궤도이동하는 외곽틀체와, 상기 외곽틀체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전방쪽을 향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피봇팅시킨 영상스크린을 소정의 각도 조절수단을 통하여 상기 외곽틀체로 부터 단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영상스크린의 각도조절수단은 스크린판의 이륵가장자리의 양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의 안내부재상에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외곽틀체상에 수평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지지된 로드의 타단부에는 상기 요홈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이동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영상스크린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승강목적물인 메인칠판이 부착된 중앙틀체를 두상투영기의 피사높이에 맞추어 1차적으로 승강조절한 다음 상기 영상스크린을 상기 메인칠판의 전방으로 중앙 정렬시킨 상태에서 다시 각도 조절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영상스크린을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이동시켜 최적의 피사각도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영상스크린 구동장치는 수강자에 대하여, 상,하로 수직한 종방향으로는 각도조절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수강실의 위치나 조명에 따라서는 상,하부가 상이하게 빛이 반사되는 결과로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부분이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수강자의 시야로부터 영상스크린이 대략 직각되게 설치되거나, 하지않는 관계로 상,하 각 부분이 상이한 거리를 갖게되어 그 표면에 형성되는 교육내용들은 원근에 따른 크기차이로 인하여 정확한 형태를 나타내지 못하여 교육의 효과가 반감되었던 것이다.
즉, 화상이 찌그러지거나 불균형을 이루며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인의 선출원(국내 발명특허출원 제 94 - 146호)발명 내용에서 밝혀지는 바와 같이 한쌍의 내외륜 기어를 이용해 조절노브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그 각도가 미세히 조절되는 이점이 있는 반면 동작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53 - 62451호 에서는 등사기를 위한 영상스크린을 칠판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영상스크린을 링크부재에 의해 벽면으로 부터 돌출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등사기를 이용한 영상교육시에 피교육자로 부터 적절한 상태의 영상시야를 갖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 일본공개의 기술구성은 단지 롤상으로 권취되는 스크린이 어느한 위치로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설치위치가 피교육자의 위치 및 강의자의 편안한 강의상태, 그리고 햇빛 등에 의해 반사되지 않는 위치로 좌우방향에 대하여 위치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메인칠판에 대하여 외부로 크게 노출되어 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원가의 상승으로 인해 구입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칠판의 전면부에 학교나 강의실 등에 설치되어 시청각교육을 수행토록하는 영상스크린을 수강자가 원하는 최적의 각도로 자유로히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한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좌우방향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로 설치위치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이동식 스크린 구동장치가 설치된 칠판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이동식 스크린 구동장치가 칠판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 3은 이동식 스크린 구동장치에 의해 스크린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이동식 스크린 구동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스크린이 횡으로 펼쳐지면서 화면부가 확장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칠판 11 - 틀체
12 - 안내홈 11a,11b - 상,하부 칠판보호틀체
13 - 측부 칠판보호틀체 14 - 판서부재
20 - 각도조절수단 21 - 보호프레임
22 - 영상스크린 23 - 슬라이드홈
24 - 로드 25 - 이동구
26 - 지지홈 27 - 회전구
30 - 좌,우이동수단 31 - 브라켓트
32 - 브라켓트몸체 33 - 이동롤러
34 - 고정축 35 - 베어링
41 - 연결판 42 - 슬라이드부재
43 - 승,하강프레임 44 - 연결편
50 - 스크린승강수단 51 - 고정프레임
52 - 와이어 53 - 도르레
54 - 고정틀 55 - 무게추
60 - 위치결정수단 61 - 자석
70 - 걸림구 80 - 경첩
90 - 화면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틀체의 횡방향으로 안내홈(12)이 서로의 상대위치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 칠판보호틀체(11a),(11b)와 일체로 결합되는 측부 칠판보호틀체(13)가 판서부재(14)를 외곽으로 감싸도록 된 메인칠판(10)과;
상기 메인칠판(10)의 전방외측에 배치되고, 영상기자재의 조사각도에 대응하여 화면부(9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조절수단(20)이 형성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와;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칠판(10)의 상,하부 칠판보호틀체(11a),(11b)상에 형성된 안내홈(12)을 따라서 메인칠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된 좌,우이동수단(30)과;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를 고정프레임(51)내에 있는 슬라이드부재(42)를 통하여 메인칠판(10)의 상하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스크린승강수단(5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상투영기를 이용하여 시청각교육을 실시할 때 에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높이 및 좌,우 위치와 각도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강자들에게 최적의 피사높이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이동식 스크린 구동장치가 설치된 칠판의 구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이동식 스크린 구동장치가 칠판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3은 이동식 스크린 구동장치에 의해 스크린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이동식 스크린 구동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스크린이 횡으로 펼쳐지면서 화면부가 확장전개되는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의실 등의 전방벽면에 설치되는 메인칠판(10)의 전면부에는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높이 및 좌,우 위치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장치가 형성된다.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는 메인칠판(10)의 전면부에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메인칠판(10)의 틀체(11)상부와 하부에는 안내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12)은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수강자에게 최적의 위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수단(30)이 위치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좌,우이동수단(30)은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보호프레임(21) 후측부 양측에 브라켓트(31)에 의해 장착된 이동롤러(33)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롤러(33)는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원할한 구동을 위하여 통상 양측에 2개씩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이동롤러(33)는 보호프레임(21) 후측부에서 브라켓트(31)와 고정축(34)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축(34)의 외측에는 이동롤러(33)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35)을 장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따라서,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을 메인칠판(10)의 전면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에는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보호프레임(21) 후측에 이동롤러(33)가 메인칠판(10)의 틀체(11) 상,하부에서 안내홈(12)과 접지되어 있으므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을 외측에서 보호하는 보호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20)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2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상부 일측에 슬라이드홈(23)을 형성하고, 보호프레임(21)의 상부와는 로드(24)에 의해 연결된 이동구(25)가 구비된다.
그리고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하부에는 지지홈(26)이 형성되고, 보호프레임(21)의 하부에는 회전구(27)가 형성된다.
즉,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각도조절은 로드(24)와 연결된 이동구(25)의 하부에 구형의 끼움돌기(28)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돌기(28)가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슬라이드홈(23)에서 횡으로 지점 회동되면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고,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홈(26)은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각도가 조절될 때 회전구(27)와 끼워져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프레임(21)의 후면 양측부에는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승,하강프레임(43)이 형성된다.
또한, 승,하강프레임(43)은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지지바의 역할을 하는 것이며, 승,하강프레임(43)과 고정되는 연결편(44)의 양측으로는 슬라이드부재(42)가 위치된다.
또, 상기 승,하강프레임(43)과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는 연결판(41)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41)은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과 승,하강프레임(43)을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승,하강프레임(43)의 후측에 위치된 연결편(44)이 승,하강프레임(43)과 고정된 후, 슬라이드부재(42)의 안내를 받아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이 메인칠판(10)의 전면부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높이를 승,하강시키면서 이동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51)의 일측부에는 스크린승강수단(50)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승강수단(50)은 무게추(55)가 와이어(52)에 연결된 후 도르레(53)에 감겨져 이동되면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무게추(55)는 보호프레임(21)의 후측에 위치된 고정프레임(51) 일측부에 고정되고, 타측부에는 슬라이드부재(42)와 고정되는 고정틀(5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52)는 무게추(55)를 연결한 후 도르레(53)에 감겨져 하부에 위치된 브라켓트몸체(3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는 무게추(55)의 상,하이동에 의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프레임(43)의 양측부에는 조절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높이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60)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결정수단(60)은 금속재로 형성된 승,하강프레임(43)에 자석(61)을 이용하여 조절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높이를 자력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프레임(51)의 선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일정높이 이상으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이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구(7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일측부에는 경첩(80)에 의해 횡으로 펼쳐지면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화면부(90)를 확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영되는 화상의 색과 질감 또는 수강자의 인원 등을 감안해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일측부에 경첩(80)을 이용하여 화면부(90)를 2중으로 형성하므로써 확장된 화면 식인성을 향상시켜 시청각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화면부(90)는 시청각 교육시에는 스크린으로 사용되고, 일상적인 교육시에는 수성펜등을 이용한 판서용 칠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시청각 교육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을 수강자가 원하는 최적의 각도로 자유로히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는 두상투영기를 이용하여 시청각 교육을 실시할 때 에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높이 및 좌,우 위치와 각도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강자들에게 최적의 피사높이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틀체의 횡방향으로 안내홈(12)이 서로의 상대위치에 각각 형성된 상,하부 칠판보호틀체(11a),(11b)와 일체로 결합되는 측부 칠판보호틀체(13)가 판서부재(14)를 외곽으로 감싸도록 된 메인칠판(10)과;
    상기 메인칠판(10)의 전방외측에 배치되고, 영상기자재의 조사각도에 대응하여 화면부(9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조절수단(20)이 형성된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와;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칠판(10)의 상,하부 칠판보호틀체(11a),(11b)상에 형성된 안내홈(12)을 따라서 메인칠판(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된 좌,우이동수단(30)과;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를 고정프레임(51)내에 있는 슬라이드부재(42)를 통하여 메인칠판(10)의 상하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는 스크린승강수단(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스크린 어셈블리(22)의 일측부에 경첩(80)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화면부(90)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화면부(90)를 2중으로 절첩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KR2019980017045U 1998-09-08 1998-09-08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KR200000060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045U KR20000006043U (ko) 1998-09-08 1998-09-08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045U KR20000006043U (ko) 1998-09-08 1998-09-08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043U true KR20000006043U (ko) 2000-04-06

Family

ID=6952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045U KR20000006043U (ko) 1998-09-08 1998-09-08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04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43A (ko) * 2001-09-25 2003-04-10 이철규 영상교육용 칠판
KR101485070B1 (ko) * 2013-05-07 2015-01-21 장창호 슬라이드식 영상장치가 구비된 칠판
KR102510063B1 (ko) * 2022-12-21 2023-03-15 주식회사 이음 승강, 좌우 및 스윙 변위가 가능한 이동식 칠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43A (ko) * 2001-09-25 2003-04-10 이철규 영상교육용 칠판
KR101485070B1 (ko) * 2013-05-07 2015-01-21 장창호 슬라이드식 영상장치가 구비된 칠판
KR102510063B1 (ko) * 2022-12-21 2023-03-15 주식회사 이음 승강, 좌우 및 스윙 변위가 가능한 이동식 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15531A (zh) 一种多功能的升降式教学黑板
CN106205224A (zh) 一种用于教学讲台的长距离可旋转一体化投影机构
US2528311A (en) Combination blackboard and projection screen
KR200438430Y1 (ko) 개폐식 칠판
JP2008119967A (ja) 黒板装置
KR20000006043U (ko)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CN205344231U (zh) 多媒体自动推拉式黑板
KR10073583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화이트 보드
JP2655829B2 (ja) 教育用ボード
JP2008100443A (ja) 黒板装置
KR970000544B1 (ko) 승하강 개폐칠판
CN210567265U (zh) 复式户型设计效果展示系统
JP2005035163A (ja) 黒板装置
KR970010159B1 (ko) 교육용 보드의 각도조절장치
CN208367944U (zh) 一种自动化计算机多媒体教学装置
CN208271407U (zh) 一种基于云平台的计算机实验室教学装置
KR200416990Y1 (ko) 교육용 보드의 각도조절장치
CN205428255U (zh) 一种可移动多媒体教学系统
CN215577058U (zh) 一种小学语文课程创新装置
KR0158094B1 (ko) 승하강 개폐칠판의 다단계 승강위치 결정장치
CN214230376U (zh) 一种光影镜像教学桌
KR200275703Y1 (ko) 키높이 칠판
KR19990028397U (ko) 영상교육용 보조칠판의 각도조절 장치
CN220290333U (zh) 一种美术课堂用图画展示装置
CN219055855U (zh) 一种绘画课堂用绘画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