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703Y1 - 키높이 칠판 - Google Patents

키높이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703Y1
KR200275703Y1 KR2020020003817U KR20020003817U KR200275703Y1 KR 200275703 Y1 KR200275703 Y1 KR 200275703Y1 KR 2020020003817 U KR2020020003817 U KR 2020020003817U KR 20020003817 U KR20020003817 U KR 20020003817U KR 200275703 Y1 KR200275703 Y1 KR 200275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frame
auxiliary
pulle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장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호 filed Critical 장창호
Priority to KR2020020003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703Y1/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육을 할 때 글씨를 쓰거나, 챠트 등을 부착하는 칠판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안정되게 칠판프레임의 작동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칠판프레임(1)의 양측에 보조프레임(2)을 설치하고 상기 각 보조프레임에 형성된 공간부(3)에는 가이드레일(4)을 따라 웨이트(5)를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는 1개의 풀리(6)와 한 쌍으로 이루어진 풀리(7a)(7b)를 설치하여 웨이트(5)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9)를 풀리(6)(7a)를 거쳐 칠판프레임(1)의 일측으로 노출된 지지편(10)에 걸치도록 한 다음 풀리(7a)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풀리(7b)를 거쳐 웨이트(5)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칠판프레임(1)에는 보조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11)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끼워져 칠판프레임(1)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키높이 칠판{Height Control Blackboard}
본 고안은 교육을 할 때 글씨를 쓰거나, 챠트 등을 부착하는 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조작으로 안정되게 칠판프레임의 작동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키높이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은 주로 교육을 할 때 판서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학습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근에는 각종 보조기능을 갖는 교육부재들을 다수개 동시 설치하여 필요시에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또는 힌지를 이용하여 회동시켜 필요한 교육부재가 인출되도록 하여 보조 교육을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개폐칠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개폐칠판"은 레일형과 같이 좌우로 직선 이동되는 미닫이식과, 힌지 등에 의하여 한 지점을 축으로 회동하는 여닫이식으로 구분되는데, 이들을 총칭하여 개폐칠판이라 부르고 있다.
상기 보조용 교육부재라 함은 학교 및 강의실 등에서 강의에 필요한 학습내용을 기록하거나, 부착하는 칠판과 같은 보드형상의 칠판 보조용으로써, 중앙에 위치하는 메인칠판의 일측 내지는 양측으로 설치되어 그림 그리기를 위한 선(線)이나 글씨의 띄어쓰기 및 교정 등을 교육하기 위한 문자들 및 음악 교육용 5선지, 지도 등이 표시된 칠판, 메모지나 각종 교육자료 등을 부착하여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게시판, 펜에 의한 판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이트보드, 영사기나 환등기 등에 의해 화면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크린판(O.H.P)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한, 상기 개폐칠판의 사용에 있어서도 최근에는 수강자 위치 및 강의자의 키 높이 등에 따른 조건에 따라 칠판프레임의 높이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하도록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칠판도 알려져 있다.
상기 높이 조절용 승강수단으로는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특허된(발명 특허 제64161호) 내용(도 1 참조)과 같이 칠판과 균형을 이루는 평형추를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칠판을 원하는 높이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승강수단이 다른 실시예로 칠판과의 하중 균형을 위한 평형추를 대신하여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하고, 필요 위치에는 칠판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동수단이 구비되는 구조의 것도 알려진 바 있다.
이와 같이 균형유지를 위한 평형추를 사용하거나, 스프링을 장치하는 승강 칠판은 그 높이 조절을 사용자가 직접 인위적으로 동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스위치의 접점에 의해 칠판을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강의자나 조명의 위치 또는 수강자의 위치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승강 조절되는 메인 칠판의 양측으로 레일을 이용한 미닫이식 또는 회전에 의한 여닫이식으로 교육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앙의 메인칠판과 그 양측으로 설치되는 보조용 교육부재들의 높이를 일치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특히, 레일형 교육부재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칠판의 상, 하단을 지지하는 틀체에 레일식 교육부재가 이동되는 레일홈 또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칠판을 지지하는 틀체와 레일형 교육부재를 지지하는 고정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정상적으로 레일형 교육부재가 칠판의 전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인이 선 출원(국내 특허 제94-5154호)한 바와 같이 칠판의 위치를 그 양측에 위치되는 보조육부재와 동일 높이를 유지시켜, 보조교육부재(18)가 원활하게 회동 또는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된 것이 제안되어 나름대로 널리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그 높이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레일형 교육부재의 경우를 중앙측의 메인칠판 전면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었다.
또, 회동식으로 되는 보조교육부재의 경우에도 정위치에서 회동되며 메인칠판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그 회동된 상태에서 교육시 정위치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위치결정수단은 강의실 등의 벽면에 고정되는 보조교육부재와 그 중앙측에서 승, 하강되는 메인칠판의 경계 위치에서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므로, 강의자가 메인칠판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어느 일측의 위치결정부재를 조작한 후 타측으로 위치 이동하여 다시 그 고정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칠판이 설치된 칠판프레임만을 자유롭게 승, 하강시킴은 물론 위치 조절된 칠판프레임의 위치를 원터치 동작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칠판프레임의 양측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각 보조프레임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웨이트를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는 1개의 풀리와 한 쌍으로 이루어진 풀리를 설치하여 웨이트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를 풀리를 거쳐 칠판프레임의 일측으로 노출된 지지편에 걸치도록 한 다음 풀리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풀리를 거쳐 웨이트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칠판프레임에는 보조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끼워져 칠판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칠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키높이 칠판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프레임의 상세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위치결정수단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칠판프레임 2 : 보조프레임
3 : 공간부 4 : 가이드레일
5 : 웨이트 6, 7a, 7b : 풀리
9 : 와이어 10 : 지지편
11 : 걸림홈 13 : 축핀
14 : 레버 15 : 링크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키높이 칠판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보조프레임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칠판프레임(1)의 양측에 보조프레임(2)이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보조프레임(2)에 형성된 공간부(3)에는 가이드레일(4)을 따라 안정적으로승, 하강할 수 있도록 웨이트(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칠판프레임(1)의 양측에 설치된 보조프레임(2)내의 가이드레일(4)에는 무게가 동일한 웨이트(5)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는, 칠판프레임(1)의 승, 하강 동작시 웨이트(5)의 무게가 불균형을 이루면 승, 하강 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2)에 형성된 각 공간부(3)의 상부에는 1개의 풀리(6)와 한 쌍으로 이루어진 풀리(7a)(7b)가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풀리(7a)(7b)는 도 3과 같이 보조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8)을 통해 보조프레임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트(5)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9)를 풀리(6)(7a)를 거쳐 칠판프레임(1)의 일측으로 노출된 지지편(10)에 걸치도록 한 다음 풀리(7a)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풀리(7b)를 거쳐 웨이트(5)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칠판프레임(1)의 저면에는 보조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11)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끼워져 칠판프레임(1)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수단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칠판프레임(1)에 고정된 지지판(12)과, 상기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축핀(13)이 힌지 결합된 레버(14)와, 상기 레버의 축핀에 결합되어 레버의 회동에 따라 보조프레임(2)의 경계 위치로 연장되어 대칭되게 운동하는 한 쌍의 링크(15)와, 상기 링크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링크의 수평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6)와, 상기 보조프레임(2)의 측판에 형성되어 링크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걸림홈(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칠판프레임(1)이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레버(14)의 선단이 보조프레임(2)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홈(11)내에 끼워져 있으므로 칠판(19)에 글씨를 쓰더라도 칠판프레임(1)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칠판프레임(1)의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프레임(2)의 걸림홈(11)내에 끼워져 있던 레버(14)의 선단을 걸림홈으로부터 이탈시켜야 된다.
이에 따라, 레버(14)를 회동시키면 레버(14)에 연결된 축핀(13)이 함께 회동하여 링크(15)를 각각 양측에서 결합시킨 핀(17)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위치이동 거리와 상응하는 접선거리로 하여 한 쌍의 링크(15)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15)가 레버(14)의 회동에 의해 각각 양측으로 이동하면 링크(15)의 끝부분이 보조프레임(2)에 형성된 걸림홈(11)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칠판프레임(1)을 승,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프레임(2)과 분할 형성된 칠판프레임(1)을 강제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면 상기 칠판프레임(1)은 보조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더에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승, 하강되는데, 이 때 상기 칠판프레임(1)의 양측으로 노출된 지지편(10)에 와이어(9)가 걸려 있고 상기 와이어(9)는 다수개의 풀리(6)(7a)(7b)를 통해 공간부(3)내에 위치된 웨이트(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적은 힘으로도 칠판프레임(1)을 승,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칠판프레임(1)의 위치를 적정 위치로 조절하고 나면 보조프레임(2)의 측판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홈(11)에 링크(15)가 일치되도록 한 다음 회동시켰던 레버(14)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칠판프레임(1)이 승, 하강되거나, 상, 하로 유동되지 못하고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프레임(2)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조교육부재(18)로는 메모 게시용 게시판, 내지는 지도나 음악 교육용 오선, 원고지 또는 음계, 영사기 및 환등기의 사용시에 그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크린판(일명 O.H.P)등과 같이 교육에 많이 필요한 내용이 인쇄되는 것을 비치하여, 교육 중 필요한 내용의 것이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보다 신속히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교육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교육부재(18)는 슬라이드식이 아닌 고정식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칠판프레임(1)에 설치되는 칠판(19)은 그 형상이 평면형과, 중앙이 오목하게 만곡되도록 성형된 곡면형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중 어떠한 형상의 것을 선택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칠판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의 공간부에 웨이트를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웨이트에 고정된 와이어가 다수개의 풀리를 거쳐 칠판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적은 힘으로도 키높이 칠판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키높이 칠판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므로 메인칠판의 사용시 칠판프레임의 위치가 가변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칠판프레임의 양측에 보조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각 보조프레임에 형성된 공간부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웨이트를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는 1개의 풀리와 한 쌍으로 이루어진 풀리를 설치하여 웨이트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를 풀리를 거쳐 칠판프레임의 일측으로 노출된 지지편에 걸치도록 한 다음 풀리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풀리를 거쳐 웨이트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칠판프레임에는 보조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끼워져 칠판프레임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칠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칠판프레임에 고정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축핀이 힌지 결합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축핀에 결합되어 레버의 회동에 따라 보조프레임의 경계 위치로 연장되어 대칭되게 운동하는 한 쌍의 링크와, 상기 링크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링크의 수평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보조프레임의 측판에 형성되어 링크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걸림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 칠판.
KR2020020003817U 2002-02-06 2002-02-06 키높이 칠판 KR200275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817U KR200275703Y1 (ko) 2002-02-06 2002-02-06 키높이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817U KR200275703Y1 (ko) 2002-02-06 2002-02-06 키높이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703Y1 true KR200275703Y1 (ko) 2002-05-13

Family

ID=7307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817U KR200275703Y1 (ko) 2002-02-06 2002-02-06 키높이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7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639826U (zh) 大学生创新创业课程多媒体演示的电子讲台
JP2008119967A (ja) 黒板装置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CN208615570U (zh) 一种可移动调节的背景投影式教学书写板
KR200275703Y1 (ko) 키높이 칠판
KR970010809B1 (ko) 승하강 개폐칠판의 승강위치 결정장치
KR0158094B1 (ko) 승하강 개폐칠판의 다단계 승강위치 결정장치
KR970000544B1 (ko) 승하강 개폐칠판
CN108520660A (zh) 一种数字化教育技术教学装置
KR970003008Y1 (ko) 승하강 개폐칠판
KR0129615B1 (ko) 승하강 칠판
KR0154372B1 (ko) 승하강 칠판의 승강장치
CN208271407U (zh) 一种基于云平台的计算机实验室教学装置
KR200285224Y1 (ko) 칠판의 승강장치
CN210184946U (zh) 一种马克思主义教学教室用课桌
KR100466848B1 (ko) 다목적용 교탁
KR200275702Y1 (ko) 전체 승강 칠판
KR100232862B1 (ko) 승하강 칠판
JP3155101U (ja) ライティングボード
KR0136814B1 (ko) 승하강 칠판의 승강장치
KR19980029045A (ko) 승하강 칠판의 승강장치
JPH02167107A (ja) ディスプレー用机
KR20000006043U (ko) 이동식 스크린이 설치된 칠판
KR20030028643A (ko) 영상교육용 칠판
CN213935299U (zh) 一种汉语言文学对照讲解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