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904Y1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904Y1
KR200437904Y1 KR2020060030022U KR20060030022U KR200437904Y1 KR 200437904 Y1 KR200437904 Y1 KR 200437904Y1 KR 2020060030022 U KR2020060030022 U KR 2020060030022U KR 20060030022 U KR20060030022 U KR 20060030022U KR 200437904 Y1 KR200437904 Y1 KR 200437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box
box body
cutting lin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성
김성균
김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씨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씨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씨케이
Priority to KR2020060030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9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사각형의 평판형 박스 바디와, 상기 박스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일체로 형성된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와, 상기 박스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두 변에 일체로 형성된 제3날개부 및 제4날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는 양단에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1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박스 바디와 부분적으로 분리되며, 또한 양단에 상기 제1절개라인에 수직하게 제2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제3날개부 및 제4날개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장용 박스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다.
박스, 절개라인, 끼움 결합, 재활용

Description

포장용 박스{BOX FOR PACKAGING}
도 1은 종래의 박스의 접혀있는 평면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도 1의 박스 형태의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가 접혀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포장용 박스의 접힘부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박스 바디 121:제1날개부
122:제2날개부 123:제3날개부
124:제4날개부 125:연장부
131,132,133,134:접힘라인 141a,141b,141c,141d:제1절개라인
142a,142b,142c,142d:제2절개라인 143a,143b,143c,144c:제3절개라인
본 고안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심을 사용하지 않으며 별도의 테이핑 작업이 필요없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는 제품을 포장하여 운반하기 하기 위한 것으로 재질에 따라 종이 박스와 플라스틱 박스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종이 박스는 주로 골판지를 주요 재질로 하고 있으며, 포장 방식에 따라서 일체형 박스와 상하 분리형 박스로 구분된다.
이러한 종래의 박스는 골판지 등을 이용하여 박스의 외형을 성형한 뒤 박스의 원형을 온전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철심을 사용하여 박스를 제작된다. 도 1은 종래의 상하 분리형 박스의 접혀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박스의 원형을 온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철심으로 2개의 면이 연결되어 있다.
적재시 종래의 상하 분리형 박스는 철심으로 처리한 부분이 찢어질 우려가 있고, 2개의 면이 연결되어 하나의 박스를 이루게 되므로 2배의 두께를 가지게 되어 1 묶음당 5 ~ 10개 정도만 적재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상하 분리형 박스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접혀있는 상태의 상하 분리형 박스를 펼친 후, 박스의 안쪽면을 접고, 테이핑(taping) 작업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A”는 철심이 박혀있는 부분과 날개 부분으로 철심이 박혀있는 부분이 날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쉽게 찢어지는 단점이 있다. “B”와 “C”는 날개 부분을 접는 것과 접은 후의 테이핑 작업을 나타내는 것으로 선반 위에서 작업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허리를 숙이는 등의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고, 특히 “C”의 경우에는 테이핑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상하 분리형 박스의 경우 상부 및 하부 모두 테이핑 작업으로 인한 시간적 동적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철심과 테이프 등의 추가 재료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번 사용한 박스를 적재하여 보관한 후 재사용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철심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면에 상부 또는 하부 박스를 형성하여 찢어질 염려가 없고, 박스 형성 작업이 용이하며, 다량의 적재가 가능한 개량된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간단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사각형의 평판형 박스 바디와, 상기 박스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일체로 형성된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와, 상기 박스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두 변에 일체로 형성된 제3날개부 및 제4날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는 양단에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1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박스 바디와 부분적으로 분리되며, 또한 양단에 상기 제1절개라인에 수직하게 제2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제3날개부 및 제4날개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1절개라인은 상기 제2절개라인 보다 길이가 짧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박스 바디와 각각의 날개부가 접하는 부분에는 접힘라인이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제3날개부와 제4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양단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에는 상기 제1절개라인에 수직한 제3절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양단에 상기 제1절개라인을 지나 박스 바디 내부로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날개부 및 제4날개부의 양단은 상기 제3절개라인에 의하여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양단에 끼움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장용 박스가 평면상의 하나의 바디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중 또는 접힘 과정에서 찢어질 염려가 없으며, 작업성이 우수하고 테이핑 작업을 요하지 않아 추가 재료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보인 평면도이다. 박스 구조체로 변형하기 이전에 평면형의 박스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시트상의 판재에 부분적인 절개라인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나의 사각형 판재(100)는 중앙부의 사각형의 평판형 박스 바디(110)와, 상기 박스 바디의 외주부에 각각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 개의 날개부(121, 122, 123, 124)로 구성된다. 각각의 날개부는 박스 바디(110)와 접힙 라인(131, 132, 133, 134)에 의하여 구분된다.
상기 박스 바디(110)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일체로 형성된 제1날개부(121) 및 제2날개부(122)는 상기 박스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두 변에 일체로 형성된 제3날개부(123) 및 제4날개부(124)와 상호 수직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날개부(121, 122, 123, 124)는 접힘 라인(131, 132, 133, 134)을 기준으로 상기 판상의 박스 바디(110)에 90°각도로 접혀 박스 구조체의 각 수직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날개부(121) 및 제2날개부(122)는 양단에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이 형성되어 상기 박스 바디(110)와 부분적으로 분리되며, 또한 제1날개부(121) 및 제2날개부(122) 양단에 상기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에 수직하게 제2절개라인(142a, 142b, 142c, 142d)이 형성되어 상기 제3날개부(123) 및 제4날개부(124)와 분리된다.
상기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은 상기 제2절개라인(142a, 142b, 142c, 142d)과 동일하거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날개부를 상호 끼움 결합하여 박스 구조체로 형성하기에 유리하다.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3날개부(123)와 제4날개부(124)는 각각의 끝단에 상기 제1날개부(121) 및 제2날개부의 양단 방향으로 연장 된 연장부(125)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에는 상기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3절개라인(143a, 143b, 143c, 143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은 제1날개부(121)와 제2날개부(122)의 양단을 박스 바디와 분리시키며, 상기 제2절개라인(142a, 142b, 142c, 142d)은 제3날개부(123) 및 제4날개부(124)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5)와 제1날개부(121)와 제2날개부(122)의 양단을 분리시킨다.
상기 제3절개라인(143a, 143b, 143c, 143d)은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3절개라인(143a, 143b, 143c, 143d)은 소정 폭(t)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날개부를 상호 끼움 결합하여 박스 구조체를 견고하게 형성하기에 유리하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하나의 판넬형 바디의 외주부에 간단한 절개라인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박스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호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박스 구조 형성에 철심 등의 보강재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박스 사용중이나 적재시 박스간의 손상이 방지되고, 박스 적재 단위도 약 30 ~ 50 묶음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어 기존의 박스 대비 200% 이상의 적재량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박스 구조체를 다시 판넬상의 최초 원형으로 복귀시키기 용이하여 한번 사용한 박스의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적재시 전체적인 볼륨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적재 공간의 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박스의 구조체 형성 모습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박스 바디(110) 외주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각각의 날개부(121, 122, 123, 124)를 각각의 접힘 라인(131, 132, 133, 134)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접어 육면체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각 날개부의 양 끝단은 각각의 절개라인을 기준으로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끼움 결합에 의하여 제3날개부(123) 및 제4날개부(124)의 양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125)는 도 6의 확대도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부(121)와 제2날개부(122) 양단의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을 통해 박스 바디(110) 안쪽으로 끼워지며, 상기 제3절개라인(143a, 143b, 143c, 143d)을 통해 상기 연장부(125)가 부분적으로 제1날개부(121)와 제2날개부(122) 쪽으로 끼움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상기 제3날개부(123) 및 제4날개부(124)의 양단에 연장된 연장부(125)가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을 통해 박스 바디(110) 안쪽으로 끼워지는 제1결합력과, 상기 제3절개라인(143a, 143b, 143c, 143d)을 통해 상기 연장부(125)가 부분적으로 제1날개부(121)와 제2날개부(122) 쪽으로 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력에 의하여 외력에 대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박스 바디 외주부에 형성된 각 날개부를 끼움 결합하는 것만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초 이내 작업에 의하에 판넬형 박스를 박스 구조체로 변형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박스 구조체를 판상의 박스로 복귀시키는 것도 매우 용이하 다.
상기 연장부(125)가 제1절개라인을 통해 박스 바디(110) 안쪽으로 끼움 결합함과 동시에 제1날개부(121) 및 제2날개부(122) 양단으로 끼움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의 길이를 제2절개라인(142a, 142b, 142c, 142d)의 길이 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상기 연장부(125)를 별도로 두지 않고, 상기 제2절개라인(142a, 142b, 142c, 142d)을 상기 제3절개라인 위치에 형성한 채로 상기 제1절개라인(141a, 141b, 141c, 141d)의 길이를 제2절개라인(142a, 142b, 142c, 142d)의 길이 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절개라인을 통해 제3날개부(123)와 제4날개부(124)의 양단의 일부분이 제1날개부(121) 및 제2날개부(122) 양단으로 끼움 결합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판넬형 박스 바디를 박스 구조체로 조립하는 과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날개부(121) 및 제2날개부(122) 양단 부근에 보조적인 접힘 라인(144a, 144b, 144c, 144d)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를 이용하여 제조한 상하 분리형 박스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 박스 덮개(100a, 100b)는 전술한 포장용 박스가 조립된 박스 구조체에 해당하며, 중앙의 구조물(20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상하 분리형 박스는 중앙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중앙 구조물 및 상하 박스 덮개의 형태 역시 정사각형 뿐만 아니라 다양한 치수의 직사각형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재질은 단순한 판상의 종이를 포함하여, 내부에 지그재그 형상의 완충층을 포함하는 복합 포장재, 플라스틱 성분으로 형성되는 강화 포장재 등 어느 재질이라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 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장용 박스가 하나의 평면형 바디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중 또는 접힘 과정에서 찢어질 염려가 없다. 또한, 단순한 접힘 및 끼움 결합에 의하여 평면형 바디를 박스 구조체로 변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테이핑 작업을 요하지 않아 추가 재료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박스는 평면형 박스를 박스 구조체로 변형하기가 용이하고 철심 등의 부가물이 포함되지 않아 보관 및 적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사각형의 평판형 박스 바디와,
    상기 박스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두 변에 일체로 형성된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와,
    상기 박스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 두 변에 일체로 형성된 제3날개부 및 제4날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는 양단에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1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박스 바디와 부분적으로 분리되며, 또한 양단에 상기 제1절개라인에 수직하게 제2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제3날개부 및 제4날개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라인은 상기 제2절개라인 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바디와 각각의 날개부가 접하는 부분에는 접힘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날개부와 제4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 부의 양단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에는 상기 제1절개라인에 수직한 제3절개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양단에 상기 제1절개라인을 지나 박스 바디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날개부 및 제4날개부의 양단은 상기 제3절개라인에 의하여 상기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절개라인은 제1절개라인 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2020060030022U 2006-11-20 2006-11-20 포장용 박스 KR200437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22U KR200437904Y1 (ko) 2006-11-20 2006-11-20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22U KR200437904Y1 (ko) 2006-11-20 2006-11-20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904Y1 true KR200437904Y1 (ko) 2008-01-07

Family

ID=4134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022U KR200437904Y1 (ko) 2006-11-20 2006-11-20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9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5268B2 (ja) 電子機器の梱包箱
KR100582958B1 (ko) 포장용 상자
JP5588313B2 (ja) 折りたたみ可能な組立式箱
JP4711910B2 (ja) 紙製包装箱
US10954025B2 (en) Container with multipiece body
CN111703684A (zh) 一种纸板插接环保包装盒
WO2015079947A1 (ja) トレイ
KR200437904Y1 (ko) 포장용 박스
CN210913272U (zh) 一种包装缓冲结构及包装盒
JP3192481U (ja) 輸送用梱包容器
JP6358729B2 (ja) 輸送用梱包容器
JP4541270B2 (ja) 梱包用緩衝材
CN205345565U (zh) 一种折叠式包装箱
JP5579977B2 (ja) 梱包箱、梱包箱の梱包構造、及び、梱包箱の段積み構造
KR20090005084U (ko)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CN212710469U (zh) 一种纸板插接环保包装盒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JP5422671B2 (ja) 物品収納ケース
JP4509289B2 (ja) ダンボール製パレット及び該パレットの製造方法
JP5828749B2 (ja) 包装箱
TWM542627U (zh) 包裝紙箱結構
CN108263704B (zh) 一种双层套盒
JP3198613U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3200021U (ja) 緩衝機能付き包装箱
JP2021138415A (ja) 配送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