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084U -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084U
KR20090005084U KR2020070018837U KR20070018837U KR20090005084U KR 20090005084 U KR20090005084 U KR 20090005084U KR 2020070018837 U KR2020070018837 U KR 2020070018837U KR 20070018837 U KR20070018837 U KR 20070018837U KR 20090005084 U KR20090005084 U KR 200900050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wall
bottom plate
wall portion
wal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690Y1 (ko
Inventor
황현미
양근춘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8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9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0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15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in closur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and opposite sides,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by extensions of these opposit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수직하게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좌·우 외측벽부 및 이 좌·우 외측벽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좌·우 외측벽부의 내측으로 접혀져 겹침되게 절개된 좌·우 내측벽부가 형성된 좌·우판과, 상기 좌·우판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는 상·하 내측벽부 및 이 상·하 내측벽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직하게 접힘되는 외부 덮개부 그리고 상기 한쌍의 외부 덮개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직하게 접힘되어 상기 상·하 내측벽부의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접혀져 겹쳐지게 배치되는 상·하 보강측벽부 및 상기 좌·우판에 평행하게 상·하 내측벽부에서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구조로 결합되어 좌·우 외측벽부와 좌·우 내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 보강측벽부가 형성되는 상·하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강성과 내충격성 그리고 완충성이 우수하면서 경량의 골판지를 사용하면서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없이 접거나 끼우는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제작이 간편하고, 특히 겹치는 부분을 최대화시켜 중량물이나 원반 커터 등과 같은 기계 구성품에 대한 수납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골판지, 커터, 포장, 상자

Description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Box For Disk Cutter}
본 고안은 원반 커터를 보관하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골판지를 수회 접힘시키면서 절개홈을 통한 끼움구조를 형성하여 각 요소들간의 연결부위에 대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소한 구조로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하거나 또는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포장용 상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종이판지나, 합성수지판, 골판지 등과 같은 시트 형상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최근 들어서는 경량이면서 강성 및 내충격성 그리고 완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한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상자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골판지는 물결 모양으로 골을 만든 골심지에 면이 반듯하고 빳빳한 판지 즉, 라이너지를 골심지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접착제로 붙여서 강성과 내충격성 그리고 완충성을 높인 것으로, 완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이중 또는 삼중의 골심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골판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상자는 종전의 나무상자에 비하여 목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자원 이용의 합리화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유익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이 간단하고 환경 친화적이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상자의 제작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포장될 내용물에 따라서 먼저 일정한 크기와 형태의 상자 양식을 결정한 다음, 골판지 표면에 필요한 내용을 인쇄하고, 인쇄된 골판지를 전개도 형태로 재단하거나 접을 곳에 선을 넣고 평철나사나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로 접합하여 포장 상자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러한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상자는 경량이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필요시에만 조립하여 사용하므로 운반과 보관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특히, 골판지의 특성인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 잡화, 청과물, 육어류 뿐만 아니라 중량물인 가전제품이나 기계부품 등 광범위한 제품의 포장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장상자는 바닥면과 측벽 그리고 덮개부를 형성함에 있어 평철나사나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성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소한 끼움 구조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을 간편하게 하면서, 겹치는 부분을 최대화시켜 중량물과 원반 커터 등과 같은 기계 구성품에 대한 파열강도(破裂强度)와 인장강도(引張强度), 압축강도(壓縮强度)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납안정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수직하게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좌·우 외측벽부 및 이 좌·우 외측벽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좌·우 외측벽부의 내측으로 접혀져 겹침되게 절개된 좌·우 내측벽부가 형성된 좌·우판과; 상기 좌·우판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는 상·하 내측벽부 및 이 상·하 내측벽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직하게 접힘되는 외부 덮개부 그리고 상기 한쌍의 외부 덮개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직하게 접힘되어 상기 상·하 내측벽부의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접혀져 겹쳐지게 배치되는 상·하 보강측벽부 및 상기 좌·우판에 평행하게 상·하 내측벽부에서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구조로 결합되어 좌·우 외측벽부와 좌·우 내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 보강측벽부가 형성되는 상·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좌·우판은 각각의 내부 덮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끼움구조로 조립되게 조립홈과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결속 플랜지가 돌출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하 내측벽부 중 어느 하나는 손잡이 스트랩이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 스트랩이 연결되는 측벽부에 면접하는 상·하 보강측벽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손잡이 스트랩이 외부로 노출되게 손잡이홈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하 내측벽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벽 및 이와 인접하는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삼면이 절개되면서 바닥판부에서 접힘되는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의 양측으로 내측벽부와 바닥판부의 경계면상에 관통 형성되는 조립구멍과, 상기 상·하 보강측벽부 중 상기 끼움편이 형성된 내측벽부의 외면으로 접하는 보강측벽에서 접힘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구멍에 끼움되는 결합 플랜지와, 상기 보강측벽부와 결합플랜지의 경계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편이 끼움되는 끼움구멍을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는, 강성과 내충격성 그리고 완충성이 우수하면서 경량의 골판지를 사용하면서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없이 접거나 끼우는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제작이 간편하고, 특히 겹치는 부분을 최대화시켜 중량물이나 원반 커터 등과 같은 기계 구성품에 대한 수납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절삭 인서트 조립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포장상자의 최종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1)은 크게 물결 모양으로 골을 만든 골심지(2)의 양 면에 빳빳한 판지인 라이너지(3)를 부착하여 된 골판지로 제조된다.
이러한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1)는 크게 바닥면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바닥판(10)과, 이 바닥판(10)의 좌·우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측벽부와 덮개를 형성하는 좌·우판(20,20')과, 상기 좌·우판(20,2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닥판(10)의 상·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측벽부와 덮개를 형성하는 상·하판(30,30')으로 구성된다.
좌·우판(20,20')은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바닥판(10)의 좌·우측에 연장되는 것으로 측벽을 형성하는 좌·우 외측벽부(21,21') 및 상기 좌·우 외측벽부(21,21')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닥판(10)과 대향되게 접힘되는 것에 의해 덮개를 형성하는 내부 덮개부(23,23')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외측벽부(21,21')는 상기 바닥판(10)에서 각각 수직하게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것에 의해 포장상자(1)의 좌·우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덮개부(23,23')는 상기 좌·우 외측벽부(21,21')에서 각각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는 판재형의 부재로 상기 바닥판(10)과 대향 배치되는 것에 의해 바닥판(10)과의 사이에 물품이 수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내부 덮개부(23,23')는 중앙부에 상기 좌·우 외측벽부(21,21')의 내측으로 접혀지는 것에 의해 겹쳐지도록 구비되는 사각형의 좌·우 내측벽부(23s,23s')가 구비되며, 이러한 좌·우 내측벽부(23s,23s')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외측벽부(21,21')와의 경계면과 인접된 일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삼면이 절개된다.
한편, 상기 좌·우판(20,20')은 각각의 내부 덮개부(23,23')의 일측에 상호 끼움구조로 조립될 수 있게 조립홈(23h)과 결속 플랜지(23h')가 형성되며, 이들 조립홈(23h)과 결속 플랜지(23h')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끼움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은 자유로우나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은 억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하판(30,30')은 상기 바닥판(10)의 상·하측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측벽 을 형성하는 상·하 내측벽부(31,31') 및 이 상·하 내측벽부(31,31')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내부 덮개부(23,23')의 상면으로 구비되는 외부 덮개부(33,33') 그리고 상기 각각의 외부 덮개부(33,33')에서 연장되어 상·하 내측벽부(31,31')의 외측과 내측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상·하 보강측벽부(35,35')를 구비하고, 이외에도 상기 좌·우판(20,20')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하 내측벽부(31,31')에서 연장되어 상호 끼움 구조를 갖는 좌·우 보강측벽부(37,37')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 내측벽부(31,31')는 상기 바닥판(10)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배치되어 수직하게 접힘될 수 있게 연장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기 좌·우판(20,20')의 좌·우 외측벽부(21,21')와 함께 사방 측벽을 형성하는 요소이다.
상기 외부 덮개부(33,33')는 상기 상·하 내측벽부(31,31')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직하게 접힘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기 좌·우판(20,20')의 내부 덮개부(23,23')의 상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외부 덮개부(33,33')는 각각 상기 바닥판(10)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적어도 어느 하나가 먼저 상기 내부 덮개부(23,23')의 상면에 접촉되게 구비되고 그 다음으로 나머지 하나가 적층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최외곽에 위치되는 외부 덮개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손잡이(33h)가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보조손잡이(33h)는 홈 또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부를 절개하는 것에 의해 접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보강측벽부(35,35')는 상기 외부 덮개부(33,33')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직하게 접힘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기 상·하 내측벽부(31,31')의 외측 과 내측으로 각각 접혀지게 즉, 겹쳐지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측벽부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상·하 보강측벽부(35,35') 중 상기 상·하 내측벽부(31,31')의 외측으로 겹쳐지게 구비되는 어느 하나의 보강측벽부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 스트랩(h)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손잡이홈(h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 내측벽부(31,31') 중 어느 하나는 길이재의 손잡이 스트랩(h)의 양단이 삽입 고정되는 한쌍의 연결홈(h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스트랩(h)이 구비되는 측벽부에 면접하는 상·하 보강측벽부(35,35')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손잡이 스트랩(h)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손잡이홈(h2)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 보강측벽부(37,37')는 상기 좌·우판(20,20')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상기 상·하 내측벽부(31,31')에서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상기 좌·우 외측벽부(21,21')와 상기 좌·우 내측벽부(23s,23s') 사이에 배치되어 측벽부에 대한 지지강성을 견고하게 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좌·우 보강측벽부(37,37')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홈(37s,37s')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호 절개홈(37s,37s')을 통한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최종 조립단계에서 상기 손잡이홈(h2)이 형성된 보강측벽부(35')의 안정된 결속을 도모하기 위하여 끼움편(10c)과 조립구멍(10h) 및 이에 대응되는 결합 플랜지(35'c)와 끼움구멍(35'h)을 부가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하 내측벽부(31,31') 중 어느 하 나의 내측벽부 및 이와 인접하는 바닥판(10)에는 대략 사각형상을 갖는 끼움편(10c)이 형성된다. 이때의 끼움편(10c)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면이 절개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중간부분 즉, 상기 내측벽부와 바닥판의 경계면에 해당되는 부분이 접힘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끼움편(10c)은 후술할 상·하 보강측벽부(35,3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끼움구멍(35'h)에 끼움 고정된다.
또한, 상기 끼움편(10c)의 양측으로는 경계면을 따라 길이를 갖는 조립구멍(10h)이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조립구멍(10h)에는 후술할 결합 플랜지(35'c)가 끼움 조립된다.
한편, 상기 상·하 보강측벽부(35,35') 중 상기 끼움편(10c)이 형성된 내측벽부의 외면에 접하는 보강측벽부에는 상기 조립구멍(10h)이 끼움되는 결합 플랜지(35'c)가 수직하게 접힘될 수 있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측벽부와 결합 플랜지(35'c)의 경계면 상에는 상기 끼움편(10c)이 끼움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끼움구멍(35'h)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끼움편(10c) 및 조립구멍(10h) 그리고 결합 플랜지(35'c) 및 끼움구멍(35'h)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끼움편(10c)과 조립구멍(10h)을 상 내측벽부(31)와 바닥판(10)의 상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었고, 상기 결합 플랜지(35'c)는 하 보강측벽부(35')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그리고 이들 결합 플랜지(35'c)와 하 보강측벽부(35')의 경계면 상에는 끼움구멍(35'h)이 형성되는 것을 제안하였다.
미설명 부호 (i)는 본 고안의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1)내에 수납되는 원반커터를 유동 없이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내부 고정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판(10)을 중심으로 사방측벽을 형성하는 요소 중 상·하판(30,30')의 구성 요소인 상·하 내측벽부(31,31')와 좌·우 보강측벽부(37,37')를 도 2와 같은 형태를 갖도록 접는다.
이어서, 상기 좌·우판(20,20')을 구성하는 좌·우 외측벽부(21,21')를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접은 뒤, 상기 좌·우 외측벽부(21,21')에서 연장 구비된 내부 덮개부(23,23')의 좌·우 내측벽부(23s,23s')를 내측으로 접어 도 3 및 도 4와 같은 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도 5에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수납 공간내에서 원반 커터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고정재(i)를 끼워 넣은 뒤, 도시하지 않았으나 물품인 원반커터를 수납한다.
이어서, 상기 좌·우판(20,20')의 내부 덮개부(23,23')를 도 6에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접는다. 이때 상기 내부 덮개부(23,23')에 각각 마련된 조립홈(23h)과 결속 플랜지(23h')는 상호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도면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상호 구속력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 덮개부(33,33') 중 손잡이홈(h2)이 형성되지 않은 외부 덮개부를 먼저 접도록 하여 상기 내부 덮개부의 상면에 면접되게 하고, 이어서 손잡이홈(h2)이 형성된 보강측벽부를 접는다.
끝으로, 상기 손잡이홈(h2)이 형성된 보강측벽부에 연장 형성된 결합 플랜지(35'c)를 상기 스트랩(h)이 연결되는 내측벽부에와 바닥판(10) 사이에 형성되는 조립구멍(10h)에 끼워 넣고, 상기 조립구멍(10h)의 경계상에 구비된 끼움편(10c)을 상기 결합 플랜지(35'c)와 보강측벽부 사이에 형성된 끼움구멍(35'h)에 끼워 넣어 조립을 완료한다.
이러한 구성의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1)는 상기 바닥판(10)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겹겹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견고한 지지강성과 높은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은 물론이고 운반과 보관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원반커터 등과 같은 기계 구성품에 대한 안전한 포장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를 나타낸 전개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포장상자의 최종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장상자 10 : 바닥판
20,20' : 좌·우판 21,21' : 좌·우 외측벽부
23,23' : 내부 덮개부 23s,23s' : 좌·우 내측벽부
23h : 조립홈 23h' : 결속 플랜지
30,30' : 상·하판 31,31' : 상·하 내측벽부
33,33' : 외부 덮개부 35,35' : 상·하 보강측벽부
37,37' : 좌·우 보강측벽부

Claims (4)

  1.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좌·우측에서 수직하게 접힘 가능하게 연장되는 좌·우 외측벽부 및 이 좌·우 외측벽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좌·우 외측벽부의 내측으로 접혀져 겹침되게 절개된 좌·우 내측벽부가 형성된 내부 덮개부가 형성되는 좌·우판과;
    상기 좌·우판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는 상·하 내측벽부 및 이 상·하 내측벽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직하게 접힘되는 외부 덮개부 그리고 상기 한쌍의 외부 덮개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수직하게 접힘되어 상기 상·하 내측벽부의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접혀져 겹쳐지게 배치되는 상·하 보강측벽부 및 상기 좌·우판에 평행하게 상·하 내측벽부에서 수직하게 접힘되게 연장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서로 끼움구조로 결합되어 좌·우 외측벽부와 좌·우 내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좌·우 보강측벽부가 형성되는 상·하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판은 각각의 내부 덮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끼움구조로 조립되게 조립홈과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결속 플랜 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내측벽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벽부는 손잡이 스트랩이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 스트랩이 연결되는 측벽부에 면접하는 상·하 보강측벽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손잡이 스트랩이 외부로 노출되게 손잡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내측벽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벽 및 이와 인접하는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삼면이 절개되면서 바닥판부에서 접힘되는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의 양측으로 내측벽부와 바닥판부의 경계면상에 관통 형성되는 조립구멍과, 상기 상·하 보강측벽부 중 상기 끼움편이 형성된 내측벽부의 외면으로 접하는 보강측벽에서 접힘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구멍에 끼움되는 결합 플랜지와, 상기 보강측벽부와 결합플랜지의 경계면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편이 끼움되는 끼움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KR2020070018837U 2007-11-22 2007-11-22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KR200447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837U KR200447690Y1 (ko) 2007-11-22 2007-11-22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837U KR200447690Y1 (ko) 2007-11-22 2007-11-22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084U true KR20090005084U (ko) 2009-05-27
KR200447690Y1 KR200447690Y1 (ko) 2010-02-11

Family

ID=4130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837U KR200447690Y1 (ko) 2007-11-22 2007-11-22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127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미리디 박스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4621A1 (en) * 2021-08-20 2023-02-23 Serve Craft, LLC Folding storag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329B1 (ko) 1996-08-16 1999-08-02 최학경 포장용 상자
JP2930938B1 (ja) 1998-06-04 1999-08-09 京王紙研工業株式会社 紙製容器
JP2000006947A (ja) 1998-06-18 2000-01-11 Honma Shiki Seisakusho:Kk 食品用保冷ケース
US6736309B1 (en) 2001-11-16 2004-05-18 Wes-Pak, Inc. Quick erecting foldable portable coo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127A (ko) * 2020-10-14 2022-04-21 주식회사 미리디 박스형 롤스티커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690Y1 (ko) 201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5268B2 (ja) 電子機器の梱包箱
US20060163334A1 (en) Box with multi-ply base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1126340B1 (ko) 상부적층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박스
US20130105563A1 (en) Foldable container
JP2010111421A (ja) 紙製収容箱
KR200447690Y1 (ko) 원반 커터용 포장상자
JP5588313B2 (ja) 折りたたみ可能な組立式箱
US10954025B2 (en) Container with multipiece body
KR20080006523U (ko) 조립식 포장상자
KR101061587B1 (ko) 포장용 상자
JP2011073757A (ja) 緩衝機能付き梱包箱
WO2015079947A1 (ja) トレイ
JP4541270B2 (ja) 梱包用緩衝材
KR200335554Y1 (ko) 포장용 상자
KR100971310B1 (ko) 포장상자
KR101662757B1 (ko) 재료 절감형 포장용 박스
RU159340U1 (ru) Складной лоток
KR20120007250U (ko) 포장박스의 모서리 부분 강화 구조
JP3217601U (ja) 包装箱
KR200417986Y1 (ko) 포장용 상자
JP4198138B2 (ja) 包装材
JP3115135U (ja) 梱包用収納箱
KR200437904Y1 (ko) 포장용 박스
JP2018144877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外装容器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