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772Y1 - 스트레칭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트레칭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772Y1
KR200437772Y1 KR2020060032996U KR20060032996U KR200437772Y1 KR 200437772 Y1 KR200437772 Y1 KR 200437772Y1 KR 2020060032996 U KR2020060032996 U KR 2020060032996U KR 20060032996 U KR20060032996 U KR 20060032996U KR 200437772 Y1 KR200437772 Y1 KR 200437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ing
band
coupled
foo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20060032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7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 모양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전면에 지압돌기와 탈착부재를 구성한 고정밴드가 결합되고, 양쪽 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스트레칭밴드가 결합되며, 배면에는‘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받침판이 결합되어 스트레칭 운동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써, 몸체부에 발을 고정시키고 스트레칭밴드를 손으로 잡거나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연결·고정한 상태에서 손과 발을 동시에 사용하여 다양한 동작의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전신유산소 운동이 이루어져 신체를 전체적으로 균형있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누운 상태에서 몸체부에 발을 고정시키고 스트레칭밴드를 잡은 상태에서 상체와 하체를 반복하여 일어나는 스트레칭 동작은 골반과 괄약근, 방광을 강화시켜 요실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로 다양한 스트레칭 동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건강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칭밴드, 고정밴드, 탈착부재

Description

스트레칭 운동기구{SPORTING EQUIPMENT FOR STRETCHING EXERCIS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속밴드에 스트레칭밴드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레칭 운동기구 10 : 몸체부
12 : 지압돌기 10a : 제 1끼움공
20 : 고정밴드 22 : 탈착부재
30 : 걸이부 30a : 제 2끼움공
40 : 스트레칭밴드 42 : 클립
50 : 받침판 60 : 결속밴드
70 : 쿠션패드 80 : 자석
본 고안은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 모양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전면에 지압돌기와 탈착부재를 구성한 고정밴드가 결합되고, 양쪽 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스트레칭밴드가 결합되며, 배면에는‘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받침판이 결합되어 스트레칭 운동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써, 몸체부에 발을 고정시키고, 스트레칭밴드를 손으로 잡거나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연결·고정한 상태에서, 손과 발을 동시에 사용하여 다양한 동작의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 함으로써, 신체를 전체적으로 균형있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반과 괄약근, 방광을 강화시켜 요실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고지방 음식과 인스턴트식품의 과다섭취 등으로 비만증과 성인병이 청소년층에서도 증가하고 있고, 특히 학생들과 직장인을 비롯해 생활전선에서 힘들고 바쁜 일상 생활을 하는 많은 사람들은 피로와 스트레스 누적으로 각종 질병에 걸리고 있으며 큰 병으로 이어지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주부들도 가사노동으로 인해 팔, 다리, 허리 등에 질병이 발생하여 고통받고 있으며, 특히 여성들이 말하기 어려운 요실금의 문제는 많은 여성들의 고민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평소에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거나 요가, 수영등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으나, 바쁜 현대인이 매일 일정 시간을 내서 운동하기란 쉽지가 않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여유있는 일부 사람들은 집에 헬스기구를 구입·사용하거나, 헬스클럽에서 고가의 가입비와 월회비를 내고 이용하고 있으나, 헬스기구는 고가여서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 구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헬스클럽도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들과, 바쁜 시간에 쫓기는 사람들이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집에서 또는 장소에 특별히 구애받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운동에 사람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중 대표적인 것이 스트레칭 운동이다.
스트레칭 운동은 유연성과 낮은 단계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동시에 발달시키는 운동이면서도 상해의 위험성이 없어서 일반인의 건강증진과 체력향상을 위한 운동에 매우 좋은 운동이다.
종래의 스트레칭 운동은 수건 등과 같이 직물로 구성된 끈과 밴드, 고무줄 또는 튜브 등을 이용하여 신체의 다양한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운동을 하는 것이나, 이는 누구나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운동기구로써 개발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또한, 상기의 기구 외에도, 실내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스트레칭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가지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대부분의 기구는 공통적으로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다수의 스프링 결합구조 및 이를 개선한 고무줄을 활용한 구조와, 나이론 직물과 가는 고무가 합성된 밴드 등으로 구성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구들은 구조는 부분적으로 적합하나 제한된 범위 밖에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스트레칭 기구들은 발 또는 손과 같이 신체의 특정부위만을 스트레칭 함으로써 신체의 전체적인 스트레칭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안전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다양한 운동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발 모양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전면에 지압돌기와 탈착부재가 구성된 고정밴드를 결합하고, 양쪽 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스트레칭밴드가 결합되며, 배면에는‘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받침판을 결합하여 몸체부에 발을 고정시키고, 스트레칭밴드를 손으로 잡거나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연결·고정한 상태에서, 손과 발을 동시에 사용하여 다양한 동작의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신체를 전체적으로 균형있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반과 괄약근, 방광을 강화시켜 요실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발 모양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의 전면에 지압돌기가 구성되고, 중앙부와 양측에 제 1끼움공이 형성되어 탈착부재를 이용한 고정밴드가 결합되며, 양쪽 단부에는 걸이부가 형 성되어 스트레칭밴드가 결합되고, 배면에는‘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받침판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속밴드에 스트레칭밴드가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본 고안의 스트레칭 운동기구(1)는 발 모양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의 전면에 지압돌기(12)가 ㄱ구성되고, 중앙부와 양측에 제 1끼움공(10a)이 형성되어 탈착부재(22)를 구비한 고정밴드(20)가 결합되며, 양쪽 단부에는 걸이부(30)가 형성되어 스트레칭밴드(40)가 결합되고, 배면에는‘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받침판(5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두개의 발이 서로 붙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발 모양의 전면 상부와, 중간부분, 하부에 지압돌기(12)가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부(10)는 중앙부와 양측에 제 1끼움공(10a)이 형성되어 고정밴드(20)가 결합되고, 양측 단부 즉, 몸체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제 1끼움공(10a)에서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곳에 제 2끼움공(30a)을 갖는 걸이부(30)가 형성되어 스트레칭밴드(4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20)는 일측에 탈착부재(22)가 구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탈착부재(22)는 벨크로테이프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벨크로테이프뿐만 아니라 똑딱단추로도 형성가능하다.
상기 스트레칭밴드(40)는 신축성이 뛰어난 고탄력 밴드로 이루어지고,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운데 부위가 접어져 2가닥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단을 일정길이로 겹치도록 감은 다음 겹치는 끝 부분은 재봉처리하며 감은 부분의 일측에는 클립(42)이 결합된다.
또한, 스트레칭밴드(40)에는 신체접촉부위에 대한 촉감과 압박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개의 쿠션패드(70)가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부(10)의 배면에는 중앙부에‘ㄷ'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제 3끼움공(50a)을 갖는 받침판(50)이 결합된 것으로, 2가닥으로 이루어진 스트레칭밴드(40)가 일측 걸이부(30)의 제 2끼움공(30a)과 받침판(50)의 제 3끼움공(50a)에 차례로 끼워지고, 마지막으로 타측 걸이부(30)의 제 2끼움공(30a)에 끼워지되, 각각의 제 2끼움공(30a)에 끼워져 외부로 일정길이가 나온 스트레칭밴드(40)는 양측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몸체부(1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대,중,소(大中小)의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몸체부(10)의 전면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 결속밴드(60)가 결합되고, 결속밴드(60)에 의해 스트레칭밴드(40)가 접어져 결속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발 모양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의 전면에 지압돌기(12)가 구성되고, 중앙부와 양측에 제 1끼움공(10a)이 형성되어 탈착부재(22)를 구성한 고정밴드(20)가 결합되며, 양쪽 단부에는 걸이부(30)가 형성되어 스트레칭밴드(40)가 결합되고, 배면에는‘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받침판(50)이 결합되되, 상기 지압돌기(12)의 내측 중앙에 자석(80)이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칭 운동기구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트레칭 운동기구(1)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에서 신체 즉, 가슴, 등, 팔, 다리, 배, 옆구리, 허리 등의 근육 및 관절부위에 대한 스트레칭을 하는 것으로서, 먼저 스트레칭밴드(4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스트레칭밴드(40)는 소정길이로 이루어지고, 일측단이 일정길이로 겹쳐져 클립(42)을 통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한 다음 클립(42)으로 고정하면 된다.
그런 다음, 자리에 앉아 양쪽 스트레칭밴드(40)를 손으로 각각 잡고, 발 모양의 몸체부(10)의 고정밴드(20) 안쪽으로 양 발을 넣은 다음, 고정밴드(20)에 구비된 탈착부재(22), 즉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발이 움직이지 못할 정도로 단단히 조여준다.
이 상태에서, 위를 바라보는 자세로 등을 대고 그대로 누운 다음, 발에 힘을 가해 몸체부(10)를 누르면 상체가 어느 정도 일어나지게 되고, 다시 손으로 스트레칭밴드(40)에 힘을 가하면 상체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으로, 손과 발에 적당히 힘을 가해 등을 중심으로 오뚝이처럼 반사 운동(상·하체 일으키기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괄약근이 강화되어 요실금 방지와 함께 복부지방을 감소시켜 주며, 변비환자에게도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스트레칭 운동동작은 사용자의 취향과 운동능력에 알맞게 속도를 조절해야 하고, 오뚝이처럼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동작에서의 각도도 적당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운동방법은 몸체부(10)를 발에 고정시키고 스트레칭밴드(4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실시하였으나, 스트레칭밴드(40)를 양쪽 팔뚝에 끼운 상태에서 실시하는 것도 무방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몸체부(10)에는 발이 닿는 면에 지압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에 힘을 가해 지압돌기(12)를 누르면, 발이 지압되면서 혈액순환이 촉진되고, 신진대사가 원할히 이루어진다.
또 다른 스트레칭 운동방법으로, 바닥이 평평한 곳에 상기 몸체부(10)를 엎어놓은 상태 즉, 받침판(50)이 보이도록 놓인 상태에서, 사용자는 받침판(50)에 등이 닿도록 하고 발을 쭉 편 상태로 편안하게 눕는다.
이 상태에서, 양팔을 머리위로 올려 손깍지를 한 상태로 기지개를 켜게 되는데, 이때 기지개는 일정간격을 두고 여러번 반복해서 실시한다.
이와 같은 운동은 받침판(50)에 등을 댄 상태로 기지개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복근을 단련시켜 줄 뿐만 아니라, 받침판(50)에 등 부분이 지압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스트레칭 운동기구(1)는 상기와 같은 운동 동작 외에도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압돌기(12)를 이용하여 등, 허리, 척추, 머리 등 골격지압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10)를 다리받침으로도 사용가능하며, 또한 스트레칭밴드(40)를 양다리에 묶어 밴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리의 지압도 가능하다.
특히,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몸체부(10)에 발을 대고, 양손으로 스트레칭밴드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팔다리를 위로 쳐들고 자유롭게 흔드는 동작과, 팔다리를 오므렸다 벌렸다를 반복하거나, 싸이클 타는 식으로 팔,다리를 움직인다거나, 런닝하는 동작을 취한다거나, 하체를 위를 향하도록 하는 하체 물구나무서기 동작 등, 스트레칭 운동기구(1)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칭 운동기구(1)는 몸체부(10)의 전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결속밴드(60)가 결합되어 결속밴드(60)에 의해 스트레칭밴드(40)가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다.
또한, 스트레칭밴드(40)에는 쿠션패드(70)가 구비되어 스트레칭 운동시 신체접촉부위에 대한 촉감과 압박감을 최소화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다른실시예와 같이, 상기와 동일하게 스트레칭 운동기구(1)가 구성되되, 지압돌기(12)의 내측에 자석(80)이 설치된 것으로, 스트레칭 운동을 할 경우 신체, 특히 발에 자석(80)이 닿게 되어 지압뿐만 아니라 자석(80)의 자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자석(80)은 동양의학에 있어서 경락치료요법을 시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체의 각 부위에 분포되어 있는 경혈에 미세한 전류와 압력을 가해 자기장 에너지로서 치료를 하는 것으로서, 신체의 일부분 또는 아픈 부위에 자석을 붙이는 등 자극을 주거나 몸 전체에 자기장을 쪼이는 자기요법을 수행함으로써, 자성체인 자석이 헤모글로빈의 주성분으로서 인체의 혈액중에 함유된 철분에 자성을 유도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몸체부에 발을 고정시키고 스트레칭밴드를 손으로 잡거나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연결·고정한 상태에서 손과 발을 동시에 사용하여 다양한 동작의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전신유산소 운동이 이루어져 신체를 전체적으로 균형있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누운 상태에서 몸체부에 발을 고정시키고 스트레칭밴드를 잡은 상태에서, 상체와 하체를 반복하여 일어나는 동작은 골반과 괄약근, 방광을 강화시켜 요실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여러방식으로 다양한 스트레칭 동작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지루함과 권태감이 없으며, 다양한 형태의 운동동작으로 인해 인체의 여러 부분을 효과적으로 스트레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균형잡힌 몸매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뱃살을 줄일 수 있고, 변비개선, 팔다리 강화 운동, 무릎관절 보호 및 강화와 함께 청소년들이 사용시에는 성장판을 자극하여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스트레칭밴드를 접은 상태에서 결속밴드로 고정하여 간편하게 수납가능하므로,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있어서,
    발 모양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의 전면에 지압돌기(12)가 구성되고, 중앙부와 양측에 제 1끼움공(10a)이 형성되어 탈착부재(22)를 이용한 고정밴드(20)가 결합되며, 양쪽 단부에는 걸이부(30)가 형성되어 스트레칭밴드(40)가 결합되고, 배면에는‘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받침판(50)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부(10)의 전면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 결속밴드(60)가 결합되고, 결속밴드(60)에 의해 스트레칭밴드(40)가 결속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레칭밴드(40)에는 신체접촉부위에 대한 촉감과 압박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쿠션패드(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지압돌기(12)는 내측에 자석(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칭 운 동기구.
KR2020060032996U 2006-12-29 2006-12-29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437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996U KR200437772Y1 (ko) 2006-12-29 2006-12-29 스트레칭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996U KR200437772Y1 (ko) 2006-12-29 2006-12-29 스트레칭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772Y1 true KR200437772Y1 (ko) 2007-12-27

Family

ID=4162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996U KR200437772Y1 (ko) 2006-12-29 2006-12-29 스트레칭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7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8780U (ja) ヨガブロック
US7749146B2 (en) Fitness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US20070197360A1 (en) Machine for improved curve and stretching device
WO2006118377A1 (en) Chair type exercising apparatus for exercise of lower part of body having foot sole massaging function
US10406396B2 (en) Double ended exercise device
KR100606336B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200437772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JP3145458U (ja) ストレッチ用バンド
KR100632993B1 (ko) 스트레칭 운동매트
JP6748994B2 (ja) ボールを利用した運動具
KR100971949B1 (ko)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James et al. Power
JP3043773U (ja) 2個接続式ダンベル
KR200255646Y1 (ko) 운동용 보조수단이 구비된 매트
CN209612114U (zh) 一种神经内科临床调节式四肢复健器
TWI779785B (zh) 能透過彈力繩實現阻力運動之訓練輔助台
JP6892723B1 (ja) 運動器具
JP3133633U (ja) 健康器具
US20230321484A1 (en) Core Stimulator and Stabilizer System and Method
KR200319441Y1 (ko) 벨트착탈식 다기능 운동밴드
KR20230000498U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KR200348213Y1 (ko) 견비통운동기구
JP3050419U (ja) ストレッチ機器
KR200368130Y1 (ko) 다목적 운동기
RU712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й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разработки движений в голеностопном суставе и массажа стоп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