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949B1 -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949B1
KR100971949B1 KR1020080015228A KR20080015228A KR100971949B1 KR 100971949 B1 KR100971949 B1 KR 100971949B1 KR 1020080015228 A KR1020080015228 A KR 1020080015228A KR 20080015228 A KR20080015228 A KR 20080015228A KR 100971949 B1 KR100971949 B1 KR 10097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exercise
fixing
sole
exercis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445A (ko
Inventor
안천식
Original Assignee
안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천식 filed Critical 안천식
Priority to JP200955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0520013A/ja
Priority to PCT/KR2008/001321 priority patent/WO2008108601A2/en
Priority to EP08723358A priority patent/EP2125119A2/en
Priority to US12/530,205 priority patent/US20100248914A1/en
Publication of KR20080082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5User-manipulated weights worn on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2Fluids, e.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3Fluid-like particles, e.g. gun shot or s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4Heated

Abstract

본 발명의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는, 발목 전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를 특정한 곳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윗몸일으키기 및 하체단련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홈부에 발목이 위치하였을 때 발바닥 및 발목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좌/우 몸체로 분리 및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중량추가 삽입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운동기구를 바닥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발목에 무리를 주지 않고 보다 안정적인 자세에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운동기구, 고정수단, 윗몸일으키기

Description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The sport outfits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training and situps}
본 발명은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별도의 다리를 잡아주는 보조자가 없이 혼자서도 용이하게 윗몸일으키기 운동 및 다리 및 허벅지의 근력 강화 운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운동기구를 바닥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이고 발목에 무리가 없이 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하체의 운동량이 극히 부족하여 이에 따른 많은 질병과 체력약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하체를 좁은 실내에서 단련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수단으로는 하체와 복부의 근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윗몸일으키기 및 일정 중량을 가진 기구를 발에 장착하고 무릎을 펴고 접는 형식으로 진행하는 운동의 두 가지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하체 및 복근 부위의 신체를 단련하기 위한 윗몸일으키기 운동기 구는 일정 중량을 가진 운동기구 위에 발을 올려놓고 고정하여 운동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선행 출원자료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서, 다소간의 구조적인 차이점은 있으나 모두 저면에 고정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면에 고정된 방식의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는, 무게중심을 발목 및 발바닥 아래쪽에 두어 발에 상부에서 하부로 하중을 가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불안정한 느낌을 주어 이용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발바닥이 지면과 평행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무리하게 꺾인 발목 부분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는 부피가 커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고, 부피가 작더라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별도로 구비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제작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윗몸일으키기 운동에 한정적으로 사용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의자에 앉아서 무릎을 굽혔다 펴는 동작으로 허벅지 및 종아리에 상당한 운동의 효과가 있는 운동방법이 있으나 이를 위한 기구는 발목의 장착하는 중량체 개념의 파워버클과 유사한 형태로 발전이 되어 왔으나 이 경우에는 이러한 운동에 한정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다양한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목에 무리를 주지 않고 운동기구를 바닥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보다 안정적인 자세에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 다.
또한 효과적인 무게조절에 따라 운동하는 사람의 운동 능력과 체중에 적합하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 발목 부분의 찜질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발목 전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를 특정한 곳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윗몸일으키기 및 하체단련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홈부에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쿠션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홈부에 발목을 위치하였을 때 발바닥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발바닥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발바닥 고정수단은, 발바닥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지지할 수 있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지거나, 발바닥의 전면을 둘러싸며 지지할 수 있도록 발바닥이 끼워지는 입구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가 밀폐되어 고정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홈부에 발목을 위치하였을 때 발목 후면을 둘러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목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발목 고정수단은, 발목 후면을 둘러 지지하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몸체가, 그 일면에 두 개의 홈부가 형성되고,각각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좌/우 몸체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몸체가 그 내부에 속이 빈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마개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물 또는 모래를 충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몸체가 그 내부에 중량추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추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몸체의 일면에 중량추가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목적은 발목에 무리를 주지 않고 운동기구를 바닥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보다 안정적인 자세에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효과적인 운동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운동 의욕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복부 및 하체의 다양한 부분의 근력강화 군살 제거의 효과가 있다.
또한 운동 능력이 약하거나 과체중의 경우 무거운 중량추를 장착함으로써 운 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근력강화에 따라 단계적으로 운동량을 늘이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발목 부분의 찜질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여 혈액순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운동기구와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운동기구는 각각 다른 기본 형태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종래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는 바닥에 고정되어 발목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그 몸체의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목이 지지될 수 있는 기술사상을 기초로 종래와 같이 바닥에 고정시키지 않고서도 윗몸일으키기 등을 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창안되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발목 전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몸체(1)를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를 특정한 곳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윗몸일으키기 또는 하 체단련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8은 두 개의 홈부가 형성되어 양측 발목에 끼워질 수 있는 운동기구를 도시한 것이며(사용상태는 도 15 참조), 도 2는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어 한쪽 발목에 끼워질 수 있는 운동기구를 도시한 것이다(사용상태는 도 16 참조).
도 1 내지 도 7 및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운동기구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몸체의 형상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몸체(1)를 특정한 곳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윗몸일으키기를 할 수 있도록 발목 주변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무게 이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에 형성된 홈부는 양측 발목의 전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목의 전면에 끼워져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발목을 보호하고 발목이 끼워졌을 때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의 홈부에 신축성과 탄성을 갖는 쿠션이 더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a는 상기 몸체(1)의 홈부에 장착되는 신축성 및 탄성을 갖는 쿠션(12)을 도시한 도면이다. 쿠션(12)은 접착제 등을 개재하여 홈부(1)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 및 쿠션(12)의 결합부에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는 결착구(109, 129)를 구비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쿠션(12)으로 인하여 홈부에 발목이 밀착되는 경우 압력에 의해 통증 및 쓸림이 동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1)의 홈부는 발목과 발등 부분과 유사하게 하여 인체공학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쿠션(12)에 의하 여 사용자의 발목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본체의 하중을 발목과의 사이에서 조정하고 발목을 보호하여 주고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그 몸체의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목이 지지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휴대나 보관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발목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발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가 있어 윗몸일으키기 이외에도 다양한 운동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몸체에 형성된 홈부가 발목 전면에 끼워져 밀착될 수 있으므로, 후술할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양측 발목에 고정하여 윗몸일으키기나 하체단련 운동을 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운동기구와는 달리 몸체가 특정한 곳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발목이나 발등 부위에 무리를 주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홈부에 발목을 위치하였을 때, 발바닥이나 발목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2, 3)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발바닥 고정 수단(2)은, 발바닥이 끼워졌을 때 발바닥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바닥 고정수단(2)의 일실시예는 도 4,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홈부에 발목을 위치하였을 때 발바닥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지지할 수 있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의 전면을 둘러싸며 지지할 수 있도록 발바닥이 끼워지는 입구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가 밀폐되어 고정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밴드나 고정부재는 발바닥을 끼고 빼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고 발바닥을 끼웠을 때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밴드는 그 양단이 몸체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그 일단 또는 양단이 결착구를 통하여 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착구는 고리형식, 버튼형식, 탈착 테이프 형식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발목 고정수단도, 몸체의 홈부에 발목의 전면이 위치하였을 때 발목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목 고정수단(3)의 일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홈부에 발목을 위치하였을 때 발목 후면을 둘러 지지할 수 있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밴드는 그 일단 또는 양단이 몸체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그 일단 또는 양단이 결착구를 통하여 몸체에 탈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일단이 몸체에 고정된 두 개의 고정밴드가 타단에 형성된 결착구를 통하여 상호 탈착될 수도 있다. 결착구는 고리형식, 버튼형식, 탈착 테이프 형식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양단이 몸체에 고정된 고정밴드로 이루어진 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일단이 몸체에 고정된 두 개의 고정밴드로 이루어진 구성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는 두 개의 고정밴드의 일단이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에 각각 결착구(15)가 형성되어 두 개의 고정밴드가 상호 결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이 나타나 있으며, 도 11에는 일단이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와 결착이 가능한 하나의 고정밴드로 이루어진 구성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발목 고정수단도 발목을 둘러 지지하였을 때 발목을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내부가 속이 빈 공간부(도 9의 도면부호 13)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몸체(1)의 일측에는 마개(14)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3)에 물 또는 모래 등을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몸체의 무게를 사용자가 임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충진할 수 있는 내용물의 온도를 뜨겁게 하면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발목 부분이 약한 현대인에게 발목 부분에 찜질의 역할을 하여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는 내부에 충진된 물 또는 모래의 온도를 잘 전달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열경화성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가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어 항상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는 것 이외에 몸체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 충진물질에 따라 몸체의 형태가 일부 변형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두 개의 운동기구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에 두 개의 홈부가 형성되는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경우, 몸체는 각각 하나씩의 홈부가 형성되는 좌/우 몸체(1a, 1b)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리 및 결합은 결합면 사이에 다양한 탈착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결합면 사이에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여 끼움 결합하는 방식, 탈착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식,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좌/우 몸체로 분리가능한 본 실시예에서도 발바닥 고정수단(2) 및 발목 고정수단(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는 그 일실시예가 도시된 것으로서, 좌/우 몸체(1a, 1b)의 각 결합면에는 밴드 고정구(17a)가 형성되고(17a의 대향면에도 밴드 고정구 17b가 형성됨_17b는 미도시), 좌측 고정밴드(3a) 및 우측 고정밴드(3b)가 각각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밴드 고정구(17a, 17b)에 고정되어 좌/우 몸체(1a, 1b)가 각각 좌/우 발목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좌/우 몸체가 분리되어 좌/우측 고정밴드(3a, 3b)가 밴드 고정구(17a, 17b)에 고정될 경우에는 기존에 고정밴드에 결착구(도 9 및 도 10의 도면부호 15)가 연결되어 있다면 이는 제거되게 된다. 밴드 고정구는 도 12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버튼 형식, 탈착 테이프 형식 등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결합/분리형으로 형성할 경우 여러 가지 다양한 운동의 구현이 가능 하며 일 예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반 또는 파워버클과 같은 형태로 발목에 착용하고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의자에 앉아서 무릎을 이용하여 두발을 동시에 들던 것에서 한발씩 교대로 드는 운동, 상체 즉 등을 지면에 대고 다리는 하늘을 향한 상태에서 자전거 패달을 밟는 모양을 취하는 운동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운동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도 7,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몸체(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중량추(4, 4')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몸체(1)의 무게를 조절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몸체(1)의 내부에 중량추(4)가 삽입되는 공간(중앙과 좌우에 각각 원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추(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3은 중량추를 삽입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몸체(1) 외부에 중량추(4')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와 중량추(4')의 결합부에는 각각 결착수단이 구비되어, 중량추(4')를 몸체와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량추(4, 4')는 다양한 무게의 중량추를 복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삽입되거나 결합되는 중량추(4, 4')는 금속, 나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된 것이 가장 용이할 것이다. 특히 중량추를 납 재질로 사용할 경우 적은 양으로 많은 하중이 나가기에 몸체(1)의 크기가 대폭 줄어들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무게 조절을 위하여 중량추 상호 간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중량추와 몸체 또는 중량추 상호간의 분리 결합구조는 일반적인 나사나 볼트의 조임, 더브테일 형식의 홈과 돌출부의 결합 등 여러 가지로 구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무게 조절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무게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윗몸 일으키기에 이용되는 경우에도, 바닥에 고정하지 않고 몸체의 무게를 이용한 중력에 의해 발목 부분을 고정하는 원리로서, 복근이 약하여 발목 부분을 고정하는 무게를 더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다양한 무게의 중량추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운동기구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적당한 장소를 선택하여 무릎을 반쯤 굽혀서 앉은 후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손으로 들어서 홈부가 사용자의 두 발목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발바닥 고정용 밴드가 발바닥 중앙에 오도록 삽입하여 발바닥과 몸체(1)를 고정시킨다. 이후, 좌측 고정밴드와 우측 고정밴드를 잡고 발목 뒤쪽에서 두 고정밴드를 묶거나, 결착구가 형성된 경우 그 길이를 조절하면서 상호 결합 고정하여, 발목에 몸체(1)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본 발명의 운동기구가 결합된 후 발목에 힘을 주면서 지면에 고정시키면서 등을 일으키면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발목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좌/우측 고정밴드를 한 번 혹은 여러 번 감아서 상호 결합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발목 고정밴드를 하나의 밴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발목 고정밴드를 잡고 발목 뒤쪽으로 한 번 혹은 여러 번 감아서 반대편 측면 고정구에 고정하여 발목과 몸체(1)를 고정시켜서, 결국 몸체(1)가 발바닥과 발목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방식은 무게의 중심이 자연스럽게 발목 부분을 누르는 형태가 되어, 발을 지면에 억지로 고정시키는 형식과 비교하여 보다 자연스럽게 운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발목의 꺾임이 적어 발목에 무리가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온몸 비틀기 즉 상체를 지면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하체를 들어올려 좌우로 움직이는 운동 및 이와 유사한 운동을 수행하여 허리뿐만 아니라 허벅지 내외 측 및 무릎을 사용한다면 종아리 부분의 근육을 강화 또는 군살 제거에 효과가 있어 다이어트용으로도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하체단련 운동뿐만 아니라 팔이나 상체를 단련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자세로 덤벨(dumbbell)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덤벨과 같이 양손이나 한손에 들고 팔을 오므렸다 펴거나 목 뒤로 팔을 젖히는 등의 운동을 통하여 팔이나 상체도 단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중량추를 삽입하거나 결합하는 방식으로 운동기구의 무게를 조절하면서 덤벨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도 6에서와 같이 홈부가 하나 형성된 경우나 도 1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기구가 좌/우측 몸체(1a, 1b)로 분리 가능한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운동기구를 좌/우측 발에 전술한 방식으로 착용한 후 걷기, 뛰기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의자에 앉아서 무릎을 이용하여 두발을 동시에 들거나 한발씩 교대로 드는 운동, 상체 즉 등을 지면에 대고 다리는 하늘을 향한 상태에서 자전거 패달을 밟는 모양을 취하는 운동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운동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는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생활 운동기구뿐만 아니라 운동선수 등을 위한 전문 운동기구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의 운동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운동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몸체
12 : 쿠션 13 : 공간부
14 : 마개 15 : 결착구
17a, 17b : 밴드 고정구
2 : 발바닥 고정수단
3, 3a, 3b : 발목 고정수단
4, 4' : 중량추

Claims (11)

  1. 발목 전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몸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를 특정한 곳에 고정하지 않고서도 상기 홈부에 끼워진 발목에 상기 몸체의 하중이 전달되어 윗몸일으키기 및 하체단련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진 쿠션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발목을 위치하였을 때 발바닥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발바닥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고정수단은,
    발바닥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지지할 수 있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 고정수단은,
    발바닥의 전면을 둘러싸며 지지할 수 있도록 발바닥이 끼워지는 입구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가 밀폐되어 고정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발목을 위치하였을 때 발목의 후면을 둘러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목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목 고정수단은,
    발목 후면을 둘러 지지하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일면에 두 개의 홈부가 형성되고,
    각각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좌/우 몸체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내부에 속이 빈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마개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에 물 또는 모래를 충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그 내부에 중량추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중량추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결착수단이 형성되며,
    결착수단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추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운동기구.
KR1020080015228A 2007-03-08 2008-02-20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097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552594A JP2010520013A (ja) 2007-03-08 2008-03-07 運動器具
PCT/KR2008/001321 WO2008108601A2 (en) 2007-03-08 2008-03-07 Exercising device
EP08723358A EP2125119A2 (en) 2007-03-08 2008-03-07 Exercising device
US12/530,205 US20100248914A1 (en) 2007-03-08 2008-03-07 Exerci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03 2007-03-08
KR1020070022903 2007-03-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41A Division KR20080082446A (ko) 2007-03-08 2008-02-20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445A KR20080082445A (ko) 2008-09-11
KR100971949B1 true KR100971949B1 (ko) 2010-07-23

Family

ID=400218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28A KR100971949B1 (ko) 2007-03-08 2008-02-20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20080015241A KR20080082446A (ko) 2007-03-08 2008-02-20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41A KR20080082446A (ko) 2007-03-08 2008-02-20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48914A1 (ko)
EP (1) EP2125119A2 (ko)
JP (1) JP2010520013A (ko)
KR (2) KR100971949B1 (ko)
CN (1) CN101657238A (ko)
WO (1) WO20081086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522B1 (ko) * 2010-05-11 2013-06-18 유상욱 회전식 다리 건강 운동기구
CN103566540B (zh) * 2012-08-10 2017-04-19 上海三莳工贸有限公司 新型瘦身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6453U (ko) 1987-05-25 1988-11-30
KR20030081077A (ko) * 2002-04-08 2003-10-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한 전도성 적층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1077Y1 (ko) 2005-01-11 2005-04-11 여운율 유산소 운동기의 발목 받침대 구조
KR20050106163A (ko) * 2004-05-04 2005-11-09 이대승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4493A (en) * 1971-11-12 1973-05-22 J Hasekian Sit-up exercise apparatus
US3910577A (en) * 1973-10-02 1975-10-07 John J Boyle Exercising device
US4029312A (en) * 1975-12-22 1977-06-14 Wright Forrest S Exercising device
US4322072A (en) * 1980-03-14 1982-03-30 White Gerald A Exercise weight unit for attachment to the foot
US4495715A (en) * 1981-05-14 1985-01-29 Fredrickson James C Foot appliance
US4721300A (en) * 1984-06-04 1988-01-26 Guzman Horacio J Exercise enhancing device
US4896879A (en) * 1988-06-28 1990-01-30 Klawitter Ronald J Adjustable weight device for human joint or muscle exercise
US5857946A (en) * 1995-03-03 1999-01-12 Brown; Claudia D. Variable resistance refillable exercise dumbbell
USD384381S (en) * 1996-04-10 1997-09-30 Reilly Peter C Finger weight
US5716305A (en) * 1996-07-29 1998-02-10 Selsam; Douglas Spriggs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7238147B2 (en) * 2004-04-07 2007-07-03 Pt Metrics, Llc Exercise device with removable weight
US20090100719A1 (en) * 2007-10-19 2009-04-23 Vashone Kyndell Pierre Lower body exercis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6453U (ko) 1987-05-25 1988-11-30
KR20030081077A (ko) * 2002-04-08 2003-10-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한 전도성 적층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06163A (ko) * 2004-05-04 2005-11-09 이대승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381077Y1 (ko) 2005-01-11 2005-04-11 여운율 유산소 운동기의 발목 받침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8914A1 (en) 2010-09-30
EP2125119A2 (en) 2009-12-02
JP2010520013A (ja) 2010-06-10
KR20080082446A (ko) 2008-09-11
KR20080082445A (ko) 2008-09-11
WO2008108601A2 (en) 2008-09-12
WO2008108601A3 (en) 2008-11-06
CN101657238A (zh)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8414A (en) Elastic ankle and knee exerciser
US20070197360A1 (en) Machine for improved curve and stretching device
US4795148A (en) Combination of antistasis devices
US20040185990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080293550A1 (en) Stride stretcher
KR100971949B1 (ko)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US20090239723A1 (en) Foot Harness to Aid Athletic Stretching Exercises
US20150217161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20040097342A1 (en) Aquatic exercise device
KR100606336B1 (ko) 다목적 운동기구
US6485400B1 (en) Gymnastic means
US20130172161A1 (en) Wearable exercise device for foot stretching
JP2003126295A (ja) 下半身エキスパンダー
KR20210001936U (ko) 종아리 근육 강화용 스트레칭 운동기구
JP2750398B2 (ja) 足用ダンベルの保持具
KR20080082271A (ko)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0483997Y1 (ko) 짐볼
JP6884978B2 (ja) 運動器具
KR200255646Y1 (ko) 운동용 보조수단이 구비된 매트
RU43468U1 (ru) Спортивно-оздоровитель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ног и улучшения динамики кровообращения в тазобедренной области
KR20100043129A (ko) 허리 유연성 및 근기능 강화용 운동기구
JP3180931U (ja) 膝筋肉強化用具
KR200437772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JP3118343U (ja) 健康運動履物
JP5564154B1 (ja) スノーボード練習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