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498U -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498U
KR20230000498U KR2020210002728U KR20210002728U KR20230000498U KR 20230000498 U KR20230000498 U KR 20230000498U KR 2020210002728 U KR2020210002728 U KR 2020210002728U KR 20210002728 U KR20210002728 U KR 20210002728U KR 20230000498 U KR20230000498 U KR 202300004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nd
base plate
vertical bar
exercis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2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영
Original Assignee
김홍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영 filed Critical 김홍영
Priority to KR2020210002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498U/ko
Publication of KR20230000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4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로써, 사용자의 신체의 전부가 안착할 수 있는 4각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 ;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높이 조절 좌우 회전형 수직바와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 ; 수직바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수직바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타원형 수평바 ;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형성된 탄력밴드 걸이부 등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사용시 베이스 플레이트에 신체의 전부를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탄력밴드 일측을 걸고, 타측은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에 걸어, 중앙 수직바 좌우 또는 앞뒤에서 반타원형 수평바를 팔로 걸고 잡거나 접이식 의자에 앉거나 수평바와 수직바에 의지한 상태에서, 탄력밴드가 걸린 상. 하체의 운동부위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운동부위를 제외한 타 신체 부위는 고정되고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운동되어,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전신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압 충격흡수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수평바를 잡고 올라간 후 지압으로 신체를 자극하고, 착지시 충격흡수재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허리를 비롯한 무릎과 발목에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며 운동 중 미끄름을 방지하여,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Whole body muscular exercise equipment using a elastic band}
본 고안은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의 전부가 안착할 수 있는 4각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 ;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높이 조절 좌우 회전형 수직바와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 ; 수직바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수직바의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 ;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형성된 탄력밴드 걸이부 등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먼저, 사용자가 사용시 베이스 플레이트에 신체의 전부를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탄력밴드 일측을 걸고, 타측은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에 걸어, 중앙 수직바 좌우 또는 앞뒤에서 반타원형 수평바를 팔로 걸고 잡거나 접이식 의자에 앉거나 수평바와 수직바에 의지한 상태에서, 탄력밴드가 걸린 상. 하체의 운동부위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운동부위를 제외한 타 신체 부위는 고정되고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운동되어,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전신 근력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압 충격흡수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수평바를 잡고 올라간 후 지압으로 신체를 자극하고, 착지시 충격흡수재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허리를 비롯한 무릎과 발목에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며 운동 중 미끄름을 방지하여,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인체의 근육은 운동뿐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한다. 뼈를 보호하고 체형을 유지하며 기초 대사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혈관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운동학적인 측면에서 사람의 상체 근육은 신체의 중심을 차지하는 부위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하체의 근육은 신체의 하중을 견디어주고 이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또한 신체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는 부위로서,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을 하거나 운동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의학적인 측면에서 근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혈당을 분해하는 인슐린 기능 향상으로 대사성 질환과 당뇨병 그리고 심혈관 질환 등의 성인병 발병위험이 낮아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근육량이 줄어들수록 뇌 신경조직이 감소하면서 치매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근육은 20~30대를 정점으로 유지하다가, 40대부터는 매년 1%정도씩 감소하기 시작하고, 노년기인 60대부터는 매년에 1-2%이상씩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노약자나 병원 입원자 등이 장기간 누워 있을 경우에는 근감소가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지속적인 근육 강화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근육은 급격히 감소되어 신체 활동에 필요한 상. 하체 근육의 균형이 무너지고,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등 관절계통의 퇴행성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을 위한 가장 일반화 된 운동방법으로 윗몸일으키기, 훌라후프, 팔굽혀펴기, 스쿼트, 데드리프트, 탄력밴드를 이용한 근력운동 등이 대표적이다.
윗몸일으키기는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혼자서도 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운동방식의 특성상 실시자의 발목을 잡아주거나 별도의 보조 기구가 구비되지 않으면 운동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상당한 힘이 소요되므로 중년 이후의 남성이나 여성 그리고 재활자 등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윗몸일으키기는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펴는 반복운동만 실시하므로 복부의 근육 강화에 유용하다 할 수 있으나, 상 . 하체부위 근육 전체를 강화시켜줄 수 있는 운동이라 할 수 없고, 상 . 하체의 유연성을 강화하는 데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노약자나 허리가 약한 사용자나 재활자의 운동으로는 부적합 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훌라후프는 남녀 구분없이 누구나 쉽게 실시할 수 있고 특별한 장소와 복장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가볍게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허리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혈액순환이나 다이어트 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신체의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운동을 함으로써 그 회전에 따른 허리의 좌우측 균형을 맞추기가 힘들고, 회전되는 한쪽 방향으로만 근육이 발달하게 되므로 신체의 균형이 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훌라후프는 오래 하는 사람일수록 허리를 약간의 타원이나 일직선 또는 전후운동에 가깝게 움직이는 수준으로 운동하므로 허리의 회전반경이 작아져, 허리나 복부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에 미치는 운동효과가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업드려 팔굽혀펴기는 상 . 하체 근력강화에 효과가 있고, 정지 상태에서는 신체 하중이 양손목과 양발목에 분산되어 큰 부담이 주어지지 않으나, 팔굽혀펴기를 할 때는 신체를 일직선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체중을 상하로 이동을 하므로, 양팔과 양다리 그리고 무릎 . 고관절 . 허리 . 어깨 등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는 운동으로, 노약자나 허리가 약한 사용자나 재활자의 운동으로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스쿼트는 남녀 구분없이 누구나 쉽게 실시할 수 있고 특별한 장소와 복장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가볍게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을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혈액순환이나 다이어트 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운동 특성상 고관절이나 무릎을 과도하게 꾸부리게 되므로, 상기 관절 등에 부담을 주게되어 노약자나 허리가 약한 사용자나 재활자 등은 오히려 무릎과 고관절 등의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히, 데드리프트는 스쿼트 동작에 하중이 더해진 운동으로 스쿼트에 비해 상 .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의 운동효과는 높일 수 있으나 그에 비례하여 운동 특성상 고관절이나 무릎을 과도하게 꾸부리게 되고, 가해지는 하중과 함께 허리에도 부담으로 작용하여, 무릎과 고관절 및 허리의 부상 위험이 그만큼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시설에서의 전신 근력운동을 위해서는, 신체의 각 부위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에 적합한 많은 운동기구가 필요하고, 전문적인 웨이트 트레이너의 지도를 받아야 한다. 전국적으로 최신 웨이트 트레이닝 시설의 사설 및 공공 체육시설이 있고 면, 동, 마을 단위까지 체육공원 등에는 간이 웨이트 트레이닝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마을 단위 체육공원 등에는 전신의 하중을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기구가 대부분 이어서, 사용자가 잘못 사용할 경우 부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 등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을 위한 운동시에는, 의사나 한의사의 진료에 기초하여, 건강운동관리사의 운동처방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전문적인 웨이트 트레이너의 지도아래 실시해야 하는데, 체육공원 등의 간이 웨이트 트레이닝 시설에서는 상기의 도움을 받기가 쉽지 않다.
다행히, 탄력밴드를 이용한 신체의 근육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근력운동이 있다. 그리고 탄력밴드 탄성강도를 사용자의 레벨에 맞출 경우, 탄력밴드의 탄성 이하의 힘으로만 사용자의 신체에 가해지므로, 근력운동, 재활운동, 지구력단련, 자세교정, 스트레칭 등 여러 목적으로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근력강화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의 일반적인 예) 등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근력운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되고 있지만, 운동시에는 탄력밴드의 일측을 고정해야 하는데,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실내 운동기구로의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운동시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상체와 지지 하체가 움직이게 되어 균형이 흐트러져 운동효과가 떨어지고, 균형을 잡기위해 버티는 과정에서 허리와 고관절 및 무릎이나 발목에 부담을 주게되어 넘어지거나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한 밴드운동은 상 . 하체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을 위한 실내운동으로서 활용이 용이하고, 남녀노소 재활자 구분없이 다양한 자세의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스트레칭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근력운동은 근육 강화를 위한 탄력밴드의 탄성이용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신체의 부분적인 근육 강화나 유연성 향상에는 효과가 있으나, 상 .하체를 포함한 전신 근력운동에는 그 효과에 한계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먼저, 사용자에 알맞는 레벨의 탄력밴드를 선정하고, 사용시 베이스 플레이트에 신체의 전부를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탄력밴드 일측을 걸고, 타측은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에 걸어, 중앙 수직바 좌우 또는 앞뒤에서 수직바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수직바의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를 팔로 걸고 잡거나, 접이식 의자에 앉거나, 수평바와 수직바에 의지한 상태에서 상. 하체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상체나 지지 하체는 고정되어, 허리와 고관절 및 지지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척추관절 계통과 지지 하체에 부담을 주지않고,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하체에 걸어 , 중앙 수직바 좌우에서 반타원형 수평바를 팔로 걸고 잡거나 의지한 상태에서 하체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수평바를 잡은 상체나 지지 하체는 고정되어, 허리와 고관절 및 지지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척추관절 계통과 지지 하체에 부담을 주지않고,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하체에 걸어 ,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를 팔로 걸고 잡거나 의지한 상태에서 하체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수평바를 잡은 상체나 지지 하체는 고정되어, 허리와 고관절 및 지지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척추관절 계통과 지지 하체에 부담을 주지않고,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특히,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체를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에 고정한 후, 양팔을 전.후.좌.우.위로 올려,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어깨와 팔근육 그리고 복근 등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좌우 회전형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상체를 고정한 후, 신체를 좌우로 회전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훌라후프와 같은 운동 효과로,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주변 등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탄력밴드를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앞으로 꾸부려펴기를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운동 효과로,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의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스쿼트 동작을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상. 하 반복 운동되어, 스쿼트나 데드리프트 같은 운동 효과로,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의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걸린 탄력밴드를 발목에 걸고, 좌우 다리굽혀펴기를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발목과 무릎 그리고 고관절 주변 근육 등과 종아리와 대퇴사두근 그리고 햄스트링 등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걸린 탄력밴드를 양손으로 잡고 좌우 팔굽혀펴기를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어깨와 팔 근육 그리고 복근 등 상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좌우 회전형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걸린 탄력밴드를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좌우로 회전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주변 등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압 충격흡수재를 형성하고, 하부에 진동 방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지바를 잡고 올라간 후 지압으로 신체를 자극하고, 착지시 충격흡수재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고, 운동 등 하중에 의한 진동을 방지하여, 허리를 비롯한 무릎과 발목에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며, 운동 중 미끄름을 방지하여 부상을 예방하는 등, 새로운 형태의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4각 평판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안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 회전형 수직바(30); 수직바(30)하부에 형성되는 접이식 의자(40); 사용자가 팔로 걸고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바(30)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수직바의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5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형성되고 탄력밴드(200)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력밴드 걸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탄력밴드(200)는 사용자의 레벨에 맞춘 탄성강도의 탄력밴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에 의하면, 남녀노소 신장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수직바(30) 사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 핀부(31)와 좌우 회전부(32)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에 의하면,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에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탄력밴드 걸이구(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에 의하면, 탄력밴드 걸이부(6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방에 'T'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탄력밴드(200)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형상의 탄력밴드 걸이구(61)와 좌우 봉형상의 탄력밴드 걸이바(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 회전형 수직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접이식 의자(40)에 앉아 사용자가 안전하게 탄력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봉형상의 탄력밴드 조정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착지시 지압과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지압 충격흡수재(80)와 지압 충격흡수재 결합홈(21)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 진동 방지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의 전부가 안착할 수 있는 4각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 ;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높이 조절 좌우 회전형 수직바와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 ; 베이스 플레이트 전후좌우에서 팔로 걸고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바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 ;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로 형성하고,
사용자가 사용시 베이스 플레이트에 신체의 전부를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탄력밴드 일측을 걸고, 타측은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에 걸어, 중앙 수직바 좌우 또는 앞뒤에서 반타원형 수평바를 팔로 걸고 잡거나 접이식 의자에 앉거나 수평바와 수직바에 의지한 상태에서 상. 하체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상체나 지지 하체는 고정되어, 허리와 고관절 및 지지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척추관절 계통과 지지 하체에 부담을 주지않고,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전신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하체에 걸어 , 중앙 수직바 좌우에서 반타원형 수평바를 팔로 걸고 잡거나 의지한 상태에서 하체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수평바를 잡은 상체나 지지 하체는 고정되어, 허리와 고관절 및 지지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척추관절 계통과 지지 하체에 부담을 주지않고,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하체에 걸어 ,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를 팔로 걸고 잡거나 의지한 상태에서 하체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수평바를 잡은 상체나 지지 하체는 고정되어, 허리와 고관절 및 지지 하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척추관절 계통과 지지 하체에 부담을 주지않고,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특히,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체를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에 고정한 후, 양팔을 전.후.좌.우.위로 올려,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어깨와 팔 근육 그리고 복근 등 상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 운동효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좌우 회전형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에 걸어, 상체를 고정한 후, 신체를 좌우로 회전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훌라후프와 같은 운동 효과로,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주변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앞으로 꾸부려펴기를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운동 효과로,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의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전형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스쿼트 동작을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상. 하 반복 운동되어, 스쿼트나 데드리프트 같은 운동 효과로,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의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걸린 탄력밴드를 발목에 걸고, 좌우 다리굽혀펴기를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발목과 무릎 그리고 고관절 주변근육 등과 종아리와 대퇴사두근 그리고 햄스트링 등 하체의 근육 강화 운동와 유연성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걸린 탄력밴드를 양손으로 잡고 좌우 팔굽혀펴기를 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어깨와 팔근육 그리고 복근 등 상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좌우 회전형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걸린 탄력밴드를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좌우로 회전하여, 탄력밴드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주변 등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압 충격흡수재를 형성하고, 하부에 진동 방지부재를 형성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지바를 잡고 올라간 후 지압으로 신체를 자극하고, 착지시 충격흡수재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허리를 비롯한 무릎과 발목에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며 운동 중 미끄름을 방지하여,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탄력밴드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의측면, 단면, 전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지압 충격흡수재(70)도면
도 6a 내지 6d는 신체를 중앙 수직바 좌우로 옮겨가며, 반타원형 수평바와 수직바 상에 상체와 지지 하체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탄력밴드가 걸린 하체를 전후좌우를 비롯하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입체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e는 신체를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를 잡거나 의지한 상태에서 탄력밴드가 걸린 하체를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입체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a는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 .하체를 중앙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수평바와 수직바 상에 고정한 후, 양팔을 전.후.좌.우.위로 올리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b는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좌우 회전형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에 걸어, 상체를 고정한 후, 신체를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c는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앞으로 꾸부려펴기를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d는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스쿼트 동작을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a는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의 높이 조절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발목에 걸고, 좌우 다리굽혀펴기를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b는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의 높이 조절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양손으로 잡고 좌우 팔굽혀펴기를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c는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에 걸고, 타측은 중앙의 높이 조절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를 펴고 앉아, 탄력밴드를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내지 6c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내지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10)는 4각 평판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안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회전형 수직바(30), 수직바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 사용자가 팔로 걸고 잡을 수 있도록 있도록 상기 수직바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수직바(30)의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5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형성되고 탄력밴드(200)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력밴드(200) 걸이부(60), 수직바 하단부에 형성되는 좌우 봉형상의 탄력밴드(200) 조정대(70), 지압 충격흡수재(8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지면에 안치되는 것으로, 4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지압 충격흡수제(80)가 결합되도록 결합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진동 등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방지부재(22)가 결합되어 진다.
수직바(3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이격되어 중앙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 반타원형 수평바, 하부에 접이식 의자, 그리고 높이조절 핀부와 좌우 회전부 등으로 결합되어 진다.
베이스 플레이트 중앙의 수직바(20)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는 사용자가 앉아서 발과 손에 탄력밴드(200)를 걸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수직바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의 탄력밴드(200)는 사용자의 레벨에 맞춘 탄성강도의 밴드를 선택한다.
수평바(50)는 수직바(30) 상부에 형성되어, 좌우 회전형 수직바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며, 사용자가 쉽게 팔을 걸고 잡을 수있도록 반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된다.
탄력밴드(200) 걸이부(60)는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형성되고, 'T' 자 형상으로 탄력밴드(200)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리형상 걸이구(61)와 좌우 봉형상 걸이구(62)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탄력밴드 조정대(70)는 수직바(3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접이식 의자(40)에 앉아 사용자가 안전하게 탄력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봉형상 걸이구(70)로 이루어 진다.
수직바(30)는 본 고안에서는 암수 구조로, 남녀노소 신장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핀(31)으로 수직바(30) 사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직바<30>는 본 고안에서는 암수구조 회전부(32) 등으로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압 충격흡수재(80)는 사용자가 지지바를 잡고 올라간 후 지압으로 신체를 자극하고, 착지시 충격흡수재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의 결합홈(21)에 결합되어 진다. 이때, 지압 충격흡수재(80)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압 충격흡수재(80)의 상부에는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발을 들고 운동을 할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10)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방에 있는 걸이부(60)를 형성하고, 걸이부(60)에 탄력밴드(200)의 일측을 걸고, 타측은 사용자의 신체 각 운동부위의 탄력밴드 걸이부위(300)에 걸어 신체 각 운동부위(300)를 움지일 시 탄력밴드(200)의 탄력에 의해 반복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각 부위(300)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전신 근력운동 효과가 있다.
특히, 수직바(30)와 수평바(50)상에 상체와 지지 하체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탄력밴드(200)가 걸린 하체를 전후좌우를 비롯하여 상하 및 여러 각도 등으로 입체적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주변 등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시키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하체에 걸어 ,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를 잡거나 의지한 상태에서 하체를 움직여,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운동함으로써,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가 있다.
특히,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20)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60)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 .하체를 중앙 반 타원형 수평바(50)와 수직바(30)에 고정한 후 양팔을 전.후.좌.우.위로 올림으로써, 어깨와 팔 근육 그리고 복근 등 상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 운동효과가 있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20)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60)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좌우 회전형 수직바(30)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50)에 걸어, 상체를 고정한 후, 신체를 좌우로 회전하여 탄력밴드(200)의 탄력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훌라후프와 같은 운동 효과로,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주변 등의 근육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20)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60)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 수직바(30)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50)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좌우 회전형 수직바(30)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50)의 탄력밴드 걸이구(51)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앞으로 꾸부려펴기를 하여 탄력밴드(200)의 탄력에 의해 반복 운동되어,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운동 효과로,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의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20)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60)에 일측을 걸고, 타측은 중앙 수직바(30)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50)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수직바(30)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50)의 탄력밴드 걸이구(51)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스쿼트 동작을 하여 탄력밴드(200)의 탄력에 의해 상. 하 반복 운동되어, 스쿼트나 데드리프트 같은 운동 효과로,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의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20) 중앙의 수직바(30)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60)에 걸린 탄력밴드(200)를 발목에 걸고 좌우 다리굽혀펴기를 함으로써, 발목과 무릎 그리고 고관절 주변 근육 등과 종아리와 대퇴사두근 그리고 햄스트링 등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0) 중앙의 수직바(30)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60)에 걸린 탄력밴드(200)를 양손으로 잡고 팔굽혀펴기를 함으로써, 어깨와 팔 근육 그리고 복근 등 상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20) 중앙의 좌우 회전형 수직바(30)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60)에 걸린 탄력밴드(200)를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좌우로 회전함으로써,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주변 등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지압 충격흡수재(80)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베이스 플레이트(20) 상에서 운동시, 지압으로 하체를 자극하고, 착지시 충격흡수재(8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허리를 비롯한 무릎과 발목에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며 운동 중 미끄름을 방지하여,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지압 충격흡수재(80)를 형성하고, 하부에 진동 방지부재(22)를 형성함으로써, 운동시 지압으로 신체를 자극하고, 착지시 충격흡수재(8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고, 진동 방지부재에 의해 진동을 방지하여, 허리를 비롯한 무릎과 발목에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며 운동 중 미끄름을 방지하여,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6a 내지 6e, 도 7a 및 7b, 도 8a 내지 8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가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사용자가 수직바(30)와 수평바(50)상에 상체와 지지 하체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운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먼저 탄력밴드 걸이부(60)에 탄력밴드(200)의 일측을 걸고, 타측은 사용자의 하체 등에 걸어, 수평바(50)를 잡은 상태에서 하체를 움직이면 탄력밴드(200)의 탄력으로 하체는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후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하체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6c내지 6d는 사용자가 수직바(30)와 수평바(50)상에 상체와 지지 하체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운동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탄력밴드(200)가 걸린 하체를 전후좌우를 비롯하여 상하 및 여러 각도 등으로 입체적으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주변 등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6e는 사용자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를 잡거나 의지한 상태에서 운동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탄력밴드(200)가 걸린 하체를 다양한 각도의 여러자세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7a는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20)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60)에 탄력밴드(200)일측을 걸고, 타측은 탄력밴드(200)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중앙의 수직바(30)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50)에 걸어, 수평바(50)와 수직바(30)에 상 . 하체를 고정한 후, 양팔을 전.후.좌.우.위로 올려 운동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어깨와 팔 근육 그리고 복근 등 상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7b는 사용자가 신체의 전부를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안착한 후 베이스 플레이트(20) 전방에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60)에 탄력밴드(200)일측을 걸고, 타측은 좌우 회전형 수직바(30)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50)에 걸어 수직바(30)와 수평바(50)에 상체를 고정한 후, 신체를 좌우로 회전하여 운동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주변 등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7c는 사용자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앞으로 꾸부려펴기를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운동 효과로,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의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7d는 사용자가 중앙 수직바 뒷면에서 등을 지고, 반타원형 수평바에 신체를 의지한 상태에서 수직바 상부에 형성된 반타원형 수평바의 탄력밴드 걸이구에 걸어 양손으로 잡고, 스쿼트 동작을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스쿼트나 데드리프트 같은 운동 효과로, 사용자 특히 노약자나 재활자의 상.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8a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중앙의 수직바(30)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20)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60)에 걸린 탄력밴드(200)를 발목에 걸고, 좌우 다리굽혀펴기를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발목과 무릎 그리고 고관절 주변 등의 근육과 특히 종아리와 대퇴 사두근 그리고 햄스트링 등, 하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8b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중앙의 수직바(30)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20)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60)에 걸린 탄력밴드(200)를 양손으로 잡고 좌우 팔굽혀펴기를 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어깨와 팔 근육 그리고 복근 등 상체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도 8c는 베이스 플레이트(20) 중앙의 좌우 회전형 수직바(30)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를 펴고 앉아, 베이스 플레이트(20) 후면 탄력밴드 걸이부(60)에 걸린 탄력밴드(200)를 양손으로 잡고 상체를 좌우로 회전하는 운동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허리와 고관절 그리고 무릎 주변 등의 근육 강화와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력운동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의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여러 운동 자세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와 운동 전문가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20 : 베이스 플레이트
(21) 지압 충격흡수재 결합홈
(22) 진동 방지부재
30 : 높이 조절 좌우 회전형 수직바
(31) 높이 조절 핀부
(32) 좌우 회전부
40 : 접이식 의자
50 : 반타원형 수평바(수직바의 접이식 의자와 같은 방향으로 좌우이동)
(51) : 고리형상의 탄력밴드 걸이구
60 : 탄력밴드 걸이부
(61) : 고리형상의 탄력밴드 걸이구
(62) : 봉 형상의 탄력밴드 걸이구
70 : 봉형상의 탄력밴드 조정대
80 : 지압 충격흡수재
200 : 탄력밴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최대근력의 약 60 ~ 80%의 탄성강도로 사용자의 레벨에 맞춘 밴드를 선택한다.
300 : 신체 각 운동부위의 탄력밴드 걸이부위

Claims (10)

  1. 사각 평판상으로 이루어져 지면에 안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 회전형 수직바(30)와; 수직바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 상기 수직바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좌우 회전이 가능한 수직바(30)의 상부에 형성되는 반타원형 수평바(5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형성되고 탄력밴드(200)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력밴드 걸이부(60); 수직바 하단부에 형성된 좌우 봉형상의 탄력밴드 조정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10).
  2. 1항에 있어서, 사각 평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지압 충격흡수재 결합홈(21)과 사용시 지면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진동을 방지시켜주는 진동방지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3.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높이조절 좌우 회전형 수직바(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4. 3항에 있어서, 높이조절 좌우 회전형 수직바(30)의 높이조절 핀부(31), 좌우 180도 각도로 회전 시킬 수 있는 회전부(32)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5. 1항에 있어서, 수직바(30)의 하부에 형성된 접이식 의자(40)를 포함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6.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30)의 접이식 의자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 하고, 사용자가 쉽게 팔을 걸고 잡을 수 있는 형상의 반타원형 수평바(50)를 포함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7.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좌우회전형 수직바 상부에 형성되는 반타원형 수평바의 좌우 탄력밴드 걸이구(51)에 탄력밴드를 걸어, 허리 꾸부려펴기 및 스쿼트 운동 동작을 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10).
  8.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탄력밴드를 걸 수 있는 탄력밴드(200) 걸이부(60)는 베이스 플레이트 전방에 'T'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리 형상의 탄력밴드 걸이구(61)와 봉형상의 탄력밴드 걸이구(62)를 포함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9. 5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탄력밴드 걸이부에 걸린 탄력밴드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봉형상의 좌우 탄력밴드 조정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10. 사용자가 베이스 플레이트(20) 상에서 운동시, 지압으로 신체를 자극하고, 착지시 충격흡수재(8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허리를 비롯한 무릎과 발목의 충격을 예방하며, 운동 중 미끄름을 방지하는 지압 충격흡수재(80)를 포함하는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KR2020210002728U 2021-09-01 2021-09-01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KR202300004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728U KR20230000498U (ko) 2021-09-01 2021-09-01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728U KR20230000498U (ko) 2021-09-01 2021-09-01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498U true KR20230000498U (ko) 2023-03-08

Family

ID=8550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728U KR20230000498U (ko) 2021-09-01 2021-09-01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49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se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re endurance intervention program: implications for performance in college-age rowers
US20170340916A1 (en) Fitness training units
US85294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 back exercise
JP3178780U (ja) ヨガブロック
US5188577A (en) Apparatus for total body exercise
RU276867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коррекции осанки
US7931575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body exercises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RU1853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коренной реабилитации и адаптации лиц с нарушениями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8425381B2 (en) Exerciser and rehabilitative device
JP2005342177A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Pink et al. Preventative exercises in golf: arm, leg, and back
US20120190513A1 (en) Active Activator A
KR100606336B1 (ko) 다목적 운동기구
TW201729872A (zh) 蹲立健身器
CN215275654U (zh) 瑜伽砖结构
KR20230000498U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KR20190005612A (ko) 복합 운동기구
Ifeyinwa et 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double straight leg raise and abdominal crunch exercises on core stability
KR102615718B1 (ko) 운동용 침대
JP2006043406A (ja) 健康器具
RU279253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боли в спине за счет активизации постуральной мускулатуры
TWI779785B (zh) 能透過彈力繩實現阻力運動之訓練輔助台
JP2002052092A (ja) 健康増進器具
RU2019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