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050Y1 -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 Google Patents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050Y1
KR200437050Y1 KR2020060027936U KR20060027936U KR200437050Y1 KR 200437050 Y1 KR200437050 Y1 KR 200437050Y1 KR 2020060027936 U KR2020060027936 U KR 2020060027936U KR 20060027936 U KR20060027936 U KR 20060027936U KR 200437050 Y1 KR200437050 Y1 KR 200437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jig
fixing part
scraper
gap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이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호 filed Critical 이중호
Priority to KR2020060027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6Implements or apparatus for removing dry paint from surfaces, e.g. by scraping, by burning
    • B44D3/162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해머 스크레이퍼를 작업용 지그에 탑재하여 이동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스크레이핑날의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크레이핑 장치에 있어서, 지지축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바퀴가 포함된 이송부와; 스크레이핑 장치의 몸체 외주면을 감싸며 체결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지지축과 제1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의 높이 조절가능한 간격조절수단과; 일측은 지지축에 결합되며, 타측은 몸체의 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A JIG OF SCRAP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의 결합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고정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간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수단의 동작을 보인 정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지그의 제1,2고정부 동작을 보인 측면도,
도 6는 종래의 스크레이핑 장치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송부 11: 지지축
12: 바퀴 20: 제1고정부
30: 제2고정부 31: 지지대
32: 고정브라켓 40: 간격조절수단
41: 간격조절부 42: 상부조절대
43: 체결공 44: 하부조절대
46: 고정레버 50: 간격조절댐퍼
60: 고정수단
본 고안은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전동해머용 스크레이퍼를 탑재하여 이동을 부여함과 아울러 스크레이핑날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의 옥상에는 비나 눈 등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건물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우레탄과 같은 마감재를 도포하여 방수용 마감재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건물에 마감재층을 도포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건물의 바닥과 마감재층이 이격되어 표면이 고르지 못하게 되고, 외부의 물 등이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기 시공된 마감재층을 벗겨내고 새로운 마감재를 도포하여야 한다.
이때, 마감재층을 벗겨내는 스크레이핑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 스크레핑 작업은 에어해머와 같은 전동해머(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바닥면을 벗겨내는 스크레이퍼가 이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해머용 스크레이퍼는 전동해머(1)의 전후진되는 작동축(2)에 연결되는 샤프트(3)와, 이 샤프트(3)의 선단부에 연결부재(4)를 통해 장착되는 스크레이핑날(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해머 스크레이퍼는 작업자가 전동해머(1)에 구비된 핸들 을 파지한 다음, 스크레이핑날(5)을 선단부에 구비된 날카로운 컷팅부를 스크레이핑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근접한 후, 적당한 힘을 주어 밀어주면 고속으로 전후진되는 스크레이핑날(5)이 선단의 컷팅부에 의해 마감재층을 파고 들어가서 바닥면에서 마감재를 벗겨내게 된다.
그러나 스크레이핑 작업시 전동해머(1)의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하고자 하는 장소에 서서 작업을 하게되며, 이로 인해 작업자가 손목을 상부로 꺾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가 가며, 특히 전동해머(1)는 비교적 무게가 많이 나가는 중량물이기에 손목을 꺾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면 손목에 상당한 무리가 갈 수 밖에 없으며, 장시간 작업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동해머용 스크레이퍼를 작업용 지그에 탑재하여 이동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스크레이핑날의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동 스크레이핑 장치에 있어서, 지지축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바퀴가 포함된 이송부와; 스크레이핑 장치의 몸체 외주면을 감싸며 체결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지지축과 제1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의 높이 조절가능한 간격조절수단과; 일측은 지지축에 결합되며, 타측은 몸체의 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의 결합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고정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간략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간격조절수단의 동작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지그의 제1,2고정부 동작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면을 따라 전후진가능한 이송부(10)가 구비되고, 전동해머(1)의 몸체(6)를 감싸며 제1고정부(20)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축(11)과 제1고정부(20) 사이에는 제1고정부(20)의 높이 조절가능한 간격조절수단(4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축(11)과 몸체(6)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0)는 지지축(11)과, 이 지지축(11)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바퀴(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조절수단(40)은 지지축(11)와 제1고정부(20)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41)와, 이 간격조절부(41)와 지지축(1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부(41)의 간격조절시 신축되는 간격조절댐퍼(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간격조절부(41)는 상부조절대(42)와, 상기 상부조절대(42)에 끼워져 상기 지지축(11)에 결합되는 하부조절대(44)와, 상기 상부조절대(42)의 외주면에 설 치되며, 상기 상부조절대(42)에 끼워진 하부조절대(44)를 잠금/해지하는 고정레버(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조절대(42)는 'T' 자 형상을 가지며, 하부로 연장된 외주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관통된 체결공(4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조절대(44)의 일측은 지지축(1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45)결합되며, 타측은 상부조절대(42)의 내주면에 끼워져 배치된다.
상기 고정레버(46)는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7)가 구비되고, 이 손잡이(47)에 일체로 연장된 수나사(48)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레버(46)의 수나사(48)가 상기 상부조절대(42)의 체결공(43)에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조절대(42)의 내부에 삽입된 하부조절대(44)의 잠금/해지하는 것이다.
상기 간격조절댐퍼(50)는 간격조절부(41)와 지지축(11)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51)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댐퍼(50)는 통상적인 탬퍼(DAMPER)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조절부(41)의 간격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고정부(20)는 2개가 한조로 서로 맞대어져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상기 몸체(6)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일측은 상부조절대(4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21)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부(30)는 지지축(11)에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는 지지대(31)와, 상기 지지대(31)에 힌지(33)결합되며, 상기몸체(6)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32)은 말굽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6)의 저면에 고정시 고정볼트(7)의 일부만 분리하여 고정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용이하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전동해머(1)의 전후진되는 작동축(2)에 연결되는 샤프트(3)에 연결부재(4)에 의해 스크레이핑날(5)을 포함된 스크레이핑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전동해머(1)의 몸체(6) 외주면에 상기 제1고정부(20)를 체결하고, 이어 상기몸체(6)의 저면을 고정하는 고정볼트(7)의 일부를 풀고 상기 제2고정부(30)의 고정브라켓(32)을 밀착한 후, 풀어놓은 고정볼트(7)를 다시 체결하면, 작업용 지그에 스크레이핑 장치가 이동가능하게 탑재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크레이핑날(5)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고정레버(46)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상부조절대(42)의 내부에 고정된 하부조절대(44)의 잠금이 해지되어 상기 상부조절대(42)에서 하부조절대(44)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스크레이핑날(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댐퍼(50)는 스크레이핑날(5)의 각도 조절시 스크레이핑 장치의 자체 무게를 지지하여 상기 스크레이핑날(5)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스크레이핑날(5)의 각도를 조절하여 건물 등의 옥상에 도포된 마감재층을 효과적으로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작업용 지그에 스크레이핑 장치를 탑재하고, 전후/좌우로 이동하면서 작업가능하여 작업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용 지그에 스크레이핑 장치를 탑재하여 이동성을 부여함에 따라 작업성이 용이함과 아울러 스크레이핑날의 각도를 조절하여 건물 등의 옥상에 도포된 마감재층을 손쉽게 벗겨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동 스크레이핑 장치에 있어서,
    지지축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바퀴가 포함된 이송부와;
    스크레이핑 장치의 몸체 외주면을 감싸며 체결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지지축과 제1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부의 높이 조절가능한 간격조절수단과;
    일측은 지지축에 결합되며, 타측은 몸체의 저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지지축와 제1고정부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부와, 이 간격조절부와 지지축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부의 높이 조절시 신축가능한 간격조절댐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T' 자 형상을 갖는 상부조절대와, 상기 상부조절대의 하부에 끼워져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하부조절대와, 상기 상부조절대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조절대에 끼워진 하부조절대를 잠금/해지하는 고정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지지축에 일정한 각도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일측은 지지대의 단부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은 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말굽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KR2020060027936U 2006-10-14 2006-10-14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KR200437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36U KR200437050Y1 (ko) 2006-10-14 2006-10-14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936U KR200437050Y1 (ko) 2006-10-14 2006-10-14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050Y1 true KR200437050Y1 (ko) 2007-10-30

Family

ID=4163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936U KR200437050Y1 (ko) 2006-10-14 2006-10-14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0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199B1 (ko) 2017-02-07 2017-04-26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페인트 제거용 헤라 장치
CN114737732A (zh) * 2022-03-11 2022-07-12 黄政兴 一种基于建筑施工的地表瓷板自动美缝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7199B1 (ko) 2017-02-07 2017-04-26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페인트 제거용 헤라 장치
CN114737732A (zh) * 2022-03-11 2022-07-12 黄政兴 一种基于建筑施工的地表瓷板自动美缝机
CN114737732B (zh) * 2022-03-11 2024-03-26 广东龙创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建筑施工的地表瓷板自动美缝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578B1 (ko) 자기력을 이용한 강구조물 표면 이동 장치
US5830313A (en) Self-propelled floor covering scraper machine
US9353490B2 (en) Roller plow assembly for concrete screeding machine
EP2721221B1 (en) Remote chute rotation system
US20080202264A1 (en) Drill attachment
WO200500361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ling hose
KR200437050Y1 (ko) 전동 스크레이퍼 작업용 지그
US5255405A (en) Tool holding apparatus
ITMI20070565A1 (it) Fresa per la preparazione del manto nevoso delle piste da sci
JPH06113988A (ja) 自己推進型産業用掃除機械
US20120079921A2 (en) Dry Wall Screw Embedder
US20060207063A1 (en) Vibration dampening handle
JP4528294B2 (ja) 走行型ドーザ除雪機
CA2673630A1 (en) Mid-span winch with a reel-enclosing support frame
US11986084B2 (en) Mobile trailer-cleaning system
CA2412691A1 (en) Scarifying apparatus for interior surface of pipeline
JP2001232583A (ja) 工具等の作動を操作する遠隔用マニピュレータ
JP2002004568A (ja) 手押し式の床材剥がし機
JP3871319B2 (ja) 床材剥がし方法
JP3139748U (ja) 床材剥離装置
JP5785132B2 (ja) 歩行型管理機用の取付装置
JP5131653B2 (ja) 畝間作業機の姿勢保持装置
JP2007032229A (ja) 除雪機
JP3101702U (ja) ウィンドーワイパー
JP7425517B1 (ja) コンクリートの表面処理用の処理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の表面処理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